맨위로가기

신암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암동은 대구광역시 동구에 속하는 지역이다. 지명은 과거 깊은 계곡인 '한골'에서 유래되었으며, 신천 아래 바위가 많은 곳이라 하여 '신암동'으로 불리게 되었다. 1895년 대구부 대구군 동상면에 속했으며,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현재 대구동부초등학교, 아양중학교, 대구관광고등학교 등이 위치해 있으며,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동구청역과 아양교역이 지나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동구의 법정동 - 신천동 (대구)
    신천동은 대구광역시 동구에 속하며, 신천 물줄기를 돌려 새로 생긴 하천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신천동으로 불리게 되었고, 동대구역과 주요 시설 및 아파트 단지가 위치해 있다.
  • 대구 동구의 법정동 - 효목동
    효목동은 대구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행정 구역으로, 조선 숙종 때 정종악의 효성을 기려 효목리라 명명된 데서 유래했으며, 현재 대구효동초등학교, 동부공업고등학교, 효목동성당, 망우당공원 등이 있다.
  • 대구 동구의 행정 구역 - 신천동 (대구)
    신천동은 대구광역시 동구에 속하며, 신천 물줄기를 돌려 새로 생긴 하천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신천동으로 불리게 되었고, 동대구역과 주요 시설 및 아파트 단지가 위치해 있다.
  • 대구 동구의 행정 구역 - 공산동
    공산동은 대구광역시 동구에 위치하며 역사적으로 해북촌면과 해서촌면으로 나뉘어 있다가 공산면으로 통합, 대구시로 편입되었고, 현재 지묘동의 신숭겸 사당, 도학동의 동화사, 교육 기관, 아파트 단지, 대구 신무동 마애여래좌상 등의 문화재를 포함하는 14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 1938년 설치 - 벽성군
    벽성군은 황해남도에 위치하며, 과거 백제와 고구려의 영역이었고 조선 시대에는 해주군이었으나 해옥사건 이후 개칭되었으며, 분단 후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1읍 21리로 구성, 농업, 광업, 제조업이 주요 산업이고 옹진선 철도가 지나며 수양산맥과 해주만에 인접해 있다.
  • 1938년 설치 - 장단면
    장단면은 경기도 파주시 북서부에 위치하며 한국전쟁 후 민간인 출입이 통제되다 파주군에 편입되었고, 군사분계선과 임진강으로 둘러싸여 경의선 도라산역이 있으며 현재 대부분 지역에 거주 인구가 없는 군사 작전 지역이다.
신암동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신암1동
한자 표기新岩1洞
영문 표기Sinam 1(il)-dong
광역시도대구광역시
시군구동구
면적0.61
세대6,098
세대 조사2011.12.31.
인구8955
인구 조사2022년 3월
법정동신암동
18
104
동주민센터대구광역시 동구 아양로7길 27
홈페이지신암1동 행정복지센터
기본 정보
이름신암2동
한자 표기新岩2洞
영문 표기Sinam 2(i)-dong
광역시도대구광역시
시군구동구
면적0.38
세대4,373
세대 조사2011.12.31.
인구10310
인구 조사2022년 3월
법정동신암동, 신천동
11
72
동주민센터대구광역시 동구 신성로 56
홈페이지신암2동 행정복지센터
기본 정보
이름신암3동
한자 표기新岩3洞
영문 표기Sinam 3(sam)-dong
광역시도대구광역시
시군구동구
면적0.6
세대4,530
세대 조사2011.12.31.
인구11706
인구 조사2022년 3월
법정동신암동
13
78
동주민센터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남로 67
홈페이지신암3동 행정복지센터
기본 정보
이름신암4동
한자 표기新岩4洞
영문 표기Sinam 4(sa)-dong
광역시도대구광역시
시군구동구
면적1.15
세대7,782
세대 조사2011.12.31.
인구14796
인구 조사2023년 9월
법정동신암동
22
132
동주민센터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남로23길 53
홈페이지신암4동 행정복지센터
기본 정보
이름신암5동
한자 표기新岩5洞
영문 표기Sinam 5(o)-dong
광역시도대구광역시
시군구동구
면적0.57
세대3,725
세대 조사2011.12.31.
인구6284
인구 조사2022년 3월
법정동신암동
11
66
동주민센터대구광역시 동구 아양로37길 92
홈페이지신암5동 행정복지센터

2. 유래

신암동은 예부터 "한골"이라는 자연부락으로 불렸는데, "한골"은 골이 깊은 계곡 '''대곡리'''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신천이 흐르게 되었는데 그 아래 바위가 많은 곳이라 하여 '''신암동'''으로 부른다. 처음에는 동산새태, 새태마을(혹은 새터마실), 신기동이라 했다. 새태마실은 그 아래쪽에 많은 마을이 들어서면서 새로 생긴 마을이란 뜻으로 부르게 된 것이다.

3. 역사

신암동은 조선 시대부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까지 여러 행정 구역 변화를 겪었다. 다음은 각 시대별 주요 변화를 정리한 표이다.

시대주요 변화
조선 시대
일제강점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3. 1. 조선 시대

1895년 음력 윤5월 1일 대구부 대구군 동상면이었다.[2] 1896년 8월 4일 경상북도 대구군 동상면으로 개편되었다.[3]

3. 2. 일제 강점기

1910년 10월 1일 경상북도 대구부 동상면이 되었다.[2] 1911년 11월 14일 경상북도 대구부 대구면으로[4], 1914년 4월 1일 경상북도 달성군 수성면 신암동으로 변경되었다.[5] 1938년 10월 1일 경상북도 대구부 신암동으로 변경되었으며,[6] 11월 2일 편입된 수성면을 관할로 동부출장소가 설치되었다.[7]

3. 3.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949년 8월 15일 경상북도 대구시 신암동(동부출장소 관할)이 되었다.[8] 1963년 1월 1일 경상북도 대구시 동구 신암동으로 개편되었다.[9] 1965년 2월 1일 행정동이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으로 조정되었다.

1970년 7월 1일 신암1동은 신암5동으로, 신암3동은 신암6동으로 분동되었다.[10] 1975년 10월 1일 신암로 북편(신암3동, 신암6동)이 북구에 편입되어 대현동으로 이름이 변경되었고, 신암5동은 신암3동으로 다시 이름이 변경되었다.[11]

1981년 7월 1일 대구직할시 동구 신암동이 되었고,[12] 1990년 6월 1일 신암4동이 신암5동으로 분동되었다. 1995년 1월 1일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으로 최종 변경되었다.[13]

4. 교육

신암동에는 여러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및 직업전문학교가 있다. 초등학교로는 대구동부초등학교, 대구동신초등학교, 동대구초등학교, 대구덕성초등학교, 대구신성초등학교가 있다. 중학교는 아양중학교신암중학교를 통합한 신아중학교가 있다.[14] 고등학교는 대구공업고등학교, 대구관광고등학교가 있고, 한솔직업전문학교, 한국디지털직업전문학교, 한국IT직업전문학교와 같은 직업전문학교도 있다.

4. 1. 초등학교

4. 2. 중학교

아양중학교신암중학교를 통합한 신아중학교가 있다.[14]

4. 3. 고등학교

4. 4. 직업전문학교

5. 교통

신암동에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동구청역, 아양교역동대구역이 있다.

5. 1. 지하철

5. 2. 철도

동대구역

6. 명소

신암동성당

7. 주거 시설

구분명칭입주건설사
대구도시공사신암 그린타운2003년 9월한라공영㈜, 보성건설㈜
대구도시공사신암 청아람2009년 3월㈜보선건설, 동부건설
대한주택공사신암 뜨란채2005년 9월㈜서광건설산업, ㈜진흥
동대구 우방아이유쉘2020년 10월㈜우방


참조

[1] 문서 동대구역과 동대구복합환승센터는 경부선 남쪽의 신천동 (대구)|신천4동에 있다.
[2] 문서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3] 문서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4] 문서 경상북도 고시 제38호 1911-11-14
[5] 문서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도의위치·관할구역변경및부·군의명칭·위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6] 문서 조선총독부령 제196호 1938-09-27
[7] 문서 대구부 조례 제22호 1938-11-02
[8] 문서 법률 제32호 1949-07-04
[9] 문서 법률 제1174호 1962-11-21
[10] 문서 대구시 조례 제610호 1970-07-01
[11] 문서 대통령령 제7816호 구의증설및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2] 문서 법률 제3424호 대구직할시및인천직할시설치에관한법률 1981-04-13
[13] 문서 법률 제4789호 지방자치법 1994-12-22
[14] 문서 옛 신암중학교 자리에는 대구2·28기념학생도서관이 생겼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