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구 (대구광역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구광역시 북구는 1963년 대구시 북부출장소와 달성군 공산면을 합쳐 설치된 구이다. 신라 시대에는 대구와 파리에 속했으며, 조선 시대에는 대구의 경계에 위치했다. 1981년 대구시가 대구직할시로 승격되면서 칠곡군 칠곡읍 일원을 편입하여 칠곡출장소를 설치했으며, 1988년 자치구로 승격되었다. 현재 23개의 행정동과 31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8년 기준 인구는 약 50만 명이다. 주요 교육 시설로는 경북대학교를 비롯한 여러 대학교와 전문대학, 고등학교 등이 있으며, 교통은 경부선 대구역과 대구 도시철도 1호선, 3호선이 지난다. 상업 시설로는 동아백화점 강북점, NC아울렛 엑스코점, 이마트, 코스트코, 홈플러스 등이 있고, 칠성시장이 위치해 있다. 문화 시설로는 경대북문 거리, 엑스코, 하중도, DGB대구은행파크, 북부도서관, 구수산도서관 등이 있다. 자매 도시로는 강릉시와 보성군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광역시의 구 - 수성구
대구광역시 수성구는 1980년 동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구로, 2021년 기준 418,883명의 인구와 76.46km²의 면적을 가지며, 범어동과 황금동을 중심으로 경제가 발전하고 수성못 주변에 관광 및 문화 시설이 발달하였고, 23개의 행정동과 26개의 법정동, 대구도시철도 2, 3호선, 국립대구박물관, 대구미술관, 수성대학교 등이 위치하며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 대구광역시의 구 - 달서구
달서구는 대구광역시 서남부에 위치하며 1988년 설치되어 대규모 아파트 단지와 성서산업단지를 중심으로 발전했고, 현재 23개 행정동과 두류공원, 대구수목원, 이월드 등의 문화·휴양 시설, 그리고 대구 도시철도 1, 2호선을 갖춘 교통의 요충지이다. - 대구광역시의 행정 구역 - 달성군
대구광역시의 군인 달성군은 1914년 대구부와 현풍군이 통합되어 형성되었고, 1995년 대구광역시에 편입되었으며, 2010년대 이후 인구 증가와 함께 2021년 26만 명을 넘어 6읍 3면으로 구성, 비슬산맥과 낙동강을 중심으로 지형이 나뉜다. - 대구광역시의 행정 구역 - 군위군
군위군은 경상북도에 속했던 군으로, 2023년 7월 대구광역시에 편입되었으며, 팔공산의 산악 지형과 위천, 사창천 유역의 농경지를 가진 중생대 백악기 경상 분지에 위치하고, 삼국 시대부터 이어진 역사와 대구경북신공항 건설 논란 끝에 편입되었으며, 1읍 7면으로 구성, 일연 스님의 삼국유사 완성지인 인각사가 있는 '삼국유사의 고장'으로 알려져 있다. - 대구 북구 - 노원동
대구광역시 북구 노원동은 조선시대 대노원이 있던 곳으로, 원대동 일부 편입 후 노곡동의 '노'자와 원대동의 '원'자를 따서 명명되었으며, 과거 농촌 지역에서 도시화가 진행되어 대구 제3산업단지 배후 주거 지역으로 재래시장, 금융기관, 관공서 등이 위치한다. - 대구 북구 - 칠성시장
칠성시장은 대구 북구 칠성동에 있는 대규모 전통시장으로, 서문시장에 이어 두 번째로 크며, 9개의 시장이 모여 상권을 형성하고, 먹거리 골목과 야시장, 그리고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칠성시장역과의 인접성으로 많은 방문객이 찾는다.
북구 (대구광역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북구 |
현지 이름 | 북구 |
현지 이름 (언어) | ko |
한자 표기 | 北區 |
로마자 표기 (Revised Romanization) | Buk-gu |
로마자 표기 (McCune–Reischauer) | Puk-ku |
자치구 종류 | 자치구 |
위치 | 영남 지방 대구광역시 |
시장 | 배광식(배광식) |
행정 구역 | 23개 행정동 |
면적 (km²) | 93.98 |
인구 (2024년 9월) | 414,883 |
인구 밀도 (km²) | 4,427 |
방언 | 경상도 |
웹사이트 | 북구청 |
![]() | |
상징 | |
구의 나무 | 은행나무 |
구의 꽃 | 개나리 |
구의 새 | 비둘기 |
행정 | |
하위 행정 구역 | 23개 동 |
구청 소재지 | 대구광역시 북구 옥산로 65 (침산동) |
국회의원 | 갑: 우재준(국민의힘) 을: 김승수(국민의힘) |
2. 역사
- 조선시대에는 달성군 북면 지역이었고, 침산1동, 2동, 3동과 산격 1동, 2동, 3동, 4동 지역에 해당되었다. 이후 추가로 편입된 곳은 칠곡군 칠곡읍 지역[9], 수성면 지역[10]이었다.
- 1938년 11월 2일 '''대구부청 북부출장소''' 신설
- 1963년 1월 1일 : 구제 실시로 대구시 북부출장소와 달성군 공산면의 동변동, 서변동을 합쳐 '''대구시 북구'''를 설치하였다.[11] (9법정동)
- 1963년 12월 1일 : 태평로3가를 태평로3가,4가,5가,6가로 분동하였다.[12] (12법정동)
- 1964년 7월 1일 : 태평로3가 전역을 중구에 이관하였다.[13] (11법정동)
- 1965년 2월 1일 : 행정동을 통폐합해 14개로 개편하였다.[14] (14행정동)
행정동 |
---|
칠성1가동, 칠성2가1동, 칠성2가2동, 태평로4가동, 태평로5·6가동, 침산1동, 침산2동, 산격1동, 산격2동, 산격3동, 복현동, 검단동, 동변동, 서변동 |
- 1966년 1월 1일 : 침산동 일부를 서구에 이관하였다.[15]
- 1968년 7월 20일 : 칠성동2가 일부를 동구에 이관하였다.[16]
- 1970년 7월 1일 : 침산3동을 침산1동에서 분동하였다.[17] (15행정동)
- 1975년 10월 1일 : 동구 신암3동과 신암6동, 서구 원대동4가,5가,6가와 원대동2가 일부, 노곡동, 조야동 전역을 편입하였다.[18] 태평로4가동을 고성1가동으로, 태평로5·6가동을 고성2·3가동으로, 신암3동을 대현1동으로, 신암6동을 대현2동으로 개칭하고, 원대동4가(2가 포함),5가,6가를 노원1·2가동, 노원3가동으로 개편하였고,[19] 동변동과 서변동을 동서변동으로 합동하였다.[20] (20행정동 17법정동)
- 1978년 8월 19일 : 구청사를 칠성동2가 470번지에서 고성동3가 1번지(남침산네거리)로 이전하였다.[21]
- 1979년 5월 1일 : 노원3가동을 노원3가1동과 노원3가2동으로, 대현2동을 대현2동과 대현3동으로 분동하였다.[22] (22행정동)
- 1980년 4월 1일 : 고성1가동, 고성2·3가동을 고성동으로 합동하였다.[23] (21행정동)
- 1981년 7월 1일 : 경상북도 대구시가 '''대구직할시'''로 승격하였고,[24] '''북구'''에 칠곡군 칠곡읍 일원을 편입하여 칠곡출장소를 설치하였다.[25] (30법정동)
- 1982년 9월 1일 : 칠곡출장소 내에 칠곡1동과 칠곡2동을 설치하였다. (23행정동)
- 1983년 3월 15일 : 칠곡출장소 내에 칠곡3동을 설치하였다. (24행정동)
- 1984년 8월 1일 : 구청사를 현 위치(침산3동 447-16)로 이전하였다.[26]
- 1987년 1월 1일 : 동구 신암동 일부 및 연경동 일원을 편입하고,[27] 연경동과 동서변동을 무태동으로 합동했다. (31법정동)
- 1988년 5월 1일 : 북구가 자치구로 승격하였다.[28]
- 1990년 6월 1일 : 복현동을 복현1동과 복현2동으로 분동하였다. (25행정동)
- 1992년 9월 1일 : 산격4동을 산격1동에서 분동하였다. (26행정동)
- 1994년 7월 1일 : 관음동을 칠곡1동에서 분동하였다. (27행정동)
- 1995년 1월 1일 : '''대구광역시 북구'''로 개칭하였다.[29]
- 1995년 3월 1일 : 태전동을 칠곡1동에서 분동하였다. (28행정동)
- 1997년 1월 1일 : 칠곡출장소를 강북출장소로 개칭하였다.[30]
- 1997년 10월 10일 : 복현동과 검단동 일부 지역을 산격2동으로, 관음동 일부 지역을 태전동으로, 동천동 일부 지역을 읍내동으로, 칠성동2가 일부 지역을 칠성동1가로 편입하였다.
- 1998년 10월 12일 : 칠성1가동과 칠성2가1동을 칠성1동으로, 노원3가1동과 노원3가2동을 노원3동으로, 대현2동과 대현3동을 대현2동으로, 무태동과 조야동을 무태조야동으로, 노곡동과 칠곡2동을 칠곡2동으로 합동하고, 칠성2가2동을 칠성2동으로, 노원1·2가동을 노원1·2동으로 개칭하였고, 강북출장소를 폐지하였다.[31] (23행정동)
- 1999년 5월 24일 : 칠성1동과 칠성2동을 칠성동으로 합동하였다.[32] (22행정동)
- 2003년 3월 10일 : 칠곡1동을 태전2동과 구암동으로, 칠곡3동을 읍내동과 동천동으로 분동하고, 태전동을 태전1동으로, 칠곡2동을 관문동으로 개칭하였다.[33] (24행정동)
- 2005년 12월 28일 : 강북보건지소를 개소하였다.
- 2009년 7월 1일 : 노원1·2동과 노원3동을 노원동으로 합동하고, 국우동을 동천동에서 분동하였다.[34]
- 2011년 7월 4일 : 대현1동, 대현2동을 대현동으로 합동하였다.[35] (23행정동)
- 2016년 2월 19일 : 북구 산격4동에 있던 경상북도청이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경상북도청신도시로 이전하였다.[36]
3. 행정 구역
대구광역시 북구는 23개 행정동과 31개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북구는 금호강을 경계로 남북으로 나뉘거나, 생활권과 역사성에 따라 동부(옛 달성군 북면, 무태조야동 포함)와 서부(옛 칠곡군 칠곡동)로 구분할 수 있다.
북구의 행정 구역 변천 과정은 다음과 같다.
- 1938년 11월 2일: 대구부청 북부출장소 설치.
- 1963년 1월 1일: 구제 실시로 대구시 북부출장소와 달성군 공산면의 동변동, 서변동을 합쳐 대구시 북구 설치.[11]
- 1981년 7월 1일: 경상북도 대구시가 대구직할시로 승격,[24] 북구에 칠곡군 칠곡읍 일원을 편입하여 칠곡출장소 설치.[25]
- 1988년 5월 1일: 북구가 자치구로 승격.[28]
- 1995년 1월 1일: 대구광역시 북구로 개칭.[29]
- 1997년 1월 1일: 칠곡출장소를 강북출장소로 개칭.[30]
- 1998년 10월 12일: 강북출장소 폐지.[31]
- 2011년 7월 4일: 대현1동, 대현2동을 대현동으로 합동.[35]
3. 1. 행정동 및 법정동
대구광역시 북구에는 23개 행정동, 31개 법정동이 있다.행정동 | 법정동 |
---|---|
고성동 | 고성동1가, 고성동2가, 고성동3가 |
칠성동 | 칠성동1가, 칠성동2가 |
침산1동, 침산2동, 침산3동 | 침산동 |
산격1동, 산격2동, 산격3동, 산격4동 | 산격동 |
복현1동, 복현2동 | 복현동 |
대현동 | 대현동 |
검단동 | 검단동 |
노원동 | 노원동1가, 노원동2가, 노원동3가 |
동천동 | 동천동 |
무태조야동 | 동변동, 서변동, 조야동, 연경동 |
관문동 | 노곡동, 매천동, 팔달동, 금호동, 사수동 |
태전1동, 태전2동 | 태전동 |
구암동 | 구암동 |
관음동 | 관음동 |
읍내동 | 읍내동 |
국우동 | 동호동, 학정동, 도남동, 국우동 |
2018년 12월 31일 기준으로 대구광역시 북구의 인구는 439,489명, 177,162가구이다.[37]
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인구 | 세대 |
---|---|---|---|---|
고성동 | 古城洞 | 0.53km2 | 5,036 | 2,483 |
칠성동 | 七星洞 | 1.36km2 | 23,821 | 9,833 |
침산1동 | 砧山1洞 | 1.21km2 | 4,504 | 2,096 |
침산2동 | 砧山2洞 | 0.99km2 | 20,021 | 7,122 |
침산3동 | 砧山3洞 | 1.07km2 | 21,150 | 7,491 |
산격1동 | 山格1洞 | 0.91km2 | 10,194 | 5,320 |
산격2동 | 山格2洞 | 2.29km2 | 11,864 | 4,673 |
산격3동 | 山格3洞 | 0.8km2 | 8,828 | 5,070 |
산격4동 | 山格4洞 | 0.74km2 | 9,000 | 4,317 |
대현동 | 大賢洞 | 1.22km2 | 19,051 | 8,877 |
복현1동 | 伏賢1洞 | 0.39km2 | 7,202 | 4,121 |
복현2동 | 伏賢2洞 | 1.87km2 | 28,534 | 10,405 |
검단동 | 檢丹洞 | 3.91km2 | 7,365 | 3,242 |
노원동 | 魯院洞 | 3.09km2 | 13,589 | 6,416 |
무태조야동 | 無怠助也洞 | 23.24km2 | 28,750 | 11,313 |
관문동 | 關門洞 | 14.64km2 | 32,157 | 12,789 |
태전1동 | 太田1洞 | 2.7km2 | 23,193 | 9,527 |
태전2동 | 太田2洞 | 1.71km2 | 25,816 | 10,221 |
구암동 | 鳩岩洞 | 4.4km2 | 38,079 | 13,393 |
관음동 | 觀音洞 | 2.99km2 | 18,263 | 7,484 |
읍내동 | 邑內洞 | 5.71km2 | 27,765 | 10,939 |
동천동 | 東川洞 | 1.12km2 | 30,299 | 10,440 |
국우동 | 國優洞 | 17.19km2 | 25,008 | 9,590 |
북구 | 北區 | 94.08km2 | 439,489 | 177,162 |
4. 인구
대구광역시 북구의 인구는 2018년 12월 31일 기준으로 439,489명이며, 177,162가구이다.[37]
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인구 | 세대 |
---|---|---|---|---|
고성동 | 古城洞 | 0.53km2 | 5,036 | 2,483 |
칠성동 | 七星洞 | 1.36km2 | 23,821 | 9,833 |
침산1동 | 砧山1洞 | 1.21km2 | 4,504 | 2,096 |
침산2동 | 砧山2洞 | 0.99km2 | 20,021 | 7,122 |
침산3동 | 砧山3洞 | 1.07km2 | 21,150 | 7,491 |
산격1동 | 山格1洞 | 0.91km2 | 10,194 | 5,320 |
산격2동 | 山格2洞 | 2.29km2 | 11,864 | 4,673 |
산격3동 | 山格3洞 | 0.8km2 | 8,828 | 5,070 |
산격4동 | 山格4洞 | 0.74km2 | 9,000 | 4,317 |
대현동 | 大賢洞 | 1.22km2 | 19,051 | 8,877 |
복현1동 | 伏賢1洞 | 0.39km2 | 7,202 | 4,121 |
복현2동 | 伏賢2洞 | 1.87km2 | 28,534 | 10,405 |
검단동 | 檢丹洞 | 3.91km2 | 7,365 | 3,242 |
노원동 | 魯院洞 | 3.09km2 | 13,589 | 6,416 |
무태조야동 | 無怠助也洞 | 23.24km2 | 28,750 | 11,313 |
관문동 | 關門洞 | 14.64km2 | 32,157 | 12,789 |
태전1동 | 太田1洞 | 2.7km2 | 23,193 | 9,527 |
태전2동 | 太田2洞 | 1.71km2 | 25,816 | 10,221 |
구암동 | 鳩岩洞 | 4.4km2 | 38,079 | 13,393 |
관음동 | 觀音洞 | 2.99km2 | 18,263 | 7,484 |
읍내동 | 邑內洞 | 5.71km2 | 27,765 | 10,939 |
동천동 | 東川洞 | 1.12km2 | 30,299 | 10,440 |
국우동 | 國優洞 | 17.19km2 | 25,008 | 9,590 |
북구 | 北區 | 94.08km2 | 439,489 | 177,162 |
연도 | 총인구 |
---|---|
1966년 | 114,218명 |
1970년 | 130,790명 |
1975년 | 236,735명 |
1980년 | 273,327명 |
1985년 | 332,383명 |
1990년 | 321,629명 |
1995년 | 371,459명 |
2000년 | 400,510명 |
2005년 | 460,206명 |
2010년 | 453,228명 |
2015년 | 443,119명 |
2020년 | 441,253명 |
5. 교육
학교 종류 | 학교 이름 | 비고 |
---|---|---|
대학교 | 경북대학교[1] | 국립 |
원격대학 | 영진사이버대학교[2] | |
전문대학 | 대구보건대학교[3] | |
전문대학 | 대구과학대학교[4] | |
전문대학 | 영진전문대학교[5] | |
고등학교 | 강북고등학교[6] | |
고등학교 | 경명여자고등학교[7] | |
고등학교 | 경상고등학교[8] | |
고등학교 | 경상여자고등학교[9] | |
고등학교 | 구암고등학교[10] | |
고등학교 | 대구체육고등학교[11] | |
고등학교 | 대중금속공업고등학교[12] | |
고등학교 | 매천고등학교[13] | |
고등학교 | 성광고등학교[14] | |
고등학교 | 성화여자고등학교[15] | |
고등학교 | 영송여자고등학교[16] | |
고등학교 | 영진고등학교[17] | |
고등학교 | 운암고등학교[18] | |
고등학교 | 칠성고등학교[19] | |
고등학교 | 학남고등학교[20] | |
고등학교 | 함지고등학교[21] | |
특수학교 | 대구성보학교[22] |
- [https://knu.ac.kr/wbbs/wbbs/main/main.action 경북대학교]
- [https://www.yju.ac.kr/ipsi/promotion2024/intro.html 영진대학교]
- [https://www.tsu.ac.kr/ 대구과학대학교]
- [https://www.dhc.ac.kr/ 대구보건대학교]
- [https://www.ikw.ac.kr/main.tc 경운대학교] 대구캠퍼스
6. 교통
경부고속도로 북대구 나들목과 중앙고속도로 칠곡 나들목이 있어 시외교통의 요충지이며, 두 고속도로가 분기하는 금호 분기점도 북구에 있다.
6. 1. 도로
경부고속도로 북대구 나들목과 중앙고속도로의 칠곡 나들목이 있는 시외교통의 요충지이며, 두 고속도로가 분기하는 금호 분기점도 북구에 있다.[1]6. 2. 철도
wikitext7. 상업 시설
북구는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고등교육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경북대학교 외에도 대구보건대학교, 영진전문대학교가 있다. 문화시설로는 대구오페라하우스와 대구창조경제단지가 있으며, 산격2동에는 대구 유일의 전시장(컨벤션)인 엑스코가 있다. 1983년 11월 24일에 개관한 시립 북부도서관에는 총 250,956권의 장서와 31,997건의 자료가 있다. 구수산도서관은 지하 1층, 지상 3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만 권 이상의 장서와 544석의 열람석을 갖춘 구립 도서관이다.[4]
7. 1. 백화점
동아백화점 강북점이 있다.7. 2. 아울렛
엑스코에 NC아울렛 엑스코점이 있다.7. 3. 대형마트
7. 4. 전통시장
구역 내에는 칠성시장이 있다.[5] 칠성시장은 한때 성남시의 모란시장, 부산광역시의 구포가축시장과 함께 3대 개고기 시장이었으나, 현재는 한국에서 유일한 개고기 전문 시장이다.8. 문화 및 명소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고등교육의 중심인 경북대학교가 있다. 그 밖에 대구보건대학교와 영진전문대학교가 북구에 있다. 대구오페라하우스와 대구창조경제단지 같은 문화시설이 있으며, 산격2동에는 대구 유일의 전시장(컨벤션)인 엑스코가 있다.

북부도서관은 북구에 위치한 시립 도서관이다. 도서관은 1983년 11월 24일에 개관했다. 장서 수는 총 250,956권이며, 자료는 31,997건이다.
구수산도서관은 지하 1층, 지상 3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10만 권 이상의 장서와 544석의 열람석을 갖춘 구립 도서관이다.[4]
구역 내에는 전통 시장인 칠성시장이 위치해 있다.[5]
9. 자매 도시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2]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3]
웹사이트
History
https://www.buk.daeg[...]
[4]
웹사이트
Gususan Library
https://www.buk.daeg[...]
[5]
웹사이트
칠성시장 - 대구역사문화대전
https://www.grandcul[...]
2024-08-13
[6]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7]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8]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9]
문서
구암동, 국우동, 도남동, 관음동, 동천동, 읍내동, 학정동, 동호동, 태전동, 매천동, 팔달동, 금호동, 사수동
[10]
문서
대현동, 칠성동
[11]
법률
법률 제1174호
1962-11-21
[12]
조례
대구시 조례 제333호
1963-09-09
[13]
법률
법률 제1641호
1964-06-01
[14]
조례
대구시 조례 제387호
1965-01-27
[15]
조례
대구시 조례 제461호
1965-11-10
[16]
조례
대구시 조례 제501호
1968-06-05
[17]
조례
대구시 조례 제610호
1970-07-01
[18]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7816호
1975-09-23
[19]
조례
대구시 조례 제918호
1975-10-01
[20]
조례
대구시 조례 제919호
1975-10-01
[21]
조례
대구시 조례 제1128호
1978-08-19
[22]
조례
대구시 조례 제1181호
1979-04-30
[23]
조례
대구시 조례 제1244호
1979-03-18
[24]
법률
법률 제3424호
1981-04-13
[25]
조례
대구시 조례 제1357호
1981-06-29
[26]
조례
대구시 조례 제1817호
1984-07-11
[27]
조례
대구시 조례 제2057호
1986-12-31
[28]
법률
법률 제4004호
1988-04-06
[29]
법률
법률 제4789호
1994-12-20
[30]
조례
북구 조례 제375호
1996-12-30
[31]
조례
북구 조례 제427호
1998-10-12
[32]
조례
북구 조례 제451호
1999-05-24
[33]
조례
북구 조례 제610호
2003-03-10
[34]
조례
북구 조례 제908호 행정운영동의설치및동장정수조례
2009-05-11
[35]
조례
북구 조례 제978호 행정운영 동의 설치 및 동장 정수 조례
2011-06-10
[36]
뉴스
경북도 새 청사 이전 마무리
https://news.v.daum.[...]
연합뉴스
2016-02-19
[37]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rcps.egov.go.[...]
행정자치부
2016-03-22
[38]
간행물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