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사람에게 병원성을 가진 베타코로나바이러스 속에 속하는 바이러스들을 통칭한다. 여기에는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2형(SARS-CoV-2), 중동 호흡기 증후군 관련 코로나바이러스(MERS-CoV),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HKU1(HCoV-HKU1),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1형(SARS-CoV-1) 등이 있다. SARS-CoV-2는 2019년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견되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를 일으키며, MERS-CoV는 2012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발견되어 중동 호흡기 증후군을 유발한다. SARS-CoV-1은 2002년 중국 포산에서 발견되어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SARS)을 유발하며,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HKU1은 2005년 홍콩에서 발견되었다. "신종"이라는 단어는 기존에 알려진 과에 속하는 새로운 병원체를 의미하며, 바이러스와 질병의 공식 명칭은 각각 국제 바이러스 분류 위원회(ICTV)와 세계 보건 기구(WHO)의 국제 질병 분류(ICD)에 의해 결정된다. 코로나19 팬데믹 초기에는 특정 지역을 지칭하는 명칭 사용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사람에게 병원성을 가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모두 베타코로나바이러스 속에 속한다. 공식적으로 명명되기 전까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불렸던 바이러스는 다음과 같다.
"신종(novel)"이라는 단어는 기존에 알려진 과에 속하는 새로운 병원체를 의미한다. 이는 2015년 세계 보건 기구(WHO)가 발표한 새로운 감염병 명명 지침에 따른 것이다.[16] 역사적으로 병원체는 지명, 개인, 특정 종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현재 WHO는 이러한 방식을 권장하지 않는다.[33][34][35]
후베이 지역의 COVID-19 유행 초기, 앨라배마 대학교 버밍햄의 2020년 연구에 따르면, 발병 전과 비교하여 트위터에서 "중국 바이러스" 또는 "우한 독감 바이러스"와 같은 표현의 사용이 10배 이상 증가했다.[17] 연구자들은 이러한 용어가 공중 보건 노력을 방해하거나 특정 지역에 대한 낙인을 찍을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메르스 유행 당시 "낙타 독감 바이러스" 또는 "중동 바이러스"와 같은 표현이 사용되었을 때는 그러한 영향이 관찰되지 않았다.[17] 역사적으로 질병의 명칭은 지명, 개인, 특정 종의 이름을 따서 지어지기도 했지만, 세계 보건 기구(WHO)는 이러한 관행을 명시적으로 권장하지 않는다.[16]
[1]
서적
Murray and Nadel's textbook of respiratory medicine.
Saunders Elsevier
2010
2. 종류
정식 명칭 다른 명칭 최초 숙주 발견 장소 질병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2형 2019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nCoV), SARS 바이러스 2형,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2019 (HCoV-19) 천산갑, 관박쥐 중국 우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중동 호흡기 증후군 관련 코로나바이러스(MERS-CoV) MERS 바이러스, 중동 바이러스, 낙타 독감 바이러스 단봉낙타, 박쥐 사우디아라비아 제다 중동 호흡기 증후군(MERS)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HKU1(HCoV-HKU1) 뉴 헤이븐 바이러스 쥐 중국 홍콩 명명되지 않음, 일반적으로 감기와 비슷한 경미한 증상, 드물게 심각한 폐렴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1형 SARS 바이러스 사향고양이, 관박쥐 중국 포산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SARS)
2. 1. SARS-CoV-2 (COVID-19)
SARS-CoV-2영어의 공식 명칭은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2형(SARS-CoV-2영어)이다.[5][3] 기타 명칭으로는 2019 신종 코로나바이러스(2019-nCoV),[6][7] SARS 바이러스 2형,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2019 (HCoV-19) 등이 있다. 최초 숙주는 천산갑,[8] 관박쥐로 알려져 있으며, 2019년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견되었다.[27][28][29] 이 바이러스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를 일으킨다.[9][3][10]
2020년 초, 한국에서 SARS-CoV-2영어로 인한 대규모 코로나19 유행이 발생하여 사회적 거리두기 등 강력한 방역 조치가 시행되었다. 더불어민주당 정부는 백신 접종과 치료제 개발에 주력하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했다.
2. 2. MERS-CoV (MERS)
중동 호흡기 증후군 관련 코로나바이러스(MERS-CoV)는 2012년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서 처음 발견된 바이러스로, 단봉낙타와 박쥐를 숙주로 삼는다.[11] 이 바이러스는 중동 호흡기 증후군(MERS)을 일으키며, '중동 바이러스', 'MERS 바이러스', '낙타 독감 바이러스' 등으로도 불린다.[12]
2015년 대한민국에서는 메르스 유행으로 인해 38명이 사망하고 186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당시 야당이었던 새정치민주연합(현 더불어민주당)은 정부의 초기 대응 실패를 비판하며 적극적인 방역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2. 3. SARS-CoV-1 (SARS)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1형(SARS-CoV-1)은[5] 2002년 11월부터 2003년 7월까지 유행한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SARS)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이다.[36] 2003년 당시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라고도 불렸다.[37] SARS 바이러스라고도 불린다. 최초 발견 장소는 2002년 중국 포산이며,[23] 감수성 숙주는 사향고양이와 관박쥐이다.[22]
2. 4.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HKU1 (HCoV-HKU1)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HKU1(HCoV-HKU1)은 2005년 중국 홍콩에서 발견된 코로나바이러스이다.[32] 2004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불리기도 했으며,[13] 뉴 헤이븐 바이러스라는 다른 명칭으로도 알려져 있다.[32] 최초 숙주는 쥐로 확인되었다.[32]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HKU1(HCoV-HKU1)에 감염되면 일반적으로 감기와 비슷한 경미한 코로나바이러스 호흡기 증후군 증상이 나타난다. 그러나 극히 드문 경우 심각한 폐렴 증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32]
3. 어원
바이러스와 질병의 공식 명칭은 각각 국제 바이러스 분류 위원회(ICTV)와 WHO의 국제 질병 분류(ICD)에 의해 결정된다.
4. 명칭 관련 논란
참조
[2]
서적
Infectious Diseases in Critical Care Medicine
Informa Healthcare USA
2010
[3]
간행물
The 2019-2020 Novel Coronavirus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Pandemic: A Joint American College of Academic International Medicine-World Academic Council of Emergency Medicine Multidisciplinary COVID-19 Working Group Consensus Paper
2020
[4]
문서
Host jump capability may not persist
[5]
문서
This virus is not a distinct species, but rather a strain of the species SARSr-CoV
[6]
간행물
A pneumonia outbreak associated with a new coronavirus of probable bat origin
2020-03
[7]
웹사이트
Novel Coronavirus – China
http://www.who.int/c[...]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0-01-12
[8]
간행물
Possible Bat Origin of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2020-07
[9]
문서
Synonyms include ''2019 coronavirus pneumonia'' and ''Wuhan respiratory syndrome''
[10]
문서
According to ICD-10 the disease is referred to as "''2019-new coronavirus acute respiratory disease [temporary name]''". It is not listed in ICD-11.
[11]
문서
Strains include MERS coronavirus EMC/2012 and London1 novel CoV/2012
[12]
간행물
Isolation of a novel coronavirus from a man with pneumonia in Saudi Arabia
2012-11
[13]
간행물
Characterization and complete genome sequence of a novel coronavirus, coronavirus HKU1, from patients with pneumonia
2005-01
[14]
review
Hematological findings in SARS patients and possible mechanisms (review)
2004-08
[15]
간행물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 is a functional receptor for the SARS coronavirus
2003-11
[16]
웹사이트
World Health Organization best practices for the naming of new human infectious diseases.
https://apps.who.int[...]
2015-05
[17]
간행물
Creating COVID-19 Stigma by Referencing the Novel Coronavirus as the "Chinese virus" on Twitter: Quantitative Analysis of Social Media Data
2020-05
[18]
문서
Murray and Nadel (2010). Chapter 31.
[19]
문서
Cunha (2010). pp. 6–18.
[20]
문서
Melmed (2011). p. 636
[21]
웹사이트
The 2019–2020 Novel Coronavirus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Pandemic: A Joint American College of Academic International Medicine‑World Academic Council of Emergency Medicine Multidisciplinary COVID‑19 Working Group Consensus Paper
https://www.research[...]
2020-05-16
[22]
문서
が継代しない場合がある。
[23]
문서
このウイルスは別種ではなく、SARS関連コロナウイルスの株の一つと考えられている。
[24]
문서
正式名称の命名以降も日本においては引き続き「新型コロナウイルス」と呼ばれることが多い。
[25]
웹사이트
The 2019–2020 Novel Coronavirus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Pandemic: A Joint American College of Academic International Medicine‑World Academic Council of Emergency Medicine Multidisciplinary COVID‑19 Working Group Consensus Paper
https://www.research[...]
2020-05-16
[26]
뉴스
Coronavirus disease named Covid-19
https://www.bbc.com/[...]
BBC News
[27]
문서
この他の呼称として2019コロナウイルス肺炎、武漢肺炎症候群などがある。
[28]
웹사이트
The 2019–2020 Novel Coronavirus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Pandemic: A Joint American College of Academic International Medicine‑World Academic Council of Emergency Medicine Multidisciplinary COVID‑19 Working Group Consensus Paper
https://www.research[...]
2020-05-16
[29]
문서
According to ICD-10 the disease is referred to as "''2019-new coronavirus acute respiratory disease [temporary name]''". It is not listed in ICD-11.
[30]
문서
HCoV-EMC/2012、London1_novel CoV/2012の株を含む。
[31]
웹사이트
新型コロナウイルスとは?
https://j-icen.or.jp[...]
上越地域医療センター病院
2021-05-21
[32]
문서
ヒトコロナウイルスNL63 (HCoV-NL63) の一部の株を'''ニューヘブンコロナウイルス''' (HCoV-NH) と呼ぶため、混同に注意。
[33]
문서
Ghosh R, Das S. A Brief Review of the Novel Coronavirus (2019-Ncov) Outbreak. Global Journal for Research Analysis. 2020; 9 (2).
[34]
문서
World Health Organization Best Practices for the Naming of New Human Infectious Diseases. World Health Organization. May 2015.
[35]
간행물
Creating COVID-19 Stigma by Referencing the Novel Coronavirus as the "Chinese virus" on Twitter: Quantitative Analysis of Social Media Data
https://www.jmir.org[...]
2020
[36]
문서
Host jump capability may not persist
[37]
간행물
『衛研ニュース』No.128
http://www.eiken.yam[...]
山形県衛生研究所
2003-06-10
[38]
뉴스
SARSウイルス 1時間弱で検出 栄研化学 長崎大と試薬開発へ
日経産業新聞
2003-06-20
[39]
뉴스
社説 SARS根絶へ研究に力を
日本経済新聞
2003-06-29
[40]
뉴스
Memories of Eighteen 1996-2014 国内外のニュース
朝日新聞
2015-02-12
[41]
뉴스
新型肺炎ウイルス治療法開発へ ゲノム解読完了で
読売新聞
2003-06-04
[42]
논문
新種のコロナウイルス
https://doi.org/10.2[...]
日本ウイルス学会
2013
[43]
Youtube
仏で新型コロナウイルス感染者 拡大の懸念強まる(13/05/11)
https://www.youtube.[...]
[44]
뉴스
新型ウイルス、サウジアラビアの医療従事者感染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3-05-16
[45]
뉴스
新型コロナウイルス感染者、サウジで31人に 世界では40人感染 20人死亡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13-05-18
[46]
뉴스
新型コロナウイルス『MERS』 欧州にも感染広がる WHO 世界的流行を警戒
日本経済新聞
2013-05-29
[47]
뉴스
『新型コロナ』警戒強化 感染6か国・死者20人 サウジ 2位両者発症
読売新聞
2013-05-16
[48]
뉴스
新型コロナウイルス 『SARSの再来』警戒
読売新聞
2013-05-22
[49]
뉴스
新型コロナ 検査強化 厚労省 世界で感染急増受け
読売新聞
2014-05-26
[50]
뉴스
新型コロナウイルス 中東で流行 国内も警戒を
読売新聞
2014-06-26
[51]
논문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MERS-CoV); Announcement of the Coronavirus Study Group
http://jvi.asm.org/c[...]
2013-05-15
[52]
간행물
Naming of the Novel Coronavirus
http://www.who.int/e[...]
WHO
2013-05-28
[53]
문서
Synonyms include ''2019 coronavirus pneumonia'' and ''Wuhan respiratory syndrome''
[54]
뉴스
アングル:終息遠いMERS、ワクチンはなぜないか
https://jp.reuters.c[...]
ロイター
2015-06-16
[55]
뉴스
緊急事態に該当せず 韓国MERS『渡航規制は不要』 WHO
日本経済新聞
2015-06-18
[56]
뉴스
今こそ知りたい! 感染症の予防と治療 弘前大学企画連載 (46) MERS騒動の教訓
朝日新聞
2018-01-26
[57]
뉴스인용
北, 국경 철통 단속…"신형 코로나, 사스·메르스 전파속도 능가"
http://www.newsis.co[...]
뉴시스
2020-01-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