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단봉낙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봉낙타는 낙타속에 속하는 동물로, 혹이 하나인 것이 특징이며, 아라비아낙타라고도 불린다. 고대 프랑스어에서 유래된 '드로메더리'라는 단어로도 불리며, 쌍봉낙타와 구별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낙타속의 동물들을 단봉낙타와 쌍봉낙타로 분류했으며, 칼 폰 린네는 1758년 단봉낙타의 학명을 부여했다. 단봉낙타는 유전적으로 쌍봉낙타와 유사하며, 교잡을 통해 잡종을 만들기도 한다.

단봉낙타는 북아메리카에서 기원하여 서아시아와 북아프리카로 이동했으며, 서아시아의 고온 건조한 기후에 적합하도록 진화했다. 초식동물로, 사막 식물을 주로 먹으며, 수분 절약과 체온 조절 능력이 뛰어나다. 주로 낮에 활동하며, 번식은 1년에 한 번 이루어진다.

단봉낙타는 가축으로 널리 이용되며, 승용, 운송, 유제품, 육류, 섬유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건조 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특히 아프리카의 뿔 지역에 많은 개체수가 서식한다. 단봉낙타는 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MERS-CoV)의 매개 동물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타르의 포유류 - 아라비아오릭스
    밝은 흰색 털과 검은 줄무늬, 길고 곧은 뿔을 가진 아라비아오릭스는 중동 지역에 서식했으나 사냥으로 멸종 위기에 놓였고, 현재 오만, 사우디아라비아 등에 재도입되어 사막 지역에서 풀과 허브를 먹으며 2~15마리 무리를 지어 서식한다.
  • 쿠웨이트의 포유류 - 사막고슴도치
    사막고슴도치는 몸을 둥글게 말고 가시털을 세워 자신을 보호하며, 건조한 사막에 서식하고,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 감소 위협을 받아 보전 노력이 필요한 고슴도치의 일종이다.
  • 아랍에미리트의 포유류 - 아라비아오릭스
    밝은 흰색 털과 검은 줄무늬, 길고 곧은 뿔을 가진 아라비아오릭스는 중동 지역에 서식했으나 사냥으로 멸종 위기에 놓였고, 현재 오만, 사우디아라비아 등에 재도입되어 사막 지역에서 풀과 허브를 먹으며 2~15마리 무리를 지어 서식한다.
  • 아랍에미리트의 포유류 - 아라비아타르
    오만과 아랍에미리트의 하자르 산맥에 서식하는 염소과 포유류인 아라비아타르는 1894년 처음 기술되었고 2005년 별도의 속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 과도한 방목, 밀렵, 서식지 파괴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다.
단봉낙타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집트 시나이반도의 와디에 있는 단봉낙타
이집트 시나이반도의 와디에 있는 단봉낙타
학명Camelus dromedarius
명명자칼 폰 린네, 1758년
상태가축화
다른 이름단봉 낙타
아라비아 낙타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경우제목
아목낙타아목
상과낙타상과
낙타과
낙타속
형태
높이 (어깨)1.8 ~ 2.4 m
몸높이1.7 ~ 1.9 m
몸무게 (수컷)400 ~ 690 kg
몸무게 (암컷)300 ~ 540 kg
혹 높이20 cm
분포
단봉낙타 분포도
2000년 단봉낙타의 분포 범위
서식지북아프리카, 중동, 인도 아대륙
학명 이명
목록C. aegyptiacus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루돌프 콜레나티, 1847
C. africanus 글로거, 1841
C. arabicus 샤를 데물랭, 1823
C. dromas 페터 시몬 팔라스, 1811
C. dromos Kerr, 1792
C. ferus Falk, 1786
C. lukius Kolenati, 1847
C. polytrichus Kolenati, 1847
C. turcomanichus 요한 피셔 폰 발트하임, 1829
C. vulgaris Kolenati, 1847

2. 어원

단봉낙타를 일컫는 영단어 '''드로메더리'''(Dromedary)는 고대 프랑스어 단어 'dromedaire' 또는 후기 라틴어 단어 'dromedarius'에서 따온 것으로 보이며, 이 단어들은 모두 '달리는', '달리는 것'을 뜻하는 그리스어 단어 δρομάς|드로마스el가 어원이다.[154][155] 그리스에서는 이 낙타를 가리켜 δρομάς κάμηλος|드로마스 카멜로스el(δρομάς κάμηλος|달리는 낙타el)라고 일컬었다.[154][156] 영어로 'Dromedary'라는 단어가 사용된 기록은 14세기에 처음 남아 있다.[157] 아라비아 반도가 원생지로 유력한 데에서 비롯되어 '''아라비아낙타'''(Arabian Camel)로 불리기도 한다.[158] 중국·대한민국에서는 쌍봉낙타와 대비하여 혹이 하나뿐이라고 하여 단봉(單峰한국어)이라고 일컫는다. 일본에서도 혹이 하나뿐이라고 하는 점을 명하는 것은 같으나, 중국·대한민국과는 다르게 일류(一瘤|히토코부일본어)라고 일컫는다.

한편 낙타를 뜻하는 '''캐멀'''(Camel)이라는 명칭은 박트리아낙타라고도 하는 쌍봉낙타야생쌍봉낙타까지 아우르는 말로, 이것은 라틴어 단어 Camelus|카멜루스la 또는 그리스어 단어 κάμηλος|카멜로스grc,[159] 또는 셈어파에 속하는 언어들의 단어, 예컨대 히브리어의 גמל|가말he 또는 아랍어의 جمل|가말ar에서 비롯되었다고 추정된다.[160] 한자로 낙타(駱駝한국어)라고 하는 것의 어원은 확실하지 않으며, 낙타를 뜻하는 낙타 낙(駱한국어)과 낙타 타(駝한국어)는 모두 말마변을 부수로 하는 형성자이다. 타마(駝馬한국어) 혹은 탁타(驝駝한국어)라고도 부르며, 옛말로 '약대'라고도 한다.[161]

3. 분류

단봉낙타는 쌍봉낙타(학명: ''C. bactrianus'')와 야생쌍봉낙타(학명: ''C. ferus'')와 같은 낙타속에 속하며, 더 나아가서는 라마, 알파카, 과나코, 비쿠냐와 같은 낙타과에 속한다.[163][164] 기원전 4세기 고대 그리스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가 처음으로 낙타속의 동물들을 기재하였고, 그의 저서인 《동물지》에 단봉낙타와 쌍봉낙타의 이름이 실려 있다.[165][166] 현재 쓰이는 단봉낙타의 학명은 스웨덴의 생물학자 칼 폰 린네가 1758년 부여한 것이며, 그의 저서인 《자연의 체계》 제10편에 실려 있다.[167]

1927년, 영국의 수의학자 아널드 리스는 단봉낙타의 기본 습성에 따라 개체군을 분류했다. 그는 단봉낙타들을 몸집이 작은 대신 근육질이어서 짐낙타로 유용한 언덕낙타와, 소량의 짐을 운반하거나 사람을 태우기에 좋은 사막형, 그리고 많은 짐을 옮길 수 있는 강변형으로 세분화되는 초원낙타로 나누었으며, 이 두 유형 사이 중간 정도 되는 특징을 보유한 낙타도 있다고 하였다.[168]

2007년 중국과학원 소속의 펑춰이와 동료 과학자들이 낙타족(단봉낙타·쌍봉낙타·야생쌍봉낙타[169])과 라마족(라마·알파카·과나코·비쿠냐) 사이의 진화와 관련된 연구를 진행했는데, 그 결과 두 족이 초기 마이오세인 2,500만 년 전에서부터 서로 갈라져 나왔다는 사실을 확인했으며, 이 결과는 기존에 북아메리카의 화석 자료를 통해 추정되었었던 연대보다 앞서 있었다.[162]

단봉낙타와 쌍봉낙타는 이따금 교잡하여 잡종을 만들어내기도 하는데, 두 종의 접촉이 자주 이루어지는 인도파키스탄 북부 펀자브, 이란, 아프가니스탄에서는 잡종의 발현형질에서 다른 점을 찾아보기 힘들다. 잡종 낙타도 생식이 가능하다는 것을 들어 두 종을 두 개의 다른 특징을 지닌 한 종으로 합쳐야 한다는 주장이 생겨났지만,[168] 1994년 두 종 사이의 유전적 관계를 검토한 결과 미토콘드리아의 시토크롬b 유전자가 10.3%의 몹시 저조한 일치율을 보이면서 부정되었다.[170]

4. 유전 정보 및 잡종

단봉낙타는 다른 낙타들처럼 74개, 즉 37쌍의 이배성 염색체를 지니고 있으며, 상염색체는 5쌍의 중부동원체와 아중부동원체를 가지고 있다.[171] X 염색체는 그 가운데에서 가장 크기가 크며,[172] 말단 동원체는 31쌍이다.[171] 이런 특성으로 볼 때 단봉낙타의 핵형에서 쌍봉낙타와 매우 유사한 점을 찾아볼 수 있다.[173]

단봉낙타와 쌍봉낙타 사이 인위적인 교잡이 처음 이루어졌던 것은 기원전 1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74] 수천 년 동안 단봉낙타와 쌍봉낙타는 두 종이 모두 서식하는 지역에서 성공리에 잡종을 만들어냈으며, 그렇게 교잡된 낙타들은 간혹 원종들보다 긴 혹이 생기거나, 혹 두 개 중 하나가 작고 하나가 큰 모습을 갖고는 했다. 잡종 낙타는 원종보다 크기가 크고 순발력이 더 강했기 때문에 짐을 운반하는 일에는 두 종보다 절등히 뛰어났다.[172][174] 1대 잡종 암컷 낙타와 수컷 쌍봉낙타 간에도 잡종이 생길 수 있었지만, 그 외의 다른 배합으로 생긴 잡종들은 거의 다 허약하거나 체구가 기형적으로 왜소했다.[175]

단봉낙타는 쌍봉낙타 (''C. bactrianus'')와 야생 쌍봉낙타 (''C. ferus'')와 함께 ''낙타속'' (Camelus)에 속한다. 단봉낙타는 낙타과 (Camelidae)에 속한다.[1][12]

단봉낙타와 쌍봉낙타는 종종 교배하여 번식 가능한 새끼를 낳는다. 북부 펀자브, 페르시아, 아프가니스탄과 같이 이 종의 분포가 겹치는 지역에서는 광범위한 교배의 결과로 인해 표현형의 차이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이들의 잡종의 번식력은 단봉낙타와 쌍봉낙타를 두 변종을 가진 단일 종으로 합쳐야 한다는 추측을 낳았다.[16] 그러나 1994년 미토콘드리아사이토크롬 b 유전자에 대한 분석 결과, 이 종들은 염기서열에서 10.3%의 차이를 보였다.[17]

단봉낙타는 다른 낙타과 동물과 마찬가지로 74개의 2배체 염색체를 가지고 있다. 상염색체는 작거나 중간 크기의 5쌍의 중심동원체와 부중심동원체로 구성된다.[18] X 염색체는 중심동원체 및 부중심동원체 그룹에서 가장 크다.[32] 31쌍의 말단동원체가 있다.[18] 단봉낙타의 핵형은 박트리아 낙타의 핵형과 유사하다.[19]

낙타 잡종화는 기원전 1000년경부터 시작되었다.[20] 약 1000년 동안 박트리아 낙타와 단봉낙타는 동소적 분포 지역에서 성공적으로 교배되어 길고 약간 한쪽으로 치우친 혹 또는 작은 혹과 큰 혹 두 개를 가진 잡종을 형성했다. 이러한 잡종은 부모보다 크고 강하며 더 큰 짐을 실을 수 있다.[32][20] 1세대 암컷 잡종과 수컷 박트리아 낙타 사이의 교배에서도 잡종이 생길 수 있다. 다른 조합의 잡종은 성질이 고약하거나 왜소종이 되는 경향이 있다.[21]

쌍봉낙타와의 사이에 번식력이 있는 잡종이 생긴다. 잡종의 혹은 하나이며, 어느 종보다도 체격이 우월하다.

5. 진화

지금은 절멸한 프로틸로푸스(''Protylopus'')라는 토끼만한 원시 낙타는 에오세 말기에 북아메리카에서 출현했으며, 시대를 통틀어 낙타 중에서 가장 몸집이 작았다.[176] 플리오세와 플라이스토세를 넘겨가면서 여러 포유류들이 멸종했지만 오히려 이 시기에 낙타는 베링 해협을 건너 유라시아 대륙으로 넘어왔고, 최종적으로는 서아시아북아프리카에 정착했다.[177][178] 플라이스토세에는 단봉낙타의 조상종이 중동과 북아프리카에서 나타났다.[179]

현대 단봉낙타들은 서아시아의 고온 건조한 기후에 적합하도록 쌍봉낙타에서 진화한 것으로 보이며, 다시 말해 초기 구대륙 낙타들과 유전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178] 기원전 8,200년 전으로 추정되는 단봉낙타의 턱뼈가 사우디아라비아홍해 남해안 방면에서 발견된 적도 있다.[180]

1975년 컬럼비아 대학교의 리처드 불리엣 교수는 쌍봉낙타가 사라진 지역들에는 현재 많은 단봉낙타가 살고 있으며, 역으로 단봉낙타가 살고 있는 지역에 많은 쌍봉낙타가 자취를 감췄다고 서술했다. 불리엣은 이와 같은 대체 현상이 일어난 까닭으로 그 지역에서 활발히 활동하던 아랍 상인들에게 낙타 고기, 모피와 낙타유의 의존도가 높아진 것을 꼽았다.[181]

6. 특징

이 낙타는 두껍고 이중으로 된 속눈썹과 숱이 많은 눈썹을 가지고 있다. (알제리)


단봉낙타는 길고 굽은 목, 하나의 혹, 그리고 목, 어깨, 혹에 긴 털을 가지고 있다.


단봉낙타는 초식동물 중에서는 중대형에 속하며 쌍봉낙타보다 작으나 낙타과 안에서는 큰 편이다. 다 자란 수컷 단봉낙타의 어깨높이는 180cm~200cm, 암컷은 170cm~190cm 정도이다. 몸무게는 수컷이 400kg~600kg, 암컷이 300kg~540kg 정도로 수컷이 암컷보다 약간 더 큰 성적 이형성을 갖는다. 길다랗게 굴곡진 목과 좁은 흉부, 등 위로 불룩하게 봉우리진 혹 하나, 두꺼운 쌍꺼풀과 빽빽한 속눈썹은 눈에 가장 띄는 외형적 특징이다.[172] 감각 중에서는 시각이 날카롭고 후각 역시 탁월하다.[158] 수컷의 부드러운 입천장은 18cm 정도로 길며, 부풀리면 분홍빛 기낭이 만들어진다. 구강 구조상 와도 자주 혼동되는 이 입천장은 입 한쪽에 대롱대롱 달려 있으며, 번식기에 암컷들을 유혹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182]

모피는 보통 탁한 갈색으로, 개체마다 검은색에서부터 거의 흰색에 가까운 수준까지 다양한 색깔을 가진다.[172] 아널드 리스는 부분백색증을 앓는 낙타들이 수단쿠르두판다르푸르에 다소 있다고 보고했다.[183] 갈기는 목, 어깨, 혹 테두리에 집중적으로 돋아나 있다. 커다란 눈은 눈구멍 위쪽 뼈가 융기되어 보호해 주고 있으며, 귀는 작고 둥글다. 혹은 작아도 높이 20cm가 넘는다.[172] 단봉낙타의 다리는 길고 튼튼하며 발끝에는 발가락이 두 개가 붙어 있다. 발바닥 거죽은 납작하고 두꺼운 가죽질로 되어 있다.[184] 걸을 때에는 한쪽에 몰린 두 다리를 동시에 내딛는데, 이 걸음걸이는 기린을 닮았다.[185]

쌍봉낙타와 비교했을 때 몸무게가 가볍고 늘씬하며 다리 길이가 길고 털이 적다. 입천장은 쌍봉낙타보다 더 딱딱하며, 벌집뼈 근처 균열이 희미하거나 아예 없다.[186] 라마와 비교했을 때 단봉낙타는 혹의 존재 말고도 상대적으로 더 긴 꼬리, 작은 귀, 네모진 발바닥, 큰 몸집 등으로 쉽게 구별 가능하다. 젖꼭지는 라마와 과나코와는 달리 2개가 아니라 4개이다.[172] 수컷은 부드러운 구개를 가지고 있지만, 번식기에는 이것을 부풀려 아랍어로 '두라'(doula)라고 불리는 깊은 분홍색 주머니를 만들어 입 양쪽에 늘어뜨려 암컷을 유인하려 한다.

임신 기간은 12개월 정도이며 보통 한 마리의 새끼를 낳고, 18개월까지 젖을 먹인다. 암컷은 3~4년, 수컷은 5~6년에 성적으로 성숙한다. 사육 상태에서는 25년 정도 사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50세까지 사는 경우도 있다. 성체의 몸길이는 350cm, 어깨 높이는 180cm~240cm이며, 체중은 450kg~680kg 정도이다. 쌍봉낙타와 번식력이 있는 잡종을 만들 수 있으며, 이 잡종은 혹이 하나이고 체격이 우월하다. 최근에는 라마와의 사이에 카마라는 잡종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6. 1. 해부

단봉낙타의 심장 표본


두개골의 두드러지는 특징은 광대뼈이마뼈 및 그 연결뼈, 해면질로 가득 찬 고실포(鼓室胞), 두개골 이음매 부분의 금을 따라 잘 발달된 시상능(矢狀稜)이라 불리는 돌기, 길쭉한 얼굴과 들쑥날쑥한 코뼈이다.[187] 가슴에는 장기를 감싸는 8쌍의 복장뼈와 4쌍의 다른 갈비뼈가 있으며,[183] 길쭉한 척추는 거의 214cm에 달한다. 척추가 끝나는 곳에는 2·3번째 엉치뼈가 자리 잡고 있으며,[188] 종아리뼈는 복사뼈로 들어가 있다. 지행성(趾行性) 동물로, 골격으로 볼 때 두 발가락 마디만을 땅에 딛고 걸으며, 다른 동물들에게 두 번째와 다섯 번째에 해당하는 발가락이 없다.[189] 앞발은 좌우로 잰 너비가 19cm이고 앞뒤로 잰 길이가 18cm이며, 뒷발은 너비 17cm에 길이 16cm이다.[184]

단봉낙타의 두개골


단봉낙타의 유치는 22개이며 자랄수록 영구치 34개가 올라와 그 자리를 대신한다. 영구치가 다 돋아난 상태에서 치열은 1.1.3.3/3.1.2.3, 아직 유치일 경우에는 1.1.3/3.1.2이다.[190] 아직 성숙하지 못한 낙타는 하단에 처음 나는 어금니부터 12~15개월이면 돋아나고 영구치 송곳니는 4~6년이 되어야 자라며, 모든 치아는 생후 8년이 되면 전부 쓸 수 있게 된다.[191] 또한 수정체 속에는 크리스털린(crystallin)이라는 단백질을 찾을 수 있으며, 이 단백질은 안구 속의 단백질 8~13%를 차지한다.[192]

피부는 검은색이고, 그 상피는 두께가 0.038mm~0.064mm이며 진피는 2.2mm~4.7mm이다.[193] 솟아오른 혹은 지방질로, 결합 조직이 혹 속의 지방을 얽어매서 지탱한다.[172] 얼굴 부분에는 아무런 도 없지만, 수컷은 아포크린땀샘이 변형된 큰 샘을 목 가운데에 가지고 있어 발정기에 액체가 찬다. 이 샘은 발정기를 거쳐가며 더욱 팽창하고 무거워지며, 그 무게가 20g~115g 정도 나간다.[194] 몸을 뒤덮고 있는 털은 저마다 입모근, 모낭, 피지선, 땀샘이 딸려붙어 있다.[182][195] 암컷은 원뿔 모양 젖샘을 가지고 있으며, 길이는 2.4cm, 직경 1.5cm인데[196] 탈수 상태일 때에도 수분을 90% 함유한 낙타젖을 만들 수 있다.[172]

단봉낙타의 콩팥 표본


5kg에 달하는 심장심실이 두 개로 끝이 왼쪽으로 구부러지는 모습을 하고 있으며, 심박수는 1분당 50회이다.[197] 특이하게도 단봉낙타는 유일하게 타원형 적혈구를 가진 포유류로,[198] 혈액의 수소 이온 농도는 7.1~7.6으로 약염기성을 띠고 있다. 수화 작용의 상태와 성별, 연령 등이 모두 혈액 수치에 영향을 줄 수 있다.[199] 폐에는 폐엽이라고 부를 만한 부위가 없으며,[183] 탈수 증상을 보이면 시간당 호흡 횟수는 적어진다.[200] 콩팥은 한 번에 총량 858cm3의 소변을 농축시킬 수 있고, 소변은 염소의 농도가 매우 높다. 처럼 쓸개가 보이지 않으며, 보라색을 띠는 비장은 무게가 500g 이하이다.[198] 세모꼴의 은 네 개의 방으로 이루어져 있고 무게가 6.5kg이며 60cm×42cm×18cm의 공간을 차지한다.[172]

암컷이 가지고 있는 난소는 붉은색을 띠며 모양새는 둥글납작하다.[201] 난소는 원뿔 모양으로 된 점액주머니가 감싸고 있는데 발정기가 아닐 때에는 4cm×2.5cm×0.5cm의 공간을 차지하며, 난관(卵管)의 길이는 25cm~28cm이다. 의 길이는 3cm~3.5cm로 근처에 잘 발달된 큰질어귀샘이 자리하고 있다.[177] 또한 3cm~5cm 깊이의 음문과 음핵,[190] 넓게 퍼진 태반과 초승달처럼 굽은 융모막(絨毛膜)을 가지고 있다.[202]

수컷에게 달려 있는 음경은 바깥에서 뒤집을 수 있는 세모꼴 포피로 둘러싸이며 길이는 60cm 정도 된다.[203] 음낭회음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며 두 개의 고환은 각기 다른 주머니에 담겨 있다. 고환 길이는 7cm~10cm이며 깊이는 4.5cm, 너비는 5cm인데, 대체적으로 오른쪽 고환이 왼쪽 것보다 더 작은 경우가 많다. 한쪽 고환의 질량은 140g 정도이며 발정기에 들어가면 그 질량이 165g~253g으로 증가한다.[172] 흰색을 띠는 마름모꼴의 망울요도샘에는 정낭이 없으며, 전립선은 원반 모양처럼 생겼고 누런빛을 띠는데, 2개의 으로 이루어져 있다.[203]

6. 2. 건강과 질병

단봉낙타는 염소에 비해 건강한 편으로 질병에 잘 걸리지 않는다.[204] 건강한 단봉낙타는 하루 동안 체온 변화를 보이는데, 새벽에 체온이 가장 낮고 해 질 녘까지 서서히 올라갔다가 밤사이에 떨어진다.[205] 흥분한 낙타는 부주의하게 다루면 구토를 할 수 있는데, 발정기의 수컷 낙타에게도 흔히 나타나는 증상이다.[168]

단봉낙타는 체체파리가 옮기는 기생충에 의해 감염되는 트리파노소마증에 취약하다. , 빈혈, 허약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낙타에게 매우 치명적이다.[206] 브루셀라증 또한 주요 질환인데, 소규모 사육 환경에서는 발병률이 2-5%로 낮지만, 대량 사육 환경에서는 8-15%로 높게 나타난다. 브루셀라증은 브루셀라 아보르투스( ''Brucella abortus'')와 브루셀라 멜리텐시스(''B. melitensis'')라는 두 종류의 프로테오박테리아에 의해 발생한다.[207] 그 외에도 흡충, 촌충, 선형동물류에 감염될 수 있으며, 옴진드기목에 속하는 천공개선충(''Sarcoptes'')은 옴을 옮긴다.[172] 2000년 요르단에서 32마리의 낙타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26마리가 옴 양성 반응을 보였으며,[208] 다른 연구에서는 우역과 양역(羊疫)에 대한 자연 항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209]

2013년 이집트에서 실행된 혈청역학 연구에서는 단봉낙타가 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MERS-CoV)의 매개 동물일 수 있다는 추측이 처음으로 제기되었다.[211] 사우디아라비아에서 1년간 단봉낙타를 검사한 결과, 바이러스의 유전적 안정성과 높은 코로나바이러스 혈액감염 비율을 근거로 단봉낙타가 중동호흡기증후군의 유력한 숙주라는 것이 밝혀졌다. 이 연구에서 단봉낙타를 숙주로 삼은 MERS-CoV의 게놈 지도는 인간에게도 옮는 B계통 MERS-CoV와 99.9% 일치했다.[212] 사우디아라비아의 연구에서는 낙타의 90% 이상이 중동호흡기증후군을 일으키는 최소한의 발병 인자를 가지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213] 2015년 대한민국 중동호흡기증후군 유행 당시, 보건복지부는 낙타를 멀리하라는 예방법을 제시했으나 실효성이 없어 논란이 되기도 했다.[214]

벼룩진드기가 엉겨붙을 수도 있으며, 참진드기속(''Hyalomma'')에 속하는 진드기가 가장 많다. 이스라엘에서는 낙타 한 마리당 20-105마리의 진드기가 붙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해 근처 평야의 대추야자 농장에서 키우던 단봉낙타 아홉 마리에게 이버멕틴을 주사했지만, 참진드기속 진드기에는 효과가 없었다.[215] 양파리 구더기가 콧속에 꾀는 경우, 뇌탈출과 신경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그 외에도 고름증, 부상 부위의 코리네박테리아 및 연쇄상구균 감염, 파스퇴렐라균에 의한 호흡기 질환, 패혈증, 캐멀폭스(Camelpox)와 같은 종기 질환, 탄저병, 피부 괴사, 염분 결핍증 등이 낙타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172]

네게브에 있는 단봉낙타 무리, 이스라엘

7. 생태





단봉낙타는 주로 낮에 활동하는 주행성 동물이다. 20마리 안팎으로 무리를 지어 생활하는데, 대개 수컷 우두머리가 암컷들을 거느리는 형태이다. 때로는 수컷끼리만 무리를 짓거나 혼자 생활하기도 하고, 천재지변이 발생하면 수백 마리가 함께 이동하기도 한다.[172] 무리 내 수컷은 다른 수컷을 경계하며 텃세를 부린다. 호주에 사는 야생 단봉낙타는 50-150km2에 달하는 넓은 행동권을 가지며, 매년 수천 제곱킬로미터까지 넓어지기도 한다.[172]

단봉낙타는 상대방을 무는 척하거나 발을 구르는 행동으로 의사 표현을 한다. 태어난 곳을 기억하는 능력이 있으며, 암컷은 출산 장소를 기억하기도 한다.[172] 평소에는 온순하지만 발정기 수컷은 공격적으로 변하며, 안드로겐 분비량에 따라 행동이 달라진다. 1월에서 4월 사이 발정기에는 다루기 어려워지며, 입천장을 부풀리거나 소변을 뿌리는 등의 행동을 보인다.[218] 몸이 가려울 때는 뒷다리나 아랫송곳니로 긁거나 나무껍질에 비비기도 한다.[32]

야생 단봉낙타는 늑대, 사자,[216] 호랑이[184] 같은 대형 포식자의 습격을 받기도 한다.


7. 1. 먹이

초식동물인 단봉낙타는 키 작은 풀, 건초, 그리고 뾰족한 가시가 많은 사막 식물을 주로 먹는다.[219] 보통 관목과 묘목(47.5%)을 가장 좋아하고, 나무(29.9%), 풀(11.2%), 덩굴식물(11%), 지의류 등(0.2%)도 먹는다.[220] 여름에는 덤불이나 관목을 식단의 70% 정도 먹다가 겨울에는 90%까지 먹는다. 풀 중에서는 새순과 수분이 많은 풀을 선호한다.[221]

사하라 사막에서는 332종의 사막 식물을 먹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우산아카시아나무(''Vachellia tortilis'')·기장속 식물·여리고발삼(''Balanites aegyptiaca'') 등을 주로 먹는다.[184] 선인장·아카시아속·갯능쟁이속·수송나물속 식물도 먹을 수 있다. 호주인도에서는 우라드콩·루콜라·토끼풀 같은 다양한 초목을 먹는다.[221]

먹이를 먹을 때는 입술로 먹이를 휘어잡고 이빨 쪽으로 당기며, 가시가 많은 식물을 씹을 때는 입을 벌린 채 씹는다. 한 입 당 40-50번 씹는다. 긴 눈꺼풀과 속눈썹, 여닫을 수 있는 비강 등 덕분에 가시 식물을 먹을 때도 다치지 않는다.[219] 8-12시간 동안 풀과 관목을 뜯어먹고, 같은 시간 동안 되새김질을 한다.[172]

단봉낙타는 주로 잎을 먹는다.

8. 생명활동

수컷은 부드러운 구개를 가지고 있는데, 번식기에는 이것을 부풀려 아랍어로 '두라'(doula)라는 깊은 분홍색 주머니를 만들어 입 양쪽에 늘어뜨려 암컷을 유인한다. 단봉낙타는 짙은 속눈썹과 작고 털이 많은 눈을 가졌으며, 초식동물로 풀과 선인장을 먹는다.

임신 기간은 12개월 정도이다. 보통 한 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18개월까지 젖을 먹인다. 암컷은 3~4년, 수컷은 5~6년에 성적으로 성숙한다. 사육 상태에서는 25년 정도 사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50세까지 사는 경우도 있다.

성체의 몸길이는 350cm, 어깨 높이는 180cm~240cm까지 자란다. 체중은 보통 450kg~680kg 정도이다.

쌍봉낙타와 번식 능력이 있는 잡종이 생기는데, 이 잡종은 혹이 하나이며, 체격이 단봉낙타나 쌍봉낙타보다 더 좋다. 최근에는 라마와의 사이에 카마라는 잡종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8. 1. 적응

단봉낙타는 수분 절약 및 체온 조절 능력이 뛰어나 사막 생활에 완벽하게 적응했다. 긴 눈썹과 눈꺼풀은 사막의 모래바람과 태양광을 차단하고,[222] 콧구멍은 여닫을 수 있어 모래 먼지를 막고 수분 손실을 줄인다.[216] 땀을 적게 흘리고 체온을 30°C~40°C로 조절하여[172] 수분 섭취 없이 10-15일, 극한 환경에서도 4-7일간 버틸 수 있다. 하지만 물을 마실 때는 1분에 10L 에서 20L씩 빠르게 보충한다.[172] 혈관이 그물처럼 발달하여 뇌로 가는 피를 식혀 현기증을 예방한다.[223]

혹에는 최대 36kg의 지방을 저장하여 필요시 물과 에너지로 분해하고, 체열 방출을 돕는다.[224] 혹이 작을수록 굶어 죽을 확률이 높아지며, 혹 속 지방 조직의 부피는 먹이와 물 저장 방식과 관련 있다.[225] 배고플 때는 물고기, 사체, , 짠물도 섭취한다.[158] 넓고 두꺼운 발굽은 뜨거운 모래 위를 걷기에 적합하지만,[226] 습지에서는 잘 걷지 못한다.[172]

단봉낙타는 세 종류의 낙타 중 가장 크다. 다 자란 수컷은 어깨 높이 1.8m 에서 2.4m,[30][31] 암컷은 1.7m 에서 1.9m이다. 수컷은 400kg 에서 690kg,[31] 암컷은 300kg 에서 540kg이다. 특징은 길고 굽은 목, 좁은 가슴, 하나의 혹, 두꺼운 이중 속눈썹, 숱 많은 눈썹이다.[32] 시력과 후각이 뛰어나다.[27] 수컷은 18cm 길이의 부드러운 입천장(dulaa|아랍어ar)을 부풀려 암컷을 유인한다.[44]

털은 갈색이 일반적이지만 검은색, 흰색, 얼룩무늬증(코르도판, 다르푸르)도 있다.[32][132] 얼룩무늬는 KIT 유전자의 ''KITW1'' 대립 유전자 또는 다른 돌연변이 때문일 수 있다.[33] 털은 목, 어깨, 혹에 집중되어 길다. 큰 눈은 눈확능선으로 보호되고 귀는 작고 둥글다. 혹 높이는 최소 20cm이다.[32] 다리는 길고 발가락은 두 개이며, 발은 평평하고 가죽 같다.[69] 기린처럼 몸 한쪽 다리를 동시에 움직인다.[34]

박트리아 낙타와 비교하면 체형이 가볍고, 사지가 길며, 털이 짧고, 입천장이 단단하며, 사골 틈새가 작거나 없다.[35] ''Lama'' 속 낙타와는 달리 혹이 있고, 꼬리가 길며, 귀가 작고, 발이 네모나며, 어깨 높이가 높고, 젖꼭지가 4개이다.[32]

단봉낙타 두개골


머리뼈는 안와후궁, 해면질로 채워진 고실 불라, 잘 정의된 시상 능선, 긴 얼굴, 움푹 들어간 코뼈로 구성된다.[36] 흉골 갈비뼈 8쌍, 비흉골 갈비뼈 4쌍이 있다.[132] 척수는 214cm로, 두 번째와 세 번째 천추에서 끝난다.[37] 비골은 족근골로 축소된다. 지행성 동물로, 발가락이 없다.[38] 앞발은 19cm 너비, 18cm 길이, 뒷발은 17cm 너비, 16cm 길이이다.[69]

젖니는 22개, 영구치는 34개이다. 치아 공식은 영구치 , 유치 이다.[39] 아래 첫 어금니는 12-15개월, 영구 아래 앞니는 4.5-6.5세에 발달, 8세까지 모든 치아를 사용한다.[40]수정체에는 결정질이 포함(단백질의 8-13%)되어 있다.[41]

피부는 검은색, 표피는 0.038mm 에서 0.064mm, 진피는 2.2mm 에서 4.7mm 두께이다.[42] 혹은 섬유 조직으로 묶인 지방이다.[32] 얼굴에는 샘이 없고, 수컷은 발정 기간 동안 커피색 액체를 분비하는 아포크린 땀샘 변형 샘(20g 에서 115g)이 목 중앙선에 있다.[43] 각 털은 입모근, 털 주머니, 피지선, 땀샘과 관련되어 있다.[44][45] 암컷 유선은 원뿔 모양, 4개 방, 2.4cm 길이, 기저 직경 1.5cm이다.[46] 탈수 시에도 최대 90% 수분 함량 우유를 생산할 수 있다.[32]

심장은 5kg 무게, 팁이 왼쪽으로 굽은 두 심실을 가졌으며, 맥박수는 분당 50회이다.[47] 타원형 적혈구를 가진 유일한 포유류이다(탈수 시 혈류 촉진).[50] 혈액 pH는 7.1-7.6(약알칼리성)이며, 수분, 성별, 계절에 따라 혈액 수치가 변동한다.[48] 폐에는 엽이 없고,[132] 탈수 시 호흡률이 낮다.[49] 신장 용량은 858cm3이며, 높은 염소 농도의 소변을 생산한다. 말처럼 담낭이 없다. 회색빛 보라색, 초승달 모양 비장 무게는 500g 미만이다.[50] 삼각형, 4개 방을 가진 간의 무게는 이고, 치수는 이다.[32]

수컷은 부드러운 구개를 부풀려 아랍어로 '두라'(doula)라는 분홍색 주머니를 만들어 암컷을 유인한다. 짙은 속눈썹과 작고 털 많은 눈을 가졌다. 초식성으로 풀, 선인장을 섭취한다.

임신 기간은 12개월이며, 한 마리를 출산하고 18개월 수유한다. 암컷은 3-4년, 수컷은 5-6년에 성적으로 성숙한다. 사육 시 수명은 25년(최대 50세)이다.

성체의 몸길이는 350cm, 어깨 높이는 180-240cm, 체중은 450-680kg이다.

쌍봉낙타와 번식력 있는 잡종을 생성하며(혹 하나, 체격 우월), 라마와 카마라는 잡종을 생성한다.

8. 2. 번식

단봉낙타는 성장 속도가 매우 느리며,[227] 암수 모두 성숙하려면 생후 5년 정도가 걸린다. 번식은 1년에 한 번 이루어지며, 주로 우기에 짝짓기철이 시작되어 3-5개월 동안 지속된다. 나이가 많은 낙타는 짝짓기철이 1년까지 길어질 수 있다.[168][228]

번식기가 되면 수컷은 소변을 몸에 묻히고, 입천장을 부풀려 암컷을 유혹한다. 수컷은 침을 흘리며 거품을 내고, 그르렁거리는 소리를 낸다. 암컷을 차지하기 위해 수컷들은 서로 몸을 크게 보이려 하거나, 낮게 포효하거나, 목을 까딱거리는 행동을 하며 다툰다. 다툼이 심해지면 서로의 다리나 머리를 물기도 한다.[194]

교미 전에는 암수가 서로 냄새를 맡고 혹을 무는 척하는 전희 행동을 보인다.[230] 암컷이 앉은 상태에서 수컷이 뒤에서 접근하여 교미하며, 교미 과정에 문제가 있을 때는 낙타 기수가 돕기도 한다.[231] 교미는 대부분 주인의 도움으로 이루어지지만, 호주 야생 낙타는 도움 없이도 번식한다.[168] 교미 시간은 7-35분(평균 11-15분)이며, 3-4번 정도 사정한다. 정액은 희고 점성이 있으며, pH 7.8이다.[230]

교미


새끼 낙타 젖 빨기


임신 기간은 15개월이며, 한 배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는 태어난 지 하루 만에 걸을 수 있으며, 어미는 1-2년 동안 새끼를 돌본다. 생후 1개월 된 수컷 낙타 두 마리를 어미에게서 떼어놓고 인공유를 먹인 연구에서, 새끼들은 정상적으로 성장했다.[232] 젖 분비량은 품종, 개체, 지역, 먹이, 건강 상태, 수유 단계에 따라 다르지만,[233] 수유 초기에는 젖이 가장 많이 나온다.[168] 수유 기간은 9-18개월이다.[234]

단봉낙타는 유도 배란을 하는 동물이며,[235] 암컷의 발정기는 낙타의 상태와 낮의 길이에 영향을 받는다.[236] 짝짓기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난포는 며칠 동안 쪼그라든다.[237] 한 연구에 따르면, 암컷 단봉낙타는 15개월 동안 35번의 발정기를 겪었고, 주기는 28일(6일간 난포 성숙기, 13일간 상태 유지기, 8일간 수축기)이었다.[238] 난포가 0.9cm~1.9cm일 때 배란이 가장 잘 유도된다.[239] 임신 여부는 수정 40-45일 후 좌측 자궁각이 팽창하는 것으로 알 수 있다.[240]

암컷의 난소는 붉고 둥글며 납작하고,[51] 원추형 점액낭에 둘러싸여 있다. 발정 휴지기 동안 난소 크기는 4x이다. 난관 길이는 25cm 에서 28cm이다. 자궁은 두 개의 뿔이 있는 형태이고, 길이는 3cm 에서 3.5cm이며 발달된 바르톨린샘이 있다.[23] 외음부는 깊이가 3cm 에서 5cm이고 작은 음핵이 있다.[39] 태반은 미만성이며 상피-융모막성이고, 초승달 모양의 융모막을 가지고 있다.[52]

수컷의 음경은 뒤쪽으로 열리는 삼각형 음경 포피로 덮여 있으며, 길이는 약 60cm이다.[53] 음낭은 회음부 위쪽에 위치하며 고환은 별도의 주머니에 들어 있다. 고환 길이는 7cm 에서 10cm, 깊이는 4.5cm, 너비는 5cm이다.[32] 오른쪽 고환이 왼쪽보다 작은 경우가 많다.[16] 고환의 일반적인 질량은 140g 미만이며, 발정기에는 165g 에서 253g으로 증가한다.[32] 요도구선은 흰색, 아몬드 모양이며 정낭은 없고, 전립선은 짙은 노란색, 원반 모양이며 두 개의 엽으로 나뉜다.[53]

9. 분포

단봉낙타는 대부분 가축화되어 지난 2,000년 동안 야생에서 서식한 기록이 없다. 야생 단봉낙타는 사하라 사막을 중심으로 중동 및 북아프리카의 건조 지대에 주로 서식했으며, 남아시아와 아라비아 반도가 원산지로 추정된다. 야생에서의 분포 범위는 북아프리카, 에티오피아, 소아시아, 서아시아, 중앙아시아까지 넓게 퍼져 있었다.[241] 단봉낙타는 건기가 길고 우기가 짧은 지역에서 잘 번성하며,[242] 추위와 습기에는 약하지만[190] 습한 환경에서도 번식할 수 있다.[242]

이집트 기자의 대피라미드 근처를 지나는 가축화된 낙타


한 쌍의 낙타, 이스라엘


현재 가축화된 단봉낙타는 구대륙의 고온 건조 지대에서 흔히 볼 수 있다.[242] 전 세계 단봉낙타 개체 수의 80%가 아프리카 대륙에 집중되어 있으며, 북반구의 사막 지대 어디에서나 단봉낙타를 찾을 수 있다. 남쪽으로는 연간 강수량이 550mm밖에 되지 않는 사헬 지역이 한계선이며, 아프리카의 뿔 지역에는 전체의 35%에 달하는 단봉낙타가 서식한다.[242] 소말리아에 가장 많은 개체 수가 분포하며, 수단에티오피아가 그 뒤를 잇는다.[243] 식량 농업 기구(FAO)의 연감에 따르면 1984년에 동아프리카에는 1,000만 마리, 서아프리카에는 214만 마리, 북아프리카에는 76만 마리의 단봉낙타가 존재했다.[244] 1994년부터 2005년 사이에 아프리카 내 개체 수는 16% 증가했다.[243][245]

아웃백의 단봉낙타. 현재 야생 단봉낙타는 호주에서만 볼 수 있다.


호주에서는 1840년에 가축으로 들여온 단봉낙타가 야생으로 돌아간 개체들이 서식하고 있다.[246] 2005년 기준으로 호주의 단봉낙타 개체 수는 500만 마리에 달하며, 99%는 가축이 아닌 야생 상태이고 매년 10%씩 번식하고 있다.[243] 대부분의 단봉낙타는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에 서식하며, 노던 준주, 퀸즐랜드주 서부,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북부에도 서식한다.[243]

아시아에서는 단봉낙타의 70%가 인도파키스탄에 분포하며, 쌍봉낙타와의 교잡종 수는 감소하여 현재 21% 정도이다.[247]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중동에서는 두 낙타의 서식지가 겹친다.[248] 인도에는 100만 마리 미만의 낙타가 서식하며, 그 중 절반 이상이 라자스탄 주에 분포한다.[243] 파키스탄에서는 1994년 110만 마리에서 2005년 80만 마리로 개체 수가 29% 감소했다.[247] FAO 자료에 따르면 2003년 페르시아만 인근 6개국에는 약 67만 마리의 단봉낙타가 서식하며, 털 색깔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린다. 예를 들어 아랍에미리트에는 경주낙타, 알 아라비아트(Al-Arabiat), 알 카즈미아트(Al-Kazmiat) 등 3가지 주요 품종이 있다.[249]

소말리아 바이도아의 단봉낙타 무리


이란 알보르즈 산맥 기슭 근처의 단봉낙타


21세기 초, 사육된 단봉낙타는 구대륙의 반건조 및 건조 지역에서 발견된다.[96]아프리카서아시아, "아프리카의 뿔" 지역, 수단, 에티오피아소말리아에 분포하지만, 이미 이들 원산지에서는 야생 개체군은 소멸되었다. 다만 오스트레일리아의 건조 지대에는 도망간 가축이 야생화된 개체군(외래종)이 존재하며, 환경 문제로 생각하는 사람도 있는 반면, 생태계의 일원으로서 기능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의견도 있다.

9. 1. 가축화

단봉낙타는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소말리아·아라비아 반도에서 처음 가축화 시도가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250] 기원전 9-10세기에는 이미 단봉낙타가 소아시아 지대에서 주요 운송 수단으로 자리잡아 가축으로서 폭넓게 목축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기원전 525년, 캄비세스 2세 통치 하의 페르시아이집트를 침공할 당시 페르시아에도 단봉낙타가 도입되었는데, 그 지방에서 키운 낙타들은 교역용으로 쓰기 부적합했고 다른 낙타들보다 사막을 건너갈 힘도 부족했다. 그래서 페르시아는 이 끄는 전차를 이용하여 사막 지역을 횡단했다.[251][252] 이집트를 기점으로 서아시아 전역에 퍼져나간 단봉낙타는[206][253] 특히 이슬람 세력이 북아프리카를 평정할 때 널리 보급되었다. 군용 짐승으로는 주로 말이 쓰였지만 단봉낙타가 들어온 이후 그 역시 기병용 짐승으로 말과 병행하여 쓰였다. 군용 낙타들은 장기적인 사막 횡단에 유리했으며 무거운 등짐도 거뜬히 질 수 있었기 때문에, 낙타가 중동 지역 사회에 필수적인 존재로 떠오른 이후 대규모 사하라 종단 무역이 처음으로 성사될 수 있었다.[254][255] 리비아에서도 또한 단봉낙타를 운송·식용으로 기르기 시작한 이래 현지인들의 식단에도 올라온다.[256]

거듭되는 항로 무역으로 서남아시아·스페인·이탈리아·터키·프랑스·카나리아 제도·북아메리카·호주 등에도 단봉낙타가 도입되었으며,[168] 스페인에는 서기 1020년, 시칠리아섬에는 1059년에 들어왔다.[257] 카나리아 제도에는 식민지화가 이루어지던 1405년 무역항을 통해 들어왔으며, 특히 여전히 란사로테섬푸에르테벤투라섬을 중심으로 혈맥이 이어지고 있다.[257] 17-19세기에는 카리브해 인근 국가와 볼리비아·페루·콜롬비아·브라질로 단봉낙타를 도입하려는 시도도 있었으며, 미국 서부에는 일부 개체들이 1850년 도입되었다. 나미비아에서도 1900년대 초 도입 시도가 있었으나 현재는 극히 일부의 개체만이 남아 있다.[183]

1840년 단봉낙타 6마리가 스페인테네리페섬에서 배를 타고 호주의 애들레이드로 선적되어 들어왔지만 5마리가 폐사하고 오로지 1마리만이 그 해를 넘길 수 있었다. 해리(Harry)라는 이름의 그 수컷 단봉낙타는 존 에인스워스 호록스라는 영국 탐험가 소유로서, 건강이 좋지 못했지만 이듬해 이루어진 탐사에서 동행되어 짐낙타로 쓰였다. 1860년대부터 다시 한 번 낙타의 대규모 도입이 이루어지면서 낙타의 번식이 이루어졌고, 대부분의 호주 낙타는 승용 및 운송용으로 쓰인다.[258][259]

10. 인간과의 관계

단봉낙타는 힘이 세고 성격이 온순하여 빠르게 가축화되었다.[168] 현대에는 승용, 운송, 쟁기질, 교역, 유제품, 육류, 모피, 가죽 생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181] 사막 유목민에게 단봉낙타는 매우 중요한 동물이며, 사막의 혹독한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한 필수적인 존재이다. 바니 사크르 족, 무타이르 족과 같은 북부 아라비아의 베두인 사회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260]

아프리카는 전 세계 단봉낙타 개체 수의 80% 이상을 차지하며, 북부의 거의 모든 사막 지역에 서식한다. 사헬은 연간 강수량이 550mm인 지역으로, 단봉낙타 분포의 남쪽 경계이다. 아프리카의 뿔은 전 세계 단봉낙타의 약 35%를 보유하고 있으며,[96] 이 지역의 대부분은 소말리아에 있고, 수단,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가 그 뒤를 잇는다(2000년대 초 기준).[110] 1984년 식량 농업 기구(FAO) 연감에 따르면, 동아프리카는 약 1,000만 마리의 단봉낙타를 보유하여 아프리카에서 가장 많은 개체 수를 기록했다. 서아프리카는 214만 마리로 그 뒤를 이었고, 북아프리카는 약 76만 마리를 보유했다.[111] 아프리카의 단봉낙타 개체 수는 1994년부터 2005년까지 16% 증가했다.[110][112]

리처드 불리엣에 따르면, 단봉낙타는 승마, 운송, 쟁기질, 교역, 우유, 고기, 양모, 가죽의 공급원 등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29] 유목민에게는 사막 생존에 필수적인 다양한 자원을 제공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이는 아라비아 북부의 루왈라, 라샤이다, 바니 사크르, 무타이르 등 여러 베두인 유목 부족에게 중요하다.[118]

낙타의 소변과 낙타유는 의약 목적으로 사용된다.[119]

현대 가축화된 단봉낙타는 우유고기를 얻기 위해 이용되며, 물건을 싣거나 사람이 타는 운반 동물로도 쓰인다. 우유는 물만 주면 하루에 6리터나 얻을 수 있으며, 서사하라 사막 유목민에게 중요한 영양 공급원이다. 운반용으로는 약 100kg의 짐을 휴식과 먹이를 섭취하며 천천히 하루 30km 운반할 수 있다.[151] 과는 달리 사람이나 짐을 태울 때 무릎을 꿇어 자세를 낮춘다.

이집트에서는 사막 지대 관광지의 대부분에서 낙타를 탄 경찰관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현대에도 사막 지대의 순찰 등에 이용되고 있다.

쌍봉낙타와는 달리 털이 짧아 체모는 이용되지 않는다.[152]

10. 1. 승용낙타

단봉낙타를 단순히 사람을 태우는 짐승으로 다루기에는 자전거, 자동차와 같은 운송 수단들이 많이 생겼지만, 여전히 포장도로 시설이 부족한 저개발 지역을 돌아다니는 용도로는 매우 적합한 동물이다. 전투용으로 길러지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 2세기경부터였고,[261] 여전히 아랍권을 중심으로 낙타 경주가 이루어지고 있다.[168]

순발력과 지구력이 강하고, 다리가 길며 거죽이 탄력있는 낙타일수록 타기가 좋다. 사막 환경에 특수 적응한 발 덕분에 거친 사막 표면에서 잘 걸어가며, 한낮의 뜨거운 모래땅이나 밤에 식어 차가워진 땅에서도 문제없이 걸어갈 수 있다.[262] 수단베자족[253]이 기르는 단봉낙타와 수단의 품종인 아나피(Anafi) 낙타는 이와 같은 용도로 매우 적합하다.[168]

아널드 리스에 따르면, 단봉낙타의 보법(步法)으로는 평보(walk), 속보(jog), 경보(fast run), 구보(canter)가 있다. 첫 번째 단계인 평보는 평균 속도가 4km/h밖에 되지 않는 느린 걸음이고, 두 번째로 속보는 낙타가 가장 많이 걷는 방식으로 걸음걸이 속도는 평지에서 약 8km/h에서 12km/h이며, 경보로 달리는 동안 낙타의 속력은 14km/h에서 19km/h 정도로 측정되었다. 경보 방식은 북아프리카와 아라비아의 단봉낙타들에게서 많이 볼 수 있다. 구보는 장시간 지속하면 낙타와 기수를 모두 탈진시켜 버리는 속도로 달리는 것으로, 구보로 달리는 낙타의 속력은 따로 측정하지 않았다. 이 보법은 오로지 낙타 경주에서만 볼 수 있다.[263]

낙타를 경주용으로 키우려면 생후 3년부터 훈련을 시작하는 것이 좋으나,[194] 경주 훈련에 비협조적이고 고집불통인 태도를 보일 수도 있다.[264] 낙타의 머리 부분을 조종할 수 있게 되면 기수를 태우기 위해 자리에 앉았다가 일어서는 명령을 훈련받는다.[183] 이 단계에서 낙타는 종종 기수 탑승을 거부하면서 자리를 피하기도 한다.[168] 다음으로는 고삐에 적응하는 훈련을 하며, 생후 6년이 되기 전까지는 훈련 도중 무리하게 많은 짐을 지워서는 안 된다.[183] 이 낙타들에 타려면 목과 혹이 이어지는 오목한 부위에 타서는 안 되며, 혹이 엉덩이 쪽으로 경사진 부위에 타야만 한다.[194] 안장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아라비아에서 사용하는 마르클루파(markloofa)와 인도에서 사용하는 파르카(parka)가 있으며, 이 중 인도의 파르카는 사람이 한 낙타에 둘이 탈 때 주로 사용한다.[183]

예멘 바이트알파키흐 시장의 단봉낙타


기술과 현대적 운송 수단의 등장으로 낙타의 역할은 줄어들고 있지만, 낙타는 여전히 외딴 지역과 개발이 덜 된 지역에서 효율적인 교통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단봉낙타는 기원전 6세기부터 전쟁에 사용되었다.[120] 특히 사막에서 말을 능가하는 능력으로 높이 평가받았다.[121]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에 사용된 기록에 따르면 낙타는 일주일에 최대 80km를 이동할 수 있었고 물 없이 한 달까지 갈 수 있었다.[122] 아우렐리아누스의 기록에 따르면, 제노비아유프라테스강으로 도망칠 때 팔미라에서 패배한 후 단봉낙타를 사용하여 추격자를 따돌렸다고 한다.[123]

단봉낙타는 특히 아랍 세계에서 경주용으로도 인기가 높다.[16] 아라비아, 이집트, 사하라의 낙타를 타는 것은 각각 Dilool, Hageen, Mehara로 현지에서 알려져 있으며, 여러 지역 품종이 이 그룹에 포함된다.[132]

이상적인 승용 낙타는 튼튼하고, 날씬하며, 다리가 길고, 얇고 유연한 피부를 가지고 있다. 단봉낙타의 특별한 발은 모래와 거친 지형, 차가운 표면에서도 쉽게 걸을 수 있게 해준다.[124] 수단베자에리트레아의 헤다레브, 빌렌, 티그레 사람들이[103] 기르는 낙타와 수단에서 길러진 아나피 낙타는 승용 낙타로 흔히 사용되는 품종이다.[16]

Leese에 따르면, 단봉낙타는 걷기, 조깅, 빠른 달리기, 캔터의 네 가지 속도 또는 보행으로 걷는다. 첫 번째는 일반적인 걷는 속도로, 약 4km/h이다. 조깅은 가장 흔한 속도로 평지에서 거의 8km/h에서 12km/h이다. 그는 북아프리카와 아라비아 단봉낙타를 관찰하여 빠른 달리기 동안 14km/h에서 19km/h의 속도를 추정했다. 그는 캔터를 설명할 속도 범위를 제시하지 않았지만, 유도하면 낙타와 기수를 지치게 할 수 있는 일종의 갤럽임을 암시했다. 캔터는 경주와 같이 짧은 시간 동안만 사용할 수 있다.[125]

유대 사막에서 관광객을 위한 낙타 타기를 위해 장식된 낙타


단봉낙타를 타는 훈련을 시작하기에 가장 이상적인 나이는 3세이지만,[43] 고집스럽고 다루기 어려울 수 있다.[126] 처음에는 낙타의 머리를 통제하고, 나중에는 앉고 일어서는 명령에 반응하도록 훈련하며, 탑승을 허용하도록 훈련한다.[132] 이 단계에서 낙타는 조련사가 탑승하려 할 때 종종 도망치려 한다.[16] 다음 단계는 고삐에 반응하도록 훈련하는 것이다. 동물을 점진적으로 짐을 싣고 6세 이전에 무거운 짐을 강제로 싣지 않아야 한다.[132] 승용 낙타는 목을 때려서는 안 되며, 오히려 기수의 오른쪽 다리 뒤를 때려야 한다.[43] Leese는 일반적으로 낙타 타기에 사용되는 두 가지 유형의 안장을 설명했다. 하나는 단독 기수가 사용하는 아라비아 ''markloofa''이고, 다른 하나는 두 명의 기수가 같은 낙타를 탈 때 사용하는 인도 ''pakra''이다.[132]

10. 2. 운송

단봉낙타는 등짐을 나르는 것 외에도 마차나 달구지를 끌고, 써레쟁기를 채워 농경에 이용되기도 한다. 수동 착유기 작동에도 쓰인다.[168] 농경용 낙타는 소영어, , 물소처럼 농사에 이용되는데,[183] 2.5km/h의 속도로 밭을 갈 수 있다. 보통 하루 6시간 이상 일 시키지 않으며, 아침에 4시간, 오후에 2시간 정도 일한다.[264] 단봉낙타는 병들거나 잘 먹지 못한 경우가 아니면 좀처럼 지치지 않고 지구력이 뛰어나 농경용 가축으로 매우 적합하다.[264]

짐을 나르는 낙타는 튼튼하고 덩치가 커야 한다. 연구에 따르면 머리가 작거나 크더라도 좁은 매부리코에 툭 튀어나온 눈, 큰 입술을 가진 낙타가 좋다. 목은 중간에서 긴 정도가 좋고, 머리를 높이 들 수 있어야 한다. 가슴은 깊고, 혹이 잘 발달되어 안장을 씌우고 짐을 실을 공간이 충분해야 한다. 뒷다리는 튼튼하고 근육질이어야 한다.[127]

단봉낙타는 5살부터 짐을 싣도록 훈련할 수 있지만, 6살 전에는 무거운 짐을 지게 해서는 안 된다.[128] 하위아(hawia)는 수단에서 유래된 짐 싣는 안장이다.[127] 짐 낙타 훈련 방법은 타는 낙타 훈련 방법과 비슷하다.[16]

기술과 현대적 운송 수단의 등장으로 낙타의 역할은 줄었지만, 외딴 지역과 개발이 덜 된 지역에서는 여전히 효율적인 교통 수단이다. 단봉낙타는 기원전 6세기부터 전쟁에 사용되었고,[120] 특히 사막에서 말을 능가하는 능력으로 높이 평가받았다.[121]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 기록에 따르면 낙타는 일주일에 최대 80km를 이동할 수 있었고, 물 없이 한 달까지 버틸 수 있었다.[122] 아우렐리아누스의 기록에 따르면, 제노비아유프라테스강으로 도망칠 때 팔미라에서 패배한 후 단봉낙타를 사용하여 추격자를 따돌렸다고 한다.[123]

현대 가축화된 단봉낙타는 우유고기를 얻고, 물건을 싣거나 사람이 타는 운반 동물로 쓰인다. 우유는 물만 주면 하루에 6리터나 얻을 수 있으며, 서사하라 사막 유목민에게 중요한 영양 공급원이다. 운반용으로는 약 100kg의 짐을 싣고 휴식과 먹이를 먹으며 하루 30km를 천천히 운반할 수 있다.[151] 말과는 달리 사람이나 짐을 태울 때 무릎을 꿇어 자세를 낮춘다.

이집트에서는 사막 지대 관광지 대부분에서 낙타를 탄 경찰관을 볼 수 있다. 또한 현대에도 사막 지대 순찰 등에 이용된다.

10. 3. 유제품

니제르에서 낙타젖을 짜는 단봉낙타


낙타젖은 사막 유목민의 주식이다. 낙타젖은 고형물 11.7%, 단백질 3%, 지방 3.6%, 회분 0.8%, 유당 4.4%, 산도(pH 6.5) 0.13%로 구성되어 있다.[267] 나트륨, 칼륨, 아연, , 구리, 망간, 나이아신, 비타민 C는 우유보다 많지만, 티아민, 리보플라빈, 엽산, 비타민 B12, 판토텐산, 비타민 A, 라이신, 트립토판은 적다. 젖 지방의 지방산 몰 () 퍼센트는 팔미트산 26.7%, 올레산 25.5%, 미리스트산 11.4%, 팔미톨레산 11%이다.[267] 낙타젖은 우유보다 열 안정성이 높지만,[268] 양젖보다는 낮다.[168]

하루 젖 생산량은 보통 3.5kg~35kg이며, 체중의 1.3%~7.8%이다.[269] 젖 생산량은 지역, 식단, 생활 조건에 따라 다르다.[168] 수유 절정기에는 건강한 암컷이 하루 9kg을 생산한다.[178] 리스는 수유 중인 암컷이 새끼 섭취량 외에 4L~9L를 생산한다고 추정했다.[183] 파키스탄 단봉낙타는 젖이 많고, 잘 먹이면 9.1kg~14.1kg을 생산할 수 있다.[270] 소말리아 단봉낙타는 하루 2~4번, 에티오피아 아파르에서는 최대 7번까지 짤 수 있다.[271]

30°C에서 보관한 낙타젖의 산도는 우유보다 느리게 증가한다.[272] 낙타젖으로 버터를 만들기 어렵지만, 유목민들은 소량 생산하며, 크림 내 지방 함량을 22.5%로 최적화한다.[272] 2001년 연구에서 낙타젖은 응고 시 응유를 형성하지 않았고 pH는 4.4였다. 이는 소젖 응유와 매우 달랐으며, 카세인 조각으로 된 깨지기 쉬운 불균질한 조성이다.[273] 그럼에도 치즈 등 유제품을 만들 수 있다. 소 송아지 레닛을 사용하면 낙타젖을 응고시킬 수 있다는 연구도 있다.[274] 누악쇼트에는 낙타젖 살균 및 치즈 제조 공장이 있다.[275] 에티오피아 등 일부 지역에서는 낙타젖을 최음제로 사용하기도 한다.[276]

10. 4. 고기

5살이 된 단봉낙타를 잡아 얻는 고기는 76%가 수분이며 나머지 성분은 단백질 22%, 지방 1%, 무기 염류 1%로 이루어진다.[236] 같은 나이에 141kg에서 310kg의 고기를 생산할 수 있는 단봉낙타는 전체적으로 근육 57%, 뼈 26%, 지방 17%로 되어 있다.[281] 7-8살이 되는 낙타는 125kg에서 400kg의 고기를 내놓는다. 낙타고기에서 생살을 이루는 부분은 선홍색에서부터 고동색까지 다양한 색상을 띠고 비계는 하얗다. 그 맛과 풍미는 쇠고기와 흡사하다.[281] 이란에서 생산된 낙타고기를 연구한 결과 글리코젠 함량이 높았으며, 이 때문에 말고기처럼 단맛과 감칠맛이 느껴지기도 한다. 영양분이 충실히 공급된 낙타를 도살해 얻는 고기는 얇지만 꽉 찬 지방층으로 덮여 있다.[277] 생후 약 7년 4개월 기준으로, 넓적다리 생살에 들어 있는 지방산 중에서는 팔미트산이 26%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올레산(18.9%), 리놀레산(12.1%) 순서대로 많다. 혹에 들어 있는 지방 중 역시 팔미트산이 34.4%로 가장 많으며, 그 다음으로 올레산(28.2%), 미리스트산(10.3%), 스테아르산(10%) 순서대로 많이 함유되어 있다.[278]

모리타니에서 도축되는 낙타


단봉낙타의 도축은 다른 가축들인 소나 양보다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그 지방에서 기르는 대부분의 식용 가축들보다 몸집이 크고, 도축하는 데에도 전문적인 지식이 뒷받침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낙타는 도축 직전에 취하는 조치에 따라서 고기의 품질이 결정된다고 하며, 잘못하다가는 혹 부분의 고기가 손상될 수도 있다.[279] 도축 현장에서는 낙타가 기절한 상태로 앉아 머리와 꼬리를 맞닿게 하여 몸을 둥글게 만 자세에서 도축 작업을 진행하며, 이 때 도살하는 낙타는 암컷보다 수컷이 많다.[280] 고기를 얻을 수 있는 부위는 전체 몸의 55-70% 정도이며, 평균적으로 소에게서 얻을 수 있는 45-50%의 고기보다 비율이 앞선다. 하지만 낙타고기는 현지인들에게 쇠고기나 양고기만큼 대중적으로 소비되는 고기는 아니며, 특히 유목민들은 낙타고기를 특식으로 취급하여 의례나 잔치가 있을 때에 한해서만 요리해 먹는다.[168] 낙타고기로 만들 수 있는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햄버거 패티, 소시지샤와르마 등이 있다.[281] 도축되는 단봉낙타의 연령은 대개 4-10년 사이이며, 나이가 들어갈수록 육질이 질긴 고기로 변해 맛과 풍미가 훼손된다.[168]

2005년 사우디아라비아 보건부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에 따르면 낙타의 생간을 섭취하고 페스트의 한 종류인 선페스트에 감염된 환자 사례가 총 다섯 명인데, 그 다섯 명 중에서 네 명은 그 전부터 악성 인후염과 임파선염이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페스트균이 단봉낙타 우리에 서식하는 메리오네스속의 설치류와 벼룩을 감염시켜 낙타의 골수로 전염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282]

10. 5. 섬유

단봉낙타는 더운 기후 지방에서 주로 서식하기 때문에 긴 털을 기를 필요가 없다. 털이 가볍고 열전도율이 낮기 때문에, 보온복, 담요, 텐트, 융단의 원료로 적합하다.[168] 인도에서는 낙타 털을 깎는 원료 작업이 주로 봄철에 이루어지며 그 생산량은 한 번 작업할 때마다 1kg에서 1.5kg에 달한다. 기온이 더 낮은 지방에서는 5.4kg까지 깎아낼 수도 있다.[194][264] 하지만 단봉낙타 한 마리에게서 얻을 수 있는 털은 일 년에 1kg 정도로 쌍봉낙타가 5kg에서 12kg까지 낙타털을 생산할 수 있는 것에 비해서 적다.[204] 2살 이하의 낙타에게서 뽑아낸 털을 최고 품질로 치며, 잘 떨어지기 때문에 수제 작업으로만 수확하는 것이 가능하다.[271] 털가죽에 관해서는 알 수 있는 정보가 잘 없지만 대체적으로 가죽으로 가공하기에는 품질이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조

[1] MSW3
[2] 서적 The Chambers Dictionary Chambers
[3] 웹사이트 Definition of dromedary {{!}} Dictionary.com https://www.dictiona[...] 2022-02-14
[4] 웹사이트 Arabian Camel (Dromedary) {{!}} National Geographic https://web.archive.[...] 2011
[5] LSJ
[6] 간행물 Dromedary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7] OEtymD
[8] 서적 The Private Lives of Words Routledge & Kegan Paul
[9] 간행물 Camel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10] MerriamWebsterDictionary
[11] 논문 Camelus knoblochi genome reveals the complex evolutionary history of Old World camels https://linkinghub.e[...] 2024-05
[12] 서적 Ungulate Taxonomy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3] 서적 Natural History, General and Particular https://www.biodiver[...] Alexander Strahan 2018-01-14
[14] 서적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Harper (publisher)|Harper and Brothers Publishers]]"
[15] 서적 Systema Naturæ Per Regna Tria Naturae https://www.biodiver[...] Laurentius Salvius 2018-02-20
[16] 서적 The Camel (''Camelus dromedarius''): A Bibliographical Review http://pdf.usaid.gov[...] "[[International Livestock Centre for Africa]]" 2016-01-27
[17] 논문 Molecular evolution of the family Camelidae: a mitochondrial DNA study 1994
[18] 서적 An Atlas of Mammalian Chromosomes Springer 1974
[19] 논문 Uniformity of karyotypes in the Camelidae 1968
[20] 논문 Camel hybridization and the role of ''Camelus bactrianus'' in the ancient Near East 2004
[21] 논문 Über Kamelkreuzungen 1935
[22] 논문 Notes on the dispersal of the dromedary 1955
[23] 논문 Reproduction in Camelidae 1970
[24] 서적 An Introduction to Animal Husbandry in the Tropics Longman 1978
[25] 서적 Horns, Tusks, and Flippers : The Evolution of Hoofed Mammal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6] 논문 Is there a two-humped stage in the embryonic development of the dromedary? https://onlinelibrar[...] 2024-06-14
[27] 서적 Walker's Mammals of the Worl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8] 논문 The camel in Arabia—a direct radiocarbon date, calibrated to about 7000 BC 1989
[29] 서적 The Camel and the Wheel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9-11-14
[30] 뉴스 Check out the world's tallest camel https://www.arabnews[...] Arab News 2018
[31] 뉴스 Largest species of camel https://www.guinness[...] Guinness World Records
[32] 논문 "''Camelus dromedarius''" https://web.archive.[...] 2012-08-09
[33] 논문 A Frameshift Mutation in KIT is Associated with White Spotting in the Arabian Camel
[34] 서적 Grazers https://archive.org/[...] Britannica Educational Pub. 2011
[35] 논문 Recherches anatomiques sur les camélidés 1903
[36] 논문 Cranial capacity of Indian camel. Short communication http://agris.fao.org[...] 2017-08-25
[37] 논문 Some anatomical studies of the spinal cord in camel https://avmj.journal[...] 1985
[38] 서적 Orders and families of recent mammals of the world John Wiley and Sons 1984
[39] 서적 The Camel Longman 1988
[40] 서적 The Dentition of the Camel Egypt Ministry of Agriculture 1924
[41] 논문 zeta-Crystallin is a major protein in the lens of ''Camelus dromedarius'' 1991
[42] 논문 A comparative study of the integument of the camel, Dorcas gazelle and jerboa in relation to desert life 1970
[43] 논문 Anatomical, histological and histochemical observations and changes in the poll glands of the camel (''Camelus dromedarius'') Part III https://karger.com/a[...] 1978
[44] 논문 The skin, sweat glands and hair follicles of the camel (''Camelus dromedarius'') 1962
[45] 논문 Hair follicles and the sweat glands of the camel (''Camelus dromedarius'') 1962
[46] 논문 Radiological, anatomical and histological studies of the mammary gland of the one-humped camel (''Camelus dromedarius'') 1971
[47] 논문 The liver of the camel as revealed by macroscopic and microscopic examinations 1954
[48] 논문 Seasonal and sexual variations of certain constituents of normal camel blood 1971
[49] 논문 Metabolic rate of camels: effect of body temperature and dehydration 1967
[50] 논문 The spleen of the camel compared with other domesticated animals and its microscopic examination 1953
[51] 논문 Reproduction and genital diseases of the camel 1985
[52] 논문 Observations on the full-term foetal membranes of three members of the Camelidae (''Camelus dromedarius'' L., ''Camelus bactrianus'' L., and ''Lama glama'' L.) 1961
[53] 논문 The penis and prepuce of the one-humped camel (''Camelus dromedarius'') https://www.research[...] 1972
[54] 논문 Structural Investigation of Epididymal Microvasculature and Its Relation to Telocytes and Immune Cells in Camel https://www.cambridg[...]
[55] 논문 Camel-an important domestic animal of the subtropics 1968
[56] 서적 "Tips" on camels for veterinary surgeons on active service http://krishikosh.eg[...] Bailliere, Tindall And Cox 2016-01-28
[57] 논문 Le chameau et ses maladies 1947
[58] 논문 A review of camel brucellosis 2002
[59] 논문 A survey of camel (''Camelus dromedarius'') diseases in Jordan 2000
[60] 논문 Detection of antibodies of rinderpest and peste des petits ruminants viruses (Paramyxoviridae, Morbillivirus) during a new epizootic disease in Ethiopian camels (''Camelus dromedarius'') http://www.revmedvet[...] 2016-04-09
[61] 논문 Seroepidemiology for MERS coronavirus using microneutralisation and pseudoparticle virus neutralisation assays reveal a high prevalence of antibody in dromedary camels in Egypt, June 2013 2013
[62] 논문 MERS coronavirus in dromedary camel herd, Saudi Arabia 2014
[63] 논문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coronavirus seroprevalence in domestic livestock in Saudi Arabia, 2010 to 2013 2013
[64] 논문 Questing by Tick Larvae (Acari: Ixodidae): A Review of the Influences That Affect Off-Host Survival Entomological Society of America 2020-06-22
[65] 논문 Ticks (Acari: Ixodidae) infesting the Arabian camel (''Camelus dromedarius'') in the Sinai, Egypt with a note on the acaricidal efficacy of ivermectin 1993
[66] 논문 Social organization of the camel (''Camelus dromedarius'') 1985
[67] 논문 Hormonal and behavioral patterns in the male camel (''Camelus dromedarius'') 1980-01-01
[68] 웹사이트 150-year-old Diorama Surprises Scientists With Human Remains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2017-04-22
[69] 서적 The Camel, Its Evolution, Ecology, Behavior, and Relationship to Man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1
[70] 논문 Biological function of morphologic peculiarities of the dromedary 1994-06
[71] 서적 Ecology and management of camels, sheep and goats in northern Kenya. Mimeo, Nairobi, UNEP/MAB/IPAL United Nations Environmental Programme/Man and Biosphere -Integrated Project in Arid Lands 1979
[72] 논문 The feeds and feeding habits of Old and New World camels http://www.diva-port[...] 2016-01-28
[73] 서적 Animal Dreaming: The Spiritual and Symbolic Language of the Australasian Animals Blue Angel Gallery 2007
[74] 논문 Gross and histologic study of the rostral epidural rete mirabile and the cavernous sinus in one-humped camels 1991
[75] 논문 Survival in an arid land 1977
[76] 웹사이트 What secrets lie within the camel's hump? http://www.djur.cob.[...] Lund University 2008-01-07
[77] 서적 Essentials Of Animal Physiology New Age International
[78] 서적 Desertification Combat and Food Safety: the Added Value of Camel Producers, Ashgabad, Turkmenistan IOS Press
[79] 웹사이트 Arabian (Dromedary) Camel (''Camelus dromedarius'') http://animals.natio[...] National Geographic 2016-04-12
[80] 논문 Structural forces of pastoral nomadism, with special reference to camel pastoral nomadism 1972
[81] 논문 Seasonal Variation of the Intraepithelial Gland in Camel Epididymis with Special Reference to Autophagosome https://www.cambridg[...]
[82] 논문 Studies on the age of puberty of male camels (''Camelus dromedarius'') in Saudi Arabia 1997
[83] 논문 Das verhalten der Tylopoden 1956
[84] 논문 A note on the sexual behavior of male camel (''Camelus dromedarius'') 1973
[85] 논문 The dromedary of the Horn of Africa International Foundation for Science 1979
[86] 논문 A preliminary note on the use of milk substitutes in the early weaning of dromedary camels
[87] 논문 Proposal for a rural development training project and study concerned with camel utilization in arid lands in Ethiopia 1979
[88] 논문 Notes on camel production in the Northern districts of the Republic of Kenya ILCA 1969
[89] 논문 Semen-induced ovulation in the bactrian camel (Camelus bactrianus).
[90] 논문 Some reproductive aspects in the female camel 1965
[91] 논문 Reproduction in dromedary camels: an update http://www.cbra.org.[...] 2012-08-06
[92] 논문 The oestrous cycle of the camel (''Camelus dromedarius'') 1978-12-16
[93] 논문 The ovarian follicular wave pattern and induction of ovulation in the mated and non-mated one-humped camel (''Camelus dromedarius'') 1996-03-01
[94] 논문 A study of the genital organs of the female dromedary (''Camelus dromedarius'') 1988-03
[95] 논문 Classification of the dromedary camels
[96] 논문 Research on the dromedary in Africa http://www.oie.int/d[...] 2016-01-28
[97] 서적 Encyclopedia of Dairy Science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98] 서적 Arid and Semiarid Lands: Sustainable Use and Management in Developing Countries National Park Service
[99] 서적 Medicine and Surgery of Camelids Wiley
[100] 서적 East African Mammals: An Atlas of Evolution in Africa, Volume 3, Part B: Large Mammal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01] 서적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Volume One: AD W.B. Eerdmans
[102] 서적 Nomads and the Outside World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03] 서적 History and origin of the African camel African Publishing Corporation 1971
[104] 서적 Atlas of the World's Deserts Fitzroy Dearborn
[105] 서적 Muslim Expansion and Byzantine Collapse in North Afric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6] 서적 North Africa: Contemporary Politics and Economic Development Croom Helm
[107] 논문 The Canarian camel: a traditional dromedary population 2010
[108] 웹사이트 Afghan Cameleers in Australia http://www.australia[...] 2016-01-28
[109] 웹사이트 The Introduction of camels into Australia http://www.burkeandw[...] The Burke & Wills Historical Society 2016-01-28
[110] 서적 Animal Production and Animal Science Worldwide Wageningen Academic Publishers 2007
[111] 서적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Production Yearbook United Nations 1984
[112] 논문 Camel production systems in Africa http://agtr.ilri.cgi[...] 2016-01-28
[113] 논문 The camel in Rajasthan: Agricultural biodiversity under threat http://www.pastoralp[...] 2016-01-28
[114] 서적 Animals in Stone : Indian Mammals Sculptured Through Time Brill
[115] 논문 Camelid genetic resources. A report on three Arabian Gulf Countries http://agtr.ilri.cgi[...] 2016-01-28
[116] 서적 Wildlife Resources : A Global Account of Economic Use Springer
[117] 웹사이트 Camelus dromedarius (dromedary) https://animaldivers[...] 2023-11-24
[118] 논문 Camel raiding of North Arabian Bedouin: a mechanism of ecological adaptation 1965
[119] 웹사이트 Ablutions (Wudu) What is said about the urine of camels, sheep and other animals and about their folds http://www.sunnah.co[...] Sunnah.com 2021-11-14
[120] 웹사이트 Herodotus, The Histories, Book 1, chapter 80 http://www.perseus.t[...] 2023-02-12
[121] 서적 Islamic Weapons, Warfare, and Armies: Muslim Military Operations Against the Crusaders The Rosen Publishing Group
[122] 서적 World History of Warfar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23] 서적 The Complete Works of Flavius Josephus New Leaf Publishing Group
[124] 서적 Environmental Physiology of Animals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125] 논문 Riding camels of the Sudan 1962
[126] 논문 Camel and their management 1957
[127] 논문 Notes on the camel in the eastern Sudan 1932
[128] 논문 Camel care 1966
[129] 논문 Chemical composition and nutritional quality of camel milk 1984
[130] 논문 Heat coagulation of camel milk 1992
[131] 논문 Milk production of the dromedary http://www.cabdirect[...] 2012-08-20
[132] 서적 A Treatise on the One-Humped Camel in Health and in Disease Haynes and Son 1927
[133] 논문 Pakistan camels. A preliminary survey. http://www.cabdirect[...] 1957
[134] 논문 The camel as a meat and milk animal http://agris.fao.org[...] 2016-01-27
[135] PDF Camel milk and milk products https://hrcak.srce.h[...] 2019-02-22
[136] 논문 Dromedary milk lactic acid fermentation: microbiological and rheological characteristics
[137] 논문 Saudi Arabia: use of bovine calf rennet to coagulate raw camel milk 1987
[138] 서적 Dromadaires et chameaux, animaux laitiers: actes du colloque CIRAD
[139] 논문 Camels' milk and milk products 1970
[140] 서적 Camel meat: A new promising approach to the solution of meat and protein in the arid and semi-arid countries of the world Ministry of Agriculture, Tehran 1970
[141] 논문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meat and fat of the one-humped camel (''Camelus dromedarius'')
[142] 서적 Camel Meat and Meat Products CABI (organisation) 2013
[143] 논문 Slaughterhouses and humane treatment 1994
[144] 논문 A review of the growth, and of the carcass and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one-humped camel (''Camelus dromedarius'') 2008
[145] 논문 Plague from eating raw camel liver 2005
[146] 웹사이트 Animals A-Z Arabian Camel http://www.oaklandzo[...] 2006-03-01
[147] 서적 動物大百科4 大型草食獣 平凡社 1986
[148] 웹사이트 Farmnote 122/2000 : Feral camel -Western Australia- http://www.agric.wa.[...] 2005-12-05
[149] 웹사이트 Creature Features - Pet Facts: Camels http://www.abc.net.a[...] 2005-12-05
[150] 웹사이트 Camel http://www.ancientro[...] 2005-12-05
[151] 서적 動物大百科4 大型草食獣 平凡社 1986
[152] 서적 動物園を100倍楽しむ!飼育員が教えるどうぶつのディープな話 緑書房 2023-07-10
[153] 웹사이트 家庭の省エネ事例集 http://www.city.sait[...] さいたま市 2014-07-02
[154] 기타 δρομάς
[155] 웹사이트 Dromedary 2016-01-27
[156] 웹사이트 dromedary 2016-05-05
[157] 서적 The Private Lives of Words Routledge & Kegan Paul
[158] 서적 Walker's Mammals of the Worl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59] 웹사이트 Camel 2016-01-31
[160] 웹사이트 Camel 2016-01-31
[161] 문서 약대0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162] 저널 A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sequence of the wild two-humped camel (''Camelus bactrianus ferus''): an evolutionary history of Camelidae http://bmcgenomics.b[...] 2007
[163] 기타
[164] 서적 Ungulate Taxonomy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65] 서적 Natural History, General and Particular https://www.biodiver[...] Alexander Strahan 1791
[166] 서적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Harper and Brothers Publishers
[167] 서적 Systema Naturæ Per Regna Tria Naturae https://www.biodiver[...] Laurentius Salvius 1758
[168] 서적 The Camel (''Camelus dromedarius''): A Bibliographical Review http://pdf.usaid.gov[...] International Livestock Centre for Africa
[169] 문서 다만, 본 연구진은 야생쌍봉낙타를 쌍봉낙타의 아종으로 취급했다.
[170] 저널 Molecular evolution of the family Camelidae: a mitochondrial DNA study 1994
[171] 서적 An Atlas of Mammalian Chromosomes Springer 1974
[172] 저널 ''Camelus dromedarius'' http://www.science.s[...] The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2013-05-27
[173] 저널 Uniformity of karyotypes in the Camelidae 1968
[174] 저널 Camel hybridization and the role of ''Camelus bactrianus'' in the ancient Near East 2004
[175] 저널 Über Kamelkreuzungen 1935
[176] 저널 Notes on the dispersal of the dromedary 1955
[177] 저널 Reproduction in Camelidae 1970
[178] 서적 An Introduction to Animal Husbandry in the Tropics Longman 1978
[179] 서적 Horns, Tusks, and Flippers : The Evolution of Hoofed Mammals https://archive.org/[...]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2
[180] 저널 The camel in Arabia—a direct radiocarbon date, calibrated to about 7000 BC 1989
[181] 서적 The Camel and the Wheel Columbia University Press 1975
[182] 저널 The skin, sweat glands and hair follicles of the camel (''Camelus dromedarius'') 1962
[183] 서적 A Treatise on the One-Humped Camel in Health and in Disease https://archive.org/[...] Haynes and Son 1927
[184] 서적 The Camel, Its Evolution, Ecology, Behavior, and Relationship to Man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1
[185] 서적 Grazers https://archive.org/[...] Britannica Educational Pub. 2011
[186] 저널 Recherches anatomiques sur les camélidés 1903
[187] 저널 Cranial capacity of Indian camel. Short communication http://agris.fao.org[...] 2018-06-12
[188] 저널 Some anatomical studies of the spinal cord in camel 1985
[189] 서적 Orders and families of recent mammals of the world John Wiley and Sons 1984
[190] 서적 The Camel Longman 1988
[191] 서적 The Dentition of the Camel Egypt Ministry of Agriculture 1924
[192] 저널 zeta-Crystallin is a major protein in the lens of ''Camelus dromedarius'' 1991
[193] 저널 A comparative study of the integument of the camel, Dorcas gazelle and jerboa in relation to desert life 1970
[194] 저널 Anatomical, histological and histochemical observations and changes in the poll glands of the camel (''Camelus dromedarius'') 1978
[195] 저널 Hair follicles and the sweat glands of the camel (''Camelus dromedarius'') 1962
[196] 저널 Radiological, anatomical and histological studies of the mammary gland of the one-humped camel (''Camelus dromedarius'') 1971
[197] 저널 The liver of the camel as revealed by macroscopic and microscopic examinations 1954
[198] 저널 The spleen of the camel compared with other domesticated animals and its microscopic examination 1953
[199] 저널 Seasonal and sexual variations of certain constituents of normal camel blood 1971
[200] 저널 Metabolic rate of camels: effect of body temperature and dehydration 1967
[201] 저널 Reproduction and genital diseases of the camel 1985
[202] 저널 Observations on the full-term foetal membranes of three members of the Camelidae (''Camelus dromedarius'' L.,'' Camelus bactrianus'' L., and ''Lama glama'' L.) 1961
[203] 저널 The penis and prepuce of the one-humped camel (''Camelus dromedarius'') 1972
[204] 저널 Camel-an important domestic animal of the subtropics 1968
[205] 서적 "Tips" on camels for veterinary surgeons on active service http://krishikosh.eg[...] Bailliere, Tindall And Cox 2018-06-12
[206] 저널 Le chameau et ses maladies 1947
[207] 저널 A review of camel brucellosis 2002
[208] 저널 A survey of camel (''Camelus dromedarius'') diseases in Jordan American Association of Zoo Veterinarians 2000
[209] 저널 Detection of antibodies of rinderpest and peste des petits ruminants viruses (Paramyxoviridae, Morbillivirus) during a new epizootic disease in Ethiopian camels (''Camelus dromedarius'') http://www.revmedvet[...]
[210] 문서 혈청학적인 검사를 통해 특정 돌림병의 감염 경로, 원인과 증상을 밝혀내는 학문
[211] 저널 Seroepidemiology for MERS coronavirus using microneutralisation and pseudoparticle virus neutralisation assays reveal a high prevalence of antibody in dromedary camels in Egypt, June 2013 2013
[212] 저널 MERS coronavirus in dromedary camel herd, Saudi Arabia 2014
[213] 저널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coronavirus seroprevalence in domestic livestock in Saudi Arabia, 2010 to 2013 2013
[214] 웹인용 ‘낙타 접촉 자제’ 메르스 예방법 안내했다가 조롱받는 보건복지부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5-06-02
[215] 저널 Ticks (Acari: Ixodidae) infesting the Arabian camel (''Camelus dromedarius'') in the Sinai, Egypt with a note on the acaricidal efficacy of ivermectin 1993
[216] 웹인용 150-year-old Diorama Surprises Scientists With Human Remains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2017-04-22
[217] 저널 Social organization of the camel (''Camelus dromedarius'') 1985
[218] 저널 Hormonal and behavioral patterns in the male camel (''Camelus dromedarius'') 1980-01-01
[219] 저널 Biological function of morphologic peculiarities of the dromedary 1994-06
[220] 저널 Ecology and management of camels, sheep and goats in northern Kenya. Mimeo, Nairobi, UNEP/MAB/IPAL United Nations Environmental Programme/Man and Biosphere -Integrated Project in Arid Lands 1979
[221] 저널 The feeds and feeding habits of Old and New World camels http://www.diva-port[...] 1979
[222] 서적 Animal Dreaming: The Spiritual and Symbolic Language of the Australasian Animals Blue Angel Gallery 2007
[223] 저널 Gross and histologic study of the rostral epidural rete mirabile and the cavernous sinus in one-humped camels 1991
[224] 저널 Survival in an arid land 1977
[225] 서적 Desertification Combat and Food Safety: the Added Value of Camel Producers, Ashgabad, Turkmenistan IOS Press
[226] 웹인용 Arabian (Dromedary) Camel (''Camelus dromedarius'') http://animals.natio[...] 내셔널 지오그래픽 2016-04-12
[227] 저널 Structural forces of pastoral nomadism, with special reference to camel pastoral nomadism 1972
[228] 저널 Studies on the age of puberty of male camels (''Camelus dromedarius'') in Saudi Arabia 1997
[229] 저널 Das verhalten der Tylopoden 1956
[230] 저널 A note on the sexual behaviour of male camel (''Camelus dromedarius'') 1973
[231] 저널 The dromedary of the Horn of Africa International Foundation for Science 1979
[232] 저널 A preliminary note on the use of milk substitutes in the early weaning of dromedary camels
[233] 저널 Proposal for a rural development training project and study concerned with camel utilization in arid lands in Ethiopia 1979
[234] 저널 Notes on camel production in the Northern districts of the Republic of Kenya ILCA 1969
[235] 저널 Semen-induced ovulation in the bactrian camel (Camelus bactrianus).
[236] 저널 Some reproductive aspects in the female camel 1965
[237] 저널 Reproduction in dromedary camels: an update http://www.cbra.org.[...] 2005-07-09
[238] 저널 The oestrous cycle of the camel (''Camelus dromedarius'') 1978-12-16
[239] 저널 The ovarian follicular wave pattern and induction of ovulation in the mated and non-mated one-humped camel (''Camelus dromedarius'') 1996-03-01
[240] 저널 A study of the genital organs of the female dromedary (''Camelus dromedarius'') 1988-03
[241] 저널 Classification of the dromedary camels http://citeseerx.ist[...]
[242] 저널 Research on the dromedary in Africa http://www.oie.int/d[...] 2018-06-15
[243] 서적 Animal Production and Animal Science Worldwide Wageningen Academic Publishers 2007
[244] 서적 Food and Agriculture Organisation Production Yearbook United Nations 1984
[245] 저널 Camel production systems in Africa http://agtr.ilri.cgi[...] 2018-06-15
[246] 서적 Wildlife Resources : A Global Account of Economic Use Springer
[247] 저널 The camel in Rajasthan: Agricultural biodiversity under threat http://www.pastoralp[...] 2018-06-15
[248] 서적 Animals in Stone : Indian Mammals Sculptured Through Time Brill
[249] 저널 Camelid genetic resources. A report on three Arabian Gulf Countries http://agtr.ilri.cgi[...] 2018-06-15
[250] 서적 Near Eastern Archaeology: A Reader Eisenbrauns
[251] 서적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Volume One: AD W.B. Eerdmans
[252] 서적 Nomads and the Outside World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253] 저널 History and origin of the African camel African Publishing Corporation 1971
[254] 서적 Atlas of the World's Deserts https://archive.org/[...] Fitzroy Dearborn
[255] 서적 Muslim Expansion and Byzantine Collapse in North Afric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6] 서적 North Africa: Contemporary Politics and Economic Development Croom Helm
[257] 저널 The Canarian camel: a traditional dromedary population 2010
[258] 웹인용 Afghan Cameleers in Australia http://www.australia[...] 2016-01-28
[259] 웹인용 The Introduction of camels into Australia http://www.burkeandw[...] The Burke & Wills Historical Society 2016-01-28
[260] 저널 Camel raiding of North Arabian Bedouin: a mechanism of ecological adaptation 1965
[261] 서적 With the Cameliers in Palestine Naval & Military Press 1938
[262] 서적 Environmental Physiology of Animals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263] 저널 Riding camels of the Sudan 1962
[264] 저널 Camel and their management 1957
[265] 저널 Notes on the camel in the eastern Sudan 1932
[266] 저널 Camel care 1966
[267] 저널 Chemical composition and nutritional quality of camel milk 1984
[268] 저널 Heat coagulation of camel milk 1992
[269] 저널 Milk production of the dromedary http://www.cabdirect[...]
[270] 저널 Pakistan camels. A preliminary survey. http://www.cabdirect[...] 1957
[271] 저널 The camel as a meat and milk animal http://agris.fao.org[...] 2018-06-16
[272] 저널 The utilisation of camels’ milk 1959
[273] 저널 Dromedary milk lactic acid fermentation: microbiological and rheological characteristics
[274] 저널 Saudi Arabia: use of bovine calf rennet to coagulate raw camel milk 1987
[275] 서적 Dromadaires et chameaux, animaux laitiers: actes du colloque CIRAD
[276] 저널 Camels' milk and milk products 1970
[277] 서적 Camel meat: A new promising approach to the solution of meat and protein in the arid and semi-arid countries of the world Ministry of Agriculture, Tehran 1970
[278] 저널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meat and fat of the one-humped camel (''Camelus dromedarius'')
[279] 저널 Slaughterhouses and humane treatment 1994
[280] 서적 Camel Meat and Meat Products CABI 2013
[281] 논문 A review of the growth, and of the carcass and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one-humped camel (''Camelus dromedarius'') 2008
[282] 논문 Plague from eating raw camel liver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