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분각 (점성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십분각은 고대 이집트, 헬레니즘, 인도, 동아시아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사용된 점성술의 한 요소이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데칸(decans)으로 불리며, 36개의 별자리로 구성되어 시간 측정과 달력 제작에 활용되었다. 헬레니즘 점성술에서는 각 별자리를 3개의 십분각으로 나누어 행성 지배, 바람, 체액 등과 연결하여 사용했다. 인도에서는 드레카나(drekkāṇa)로 불리며, 야바나자타카와 브리하트-삼히타에 언급되어 다양한 점성술적 예측에 활용되었다. 일본 점성술에서도 데칸이 사용되었으며, 현대 한국 사회에서도 서구 점성술의 영향을 받아 데칸이 활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이집트의 천문학 - 누트 (이집트 신화)
누트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하늘을 상징하며 대지의 신 게브의 배우자이자 오시리스, 이시스, 세트, 네프티스의 어머니로, 태양신 라를 매일 삼켰다가 다시 낳는 죽음과 재생의 여신이자 사후 세계로 들어가는 죽은 자들을 보호하는 여신으로 숭배받았다. - 고대 이집트의 천문학 - 덴데라 황도대
덴데라 황도대는 이집트 덴데라의 하토르 신전 천장에 새겨진 원반 형태 조각으로, 그리스-로마 및 이집트 양식의 황도대 별자리가 묘사되어 있으며, 제작 시기를 두고 논쟁이 있었으나 최근 기원전 50년경으로 추정되고 로제타석과 함께 이집트 반환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 별자리 - 황도대
황도대는 황도를 따라 분포하는 별자리 영역 또는 별자리들을 가리키는 천구상의 띠로, 천문학에서 황도 좌표계의 기초를 이루지만 주로 점성술에서 12궁도의 기준으로 사용되며, 춘분점 세차 운동으로 천문학적 별자리와 점성술적 별자리의 경계가 달라진다. - 별자리 - 화로자리
화로자리는 남반구 별자리로, 화학 실험 도구인 화로를 상징하며, 허블 울트라 딥 필드와 화로자리 은하단 등 심원 천체를 포함하고 있다. - 성군 - 북두칠성
북두칠성은 큰곰자리의 꼬리 부분에 위치한 일곱 개의 밝은 별로 이루어진 별자리로, 북반구에서 계절에 상관없이 관측 가능하며 북극성을 찾는 길잡이 별자리로 유명하고, 고대부터 항해와 천문학 연구에 활용되었으며 여러 문화권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신화와 전설에 등장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양이 변화한다. - 성군 - 겨울의 대삼각형
겨울의 대삼각형은 북반구 밤하늘에서 시리우스, 베텔게우스, 프로키온을 꼭짓점으로 하여 12월부터 3월 사이에 뚜렷하게 보이는 가상의 삼각형이다.
십분각 (점성술) | |
---|---|
십분각 정보 | |
어원 | 그리스어 δέκανος (데카노스, "10분의 1") |
정의 | 36개의 별자리 그룹으로, 황도의 360도를 각각 10도씩 나눔 |
기원 | 고대 이집트 천문학 |
용도 | 시간 측정, 점성술 |
역사 | |
기원전 2100년경 | 이집트 제1중간기, 관 뚜껑 별 시계에 처음 등장 |
기원전 9세기 | 이집트에서 12개의 밤 시간마다 십분각 목록 사용 |
프톨레마이오스 | "알마게스트"에서 십분각의 중요성 강조 |
헬레니즘 점성술 | 각각의 십분각에 행성 주인을 할당 (이집트식 순서 또는 칼데아식 행성 순서) |
점성술 | |
황도대 관련성 | 각 별자리를 세 개의 십분각으로 나눔 |
주인 행성 | 각 십분각에는 고유한 주인 행성이 있으며, 이는 개인의 운세에 영향 |
해석 | 십분각은 성격, 재능, 삶의 사건에 대한 추가적인 통찰력 제공 |
2. 고대 이집트의 데칸
데칸은 기원전 2100년경 제10왕조 시대의 관 뚜껑에서 처음 나타났다. 데칸은 소티스에서 시작되는 항성의 연속적인 양식을 보였고, 각각의 데칸은 신들과 상응하는 항성들의 무리를 포함했다. 데칸의 출몰은 시간 측정에서 시(時, hour)를 표시했고, 열흘씩의 집합은 이집트의 달력을 구성했다.[9]
36개의 데칸(36 X 10 = 360일)이 있어, 태양년에 근거하는 한 해인 365일을 만들기 위해 5일이 추가되었다. 현재의 항성시와 태양년으로 측정된 데칸들은 6시간이 더 길다. 이집트의 역법에서는 1460년마다 소티스년과 태양년이 재편성된다. 세티 1세와 같은 후일의 왕조들의 관뚜껑에서 표현된 데칸은 초기의 데칸 묘사에 비해 소티스와 태양 사이의 이동을 증명한다.
사라 시몬스에 따르면, 십분각의 이름과 번역은 알 수 있지만(''ḥry-ỉb wỉꜣ''는 '배의 중심'을 의미함), 십분각 별의 위치와 현대 별 이름 및 별자리와의 관계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이는 여러 요인 때문이지만, 주요 문제는 대각선 별 테이블을 개발하고 채우는 데 사용된 관측 방법과 십분각을 선택하는 데 사용된 기준(밝기, 위치, 다른 별과의 관계 등)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이다.
2. 1. 기원과 초기 형태
기원전 2100년경 제10왕조 시대의 관 뚜껑에서 데칸이 처음 나타났다. 데칸은 시리우스(소티스)에서 시작되는 항성의 연속적인 양식을 보였고, 각각의 데칸은 신들과 상응하는 항성들의 무리를 포함했다. 데칸의 출몰은 시간 측정에서 시(時, hour)를 표시했고, 열흘씩의 집합은 이집트의 달력을 구성했다.[9]36개의 데칸(36 X 10 = 360일)이 있어, 태양년에 근거하는 한 해인 365일을 만들기 위해 5일이 추가되었다. 현재의 항성시와 태양년으로 측정된 데칸들은 6시간이 더 길다. 이집트의 역법에서는 1460년마다 소티스년과 태양년이 재편성된다. 세티 1세와 같은 더 후일의 왕조들의 관뚜껑에서 표현된 데칸은 초기의 데칸 묘사에 비해 소티스와 태양 사이의 이동을 증명한다.
2. 2. 역할과 의미
각 데칸은 특정 신들과 연결되었으며, 10일 주기의 시간 단위를 나타냈다.[9] 36개의 데칸은 이집트 달력의 기본 단위를 구성했고, 태양년과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5일이 추가되었다.[9]십분각은 처음 제10왕조(기원전 2100년)의 관 뚜껑에 나타났다. 이 별 패턴의 시퀀스는 소티스로 시작했으며, 각 십분각은 별의 집합과 해당하는 신들을 포함했다. 시간의 척도로서, 십분각의 출현과 몰락은 '시간'과 이집트 연도를 구성하는 10일의 그룹을 표시했다. 고대 ''누트의 서''는 십분각의 주제를 다룬다.
36개의 십분각(36 × 10 = 360일)이 있었고, 태양력 365일을 구성하기 위해 5일이 추가되었다. 십분각은 항성시를 측정하며, 태양년은 6시간 더 길다. 이집트 달력에서 소티스 년과 태양년은 1460년마다 재정렬된다. 후기 왕조(예: 세티 1세 왕)의 관에 표현된 십분각은 초기 십분각 이미지와 비교하여 소티스-태양 이동을 보여준다.
2. 3. 소티스 주기와 데칸의 변화
이집트 달력은 소티스 (시리우스)의 주기와 태양년의 차이로 인해 약 1460년마다 재조정되었으며, 이는 세티 1세와 같은 후기 왕조의 데칸 묘사에 반영되었다.[9]3. 점성술에서의 데칸
헬레니즘 시대 이후 데칸은 점성술과 결합하여 개인의 운명 예측에 사용되기 시작했다. 점성술에서 십분각(데칸)은 다음과 같이 활용된다.[10]
별자리 | 첫 번째 십분각 (0~9.999도) | 두 번째 십분각 (10~19.999도) | 세 번째 십분각 (20~29.999도) |
---|---|---|---|
양자리 | 화성 | 태양 | 목성 |
황소자리 | 지구 | 세레스 | 토성 |
쌍둥이자리 | 수성 | 금성 | 천왕성 |
게자리 | 달 | 명왕성 | 해왕성 |
사자자리 | 태양 | 목성 | 화성 |
처녀자리 | 세레스 | 토성 | 지구 |
천칭자리 | 금성 | 천왕성 | 수성 |
전갈자리 | 명왕성 | 해왕성 | 달 |
사수자리 | 목성 | 화성 | 태양 |
염소자리 | 토성 | 지구 | 세레스 |
물병자리 | 천왕성 | 수성 | 금성 |
물고기자리 | 해왕성 | 달 | 명왕성 |
이 표에서 주인지위는 토성, 목성, 화성, 태양, 금성, 수성, 달 순서로 반복되는 "칼데아식" 순서를 따른다. 이 순서는 지구에서 관측되는 각 행성의 이동 속도에 대한 개념을 반영하여, 태양을 중심에 놓고 태양과 지구 사이의 행성들과 바깥 행성들을 배치한 것이다.
3. 1. 헬레니즘 점성술의 수용
헬레니즘 점성술이 알렉산드리아에서 등장한 후, 클라우디우스 프톨레마이오스와 베티우스 발렌스의 저서에 주로 기록되었으며, 데칸에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고 이를 "떠도는 별"(수성, 금성, 화성, 목성 및 토성)과 "광"(태양과 달)과 연결하는 다양한 체계가 등장했다.[10] 데칸은 바람, 사방, 종파(낮 또는 밤), 남성 및 여성뿐만 아니라 네 가지 체액(원소)과도 연결되었다.[10] 또한 이것들은 다양한 질병과 그들을 치료하기 위한 부적의 조각 시기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10] 각 황도대 별자리에는 세 개의 데칸이 할당되고, 각 데칸은 황도대의 10°를 커버하며, 각 데칸은 행성 지배자에 의해 지배되는 시스템(데칸(점성술) 참조)은 점성술 별자리와 상관관계가 있었다.[10]3. 2. 중세 및 르네상스 시대의 발전
중세 점성술에서 데칸(또는 페이스)은 행성의 전체적 강도에서 약 1/15 정도를 표현하며, 본질적 위계에서 가장 작은 중요도를 갖는다고 여겨졌다.[10] 데칸은 이집트인들이 연간 태양 달력의 구분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시리우스의 헬리악 현상은 나일강의 연간 홍수를 나타내는 지표였다.이러한 방식은 계절에 따라 길이가 달라지는 12개의 낮 시간과 12개의 밤 시간 시스템으로 이어졌고, 이후에는 24개의 "균시적" 시간 시스템이 사용되었다. 헬레니즘 점성술이 알렉산드리아에서 등장한 후, 프톨레마이오스와 베티우스 발렌스의 저서에 기록된 것처럼, 데칸에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고 이를 "떠도는 별"(수성, 금성, 화성, 목성 및 토성)과 "광"(태양과 달)과 연결하는 다양한 시스템이 나타났다.
데칸은 바람, 사방, 종파(낮 또는 밤), 남성 및 여성, 그리고 네 가지 체액(원소)과 연결되었다. 또한, 데칸은 다양한 질병과 그 치료를 위한 부적의 조각 시기와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여겨졌다. 각 황도대 별자리에 세 개의 데칸이 할당되었고, 각 데칸은 황도대의 10°를 차지하며, 각 데칸은 행성 지배자에 의해 지배되는 시스템(데칸(점성술) 참조)은 점성술 별자리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3. 3. 칼데아식 행성 순서
데칸의 주인지위는 토성-목성-화성-태양-금성-수성-달 순서의 "칼데아식" 행성 순서를 따른다.[10] 이 순서는 지구에서 관측되는 행성의 이동 속도에 대한 고대인들의 관점을 반영한 것으로, 태양이 연속체의 중심에 놓이고 태양과 지구 사이의 행성들은 한쪽에, 바깥 행성들은 다른 한쪽에 놓인다.4. 고대 인도의 데칸 (드레카나)
고대 인도에서 황도대를 10도씩 36개 구간으로 나눈 것을 드레카나(drekkāṇa), 드레스카나(dreṣkāṇa) 또는 드리카나(dṛkāṇa)라고 부른다.[11] 이러한 드레카나는 그리스-이집트의 영향을 받아 인도 점성술에 도입되었다.[12]
4. 1. 드레카나의 도입과 발전
드레카나의 사용과 그 도상은 야바나자카타(269~270년)의 스푸지드바자에 최초로 언급되었으며, 브리하트-삼히타(550년)의 바라하미히라에서 상세히 다루어진다.[12] 현대 학자들은 이집트인들로부터 그것을 배운 그리스인들을 통해 인도로 유입되었다고 여긴다.[12]4. 2. 드레카나의 다양한 활용
인도 점성술에서 황도대를 10도씩 36개 구간으로 분할한 것을 드레카나(drekkāṇa), 드레스카나(dreṣkāṇa) 또는 드리카나(dṛkāṇa)라고 부른다.[11] 드레카나의 사용과 그 도상은 야바나자카타(269~70년)의 스푸지드바자가 최초로 언급했으며, 브리하트-삼히타(550년)의 바라하미히라가 상세히 다루었다.[12] 현대 학자들은 이집트인들로부터 그것을 배운 그리스인들을 통해 인도로 유입되었다고 여긴다.[12]인도 점성술에는 드레카나를 활용하는 여러 방법이 있다. 파리브리티 드레카나는 별자리 순서대로 진행되는데, 예를 들어 첫 번째 십분각은 양자리이며 두 번째 십분각은 황소자리, 세 번째 십분각은 쌍둥이자리, 네 번째 십분각은 게자리인 식이다. 또한 각 별자리에는 원소를 공유하는 삼궁이 있다. 예를 들어 양자리에는 양자리, 사자자리, 사수자리가 있으며, 황소자리에는 황소자리, 처녀자리, 염소자리가 있다. 드레카나를 배치하는 방법은 총 네 가지이다. 인도의 점성가들은 예언을 목적으로 그러한 별자리(바르가)를 계산하여 별자리 배치에 근거하는 새로운 천궁도를 생성한다.
5. 동아시아의 데칸
동아시아의 점성술 기록에서도 십분각(데칸)의 개념이 발견된다. 중국에서는 초기 중국 점성술과 인도 점성술의 영향으로 십분각이 활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6. 현대 한국 사회와 데칸
현대 한국 사회에서 점성술의 데칸(십분각)은 거의 활용되지 않으며, 주로 서양 점성술의 전통적인 해석 방식이 주류를 이룬다.
참조
[1]
인용
[2]
인용
[3]
인용
[4]
인용
[5]
사전
Monier Williams Sanskrit Dictionary
2024-01
[6]
서적
The Exact Sciences in Antiquity
Dover Publications
[7]
간행물
Hermès Trismégiste, Le livre sacré sur les décans. Texte, variantes et traduction française
1908-10
[8]
기타
Matheseos IV/22
[9]
서적
The Egyptian Calendar a Work for Eternity
London
[10]
서적
Christian Astrology
London
[11]
사전
Monier Williams Sanskrit Dictionary
[12]
간행물
The Indian Iconography of the Decans and Hora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