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시마 방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쓰시마 방언은 쓰시마 섬에서 사용되는 일본어 방언으로, 섬의 산악 지형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동질적인 특징을 보인다. 쓰시마 방언은 규슈 본토 방언, 특히 히치쿠 방언과 유사하며, 일부 호니치 방언의 요소도 관찰된다. 쓰시마 섬 남쪽 끝의 쓰쓰 지역은 다른 지역과 차이를 보이며, 쓰시마의 정치·문화적 중심지인 이즈하라에서 새로운 어휘적 특징이 확산되었다.
쓰시마 방언의 어휘는 일반적으로 다른 지역에서도 발견되지만, 'wam'(둥근 모양의 계곡)과 'sae'(좁은 계곡)와 같은 고유한 단어도 존재한다. 쓰시마는 지리적 근접성 때문에 한국어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실제로는 한국어 차용어가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한국어 차용어로는 'yanban'(양반), 'pē'(배), 'chonga'(총각) 등이 있으며, '고구마'와 같은 단어는 한국어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쓰시마 방언의 억양은 도쿄식 억양의 변종이며, 문법적으로는 상2단 활용과 하2단 활용을 모두 유지하고, 조사 사용에 있어서도 표준어와 다른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규슈 방언 - 미야자키 방언
미야자키 방언은 미야자키현에서 사용되는 일본어 방언으로, 휴가 방언, 모로카타 방언, 히가시모로 방언으로 나뉘며, 연모음 융합, 특이한 조동사 및 종조사, 고유 어휘 등의 특징을 보인다. - 규슈 방언 - 오이타 방언
오이타 방언은 규슈 지방 오이타현에서 사용되는 규슈 방언의 중부 방언으로, 지역별 차이, 표준어와 다른 음운, 문법, 어휘 특징, 억양, 어미 사용, 독특한 어휘를 통해 오이타현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며, 호히 방언, 료호 방언과 관련되고 분고 방언, 히타 방언 등으로 나뉜다. - 언어 접촉 - 고유어
고유어는 특정 언어에서 자생적으로 발생한 어휘를 지칭하는 용어이지만, 객관주의적 및 주관주의적 접근 방식의 차이로 인해 정의와 분류 기준이 다양하며, 언어 순화 운동과 같은 사회적 요인과도 관련되어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한 개념이다. - 언어 접촉 - 기층 언어
기층 언어는 특정 언어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 언어 체계로, 어휘, 음운, 문법 등에 영향을 주며, 프랑스어의 골어 영향처럼 상층 언어와의 관계 속에서 언어 변화와 크리올 언어 형성에 관여한다.
쓰시마 방언 | |
---|---|
개요 | |
이름 | 쓰시마 방언 |
원어명 | 対馬方言 (쓰시마 호겐) |
사용 국가 | 일본 |
사용 지역 | 나가사키현 쓰시마섬 |
언어 계통 | 일본어족 일본어 규슈 방언 히치쿠 방언 |
ISO 639-3 | 방언 (dialect) |
Glottolog | tsus1237 |
Glottolog 명칭 | Tsushima-ben |
2. 분류
쓰시마 방언은 규슈 본토 방언과 전반적으로 유사하지만, 정확히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는 여전히 미지수이다. 히치쿠 방언(규슈 북서부)으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호니치 방언(규슈 동부)과 유사한 요소도 관찰된다. 일반적으로 쓰시마의 억양 체계는 히치쿠 방언의 지쿠젠 하위 그룹의 변형으로 볼 수 있다.[1]
2. 1. 쓰쓰 지역 방언
쓰시마는 산악 지형의 섬임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동질적인 방언을 가지고 있다. 유일한 예외는 섬 남쪽 끝에 위치한 쓰쓰이다. 오쿠무라(1990)는 쓰시마의 정치·문화적 중심지인 이즈하라에서 새로운 어휘적 특징이 파동처럼 확산되었다고 가정했다. 이러한 특징은 지리적으로 고립된 쓰쓰 지역 사회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1]쓰시마 방언이 규슈 본토 방언과 전반적으로 유사하다는 것은 분명하지만, 정확히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는 여전히 미지수이다. 쓰시마 방언은 종종 히치쿠(규슈 북서부) 방언으로 분류되지만, 일부 호니치(규슈 동부)와 유사한 요소도 관찰된다. 일반적으로 쓰시마의 억양 체계는 히치쿠 방언의 지쿠젠 하위 그룹의 변형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오쿠무라(1990)는 쓰시마의 쓰쓰 억양 체계는 지쿠젠과 유사한 조상을 가질 수 없으며, 호니치 방언의 부젠 하위 그룹에 더 가깝다고 주장했다. 그는 쓰쓰가 쓰시마의 다른 지역보다 더 보수적이라는 점을 들어 지쿠젠에 속한다는 주류 견해에 의문을 제기했다.[1]
3. 어휘
쓰시마 방언은 고대 관습이 잘 보존되어 있어 민속학자들의 관심을 끌었지만, 언어학자들은 그 어휘가 일본의 다른 지역에서도 흔히 발견될 수 있기 때문에 흥미롭지 않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다. 쓰시마 고유의 단어로는 'wam'(둥근 모양의 계곡)과 'sae'(좁은 계곡)가 있다.[2]
3. 1. 한국어 차용어
쓰시마 방언은 한국어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쓰시마가 한국과 지리적으로 가깝고, 일본의 대(對) 한국 외교에서 특별한 역할을 했기 때문에 언어학자들은 쓰시마 방언이 한국어의 영향을 어느 정도 받았을 것으로 예상했다.[3] 그러나 섬에 대한 접근이 전략적 중요성 때문에 군대에 의해 제한되면서 현장 조사를 통해 가설을 검증하기 어려웠다. 1950년과 1951년에 일본 언어학회는 다른 여러 학회와 함께 본격적인 조사를 실시했고, 한국어가 쓰시마 방언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사실에 놀랐다.와니우라 최북단 지역에서 발견된 한국어 차용어는 'yanban'(양반에서 유래, "부자"), 'pē'(배에서 유래), 'chonga'(총각에서 유래, "미혼 [한국] 남자") 등 몇 가지뿐이었다.[2][4][5] 이 단어들은 토착화되지 않았고, 외국에서 유래했다는 인식을 가지고 사용되었다. 고구마는 규슈 남부에서 'kōkō-imo'라고 불리지만, 북쪽으로 갈수록 한국어 형태에 가까워진다. 쓰시마 중서부에서는 'kōkomo', 쓰시마 북부에서는 'kogomo'라고 불리는 것으로 보아, 한국어 '고구마'가 쓰시마 방언에 차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4][5]
지리적·역사적 경위로 인해, 조선어에서 차용된 단어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쓰시마 방언에서는 조선어의 "도망(トーマン) 갔다"를 야반도주의 의미로 사용한다. 또한 친구를 "칭구", 바지를 "팟치"라고 하는데, 이는 모두 한국어의 친구(チング)와 바지(パジ)에 대응한다.
4. 음운
쓰시마 방언의 억양 유형은 도쿄식 억양의 변종이다. 사용 지역 대부분에서 두 음절 명사의 대부분이 '제가'(바람이), '토가'(소리가), '시가'(발이), '미가'(바다가), '키가'(가을이)처럼 처음이 높은 두음 높이형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3유형에서 두 번째 음절이 광모음을 갖는 경우에는 '야가'처럼 미고음형이 된다.
5. 문법
- 상2단 활용과 하2단 활용을 모두 유지하고 있다.
- 형용사는 카어미가 되지 않고, 표준어나 호히 방언과 같은 이 어미가 된다.
- 주격의 격조사에는 "の"도 사용하지만, 표준어와 같은 "が"를 주로 사용한다.
- 대격도 대부분의 지역에서 "ば"가 아닌, 표준어와 같은 "を"를 사용한다.
- 인용의 조사는 "-っち"이다.
- 원인·이유를 나타내는 접속조사에는 "けん" 등을 사용한다. 역접의 접속조사는 주변부를 중심으로 "ばってん"도 사용되지만, 쓰시마 중심부에서는 "けんどん・けっどん"이 주류이다.
- 준체조사에는 "と" "つ"를 사용한다.
- 종조사는 "-ちゃ"이다. 그 외 종조사에는 "ばな" "ばで"가 있다.
참조
[1]
서적
Hōgen kokugo-shi kenkyū
[2]
서적
Chiiki shakai no gengo bunka
[3]
간행물
Kokugo tokuni Tsushima hōgen ni oyoboshita Chōsen goi no eikyō
[4]
서적
Tsushima no sizen to bunka
[5]
간행물
Tsushima hōgen 1950 nen no chōsa kenkyū
http://opac.kansaig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