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이타 방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이타 방언은 규슈 방언의 하위 방언으로, 오이타현 전역에서 사용되며, 주변 지역 방언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인다. 문법적으로는 동사 활용, 부정 표현, 상태 가능 표현 등에서 특징을 가지며, 조사와 어미 사용에도 고유한 양상을 보인다. 음운 현상으로는 모음과 자음의 변화, 비음의 변동 등이 나타나며, 악센트는 도쿄식 억양을 따른다. 어휘는 고유한 단어들을 포함하며, 오이타현의 문화와 정서를 반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규슈 방언 - 쓰시마 방언
    쓰시마 방언은 쓰시마섬에서 사용되는 일본어 방언으로, 규슈 방언과 유사하면서 호니치 방언의 특징도 일부 보이며, 쓰쓰 지역 방언은 차이를 보이고, 한국어의 영향은 미미하며 독특한 억양과 문법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 규슈 방언 - 미야자키 방언
    미야자키 방언은 미야자키현에서 사용되는 일본어 방언으로, 휴가 방언, 모로카타 방언, 히가시모로 방언으로 나뉘며, 연모음 융합, 특이한 조동사 및 종조사, 고유 어휘 등의 특징을 보인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오이타 방언
개요
언어 이름오이타 방언 (Ōita-ben)
사용 지역일본 오이타현
언어 정보
언어 계통일본어족 일본어 규슈 방언 혼니치 방언
ISO 639-3방언으로 분류됨
Glottologoita1237 (Ōita-ben)
IETF 언어 태그ja-u-sd-jp44

2. 분류

오이타 방언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오이타 방언: 오이타현 전체에서 쓰이는 방언

오이타 방언은 전체적으로 주고쿠 방언시코쿠 방언과 공통성이 강하며, 규슈 방언 중에서는 약간 이질적인 특징을 보인다. 예를 들어, 히치쿠 방언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접속조사 ばってん|밧텐일본어, 형용사의 카 어미, 종조사 ばい|바이일본어와 たい|타이일본어 등을 사용하지 않는다. 다만 히타시 등 현 서부 지역은 예외이다. 악센트는 외륜(外輪) 도쿄식 악센트이다.

한편 오이타현 내 방언은 음운이나 어법, 문법의 차이에 따라 아래와 같이 5가지로 세분화할 수 있다.[8][4]

# 동북 해안 방언(구니사키반도 동부)

# 남부 해안 방언(쓰쿠미시 남부~사이키시분고 수도 연안부)

# 서부 방언(히타시, 구스군 대부분, 나카쓰시 야마쿠니정)

# 북부 방언(1의 지역을 제외한 벳푸시 이북)

# 남부 방언(2의 지역을 제외한 오이타시 이남)

이 중 서부 방언은 히치쿠 방언과 종조사 ばい|바이일본어・たい|타이일본어, 준체언조사 ~つ(と)|츠(토)일본어 등의 특징을 공유한다. 특히 히타 지역 방언(히타벤)은 역접 접속사 ばってん|밧텐일본어, よい|요이일본어・ない|나이일본어의 종지형 카 어미 등을 히치쿠 방언과 공유하며, 악센트와 어휘 면에서도 상당히 유사하다.

동북 해안 방언과 남부 해안 방언은 음운적으로 공통된 특징을 보인다.

3. 지역별 방언

오이타 방언은 전체적으로 주고쿠 방언시코쿠 방언과 공통성이 강하며, 규슈 방언 중에서는 약간 이질적인 특징을 보인다.[6] 예를 들어 히치쿠 방언과 달리 접속조사 ばってん|밧텐일본어, 형용사의 カ 어미, 종조사 ばい|바이일본어와 たい|타이일본어 등을 사용하지 않는다. 다만 히타시 등 서부 지역은 예외이다. 악센트는 외륜(外輪) 도쿄식 악센트이다.

오이타현 내에서는 음운이나 어법, 문법의 차이에 따라 방언을 다음과 같이 5가지로 나눌 수 있다.[8][4]

구분해당 지역
동북 해안 방언구니사키 반도 동부
남부 해안 방언쓰쿠미시 남부 ~ 사이키시분고 수도 연안부
서부 방언히타시, 구스군 대부분, 나카쓰시 야마쿠니정
북부 방언동북 해안 방언 지역을 제외한 벳푸시 이북
남부 방언남부 해안 방언 지역을 제외한 오이타시 이남



이 중 서부 방언은 히치쿠 방언과 공통점을 보이는데, 종조사 ばい|바이일본어와 たい|타이일본어, 준체언 조사 ~つ|토일본어 등이 사용된다. 특히 히타시 지역의 방언(히타벤)은 역접 접속사 ばってん|밧텐일본어을 사용하고, よい|요이일본어나 ない|나이일본어와 같은 단어의 종지형에 カ 어미를 붙이는 점, 악센트 체계, 어휘 등 여러 면에서 히치쿠 방언과 유사하다.

동북 해안 방언과 남부 해안 방언은 음운적인 특징에서 공통점을 보인다.

4. 문법

오이타 방언은 전반적으로 주고쿠 방언시코쿠 방언과 공통점이 많아, 규슈 방언 중에서는 다소 이질적인 특징을 보인다. 예를 들어, 히치쿠 방언에서 흔히 쓰이는 접속조사 '밧텐(ばってん)', 형용사의 カ 어미, 종조사 '바이(ばい)'와 '타이(たい)' 등은 오이타 방언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단, 히타시를 포함한 현 서부 지역은 이러한 히치쿠 방언의 특징 일부를 공유하는 예외적인 경우이다. 악센트는 외륜(外輪) 도쿄식 악센트이다.

오이타현 내 방언은 음운, 어법, 문법적 차이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로 세분화할 수 있다.[8][4]

# 동북 해안 방언: 구니사키 반도 동부

# 남부 해안 방언: 쓰쿠미시 남부 ~ 사이키시분고 수도 연안부

# 서부 방언: 히타시, 구스군 대부분, 나카쓰시 야마쿠니정

# 북부 방언: 1의 지역을 제외한 벳푸시 이북 지역

# 남부 방언: 2의 지역을 제외한 오이타시 이남 지역

이 중 서부 방언, 특히 히타 지역 방언(히타벤)은 히치쿠 방언과 여러 특징을 공유하는데, 대표적으로 종조사 '바이(ばい)·타이(たい)', 준체언조사 '츠(つ, 표준어 と 해당)', 역접 접속사 '밧텐(ばってん)', 그리고 '요이(よい, 좋다)·나이(ない, 없다)'의 カ 어미 종지형 사용 등이 있다. 어휘나 악센트 체계에서도 유사성이 나타난다. 한편, 동북 해안 방언과 남부 해안 방언은 음운적으로 공통된 특징을 보인다.

문법적으로 오이타 방언은 일본 주고쿠 지방의 방언으로부터 상당한 영향을 받았다. 규슈 내 다른 방언들과 비교했을 때, 문미 조동사 たい|타이일본어, 역접 접속사 ばってん|밧텐일본어, 이차 실질 입자 と|토일본어의 사용 빈도가 현저히 낮다. 반면, 강조를 나타내는 어미 -ちゃ|-차일본어나 이유를 설명하는 -けん|-켄일본어은 자주 사용된다.

또한, 고어의 문법 형태가 일부 남아있는 점도 특징이다. 예를 들어, 나행 변격 활용 동사나 상2단 활용·하2단 활용 동사의 활용 형태가 방언에 잔존하고 있다. 자세한 동사, 형용사, 조사의 활용 및 특징은 각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4. 1. 동사

往ぬ (이누)표준어-나 (-na)-니 (-ni)-누 (-nu)-누 (-nu)-네 (-ne)-네 (-ne)오이타 방언-나 (-na)-니 (-ni)-누루 (-nuru)-누루 (-nuru)-누라 (-nura)-네 (-ne), -니요 (-niyo)고어-나 (-na)-니 (-ni)-누 (-nu)-누루 (-nuru)-누레 (-nure)-네 (-ne)



기본형구분활용형
미연형연용형종지형연체형가정형명령형
見える (미에루)표준어-에 (-e)-에 (-e)-에루 (-eru)-에루 (-eru)-에레 (-ere)-에로 (-ero), -에요 (-eyo)
오이타 방언-에 (-e)-에 (-e)-유루 (-yuru)-유루 (-yuru)-유레 (-yure)-에로 (-ero), -에요 (-eyo)
見ゆ (미유)고어-에 (-e)-에 (-e)-유 (-yu)-유루 (-yuru)-유레 (-yure)-에요 (-eyo)
れる (레루)표준어레 (re)레 (re)레루 (reru)레루 (reru)레레 (rere)레로 (rero), 레요 (reyo)
오이타 방언 (re) (re)루루 (ruru)루루 (ruru)루레 (rure)레로 (rero), 레요 (reyo)
る (루)고어레 (re)레 (re)루 (ru)루루 (ruru)루레 (rure)레요 (reyo)



기본형구분활용형
미연형연용형종지형연체형가정형명령형
見る (미루)표준어미 (mi)미 (mi)미루 (miru)미루 (miru)미레 (mire)미로 (miro), 미요 (miyo)
오이타 방언미라 (mira) (mi)미루 (miru)미루 (miru)미라 (mira)미레 (mire), 미요 (miyo)



비축 방언과 유사하게, 1단 활용 동사가 라행 5단 동사처럼 활용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미연형에서 자주 나타난다.

4. 2. 형용사/형용동사

사무우-나루사무이사무이-토키사무케리-랴ー
/사무카리-랴ー



오이타 방언의 형용동사 활용은 다음과 같다.

기본형방언활용형
미연형연용형종지형연체형가정형
静か|しずか일본어(조용하다)|오이타 방언시즈카자로-우、시즈카잣-타、
시즈카니-나루、
시즈카데-아리마스
시즈카-자、
시즈카-나
시즈카나-토키시즈카나리-야
(시즈카나라)



오이타 방언은 표준어의 형용동사인 綺麗だ|きれいだ일본어(깨끗하다), 面倒だ|めんどうだ일본어(귀찮다) 등을 사용하지 않고, 대신 형용사인 美しい|うつくしい일본어(아름답다), せこい일본어(귀찮다)를 사용한다. 이처럼 많은 형용동사가 형용사처럼 활용되는 것이 특징이다.


: 四角だ|しかくだ일본어(네모지다)→しかきい일본어, 真っ青だ|まっさおだ일본어(새파랗다)→まっさいい일본어, 横着だ|おうちゃくだ일본어(게으르다)→おうちゃきい일본어, 賑やかだ|にぎやかだ일본어(번화하다)→にぎやけえ일본어, 気の毒だ|きのどくだ일본어(딱하다)→きのどきい일본어, 真っ直ぐだ|まっすぐだ일본어(똑바르다)→まっすぎい일본어 등.

4. 3. 조사

오이타 방언의 조사는 전체적으로 주고쿠 방언시코쿠 방언과 공통성이 강하며, 규슈 방언 중에서는 다소 이질적인 면을 보인다. 예를 들어, 히치쿠 방언에서 특징적인 접속조사 'ばってん', 형용사의 カ 어미, 종조사 'ばい', 'たい' 등은 오이타 방언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단 히타시 등 현 서부 지역은 예외이다.[4]
부정 표현 및 단정 표현
격조사
준체조사
접속조사
종조사 및 기타 특징적 어미

5. 음운

오이타 방언의 음운은 전반적으로 주고쿠 방언시코쿠 방언과 공통성이 강하며, 규슈 방언 중에서는 다소 이질적인 특징을 보인다. 예를 들어, 히치쿠 방언에서 흔히 사용되는 접속조사 'ばってん', 형용사의 카 어미, 종조사 'ばい', 'たい' 등을 사용하지 않는 점이 다르다(단, 히타시 등 서부 지역은 예외). 악센트는 기본적으로 외륜(外輪) 도쿄식 악센트를 따른다.

오이타현 내에서도 음운, 어법, 문법적 특징에 따라 방언은 크게 다섯 가지로 구분된다.[8][4]



이 중 서부 방언, 특히 히타벤은 히치쿠 방언과 여러 음운 및 어휘 특징을 공유하며[4], 동북 해안 방언과 남부 해안 방언은 음운적으로 서로 공통된 특징을 보인다.

오이타 방언의 전반적인 음운 특징으로는 표준 일본어와 달리 연구개 비음이 없다는 점, 빠른 발화 시 단어 축약이나 구개음화 경향, 자음 연음 현상, 특정 자음 및 모음의 변화, 연모음 융합 등이 있다. 음고 악센트 역시 표준어와 차이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1] 이러한 구체적인 음운 현상과 악센트의 특징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5. 1. 자음

5. 2. 모음

단어 중간이나 끝에 오는 모음 'i'와 'u'가 소리나지 않게 발음되거나 아예 탈락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히타시·쿠스군 지방과 부젠 해안 지역에서 두드러진다.

오이타 방언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모음(연속되는 모음) 융합 현상이 나타난다. 산간 지역의 고령층에서는 연모음 융합으로 인해 생긴 '이단 장음(iː)'이나 '에단 장음(eː)'에서 원래의 자음 발음이 유지되어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는 특징을 보인다. 또한, 연모음 융합으로 생긴 'eː'나 'iː' 바로 앞에 'w' 소리가 덧붙는 경우도 있다.

규슈의 다른 지역 방언과 마찬가지로, 오래된 일본어 발음인 "ou"와 "eu"에서 유래한 소리(합음)가 각각 "uː"와 "juː"로 발음된다. 예를 들어, "大風(ookaze, 큰 바람)"를 "うーかぜ(uukaze)"로, "今日(kyou, 오늘)"를 "きゅー(kyuu)"로 발음하는 식이다. 다만, 구니사키 반도 동부 및 현 남부 해안 지역에서는 표준어와 같이 "oː"와 "joː"로 발음된다.

또한 다음과 같은 모음 변화도 나타난다.

5. 3. 악센트

오이타 방언의 악센트는 대부분 지역에서 외륜(外輪) 도쿄식 악센트로 분류된다. 이는 주고쿠 방언시코쿠 방언과 공통적인 특징이다.[8] 그러나 지역별로 차이가 존재한다.

히타시 대부분 지역은 유형 구분이 적은 도쿄식 변종 악센트(지쿠젠식 악센트와 유사)로 분류된다. 반면, 구마모토현과 인접한 구 가미쓰에촌 및 구 나카쓰에촌 지역은 무악센트 경향을 보여 다른 지역과 대조를 이룬다.[4] 내륙의 구마모토현미야자키현에 가까운 지역에서는 해당 현의 특징인 무악센트 음고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1]

표준어오이타시의 전통적인 악센트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 다음 표는 주요 차이점을 보여준다. 굵은 글씨는 음높이가 높아지는 부분을 나타내며, 굵은 글씨가 없는 단어는 평판형(平板型, 음높이 변화 없이 평탄하게 발음) 악센트이다.

표준어 악센트오이타 방언 악센트단어의미
화살
おの도끼
くも구름
のみ벼룩
ふく
아이아이あいだ사이, 간격
와비あわび전복
이타치 / 이타치いたち족제비
오바상おばさん아줌마 (단, 고모/이모를 의미할 때는 표준어와 동일)
카와라와라かわら기와
키모노きもの기모노
은죠키은죠きんじょ근처
타바코たばこ담배
요코ちよこ치요코 (여자 이름. 미요코, 하루코 등 세 글자 이름에서 흔함)
츠츠지 / 츠츠지つつじ철쭉
타치はたち스무 살
우베우베ゆうべ어젯밤, 저녁
라비와라비わらび고사리
사쿠さく(꽃이) 피다
누쿠ぬく뽑다, 생략하다
이루はいる들어가다
오이おおい많다



명사의 박(拍) 수에 따른 악센트 유형에서도 표준어와 차이를 보인다.

6. 어휘

'''굵은 글씨 부분'''에 강세가 있다. 오이타 방언 단어를 왼쪽에, 해당하는 표준 일본어 단어와 의미를 오른쪽에 나열한다.

7. 오이타 방언 관련 인물/작품

참조

[1] 서적 NHK日本語発音アクセント辞典 新版 NHK Publication 1998
[2] 문서
[3] 문서
[4] 간행물 日本方言の記述的研究 国立国語研究所 1959
[5] 서적 県民性の日本地図 文藝春秋 2001
[6] 문서
[7] 문서
[8] 간행물 日本方言の記述的研究 国立国語研究所 195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