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누케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누케트는 고대 이집트의 여신으로, "껴안는 자" 또는 "포옹하는 자"라는 의미를 지닌다. 나일강 범람의 여신이자 이집트 남부 국경의 수호 여신으로, 사테트와 연관되어 라의 딸로 여겨지기도 했다. 아누케트는 크눔, 사티트와 함께 삼위일체를 이루었으며, 세헤일 섬에 사원이 세워져 숭배받았다. 신왕국 시대에는 나일강 범람 시기에 아누케트 축제가 열렸으며, 사람들은 강에 제물을 던지고 특정 물고기를 먹는 금기가 해제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엘레판티네섬 - 사티스
    사티스는 고대 이집트의 여신으로, 나일강의 범람을 다스리고 풍요를 가져다주며, 전쟁의 여신으로서 파라오의 적을 물리치는 역할을 하고, 크눔의 배우자이자 아누케트의 어머니로 숭배되었다.
  • 하천의 의인화 - 크눔
    크눔은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나일강의 근원을 주관하며 생명을 창조하는 창조신이자 도공신으로, 엘레판티네와 에스나를 중심으로 숭배받았다.
  • 하천의 의인화 - 강가 (여신)
    강가(Ganga)는 힌두교에서 갠지스강을 의인화한 여신으로, 흰 피부에 흰 왕관을 쓰고 악어 위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며 힌두교 신자들에게 가장 신성한 강으로 숭배받는다.
  • 바다와 강의 여신 - 마조
    마조는 푸젠성 출신 무녀 임모니앙으로 여겨지는 해상 수호 여신으로, 항해 안전과 평안을 기원하는 숭배 대상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여러 왕조의 옹호 속에 신앙이 확산되어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으나, 최근 중국 공산당에 의해 정치적 도구로 활용될 우려가 있다.
  • 바다와 강의 여신 - 암피트리테
    암피트리테는 그리스 신화에서 포세이돈의 아내이자 바다의 여신으로, 네레우스와 도리스의 딸이며 포세이돈과의 사이에서 트리톤 등을 낳았다고 전해진다.
아누케트
기본 정보
깃털 장식이 달린 키 큰 머리 장식을 한 여성으로 묘사된 아누케트 여신
깃털 장식이 달린 키 큰 머리 장식을 한 여성으로 묘사된 아누케트 여신
신격 대상나일강의 여신
신성 문자a:n-q:t-B1
숭배 중심지엘레판티네 , 세헬
상징활, 화살, 가젤, 타조 깃털
그리스어 동등 신헤스티아
로마어 동등 신베스타
가족 관계
부모크눔과 사티스
배우자해당 없음
자녀해당 없음

2. 어원

고대 이집트어에서 아누케트는 아누케트(Anuket), '''아나카'''(Anaka)[2] 또는 '''안케트'''(Anqet)로 알려졌다. 그녀의 이름은 "''껴안는 자''" 또는 "''포옹하는 자''"를 의미했다. 그리스어에서는 '''아누키스'''(Anoukis)(Ανουκις|아누키스grc)[3]가 되었으며, 때로는 '''아누키스'''(Anukis)로 표기되기도 했다. interpretatio graeca에서 그녀는 헤스티아 또는 베스타에 해당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3. 역사와 역할

아누케트는 원래 의 딸이었지만, 항상 어떤 식으로든 사테트와 관련이 있었다. 예를 들어, 두 여신 모두 바스테트, 하토르, 세크메트와 함께 "라의 눈"이라고 불렸으며,[2] 둘 다 어떤 식으로든 우라에우스와 관련이 있었다.[2]

아누케트는 나일강 범람의 여신이자 이집트 남부 국경의 수호 여신이었다. 그녀가 팔을 뻗은 모습은 나일강의 형태, 즉 두 개의 지류를 시각적으로 나타낸 것이었을 것이며, 이로 인해 "포옹하는 자"라고 불리게 되었다. 신왕국 시대에는 남부 여신으로서의 측면이 강조되어 "누비아인"이라는 별칭을 얻게 되었다.[4]

아누케트는 빠르게 흐르는 물과 관련이 있었고, 이것이 파피루스와 연관된 이유였다.[4]

4. 숭배

세누스레트 3세와 네페르호테프 1세가 세헤일에서 아누케트에게 제물을 바치는 부조


아누케트는 신 크눔, 여신 사티스와 함께 삼위일체를 이루었다. 그녀는 사티스의 자매이거나[5], 크눔의 젊은 배우자였을 수 있다.[5]

아누케트를 위한 사원이 세헤일 섬에 세워졌다. 비문은 이집트 제13왕조의 파라오 소베크호테프 3세가 이 장소에 그녀를 위한 신사 또는 제단을 봉헌했음을 보여준다. 훨씬 후인 제18왕조 동안 아멘호테프 2세는 여신에게 예배당을 봉헌했다.[6]

신왕국 시대 동안, 엘레판티네에서 아누케트 숭배는 셰무의 첫 달에 여신의 강 행렬을 포함했다. 비문은 이 기간 동안 크눔과 아누케트의 행렬 축제를 언급한다.[7]

아누케 또는 아누키 (아누세, 아누키스, 이스티아, 에스티아, 베스타), N372.2, 브루클린 미술관


의례적으로 나일강이 연례적인 범람을 시작했을 때, 아누케트 축제가 시작되었다. 사람들은 생명을 주는 물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그리고 그녀의 풍요로움이 제공하는 부에서 얻는 이점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강에 동전, 금, 보석 및 귀중한 선물을 던졌다. 이집트 여러 지역에서 신성하게 여겨지는 특정 물고기를 먹는 것에 대한 금기가 이 기간 동안 해제되었는데, 이는 나일강의 물고기 종이 아누케트의 토템이었고, 그녀의 주요 종교 축제의 의식의 일부로 소비되었음을 시사한다. 그녀는 홍수를 가져오는 존재로 여겨졌다.[9]

참조

[1] 서적 The Routledge Dictionary of Egyptian Gods and Goddesses, Revised Edition
[2] 웹사이트 Anuket http://www.ancienteg[...] Ancient Egypt Online 2010
[3] 서적 The Complete Gods and Goddesses of Ancient Egypt https://archive.org/[...] Thames & Hudson
[4] 간행물 The Sexual Symbolism of the Votive Beds’ Decorations and Its Relation to Their Function https://ijthsx.journ[...] 1999-12-01
[5] 서적 Egyptian Mythology: A Guide to the Gods, Goddesses, and Traditions of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6] 서적 Encyclopedia of the archaeology of ancient Egypt Psychology Press
[7] 서적 Egyptology at the Dawn of the Twenty-first Century: Archaeology American Univ in Cairo Press
[8] 웹사이트 Anuket https://ancientegypt[...]
[9] 간행물 Preliminary Observations on the Dendera Zodiac (Egypt) https://www.research[...]
[10] 서적 Egyptian Mythology: A Guide to the Gods, Goddesses, and Traditions of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