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눔은 이집트 신화에 등장하는 신으로, 주로 숫양의 머리를 한 모습으로 묘사된다. 그는 창조신, 도공신, 나일 강의 지배자 등으로 숭배받았으며, 특히 엘레판티네와 에스나 지역에서 중요한 신으로 여겨졌다. 크눔은 인간의 창조와 나일 강의 범람을 관장하는 신으로 숭배되었으며, 그의 숭배는 다양한 의례와 축제를 통해 이루어졌다. 엘레판티네와 에스나에는 크눔을 위한 사원이 존재했으며, 이집트 왕조의 통치자들은 종종 크눔을 숭배하고 그의 권능을 기리는 조형물을 남겼다. 현대 문화에서는 만화 《죠죠의 기묘한 모험》에 등장하는 스탠드의 이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눔 - 쿠푸
쿠푸는 이집트 제4왕조의 파라오로 기자의 대피라미드 건설자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치세는 다양한 정치적, 경제적 활동을 포함하고 후대 전승과 현대 대중문화에서 재해석되고 있다. - 크눔 - 에스나
에스나는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여러 이름으로 불리며 크눔 신전을 비롯한 유적과 알-키사리야 시장 등 중세 시대 유산을 보유한 도시이며, 열대 사막 기후에 속한다. - 나일강 - 수드
수드는 남수단에 위치한 세계적인 습지로 소바트 강 합류 지점부터 뻗어 있으며, 우기에는 최대 130,000km²까지 확장되는 구불구불한 수로, 석호, 갈대밭으로 이루어진 생물다양성의 보고이지만, 내전으로 인한 어려움과 종글레이 운하 건설 계획으로 논란이 있다. - 나일강 - 나일강 삼각주
나일강 삼각주는 이집트 북부의 광대한 충적 평야로 나일강이 지중해로 흘러들면서 형성되었고 비옥한 토지를 제공하는 이집트 농업의 중심지이지만,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침식과 토지 손실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 - 가공의 양 - 여우 이야기
여우 이야기는 중세 유럽 민담 및 문학 작품군으로, 교활한 여우 레나르, 늑대 이젠그림, 사자 노블 왕 등 의인화된 동물들이 인간 사회를 풍자하는 에피소드를 다루며, 《로망 드 르나르》를 시작으로 다양한 형태로 변주되어 유럽 전역에 영향을 미쳤다. - 가공의 양 - 컬트 오브 더 램
컬트 오브 더 램은 어린 양을 조종하여 컬트를 건설하고 관리하며 던전 탐험을 통해 컬트를 확장하는 액션 어드벤처, 로그라이크, 컬트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독특한 게임 플레이와 아트 스타일, 트위치 통합 기능 등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여러 상을 수상했다.
크눔 | |
---|---|
기본 정보 | |
![]() | |
역할 | 창조와 물의 신 |
신성 문자 | |
숭배 중심지 | 엘레판틴, 에스나 |
상징 | 녹로 |
배우자 | 헤케트, 사티스, 네이트, 멘히트, 넵프누트 |
자녀 | 헤카, 세르케트, 아누케트 |
이집트 신화 | |
신화적 역할 | |
창조 | 인간을 녹로에서 빚어 창조했다고 여겨짐. |
나일강 | 나일강의 원천을 관리하고 강의 범람을 조절한다고 믿어짐. |
그 외 | 헤리셰프와도 관련됨. |
2. 어원
크눔의 이름에 자주 나타나는 상형 문자 기호 ''hnm (𓎸)''은 "우물" 또는 "샘"을 의미하는 단어 ''hnmt''에서 파생되었다. 그의 이름은 "양"을 의미하는 셈어 어근과 연결될 수 있으며, "사랑받는 신성한 존재"로 해석될 수도 있다. 크눔은 종종 "나일 강의 도래"를 의미하는 ''iw m hapy''로 묘사된다.[2][4][5][7][9] 또한 라 태양신의 영혼으로서 나일강 급류에서의 그의 역할을 나타내는 크눔-라라고 불리기도 한다. 크눔의 지위와 권능은 "창조신", "도공신", "생명의 주", "들판의 주", "에스나의 주", "선한 보호자", "악어의 주"와 같은 다양한 칭호를 통해 설명된다.[2][4][5][7][9]
크눔 숭배는 엘레판티네와 에스나 두 주요 강변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이 곳들은 신성한 장소로 여겨졌다.[3][10][11] 엘레판티네에서는 사티스, 아누케트와 함께, 에스나에서는 멘히트, 넵투, 네이트, 헤카와 함께 숭배되었다.[3][10][11] 하 이집트에서는 바네브제데트가, 민은 크눔과 관련된 신이었다.[3][10][11]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집트어 단어 ''khn.m''은 크눔의 신성한 창조 능력과 유사하게 "모양을 만들다" 또는 "건축하다"는 의미로 사용되었다.[9] 그의 중요성은 쿠푸의 전체 이름인 크눔-쿠프위("크눔은 나의 보호자")와 같이, 아이들의 신명에도 반영되었으며, 쿠푸는 기자의 대 피라미드를 건설했다.[10]
3. 신앙
엘레판티네 사원과 에스나 사원에서는 고대 의식과 축제가 열렸는데, 그중에는 남성 사제는 참여할 수 없고 임신을 원하는 여성들만 참여하는 다산 의례가 있었다. 에스나 사원에서 늦은 저녁에 열린 이 의식에서 여성들은 크눔을 기리는 숨겨진 조상 앞에서 물레를 바치고 찬송가를 불렀다.[5] "물레 설치"는 파렘하트 달 첫날에 열리는 잔치로 절정에 달했다.[12]
크눔은 주로 양 머리를 한 사람의 모습으로 묘사되며, 이 양은 뿔이 수평으로 뻗는 종(Ovis longipes palaeoaegyptiacus)으로 이집트 중왕국 시대에는 멸종되었다. 라가 명계를 건널 때 숫양의 모습이 되는 것은 오래된 신앙의 흔적으로 여겨진다.
크눔은 인간을 창조한 신으로 여겨지며, 다산을 관장하는 헤케트의 배우자라고도 한다. 크눔 신앙에서는 이 신만이 창조신이며, 찰흙을 반죽하여 다른 신들과 인간 등 만물을 만들어냈다고 여겨진다.
또한 크눔은 수원 관리자이자 나일강의 범람을 관장하는 신으로 여겨진다. 엘레판티네(현재의 아스완)의 수호신으로 남쪽에서 오는 홍수를 관리하며, 평소에는 나일강 수원에 결계가 쳐져 수위가 억제되어 있지만, 크눔이 그 결계를 깨뜨림으로써 물이 넘쳐흘러 홍수가 발생한다고 믿어졌다. 여기서 네이트가 아내라는 신화가 있다.
쿠푸 왕은 크눔-쿠푸(크눔 신이 우리를 지켜주신다는 의미)라고도 불린다.
3. 1. 주요 신전
크눔의 주요 신전은 엘레판티네와 에스나 두 곳에 있었다. 엘레판티네 신전은 크눔 숭배의 중심지였으며, 에스나 신전은 크눔 외에 다른 신들도 함께 모셨다. 각 신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라.
3. 1. 1. 엘레판티네 신전
크눔의 숭배 중심지는 이집트 중왕국 시대에 지어진 사원이 있는 엘레판티네 마을이었다. 크눔은 배우자 사티스, 딸 아누케트와 함께 이집트 제11왕조에 의해 엘레판티네에서 기록되었다. 신왕국 시대에는 지도자들이 기존 사원을 확장하고 엘레판티네 섬에 추가 구조물을 세웠다. 주목할 만한 추가 시설로는 하트셉수트와 투트모세 3세가 감독한 크눔과 사테트의 사원, 그리고 크눔에게 헌정된 역참이 있었다. 그 이후 프톨레마이오스와 로마의 통치자들도 나중에 자신들의 장식을 더했다.[13][14][15][16][17]
엘레판티네 섬에서는 크눔이 숭배했던 숫양이 발굴되었는데, 미라로 만들어지고 황금 머리 장식을 한 채 석관에 안치되었다.[2] 엘레판티네 사원의 직원들과 인근 유대인 사원 사이에 긴장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증거도 발견되었는데, 이는 엘레판티네 직원이 사원을 확장하려 하면서 유대인 공동체에 피해를 입혔기 때문이다.[18]
이집트 제13왕조 시대의 석회암 조각과 같은 유물들은 입구, 의식 묘사가 특징인 장식된 방, 신성한 보트 신전을 포함한 건축 특징을 보여준다. 그리스-로마 시대 크눔 사원의 일부는 중왕국 시대 사테트 사원에서 기원한 것으로 여겨진다.[13] 엘레판티네 맞은편 아스완의 동쪽 둑에 있는 크눔, 사티스, 아누케트는 프톨레마이오스 왕국 시대의 예배당 벽에 묘사되어 있다.[14]
현재 크눔 사원의 몇 안 되는 남은 부분 중 하나는 웅장한 기념비적인 입구이다.[10]
3. 1. 2. 에스나 신전
에스나에는 크눔, 네이트, 헤카를 비롯한 다른 신들에게 헌정된 사원이 있었다. 이 사원의 건설은 프톨레마이오스 시대에 시작되었지만, 현재 남아있는 부분의 대부분은 로마 시대에 세워졌다. 사원은 크눔이 지배자로 여겨지는 밭에 자리 잡고 있었으며, 땅의 비옥함을 유지하고 생명의 지속을 보장하는 역할을 했다. 에스나 사원은 그에게 신, 인류, 식물, 동물을 창조하는 역할을 부여하는 수많은 찬가를 통해 그의 신성한 도공으로서의 역할을 강조한다.[2][5][14][15] 사원 북쪽 벽에는 로마 통치자들이 베푼 은혜가 묘사되어 있으며, 황제들이 올린 헌물과 신들과의 만남이 묘사되어 있다.
사원 내부에서 크눔은 때때로 악어 머리를 한 모습으로 묘사된다. 그의 주요 배우자는 네브트-우우와 멘히트이며, 헤카는 그의 맏아들이자 계승자로 여겨진다. 크눔은 때때로 "아버지들의 아버지"로 불리며, 네이트는 "어머니들의 어머니"로 불린다. 그들은 나중에 라의 부모가 되는데, 라 역시 크눔-레로 불린다.[19]
이집트 신전의 상형 문자 장식은 에스나 사원에서 절정에 달했다.[5] 프톨레마이오스 시대에 지어진 에스나-A는 나중에 황도대와 두 개의 데칸 목록 사이의 연관성을 공식적으로 기록한 최초의 고대 이집트 건축물로 현대에 명성을 얻었다.[20]
현재 부지의 대부분은 폐허로 남아 있으며, 많은 블록이 운하를 건설하는 데 재사용되었다.[20] 사원의 잔해는 현대 주거 지역 아래에 크게 가려져 있다.[10]
3. 2. 신화 속 역할
크눔은 상형 문자 기호 ''hnm (𓎸)''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우물" 또는 "샘"을 의미하며, "양"을 의미하는 셈어 어근과도 연결될 수 있다. "나일 강의 도래"를 의미하는 ''iw m hapy''로 묘사되기도 하며, 라 태양신의 영혼으로서 나일강 급류에서의 그의 역할을 나타내는 크눔-라라고도 불린다.[2][4][5][7][9] 크눔의 지위와 권능은 "창조신", "도공신", "생명의 주" 등 다양한 칭호를 통해 설명된다.[2][4][5][7][9]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집트어 단어 ''khn.m''은 "모양을 만들다" 또는 "건축하다"는 의미로 사용되었다.[9] 쿠푸의 전체 이름인 크눔-쿠프위는 "크눔은 나의 보호자"라는 뜻으로, 기자의 대 피라미드를 건설했다.[10]
크눔은 물레 옆에 앉아 그 위에 형성된 실체를 세우는 모습으로 묘사되며, 이는 그의 창조 행위를 상징한다.[2] 종종 개구리 머리를 한 다산의 여신 헤케트와 함께 묘사되는데, 네크타네보 2세의 맘미시 벽 부조에서 그녀는 물레에서 그를 돕는 모습을 보인다. 크눔과 헤케트는 덴데라 신전에서 신 이히를 조형하는 모습으로도 발견된다.[21]
크눔, 사티스, 아누케트의 조각상과 이시스와 호루스는 람세스 2세의 베이트 엘-왈리 신전을 장식했다.[14] 카르나크의 거대한 열주실 벽에서 크눔은 파라오 람세스 2세와 호루스 옆에 서서 그물을 사용하여 물새를 잡고 있으며, 에스나 신전의 북쪽 안쪽 벽에서도 로마 황제 코모두스와 함께 묘사되어 있다.[5][18]
고대 텍스트에서 크눔은 창조자로 묘사된다. 고왕국 후기의 피라미드 텍스트에서 그는 천국으로 올라가는 나룻배와 사다리를 만든다.[4] 제5왕조는 그를 태양의 배의 창조자로 묘사한다. 중왕국에서 크눔은 관 텍스트의 주문 214에서 인간의 창조자로 칭송받는다.[7] 크눔은 제12왕조의 이푸에르 파피루스에서 기근 동안 활동하지 않는 신으로 언급된다.[15] 신왕국의 '두 형제의 이야기'에서 크눔은 바타의 아내를 창조하는 역할을 한다.[22] 크눔의 역할은 사자의 서로 확장되어, 망자가 네크로폴리스에서 그들에게 반대하는 것을 막는 주문 공식의 일부가 된다.[23]
크눔은 엘레판티네와 에스나 사원 내 수많은 찬가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한다. ''크눔에게 바치는 아침 찬가''는 그를 신 아문과 슈와 연결하여 "생명의 주"로 숭배하고 인간의 몸을 만들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한다. ''크눔에게 바치는 대찬가''는 그를 모든 인간, 신, 동물의 창조자이자, 광물의 제공자이자 식물 생명의 양육자로 찬양한다. 이 찬가는 신체 부위를 형성하고 기능을 할당하는 크눔의 복잡한 장인 정신을 보여준다. 또한 크눔은 이집트 언어와 대조되는 다양한 지역의 다양한 언어를 창조한 것으로도 인정받고 있다. 이 찬가에서 크눔은 이집트 전역에 흩어져 있는 많은 다른 신들의 "바"로 묘사되어 신들과 융합하고 그들의 영혼의 화신을 나타낸다.[12] ''크눔에게 바치는 두 번째 대찬가''에서 찬가는 크눔-라가 하늘을 가로질러 항해하며 남쪽, 북쪽, 동쪽, 그리고 아마도 서쪽에 여신들과 함께 기둥을 세우는 모습을 묘사한다.[26] ''하피 찬가''는 크눔을 나일강의 신과 연결한다.[15]
신 크눔은 이집트 지도자들의 출생 설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종종 그들의 통치를 정당화하는 데 기여한다. 고왕국 시대에는 제5왕조의 사후레 왕이 그의 출생 시 여신 네크베트에게 젖을 먹는 모습이 보이며, 크눔이 그들 곁에서 주재한다.[27] 중왕국 시대의 웨스트카 파피루스에는 여성 루데데트가 세 명의 쌍둥이 왕을 낳는 이야기가 담겨 있다. 크눔과 다른 신들은 변장하여 출산을 돕고, 크눔은 미래 왕들의 몸에 "건강"을 불어넣으며, 보상으로 보리 자루를 받는다.[2][15] 신왕국 시대의 하트셉수트 여왕 역시 그녀의 신성한 탄생 묘사에서 데르 엘-바하리 사원에서 크눔의 물레에서 만들어지는 모습이 묘사되었으며, 그녀에게 "생명, 건강, 힘, 그리고 모든 선물"을 부여했다. 또한 크눔이 "신들 위에 그녀의 모습을 만들었다"는 조각도 있다. 룩소르 신전의 부조에는 크눔이 아멘호테프 3세 왕의 몸과 ''카''를 유사한 방식으로 조각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7]
크눔은 주로 양의 머리를 한 사람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이 양은 뿔이 수평으로 뻗는 종(Ovis longipes palaeoaegyptiacus)으로, 중왕국 시대에는 멸종되었다. 라가 명계를 건널 때 숫양의 모습이 되는 것은 오래된 신앙의 흔적으로 여겨진다.
크눔은 인간을 창조한 신으로 여겨지며, 다산을 관장하는 헤케트의 배우자라고도 한다. 크눔 신앙에서는 이 신만이 창조신이며, 찰흙을 반죽하여 다른 신들과 인간 등 만물을 만들어냈다고 여겨진다.
또한 수원 관리자, 나일강의 범람을 관장하는 신으로 여겨진다. 엘레판티네(현재의 아스완)의 수호신으로 남쪽에서 오는 홍수를 관리한다. 평소에는 나일강 수원에 결계가 쳐져 수위가 억제되어 있지만, 크눔이 그 결계를 깨뜨림으로써 물이 넘쳐흘러 홍수가 발생한다고 믿어졌다. 여기서 네이트가 아내라는 신화가 있다.
3. 3. 숭배 의례
크눔 숭배는 엘레판티네와 에스나 두 주요 강변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이곳은 신성한 장소로 여겨졌다. 엘레판티네에서는 사티스, 아누케트와 함께 숭배되었으며, 에스나에서는 멘히트, 넵투, 네이트, 헤카와 함께 숭배되었다. 바네브제데트는 하 이집트에서 이에 해당하는 신이었다. 크눔은 또한 신 민과 관련이 있다.[3][10][11]
엘레판티네 사원과 에스나 사원에서는 고대 의식과 축제가 열렸다. 그중에는 남성 사제는 참여할 수 없고 임신을 원하는 여성들만 참여하는 다산 의례가 있었다. 에스나 사원에서 늦은 저녁에 열린 이 의식에서 여성들은 크눔을 기리는 숨겨진 조상 앞에서 물레를 바치고 찬송가를 불렀다.[5] "물레 설치"는 파렘하트 달 첫날에 열리는 잔치로 절정에 달했다.[12]
4. 예술 작품에서의 묘사
크눔은 흔히 물레 옆에 앉아 그 위에 형성된 실체를 세우는 모습으로 묘사되는데, 이는 그의 창조 행위를 상징한다.[2] 크눔은 종종 개구리 머리를 한 다산의 여신 헤케트와 함께 묘사되는데, 네크타네보 2세의 맘미시 벽 부조에서 볼 수 있듯이 그녀는 물레에서 그를 돕는 모습을 보인다. 크눔과 헤케트는 또한 덴데라 신전에서 신 이히를 조형하는 모습으로도 발견된다.[21]
크눔, 사티스, 아누케트의 조각상과 이시스와 호루스는 람세스 2세의 베이트 엘-왈리 신전을 장식했다.[14] 카르나크의 거대한 열주실 벽에서 크눔은 파라오 람세스 2세와 호루스 옆에 서서 그물을 사용하여 물새를 잡고 있다. 이는 또한 에스나 신전의 북쪽 안쪽 벽에서도 로마 황제 코모두스와 함께 크눔이 묘사되어 있다.[5][18]
고대 텍스트 전반에 걸쳐 크눔은 창조자로 묘사된다. 고왕국 후기의 피라미드 텍스트에서 그는 천국으로 올라가는 나룻배와 사다리를 만든다.[4] 제5왕조는 그를 특히 태양신 라가 사용하는 배인 태양의 배의 창조자로 묘사한다. 중왕국에서 크눔은 관 텍스트의 주문 214에서 인간의 창조자로 칭송받는다.[7] 크눔은 제12왕조의 이푸에르 파피루스에서 기근 동안 활동하지 않는 신으로 언급되는데, 여기서는 "그는 땅의 상태 때문에 만들지 않는다"고 한다.[15] 신왕국의 세티 2세의 오브리니 파피루스인 '두 형제의 이야기'에서 크눔은 바타의 아내를 창조하는 역할을 한다.[22] 크눔의 역할은 사자의 서로 확장되어, 망자가 네크로폴리스에서 그들에게 반대하는 것을 막는 주문 공식의 일부가 된다.[23]
5. 현대 문화 속 크눔
아라키 히로히코의 1989년 만화이자 이후 TV 애니메이션인 ''죠죠의 기묘한 모험 제3부 스타더스트 크루세이더즈''에서 오잉고-보잉고 형제의 오잉고의 스탠드로 등장한다. 크눔은 인간을 창조한 업적을 참고하여 외모를 바꿀 수 있는 능력을 부여받았다.[28][29]
참조
[1]
논문
A Few Remarks upon the Religious Significance of Animals in Ancient Egypt
https://www.jstor.or[...]
1980
[2]
서적
The Routledge dictionary of Egyptian gods and goddesses
Routledge
2005
[3]
서적
Egyptian Mythology: A Guide to the Gods, Goddesses, and Traditions of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5]
논문
Esna
https://escholarship[...]
UCLA
2011-10-27
[6]
논문
God Heryshef
https://journals.ekb[...]
2020
[7]
논문
"Four Faces on One Neck": The Tetracephalic Ram as an Iconographic Form in the Late New Kingdom
https://fount.aucegy[...]
2021-01-31
[8]
논문
Publication of a funerary stela of (WAH-ib-Ra) GEM 15461 "In the Grand Egyptian Museum"
https://dx.doi.org/1[...]
2022
[9]
논문
321. Theology and Physical Paternity.
https://www.jstor.or[...]
1932
[10]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11]
간행물
Ammon
https://www.newadven[...]
Robert Appleton Company
2008-03-27
[12]
서적
Ancient Egyptian Literature: Volume III: The Late Perio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3]
문서
Report on the 37th season of excavation and restoration on the island of Elephantine.
Online Reports of the Deutsches Archäologisches Institute
[14]
서적
The Complete Temples of Ancient Egypt
Thames and Hudson
[15]
서적
Ancient Egyptian Literature, Volume 1: The Old and Middle Kingdom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6-04-03
[16]
서적
Britannica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Encyclopaedia Britannica, Incorporated
[17]
서적
A Companion to Ancient Egypt
http://dx.doi.org/10[...]
Wiley
2010-04-23
[18]
서적
Ancient Egypt: Anatomy of a Civilization
Taylor & Francis Group
2006-01-13
[19]
문서
Encyclopedia of the Archaeology of Ancient Egypt
Psychology Press
[20]
문서
Reconstruction of the first zodiac: Esna A
Cairo University.
[21]
서적
East-West Dialogue: Individual and Society through Ages
Editura Universul Academic
2019-06-07
[22]
서적
The Literature of Ancient Egypt : An Anthology of Stories, Instructions, and Poetry
Yale University Press
[23]
서적
Ancient Egyptian Literature, Volume II : The New Kingdo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4]
서적
Ramesside Studies in Honour of K.A. Kitchen
https://www.academia[...]
Rutherford Press Limited
[25]
논문
A Stela of the Reign of Tutankhamun from the Region of Kurkur Oasis
https://www.jstor.or[...]
2003
[26]
논문
The Mythological Significance of aHaj.t ; The Goddess of the South
http://dx.doi.org/10[...]
2024-01-01
[27]
논문
Goddess Nekhbet Scenes on Royal Monuments during the Fifth and Sixth Dynasties
2019-03-01
[28]
AV media
JJBA Stardust Crusaders - Khnum's Oingo and Thoth's Boingo - Animation Highlights.
https://www.youtube.[...]
2024-06-21
[29]
웹사이트
Chapter 189
https://jojowiki.com[...]
2024-06-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