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집트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집트어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고대 이집트에서 사용되었으며, 6개의 시대로 구분된다. 초기 이집트어는 기원전 3200년경부터 사용되었으며, 고대 이집트어, 중 이집트어, 신 이집트어, 민중 문자 이집트어(데모틱), 콥트어 순으로 발전했다. 이집트어는 표의 문자와 표음 문자를 모두 사용하며, 상형 문자, 신관 문자, 민중 문자, 콥트 문자로 기록되었다. 어휘는 자음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VSO형 어순을 사용했다가 신 이집트어 시대에 SVO형으로 변화했다. 명사, 대명사, 동사, 형용사 등 다양한 문법적 특징을 가지며, 콥트어는 그리스 문자를 기반으로 한 문자로 이집트어의 마지막 단계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이집트어 - 파라오의 다섯 칭호
    파라오의 다섯 칭호는 고대 이집트 파라오의 신성한 권위를 나타내고 권력, 지위, 신성성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된 공식 칭호이다.
  • 아프리카아시아어족 - 베르베르어파
    베르베르어파는 북아프리카와 사하라 사막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 어족으로, '타마지흐트어'와 혼용되기도 하지만 현대 베르베르어는 비교적 동질적이며 기원 시기는 게르만어파나 로망스어파와 비슷하게 비교적 최근일 가능성이 높다.
  • 아프리카아시아어족 - 유럽의 언어
    유럽의 언어는 인도유럽어족, 우랄어족, 튀르크어족 등 다양한 어족과 언어를 포함하며, 게르만어, 로망스어, 슬라브어 등 여러 언어가 사용되고, 유럽 연합은 24개의 언어를 공식 언어로 지정한다.
  • 아프리카의 사어 - 반달어
    반달어는 동게르만어에 속하며, 과거 반달족이 사용했던 언어로, 언어학적 증거는 부족하지만 고트어 방언이었다는 설 등이 존재하며, 현재는 단편적인 구절을 통해서만 흔적을 엿볼 수 있다.
  • 아프리카의 사어 - 관체어
    관체어는 카나리아 제도의 원주민인 관체족이 사용했던 사멸한 언어로, 베르베르어와의 연관성이 제기되지만 명확히 확정되지는 않았으며, 14세기 초 10진법 숫자 체계와 실보 고메로어 형태가 확인되고 리비코-베르베르 문자와 푸니 문자의 흔적이 남아있다.
이집트어
언어 정보
이름이집트어
고유어 이름르 엔 케메트 (r n km.t)
사용 지역원래는 고대 이집트 전역 및 누비아 일부 (특히 누비아 왕국 시대)
사용자사어 (콥트어는 모국어 화자 수십 명, 제한적 용도의 제2 언어로서 수백-수천 명)
민족고대 이집트인
시대기원전 4천 년기 후반 – 서기 19세기 (콥트어 소멸). 현재 콥트 정교회와 콥트 가톨릭교회의 전례 언어로 사용됨.
어족아프리카아시아어족
사멸 여부사멸
방언상이집트어?
하이집트어?
콥트어 방언
문자상형 문자
초서체 상형 문자
신관 문자
민중 문자
콥트 문자
(후에 정부 번역에 아랍 문자가, 학자들의 음역 및 여러 상형 문자 사전에서 로마자가 사용됨)
ISO 639-2egy (콥트어의 경우 cop)
ISO 639-3egy (콥트어의 경우 cop)
글롯로그egyp1246 (이집트어 (고대))

2. 시대 구분

이집트학 연구자들은 이집트어를 크게 6가지 시대로 구분한다.


  • 초기 이집트어 (기원전 3200년 ~ 기원전 2600년경)
  • 고대 이집트어 (기원전 2600년 ~ 기원전 2000년경)
  • 중 이집트어 (기원전 2000년 ~ 기원전 1300년경)
  • 신이집트어 (기원전 1300년 ~ 기원전 700년경)
  • 데모틱(민중 문자 이집트어) (기원전 7세기 ~ 서기 5세기경)
  • 콥트어 (서기 4세기 ~ 17세기경)


에베르스 파피루스(이집트어로 쓰여진 의학 문서로 천식 치료법에 대해 쓴 부분. 문자는 히에라틱.)


이집트어 최초 기록은 기원전 3200년경의 것으로, 신석기 시대부터 이집트 초기 왕조 시대에 남아있는 비문 등의 기록을 초기 이집트어라고 부른다.

고대 이집트어는 이집트 고왕국부터 이집트 제1중간기까지 기원전 2600년경부터 500년 이상 사용되었다. 피라미드 텍스트와 무덤 벽면에 적힌 고인의 자전적 글 등이 대표적이다. 중 이집트어와 차이는 거의 없지만, 신성 문자 표기에서 명사 복수형을 나타낼 때 표의 문자나 한정 부호 등이 3개 반복되는 특징이 있다.

중 이집트어는 기원전 2000년경부터 700년 이상 사용되었으며, 후에 신 이집트어로 대체되었다. 그러나 이집트어의 고전적인 문체로 규정되어 서기 2세기부터 3세기경까지 기록 언어로 사용되었다.

데모틱(민중 문자 이집트어)은 기원전 650년경부터 서기 5세기경까지 일상 언어로 사용되었다.

콥트어는 서기 4세기 이후의 이집트어를 말한다. 17세기까지 일상 언어로 사용되었으며, 르네상스 시대에는 유럽 학자들이 이집트를 방문하여 모어 화자에게서 콥트어를 배우기도 했다. 오늘날에는 콥트 정교회에서 전례 언어로 보하이릭 방언이 사용된다.

고대, 중간, 신 이집트어는 신성 문자 또는 히에라틱으로 표기되었다. 데모틱은 히에라틱이 더욱 간략화된 문체이며, 문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였다. 콥트어는 그리스 문자그리스어에는 없는 이집트어 발음을 표기하기 위해 데모틱을 바탕으로 한 문자를 추가한 콥트 문자로 표기되었다.

문법적 통합성 관점에서 고대 이집트어와 중 이집트어를 '전기 이집트어', 신 이집트어, 데모틱, 콥트어를 '후기 이집트어'로 나누는 학자도 있다.

2. 1. 초기 이집트어 (기원전 3200년경 ~ 기원전 2600년경)

신석기 시대부터 이집트 초기 왕조 시대까지 남겨진 비문 등의 기록을 통틀어 '''초기 이집트어'''라고 부른다. 이집트어로 된 가장 오래된 기록은 기원전 3200년경의 것이다.[12]

2. 2. 고대 이집트어 (기원전 2600년경 ~ 기원전 2000년경)

이집트 고왕국 시대부터 이집트 제1중간기까지 기원전 2600년경부터 500년 이상에 걸쳐 사용된 이집트어이다. 남겨진 기록은 피라미드 널방 측면에 새겨진 신들에 대한 기도문인 『(Pyramid Texts)』와 무덤 벽면에 새겨진 고인의 자전적 글 등이 대표적이다. 중 이집트어와 차이는 거의 보이지 않지만, 신성 문자 표기에서 명사 복수형을 나타낼 때 표의 문자나 한정 부호 등이 3개 반복되는 점 등 고대 이집트어만의 특징적인 표기법이 보인다.[10][11]

세트페리브센(Seth-Peribsen)의 무덤(기원전 약 2690년)에서 발견된 인장에는 다음과 같은 완전한 문장이 새겨져 있다.

d:D n:fN19:nG38:fM23*L2:t*tO1:F34 s:n
단결시키다.완료.그가[13]땅.두 개를 위해그의 아들파피루스와 꿀벌집-심장.그들의
"그가 그의 아들, 이중왕 페리브센을 위해 두 땅을 통일했다."[14]



기원전 약 2600년부터 방대한 텍스트가 나타난다.[12] 초기 사례로는 메레르의 일기가 있다. 피라미드 텍스트는 이 단계 언어로 쓰인 가장 큰 문학 작품이다. 이 단계 특징 중 하나는 복수를 나타내기 위해 상형 문자, 음표와 결정자를 세 배로 늘리는 것이다. 전반적으로 고대 이집트어는 언어의 고전 단계인 중간 이집트어와 크게 다르지 않지만, 다른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

제3왕조 시대(기원전 약 2650~2575년)에 상형 문자 많은 원칙이 규정되었다. 그때부터 콥트어 초기 형태(약 3~4세기)에 의해 대체될 때까지 이 체계는 사실상 변하지 않았다. 사용된 기호 수조차도 2000년 이상 700개 정도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15]

2. 3. 중 이집트어 (기원전 2000년경 ~ 기원전 1300년경)

중왕국과 그 이후의 제2중간기에 걸쳐 사용된 중 이집트어는 기원전 2000년경부터 약 700년 동안 사용되었다.[16] 이집트어의 고전적인 변형으로서, 중 이집트어는 가장 잘 기록된 방언이며, 이집트학에서 가장 많은 관심을 받았다. 대부분의 중 이집트어는 기념물에 상형 문자로 기록되어 있지만, 흘림체 변종과 관련된 히에라틱을 사용하여 기록되기도 했다.[16]

중 이집트어는 19세기 초 상형 문자 해독과 함께 현대 학문에 처음으로 등장했다. 중 이집트어 최초의 문법은 1894년 아돌프 에르만에 의해 출판되었으며, 1927년 앨런 가디너의 연구에 의해 능가되었다. 그 이후로 중 이집트어는 잘 이해되어 왔지만, 특히 한스 야콥 폴로츠키의 공헌으로 인해 20세기 중반까지 동사 활용의 특정 부분은 수정의 여지가 남아 있었다.[17][18]

중 이집트어 단계는 기원전 14세기경에 끝나고 신이집트어로 이어졌다. 이러한 변화는 고대 이집트 제18왕조( 아마르나 시대로 알려짐)의 후기에 일어났다.

기원전 14세기 이후에도 고대 이집트어와 중 이집트어 원문이 여전히 사용되었다. 학자들에 의해 "Égyptien de tradition|신중간 이집트어프랑스어"라고 불리는, 주로 중 이집트어를 모방했지만 고대 이집트어, 신이집트어, 데모틱의 특징도 지닌 언어는 신왕국 후기부터 공식 및 종교적인 상형 문자와 히에라틱 텍스트에서 신이집트어나 데모틱보다 선호되어 새로운 텍스트의 문학적 언어로 사용되었다. 종교 언어로서의 ''Égyptien de tradition''은 4세기 로마 이집트의 기독교화까지 지속되었다.

중 이집트어는 후에 신 이집트어로 대체되었지만, 이집트어의 고전적인 문체로 규정되어 서기 2세기부터 3세기경까지 기록 언어로 사용되었다.

2. 4. 신 이집트어 (기원전 1300년경 ~ 기원전 700년경)

신 이집트어는 신왕국 시대부터 약 650년간 사용되었다. 신 이집트어는 중기 이집트어를 계승했지만 완전히 대체하지는 않았고, 신왕국 시대의 행정 언어이기도 했다.[19]

이집트 제20왕조 이후 시대부터는 전적으로 신 이집트어로 쓰인 문서가 등장한다. 신 이집트어는 ''웨나문 이야기'', 체스터비티 I 파피루스의 연애시, ''아니의 교훈'' 등 방대한 양의 종교 및 세속 고대 이집트 문학을 보여준다. 교훈은 신왕국 시대에 유행했던 문학 장르로, 올바른 행동에 대한 조언을 담고 있었다. 신 이집트어는 또한 신왕국 시대 행정 언어였다.[20][21]

신 이집트어는 중기 이집트어와 완전히 구분되지 않으며, 이 시대의 역사적, 문학적 문서에는 많은 "고전주의"가 나타난다.[22] 그러나 중기 이집트어와 신 이집트어의 차이는 중기 이집트어와 고대 이집트어의 차이보다 크다. 원래 종합어였던 이집트어는 신 이집트어 단계에 이르러 분석어가 되었다.[23] 중기 이집트어와 신 이집트어의 관계는 라틴어와 이탈리아어의 관계와 유사하다고 설명되어 왔다.[24]

신 이집트어 문어는 신왕국 시대 이후 구어를 중기 이집트어보다 더 잘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약한 자음인 ''ꜣ, w, j''뿐만 아니라 여성형 어미 .t|egy가 점점 생략되었는데, 이는 발음이 중단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지시대명사 pꜣ|egy(남성), tꜣ|egy(여성), nꜣ|egy(복수)는 정관사로 사용되었다. 동사의 옛 형태 sḏm.n.f|egy(그는 들었다)는 미래(그는 들을 것이다)와 완료(그는 들었다)의 양상을 모두 가진 sḏm-f|egy로 대체되었다. 과거 시제는 또한 보조 동사 jr|egy(만들다)를 사용하여 jr.f saḥa.f|egy(그는 그를 고발했다)와 같이 형성되었다. 명사의 속성으로서의 형용사는 종종 명사로 대체된다.

신 이집트어 단계는 기원전 8세기경에 끝나 데모틱으로 이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2. 5. 민중 문자 이집트어 (데모틱) (기원전 7세기 ~ 서기 5세기경)

'''민중 문자 이집트어'''(민중어)는 기원전 650년경부터 서기 5세기경까지 일상 언어로 사용된 이집트어이다.[12] 데모틱은 히에라틱이 더욱 간략화된 문체이며, 문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였다.

데모틱(Demotic)은 신 이집트어(Late Egyptian) 다음에 나타나고 콥트어(Coptic) 이전에 사용된, 데모틱 문자로 쓰인 이집트어의 후기 발전 단계이다. 데모틱은 후기 이집트어와 많은 부분을 공유한다. 초기 데모틱 문자로 쓰인 텍스트와 같은 초기 단계에서는 당시 구어체를 반영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데모틱의 사용이 문학적, 종교적 목적으로 점점 제한됨에 따라, 기록 언어는 구어체와 점점 더 큰 차이를 보이게 되었고, 프톨레마이오스 시대의 고대 중간 이집트어(Classical Middle Egyptian) 사용과 유사하게 후기 데모틱 텍스트와 당시 구어체 사이에 상당한 이중 언어 사용이 발생했다.

데모틱어 음운론에 대한 가장 중요한 정보원은 콥트어이다. 데모틱어의 자음 목록은 콥트어 방언의 증거를 바탕으로 재구성될 수 있다.[31] 데모틱어의 철자법은 상대적으로 불투명하다. 데모틱어의 "알파벳" 기호는 대부분 상형 문자에서 유래되었으며, 역사적인 음운 변화로 인해 항상 데모틱어 음소에 명확하게 대응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데모틱어 문자는 에 대한 기호의 사용과 같이 특정한 철자법상의 혁신을 보여주는데, 이것은 이집트어의 초기 형태에는 없었던 소리를 나타낼 수 있게 해준다.

데모틱어 자음은 파열음(파열음, 마찰음)과 유성음(유사음, 비음, 반모음)의 두 가지 주요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성문은 대조적인 특징이 아니며, 모든 파열음은 무성음이고 모든 유성음은 유성음이다. 파열음은 유기음 또는 무기음일 수 있지만, 특정 환경에서 유기음이 무기음과 합쳐진 증거가 있다.

다음 표는 데모틱 이집트어의 자음을 보여준다. 음소의 재구성된 값은 IPA 전사로 표시되며, 그 뒤에 해당하는 데모틱어 "알파벳" 기호의 전사가 꺾쇠 괄호(<>) 안에 온다.

데모틱 이집트어 자음
colspan=2|순음치음치경후음경구개음연구개음인두음성문음
비음
파열음유기음

<ṯ>
무기음<ḏ ṯ>
마찰음<š><ẖ ḫ><ḥ>
유사음<ꜥ>



데모틱어-콥트어 음운 대응
데모틱어
철자
데모틱어
음소
콥트어 반영
고대 콥트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6. 콥트어 (서기 4세기 ~ 17세기경)

콥트어는 서기 4세기 이후의 이집트어를 말한다. 그리스 문자를 기반으로 한 콥트 문자로 표기되었는데, 콥트 문자는 그리스어에는 없는 이집트어 발음을 표기하기 위해 데모틱을 바탕으로 한 문자를 추가했다.[12] 17세기까지 일상 언어로 사용되었으며, 르네상스 시대에는 유럽 학자들이 이집트를 방문하여 모어 화자에게서 콥트어를 배우기도 했다. 이집트 지방에서는 그 후에도 수세기 동안 구어로 남아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오늘날에는 콥트 정교회에서 전례 언어로 보하이릭 방언이 사용된다.

3. 언어 구조

이집트어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인다.

이집트어의 단어는 셈어파에서 보이는 명사의 "status constructus"와 같은 어형 변화를 보인다. 예를 들어, 현대 언어로는 아랍어의 이다파나 히브리어의 스미후트가 이에 해당한다.

이집트어와 아프로아시아어 간의 동족어 집합을 확립하려는 두 가지 이론에는 전통적인 이론과 오토 뢰슬러(Otto Rössler)가 창시한 "신 비교언어학 (neuere Komparatistik)"이 있다.[6] 신 비교언어학에 따르면, 이집트어에서 원시 아프로아시아어의 유성 자음 /d z ð/는 인두 자음 ꜥ /ʕ/로 발전했다. 두 학파 모두 원시 아프로아시아어 /l/이 이집트어 n, r, ꜣ, j와 서면 언어를 기반으로 한 방언에서 합쳐졌지만 다른 이집트 방언에서는 보존되었다는 데 동의한다. 또한 원래의 /k g ḳ/가 어떤 환경에서는 ṯ j ḏ로 구개음화되고 다른 환경에서는 k g q로 보존된다는 것에도 동의한다.[6]

이집트어는 셈어가 삼자음 어근을 선호하는 것과 대조적으로 많은 이자음 및 어쩌면 단자음 어근을 가지고 있다. 이집트어는 아마도 더 보수적이며, 셈어는 나중에 어근을 삼자음 패턴으로 변환하는 규칙화를 거쳤을 가능성이 높다.[5]

이집트어는 기록된 형태로 가장 오래된 아프로아시아어이지만, 그 형태론적 목록은 일반적으로 다른 아프로아시아어, 특히 셈어와 매우 다르다. 이집트어가 기록되기 전에 이미 원시 아프로아시아어로부터 급격한 변화를 겪었을 수도 있고, 또는 아프로아시아어족이 지금까지 지나치게 셈어 중심적인 접근 방식으로 연구되어 왔을 수도 있다.[5]

3. 1. 어휘

아랍어히브리어 등 다른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이집트어 어휘의 대부분은 어근이라 불리는 자음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어근은 대개 세 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nfr|nfregy 이라는 어근은 “좋은”, “아름다운” 등의 의미를 가진다. rꜥ|rꜥ(w)egy (rꜥ|rꜥ(w)egy, "태양"—유성 인두 마찰음과 비슷했던 것으로 추정됨)처럼 두 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진 어근도 있지만, 드물게 sḫdḫd|sḫdḫdegy ("거꾸로 되다")처럼 다섯 개의 자음이 결합된 것도 존재한다. 이러한 어근에 모음이나 접사 등 다른 자음이 결합됨으로써 어근의 의미와 관련된 다양한 단어가 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아프로아시아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이집트어에서도 모음은 문자로 표기되지 않았기 때문에, 오늘날 이집트어의 각 단어 발음을 정확히 아는 것은 불가능하다.

3. 2. 음운

이집트어의 자음은 양순음, 순치음, 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구개수음, 인두음, 성문음으로, 아랍어와 유사하게 다양하게 구별된다.

이집트어 자음 음소는 재구성이 가능하지만, 정확한 음가는 알려지지 않은 부분이 많아 여러 분류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이집트어 자음에는 유성음과 무성음의 구별 외에도 다른 셈어파 언어에서 볼 수 있는 강조 자음의 구별도 있었다.

이집트어는 2,000년 이상 사용되었으며, 고대 이집트어와 신 이집트어 사이의 시간적 거리는 고대 라틴어와 현대 이탈리아어 사이의 거리에 해당한다. 그동안 음운에도 상당한 변화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표기상의 오류에서도 발음 변화의 증거를 찾을 수 있다.

모음은 문자로 표기되지 않아 이집트어 모음 체계의 재구성은 더욱 불확실하다. 하지만 모음이 표기된 콥트어나, 이집트어 인명을 그리스어로 음역한 자료 등 다른 언어로 음역된 자료를 바탕으로 일부 재구성되었다. 이렇게 재구성된 "실제 발음"은 소수의 이집트어 전문가들이 사용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이집트학에서 정해진 편의적인 발음을 사용한다.

고대 이집트어(기원전 2600년 이전)와 고대 이집트어(기원전 2686~2181년)의 재구성된 자음 표이며, 일반적인 표기 체계와 다를 경우 IPA 기호를 대괄호 안에 표시한다.

초기 이집트어 자음[29]
colspan=2 |순음치음치경후음경구개음연구개음연구개음인두음성문음
비음
파열음무성음
유성음
마찰음무성음š
유성음ꜥ (ʿ)
유사음
떨림음ꜣ (ȝ)


3. 3. 어순

중 이집트어의 기본 어순VSO형이다. 예를 들어 "그는 문을 연다"는 wn s ꜥꜣegy ("연다 그는 문을")과 같이 표현되었다. 신 이집트어에서는 SVO형 어순으로 변화하였다.

3. 4. 형태론

이집트어의 명사는 남성과 여성의 을 가지며, 여성 명사는 어미에 t|egy가 붙어 표시된다. 또한 단수, 복수(w|egy / wt|egy), 쌍수(wj|egy / tj|egy)의 세 가지 를 가진다.

정관사와 부정관사는 고대 이집트어까지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그 이후로는 널리 사용되었다.

이집트어 동사는 활용형과 비활용형으로 나뉜다. 활용형 동사는 인칭, 시제/상, 법, 태를 나타내며, 각각은 동사에 붙는 일련의 접사 형태소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기본 활용형인 sḏm|듣다egy는 sḏm.f|그는 듣는다egy이다. 비활용형 동사는 주어 없이 나타나며, 원형, 분사, 그리고 부정 원형이 있다.

이집트어에는 세 가지 유형의 인칭 대명사가 있다. 접미사, 클리틱(이집트학자들은 "의존적인"이라고 부름), 그리고 독립적인 대명사이다. 또한, 일부 언어학자들은 부정사에 추가되는 여러 개의 동사 어미를 서술어를 형성하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를 "네 번째" 인칭 대명사 집합으로 간주한다. 이들은 셈어파 대응어와 매우 유사하다. 세 가지 주요 인칭 대명사 집합은 다음과 같다.

} 또는 ı͗|egy

| wj|egy 또는 wı͗|egy

| jnk|egy 또는 ı͗nk|egy

|-

! colspan="2" | 복수

| n|egy

| n|egy

| jnn|egy 또는 ı͗nn|egy

|-

! rowspan="3" | 2인칭
단수

! rowspan="2" |

! 남성

| k|egy

| ṯw|egy

| ntk|egy

|-

! 여성

| ṯ|egy

| ṯn|egy

| ntṯ|egy

|-

! colspan="2" | 복수

| ṯn|egy

| ṯn|egy

| ntṯn|egy

|-

! rowspan="3" | 3인칭
단수

! rowspan="2" |

! 남성

| f|egy

| sw|egy

| ntf|egy

|-

! 여성

| s|egy

| sj|egy

| nts|egy

|-

! colspan="2" | 복수

| sn|egy

| sn|egy

| ntsn|egy

|}

지시 대명사는 남성과 여성 단수 형태가 따로 있으며, 두 성별 모두 공통적인 복수 형태를 가진다.

인칭 대명사
colspan="3" |접미사의존 대명사독립 대명사
1인칭
단수
colspan="2" |{{lang|egy|j|}
}

|tn|egy

|nn|egy

|이것, 그것, 이것들, 그것들

|-

|pf|egy

|tf|egy

|nf|egy

|그것, 그것들

|-

|pw|egy

|tw|egy

|nw|egy

|이것, 그것, 이것들, 그것들 (고어)

|-

|pꜣ|egy

|tꜣ|egy

|nꜣ|egy

|이것, 그것, 이것들, 그것들 (구어체 [초기] & 후기 이집트어)

|}

의문 대명사는 셈어파와 베르베르어 대응어와 매우 유사하다.

지시 대명사
단수복수의미
남성여성
{{lang|egy|pn|}
} 또는 mı͗|egy

|누구 / 무엇

|의존적

|-

|ptr|egy

|누구 / 무엇

|독립적

|-

|jḫ|egy

|무엇

|의존적

|-

|jšst|egy 또는 ı͗šst|egy

|무엇

|독립적

|-

|zy|egy

|어떤

|독립적 & 의존적

|}

4. 문자 체계

이집트어는 다양한 문자로 기록되었다. 현존하는 이집트어 기록 중 가장 많은 것은 상형 문자(히에로글리프)로 기록된 비석이다. 그러나 그보다 훨씬 많은 문서가 신관 문자(히에라틱)와 민중 문자(데모틱) 등으로 파피루스에 기록되었지만, 비석에 비해 내구성이 부족하여 대부분 소실된 것으로 보인다. 이집트 제19왕조에서 이집트 제20왕조 시절에 파피루스에 쓰여진 「사자의 서」와 같은 종교 문서에는 초서체 상형 문자가 사용되었다. 초서체는 비석 등에 새겨진 상형 문자보다 간략화되었지만, 신관 문자 정도로 무너지지 않은 서체로서 새겨진 상형 문자에는 많이 사용되는 합자는 생략되어 있다.

이집트어 발전사의 최종 단계에서 콥트 문자가 나타나고 다른 기록 체계를 대체했다. 상형 문자는 이집트어로 sš n mdw nṯr|신들의 말의 문자egy라는 뜻이다. 상형 문자에는 표의 문자와 표음 문자 두 가지 사용법이 있었다. 표의 문자는 그려져 있는 대상물 자체를, 표음 문자는 그려진 대상물의 음가를 빌려 같은 음가의 다른 개념을 의미한다.

4. 1. 상형 문자 (히에로글리프)

필기체 신성 문자로 쓰여진 파피루스 문서 『아니의 파피루스』의 일부


세트페리브센의 무덤에서 발견된 인장, 이집트에서 가장 오래된 완전한 문장이 새겨져 있다.


현존하는 이집트어 기록 중 가장 많은 것은 신성 문자(히에로글리프)로 기록된 비석이다. 그러나 그보다 훨씬 많은 문서가 신관 문자(히에라틱)와 민중 문자(데모틱) 등으로 파피루스에 기록되어 있었지만, 비석에 비해 내구성이 부족하여 대부분 소실된 것으로 보인다. 이집트 제19왕조에서 이집트 제20왕조 시절에 파피루스에 쓰여진 「사자의 서」와 같은 종교 문서에는 초서체 신성 문자가 사용되었다. 초서체는 비석 등에 새겨진 신성 문자보다 간략화되었지만, 신관 문자 정도로 무너지지 않은 서체로서 새겨진 신성 문자에는 많이 사용되는 합자는 생략되어 있다. 신관 문자에는 "석공의 신관 문자"(lapidary hieratic)로 불리며 비석 등에 새겨진 것도 있다. 이집트어 발전사의 최종 단계에서 콥트 문자가 나타나고 다른 기록 체계를 대신했다. 신성 문자는 이집트어로 sš n mdw nṯr|신들의 말의 문자egy라는 뜻이다. 신성 문자에는 표의 문자와 표음 문자 두가지 사용법이 있었다. 표의 문자는 그려져 있는 대상물 자체를, 표음 문자는 그려진 대상물의 음가를 빌려 같은 음가의 다른 개념을 의미한다.

4. 2. 신관 문자 (히에라틱)

상형 문자를 간략화한 문자로, 파피루스 등에 기록할 때 사용되었다. 이집트 제19왕조에서 이집트 제20왕조 시절에 파피루스에 쓰여진 「사자의 서」와 같은 종교 문서에는 초서체의 신관 문자가 사용되었다. 초서체는 비석 등에 새겨진 상형 문자보다 간략화되었지만, 신관 문자 정도로 무너지지 않은 서체로서 새겨진 상형 문자에는 많이 사용되는 합자는 생략되어 있다.[27] 신관 문자에는 "석공의 신관문자"(lapidary hieratic)으로 불리며 비석 등에 새겨진 것도 있다.[27]

4. 3. 민중 문자 (데모틱)

데모틱(Demotic)은 콥트어 이전에 사용된 데모틱 문자로 쓰인 이집트어의 후기 발전 단계로, 후기 이집트어 다음에 나타났다. 데모틱은 후기 이집트어와 많은 부분을 공유한다. 초기 데모틱 문자로 쓰인 텍스트와 같은 초기 단계에서는 당시 구어체를 반영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데모틱의 사용이 문학적, 종교적 목적으로 점점 제한됨에 따라, 기록 언어는 구어체와 점점 더 큰 차이를 보이게 되었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대의 고대 중세 이집트어 사용과 유사하게 후기 데모틱 텍스트와 당시 구어체 사이에는 상당한 이중 언어 사용이 발생했다.

데모틱어 음운론에 대한 가장 중요한 정보원은 콥트어이다. 데모틱어의 자음 목록은 콥트어 방언의 증거를 바탕으로 재구성될 수 있다.[31] 데모틱어의 철자법은 상대적으로 불투명하다. 데모틱어의 "알파벳" 기호는 대부분 상형 문자에서 유래되었으며, 역사적인 음운 변화로 인해 항상 데모틱어 음소에 명확하게 대응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데모틱어 문자는 h̭egy 기호의 사용과 같이 특정한 철자법상의 혁신을 보여주는데, 이는 이집트어의 초기 형태에는 없었던 소리를 나타낼 수 있게 해준다.

데모틱어 자음은 파열음(파열음, 마찰음, 마찰음)과 유성음(유사음, 비음, 반모음)의 두 가지 주요 종류로 나눌 수 있다.[31] 성문은 대조적인 특징이 아니며, 모든 파열음은 무성음이고 모든 유성음은 유성음이다. 파열음은 유기음 또는 무기음일 수 있지만, 특정 환경에서 유기음이 무기음과 합쳐진 증거가 있다.

다음 표는 데모틱 이집트어의 자음을 보여준다. 음소의 재구성된 값은 IPA 전사로 표시되며, 그 뒤에 각진 괄호 안에 해당하는 데모틱어 "알파벳" 기호의 전사가 따른다.

의문 대명사
대명사의미의존성
{{lang|egy|mj|}
데모틱 이집트어 자음
colspan=2|순음치음치경후음경구개음연구개음인두음성문음
비음colspan=2|
파열음유기음colspan=2|
무기음colspan=2|
마찰음colspan=2|
유사음



데모틱어-콥트어 음운 대응
데모틱어
철자
데모틱어
음소
콥트어 반영
고대 콥트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4. 콥트 문자

그리스 문자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문자로, 콥트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었다. 콥트어는 초기 기독교 시대(서기 31/33년경~324년)부터 번성했지만, 그리스 문자로 쓰인 이집트어 구절은 헬레니즘 시대(기원전 3세기경)에 처음 등장했으며, 최초의 알려진 콥트어 텍스트는 기원 1세기의 이교도 텍스트(구콥트어)이다.[26]

콥트어는 중세 시대까지도 사용되었지만, 16세기가 되자 맘루크 왕조(카이로)의 콥트 기독교인 박해로 인해 급격히 사용이 줄어들었다. 아마도 그 후 수세기 동안 이집트 시골에서는 구어로 사용되었을 것이다. 콥트어는 콥트 정교회와 콥트 가톨릭 교회의 전례 언어로서 현재까지도 사용되고 있다.

이집트어 발전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콥트 알파벳이 이전의 문자 체계를 대체했다.[27] 기원전 1천년기와 서기 1세기 동안 많은 변화가 발생하여 콥트어(서기 1세기 또는 3세기 ~ 19세기경)가 탄생하게 되었다.

콥트어의 자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28]

콥트어 자음
colspan=2 |순음치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ⲙ|mcopⲛ|ncop
파열음무성음ⲡ|pcop (ⲫ|pʰcop)ⲧ|tcop (ⲑ|tʰcop)ϫ|ccop (ϭ|cʰcop)ⲕ|kcop (ⲭ|kʰcop)ʔ|ʔcop
격렬음ⲧ|tʼcopϫ|cʼcopⲕ|kʼcop
유성음ⲇ|dcopⲅ|ɡcop
마찰음 무성음ϥ|fcopⲥ|scopϣ|ʃcopϧ|xcop, ⳉ|xcopϩ|hcop
유성음ⲃ|βcopⲍ|zcop
유성접근음ⲟ|wcop ⲩ|wcopⲗ|lcopⲉ|jcop ⲓ|jcop
전동음ⲣ|rcop


5. 이집트어와 한국

이집트어는 한국어와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부분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Ancient Sudan~ Nubia: Writing: The Basic Languages of Christian Nubia: Greek, Coptic, Old Nubian, and Arabic https://www.ancients[...] 2017-03-09
[2] 백과사전 Egyptian Hieroglyphic Dictionary https://www.um.es/ce[...] Harrison and sons
[3] 서적 Egyptian-Coptic Linguistics in Typological Perspective De Gruyter Mouton 2015
[4] 서적 Coptic in 20 Lessons: Introduction to Sahidic Coptic with Exercises & Vocabularies https://books.google[...] Peeters Publishers 2007
[5] 서적 The Afroasiatic Languag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5-31
[6]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History of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8-06-07
[7] 서적 Egypt in Africa Indianapolis Museum of Art 1996
[8] 서적 The Egyptians: an introduction Routledge 2005
[9] 학술지 The Afroasiatic Language Phylum: African in Origin, or Asian? https://www.jstor.or[...] 1998
[10] 서적 Encyclopedia of the Archaeology of Ancient Egypt Routledge
[11] 서적 Deixis in Egyptian: The Close, the Distant, and the Known Brill
[12] 웹사이트 What Is the Egyptian Language? https://gattours.com[...] 2019-12-11
[13] 학술지 Aspect vs. Relative Tense, and the Typological Classification of the Ancient Egyptian {{transl|egy|sḏm.n⸗f}}
[14] 서적
[15] 웹사이트 Hieroglyph {{!}} writing character https://www.britanni[...] 2018-12-05
[16] 웹사이트 Earliest Egyptian Glyphs – Archaeology Magazine Archive https://archive.arch[...]
[17] 서적 Études de syntaxe copte Société d'Archéologie Copte 1944
[18] 서적 Egyptian Tenses Israel Academy of Sciences and Humanities
[19] 문서 Meyers, op. cit., p. 209.
[20] 문서 Loprieno, op.cit., p.7
[21] 문서 Meyers, op.cit., p. 209
[22] 문서 Haspelmath, op.cit., p.1743
[23] 문서 Bard, op.cit., p.275
[24] 문서 Christidēs et al. op.cit., p.811
[25] 서적 Semitic Papyrology in Context: A Climate of Creativity: Papers from a New York University Conference Marking the Retirement of Baruch A. Levine https://books.google[...] BRILL 2003-01-01
[26] 웹사이트 The Edwin Smith Surgical Papyrus, Volume 1: Hieroglyphic Transliteration, Translation, and Commentary {{!}} Institute for the Study of Ancient Cultures https://isac.uchicag[...] 2024-07-18
[27]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Egyptolog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8] 서적 Ancient Civilizations of Africa https://unesdoc.unes[...] J. Currey 1990
[29] 서적 Semitic languages : outline of a comparative grammar https://worldcat.org[...] Peeters 2001
[30] 학술지 Champollion, Hieroglyphs, and Coptic Magical Papyri https://www.academia[...] 2020
[31] 학술지 On Coptic Sounds https://copticsounds[...] Gregorian Biblical Press 1993
[32] 서적 Wortakzent und Silbenstruktur: Untersuchungen zur Geschichte der ägyptischen Sprache J. J. Augustin, Glückstadt–Hamburg–New York
[33] 서적 Grammaire Copte Peeters, Louvain
[34] 서적 Die Nominalbildung des Ägyptischen Deutsches archäologisches Institut, Abteilung Kairo
[35] 서적 Zur Rekonstruktion deverbalen Nominalbildung des Ägyptischen Harrasowitz
[36] 논문 Rameses of the Exodus narratives is the 13th B.C. Royal Ramesside Residence https://www.galaxie.[...] 2007-10-01
[37] 뉴스 Coptic language's last survivors http://www.dailynews[...] Daily News Egypt
[38] 서적 Reconstructing Proto-Afroasiatic (Proto-Afrasian): Vowels, Tone, Consonants, and Vocabulary. University of California Publications in Linguistics 1996
[39] 서적 (정보 부족) 1995
[40] 웹인용 The Dairy Star of Egypt 2007년 1월 23일 http://www.dailystar[...] 2011-07-21
[41] 웹인용 The Dairy Star of Egypt 2007년 1월 23일 http://www.dailystar[...] 2011-07-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