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라에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라에우스는 고대 이집트에서 여신 우제트를 상징하는 코브라 형태의 장식으로, 파라오의 왕관 앞부분에 부착되었다. 나일강 삼각주의 수호신이었던 우제트는 파라오의 수호신으로 격상되었으며, 이집트 통일 후에는 네크베트 여신과 함께 '두 여인'으로 불리며 공동 수호신으로 숭배되었다. 파라오가 라와 동일시되면서 우라에우스는 파라오를 보호하는 불꽃의 눈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우라에우스는 파라오의 권력을 상징하는 동시에 상형문자로도 사용되었으며, 보석이나 부적으로도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제트 - 호루스의 눈
호루스의 눈은 고대 이집트 신화의 신 호루스의 눈을 상징하며 태양과 달, 왕권 수호, 치유, 지혜를 의미했고, 특히 우제트의 눈은 회복과 재탄생의 부적으로 사용되어 미술, 의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 고대 이집트의 미술 - 스핑크스
스핑크스는 사자의 몸과 사람의 머리를 가진 신화 속 존재로, 이집트, 그리스, 메소포타미아, 아시아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파라오의 권위, 사악함, 액막이 등의 상징으로 나타난다. - 고대 이집트의 미술 - 아마르나 예술
아마르나 예술은 아크나톤의 종교 개혁 시기 이집트에서 발달한 독특한 예술 양식으로, 기존 이집트 미술과 달리 과장된 인물 묘사, 친밀한 분위기, 새로운 형태의 사원 등을 특징으로 한다. - 이집트의 전설의 생물 - 스핑크스
스핑크스는 사자의 몸과 사람의 머리를 가진 신화 속 존재로, 이집트, 그리스, 메소포타미아, 아시아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파라오의 권위, 사악함, 액막이 등의 상징으로 나타난다. - 이집트의 전설의 생물 - 그리핀
그리핀은 독수리의 머리와 날개를, 사자의 몸통과 발을 가진 상상의 동물로, 고대 그리스에서 유래되어 황금 수호, 용맹함, 리더십 등을 상징하며 다양한 문화권에서 널리 활용된다.
우라에우스 | |
---|---|
상징 | |
![]() | |
종류 | 상징 |
문화권 | 고대 이집트 |
의미 | 권위, 왕권, 신성, 보호 |
관련 신 | 와제트, 이시스, 라 |
명칭 | |
이집트어 | jꜥrt (이야레트) |
그리스어 | Οὐραῖος (우라이오스) |
영어 | Uraeus (유리어스) |
한국어 | 우라에우스 |
역사 및 용도 | |
기원 | 고대 이집트 초기 왕조 시대 |
재료 | 금, 라피스 라줄리, 카넬리안, 터키석 등 |
착용 위치 | 왕관, 머리 장식 |
발견 장소 | 투탕카멘의 무덤 등 |
상징 대상 | 왕과 여신의 보호 태양신 라의 눈 이집트의 통치권 |
기타 용도 | 파라오의 권위를 나타내는 상징 신의 힘을 나타내는 상징 악으로부터 보호하는 부적 |
문화적 의미 | |
와제트 여신 | 코브라 형상으로 표현, 파라오를 보호 |
태양신 라 | 이마에 부착된 우라에우스는 라의 힘을 상징 |
이시스 여신 | 왕관에 우라에우스를 착용, 왕권과 신성 상징 |
형태 | |
일반적인 형태 | 코브라가 몸을 일으켜 머리를 부풀린 형태 |
재료 | 금 라피스라줄리 카넬리안 터키석 기타 다양한 재료 |
색상 | 재료에 따라 다양함 |
크기 | 다양함 |
2. 상징성
우라에우스는 본래 하 이집트의 수호신이었던 코브라 형상의 여신 우제트를 상징한다. 파라오는 우라에우스를 왕관이나 머리 장식에 부착하여 자신의 권위와 신성함을 드러냈다. 우라에우스는 우제트 여신의 보호를 상징하며, 파라오의 통치권을 강화하는 역할을 했다. 상 이집트의 수호신인 독수리 형상의 여신 네크베트와 함께 '두 여인'으로 불리며 통일 이집트의 공동 수호신으로 여겨졌다.
호루스나 세트 등의 신들도 권력의 상징으로서 우라에우스를 장식한 모습으로 그려진다. 라에 대한 신화에서는, 우라에우스는 티끌과 라의 침으로부터 여신 이시스가 만든 것으로 여겨졌다. 이 신화에서 이시스는 오시리스에게 왕의 증표로서 우라에우스를 건네준 것으로 그려진다.[2]
2. 1. 파라오의 상징
파라오는 우라에우스를 머리 장식으로 착용함으로써 통치자로서의 정당성을 인정받았다. 우라에우스는 와제트(Wadjet)의 몸을 머리 위에 올리거나, 머리를 둘러싼 관의 형태로 착용했는데, 이는 와제트의 보호를 나타내고 파라오의 영토 지배권을 강화했다.[2] 우라에우스는 사실상 파라오의 왕관의 일부였다. 이러한 전통은 기원전 3천년기인 고왕국에도 존재했다.[5]
이집트 통일 시기에 상 이집트의 수호신인 네크베트(Nekhbet)의 이미지가 흰색 독수리로 묘사되어 나타났고, 하 이집트의 수호신인 와제트와 함께 통일 이집트를 다스리는 파라오들의 왕관을 둘러싼 우라에우스에 합류했다. 그들은 함께 넵티 또는 두 여인(Two Ladies)으로 알려졌으며, 통일된 이집트의 공동 보호자이자 수호신이 되었다.[2]
이후 파라오는 태양신 라(Ra)의 화신으로 여겨졌고, 우라에우스는 여신의 불타는 눈에서 적에게 불을 뿜어 그들을 보호한다고 믿어졌다. 일부 신화에서 라의 눈(Eye of Ra)은 우라에우스라고 한다.
2. 2. 두 여인

우제트와 네크베트는 '두 여인'으로 불렸으며, 이들은 통일 이집트의 공동 수호신이었다.[2] 이 두 여신은 각각 상 이집트와 하 이집트의 수호신으로, 파라오의 왕관에 함께 장식되었다. 그러나 각각의 신앙이 깊어 이집트 신들과는 달리 쉽게 융합되지 않았다.[2]
2. 3. 라의 눈
이후 파라오는 태양신 라의 화신으로 여겨졌고, 우라에우스는 여신의 불타는 눈에서 적에게 불을 뿜어 그들을 보호한다고 믿어졌다.[2] 일부 신화에서 라의 눈은 우라에우스라고 불린다.3. 역사
우라에우스는 이집트 신화에서 가장 오래된 신 중 하나인 우제트의 상징이다. 우제트는 코브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그 신앙의 중심지는 페르-와제트(Per-Wadjet, 이후 그리스인들은 부토라고 부름)였다. 우제트는 나일강 삼각주 지역과 하 이집트 전역의 수호신으로 여겨졌다.[2][3][4]
파라오는 우제트의 보호와 영토 지배권을 나타내기 위해 머리에 뱀 형상 문장을 달았다. 처음에는 우제트의 신상을 머리에 달거나 머리를 감싸는 관을 썼지만, 이후 항상 관 장식의 일부로 남았다. 뱀 형상 문장을 착용하는 것은 파라오임을 나타내는 상징이자 지배자임을 합법적으로 보여주는 증거였다. 이집트 고왕국 시대(기원전 3천 년기)부터 이 전통이 존재했다는 증거가 발견되었다.[5] 우제트와 관련된 여신이나 우아제트의 특정 측면을 나타내는 여신도 뱀 형상 문장을 착용한 모습으로 묘사된다.
이집트 전토가 통일되면서, 상 이집트의 수호신이자 흰 독수리로 묘사되는 네크베트도 뱀 형상 문장과 함께 파라오의 왕관에 추가되었다. 이는 파라오가 상하 이집트의 지배자임을 나타냈다. 각자의 신앙이 깊었기 때문에 이들은 습합될 수 없었고, "두 귀부인(The Two Ladies)"이라 불리며 통일 이집트의 공동 수호신이 되었다.[2]
후에 파라오가 태양신 라와 동일시되면서, 뱀 형상 문장에서 여신의 불꽃 눈에 의한 불이 튀어나와 적으로부터 파라오를 지킨다고 믿어졌다. 라의 눈은 일부 신화에서 "우라이(uraei)"라고 불렸다. 우아제트는 이러한 신앙이 훨씬 이전부터 존재했으며, 이 눈 또한 원래는 코브라로서의 우아제트의 눈이었다. 이후 달의 눈, 하토르의 눈, 호루스의 눈, 라의 눈으로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칭해졌다.
호루스나 세트도 왕권의 상징으로 뱀 형상 문장을 착용한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이후 라에 대한 신화에서는 뱀 형상 문장은 먼지와 라의 침에서 여신 이시스가 만든 것으로 여겨졌다. 이 신화에서 뱀 형상 문장은 이시스가 오시리스에게 이집트 왕위를 부여한 표식으로 삼았다. 이 이시스는 우아제트와 결부되어, 우아제트의 어떤 측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신왕국 시대 이전에는 우라에우스의 몸체가 푸른 왕관의 솟아오른 머리 뒤에서 원을 그리며 감겨 있었다. 왕은 전투 중이거나 전투 후의 장면에서 푸른 왕관을 착용한 모습으로 가장 자주 묘사된다. 작은 규모의 왕은 보호적인 신들의 집단에서 묘사될 때도 일반적으로 푸른 왕관을 착용했다. 푸른 왕관을 쓴 왕의 거대한 조각상은 극히 드물며, 전형적인 왕실 조각상에도 푸른 왕관이 묘사되지 않았다. 우라에우스를 갖춘 푸른 왕관의 묘사는 람세스 시대 후기에 이르러서야 왕실 무덤을 장식하게 된다. 지상에 강림한 신인 왕은 인간의 형태로 있을 때 특별한 보호를 받아야 한다고 생각되었으며, 이는 우라에우스의 보호적 특성을 강조하는 것이었다. 우라에우스는 일반적으로 금, 은 등의 금속으로 제작되었고 보석으로 장식되었다.
3. 1. 센우세르트 2세의 황금 우라에우스
1919년, 기프트 출신의 노동자 호스니 이브라힘은 엘-라훈 피라미드에서 단 30분 만의 발굴 작업으로 순금으로 만들어진 ''센우세르트 2세의 황금 우라에우스''를 발견했다. 사카라에 있는 엘-라훈 피라미드의 방을 "완전히 정리"하기로 결정한 후, 남쪽 무덤에서 이어지는 암석을 깎아 만든 제사 방에서 작업을 시작하자마자 15cm 두께의 잔해 속에서 황금 우라에우스 왕관 장식이 발견되었다.1922년 투탕카멘의 무덤이 발견되기 전까지, 이 황금 우라에우스는 매장된 파라오가 착용한 유일한 장식품이었으며, 다음 파라오에게 전해지는 것으로 여겨졌다.
황금 우라에우스는 순금으로 제작되었으며, 6.7cm 크기에 검은색 화강암 눈, 짙은 울트라마린색 라피스 라줄리로 만들어진 뱀 머리, 어두운 카넬리언 상감으로 장식된 코브라 후드, 그리고 터키석 상감 장식이 특징이다. 파라오의 왕관에 부착하기 위해 코브라 꼬리 뒤쪽에 두 개의 고리가 있어 고정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6][7][12][13]
4. 상형문자로서의 우라에우스
우라에우스는 상형문자로도 쓰인다. 코브라 모양을 하고 있으며, 여신, 여성 신관, 신전, 이시스 등을 뜻한다.[8]
로제타석에서는 신을 나타내는 상형문자인 깃발 세 개를 그리기도 했다. 로제타석 첫머리에는 왕(신관으로서의 왕)을 받드는 이유를 적고, 신들(깃발 세 개)이 그에게 보답한 내용을 서술하고 있다. 로제타석의 3분의 2는 왕을 받드는 방법을 담고 있으며, 누구나 읽을 수 있도록 로제타석을 세웠다는 내용도 있다.
신전이나 건물을 나타내는 상형문자의 장식으로 우라에우스를 나열하기도 한다.[14]
5. 기타 용도
뱀 형상 장식은 파라오 외에도 보석이나 부적으로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이집트 제22왕조를 창시한 셰숑크 1세를 섬긴 신관 제드프타히우판크의 미라 부장품에서 뱀 형상 장식이 발견되었다.[11]
천사의 일종인 세라핌은 히브리 성경에서 발견되었으며, 이후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전통에서도 나타나며, 뱀과 자주 연관되어 있으며, 우라에우스의 개념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 여러 개의 날개를 가진 우라에우스 부적은 이스라엘 땅에서 잘 나타난다.
참조
[1]
웹사이트
Uraeus
http://dictionary.re[...]
Dictionary.com
2012-01-01
[2]
문서
Egyptian-Gods
[3]
문서
Herodotus, Historia, B:152; 155; 156
[4]
문서
Dunand and Zivie-Coche
[5]
문서
National Public Library
[6]
문서
Reeves (1920) pg. 157
[7]
문서
Hagen, pg. 202
[8]
문서
Budge
[9]
문서
Hardwick
[10]
문서
Alchin
[11]
논문
"Seraphim"
1999-01-01
[12]
문서
Reeves (1920) pg. 157
[13]
문서
Hagen, pg. 202
[14]
문서
Bud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