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지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마지야는 예루살렘 출신으로, 25세에 유다 왕국의 왕이 되었다. 그는 부왕을 살해한 자들을 처형하고, 군사력을 강화하여 에돔을 정복했으나, 에돔 신상을 숭배하고 이스라엘 왕 요아스에게 싸움을 걸어 패배했다. 이후 예루살렘에서 반란이 일어나 라기스로 도망쳤으나 살해되었고, 그의 시신은 예루살렘에 묻혔다. 열왕기에서는 그를 "여호와께서 보시기에 정직하게 행하였으나" 다윗의 의로움에는 미치지 못했다고 평가하며, 역대기에서는 그의 통치 초기에는 "여호와께서 보시기에 정직하게 행하였으나 진실한 마음으로는 아니하였다"고 평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살해된 기원전 8세기 군주 - 살룸
살룸은 이스라엘 왕 스가랴를 모반하여 왕위를 찬탈했지만 한 달 만에 므나헴에게 살해당한 열왕기하의 인물이다. - 살해된 기원전 8세기 군주 - 브가히야
브가히야는 기원전 741년 이스라엘 왕국의 왕이 되었으나, 2년 후 반 아시리아파에 의해 살해당했으며, 우상 숭배를 국책으로 추진했다. - 유다 국왕 - 다윗 왕조
다윗 왕조는 고대 이스라엘 왕국의 다윗 왕을 시조로 하는 왕조로서 성경과 고고학적 자료로 존재가 확인되며 유다 왕국 왕들을 배출하여 고대 이스라엘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특히 유대교에서는 메시아가 다윗 가문에서 나올 것이라는 믿음이 있다. - 유다 국왕 - 르호보암
르호보암은 솔로몬의 아들이자 유다 왕국의 초대 왕으로, 강압적인 정책으로 이스라엘 왕국을 분열시키고 이집트의 침공으로 국력이 쇠퇴했다. - 구약성경의 인물 - 시바의 여왕
시바의 여왕은 성경, 에티오피아, 유대교, 이슬람교 등에서 언급되는 전설적인 인물로, 솔로몬 왕을 방문하여 그의 지혜를 시험하고, 에티오피아 왕조의 기원과 관련되며, 예술 작품과 대중문화에서도 다양하게 묘사된다. - 구약성경의 인물 - 호세아
기원전 8세기 후반 북이스라엘의 마지막 왕인 호세아는 앗시리아의 꼭두각시 왕으로 즉위했으나 이집트와 손잡고 독립을 추구하다가 사마리아 함락으로 북이스라엘 왕국이 멸망하며 통치를 마감했다.
아마지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아마샤 |
다른 이름 | 아하시야후 (히브리어) 아마시아스 (그리스어) 아마시아스 (라틴어) |
![]() | |
통치 | |
칭호 | 유다 왕 |
재위 기간 | 기원전 796년–792년 (유다 통치) 기원전 796년–767년 (전체 재위 기간) |
계승 | 전임: 요아스 후임: 웃시야 |
개인 정보 | |
배우자 | 여골리야 |
자녀 | 웃시야 |
왕가 | 다윗 왕조 |
아버지 | 요아스 |
어머니 | 예루살렘의 여호앗단 |
출생 추정 시기 | 기원전 822년경 |
사망 추정 시기 | 기원전 767년경 |
사망 장소 | 라기스 |
종교적 평가 | |
열왕기 | 야훼 보시기에 올바른 일을 행하였으나, 그의 조상 다윗만은 못하였다. |
역대기 | 야훼 보시기에 올바른 일을 행하였으나, 온전한 마음으로 행하지는 않았다. |
2. 즉위 과정
예루살렘 출신의 어머니 여호앗단에게서 태어나 25세에 왕위에 올랐다.[1] 그는 하나님의 눈에 옳을 일들을 많이 해 왕권이 튼튼해졌고 부왕 요아스 왕을 살해한 이들을 죽였다.[1] 25세에 왕이 되어 29년간 통치했다. 그는 아버지 요아스 왕을 살해한 신하들을 처형했지만, 모세의 율법 규정에 따라 그들의 아이들의 목숨은 살려두었다.[3]
아마지야는 예루살렘 출신의 어머니 여호앗단에게서 태어나 25세에 왕위에 올랐다. 그는 왕권이 튼튼해지자 부왕 요아스 왕을 살해한 이들을 죽였지만, 그들의 자녀들은 모세 율법에 따라 살려주었다.[4]
3. 군사적 업적 및 대외 관계
아마지야는 군사력 강화에도 힘을 기울였다. 유다와 베냐민 사람들을 집안별로 세워 천인대장들과 백인대장들의 지휘 아래 두었고, 20세 이상 된 정병 30만 명을 모았다. 이들은 창과 큰 방패로 무장하고 있었다. 그는 은 100talent|탈렌트영어를 주고 이스라엘에서 용사 10만 명을 고용하기도 했다.
'''에돔 정복'''과 '''북이스라엘과의 전쟁''' 과정에서의 상세한 내용은 각각 '''에돔 정복''', '''북이스라엘과의 전쟁''' 항목을 참조.
3. 1. 에돔 정복
아마지야는 그의 증조부인 여호람 통치 기간에 반란을 일으킨 에돔을 재정복하기 위해 10만 명의 에브라임 출신 용병을 고용했다. 이는 30만 명의 유다 군대에 더해진 것이었다. 그는 이름이 밝혀지지 않은 선지자로부터 용병들을 돌려보내라는 명령을 받았고, 이에 순종했다. 그 후 에돔에 대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어느 날 하나님의 사람이 나타나 에브라임 자손들과 함께 하지 말 것을 경고하여, 아마지야는 그들을 돌려보냈다. 그 후 담력을 내어 공격해 소금 골짜기에서 세이르 자손 1만 명을 쳐죽이고, 유다 자손이 또 1만 명을 붙잡아 바위 꼭대기로 끌고 가 내던졌다. 한편, 아마지야가 전장에 함께 나가지 못하게 하고 돌려보낸 군사들은 사마리아에서 벳 호론에까지 유다의 성읍들을 공격해 주민 3000명을 죽이고 물건을 약탈했다.
에돔을 공격할 때 북 이스라엘의 군대를 고용했지만, 예언자의 조언에 따라 자국으로 돌려보냈다. 전쟁에서 승리한 후, 적의 우상을 가져와 숭배했다. 이 사실을 예언자가 경고했지만, 그는 귀 기울이지 않았다.
3. 2. 북이스라엘과의 전쟁
아마지야는 에돔 사람들을 무찌르고 돌아와 세이르 자손들의 신상을 가져와 자기 신으로 세우고 예배하며 향을 피웠다. 하나님이 크게 노하여 예언자를 보내 경고했으나, 아마지야는 이를 무시했다.[6]
아마지야는 예후의 손자이자 여호아하스 왕의 아들인 이스라엘 왕국의 왕 요아스에게 싸움을 걸었다. 요아스가 올라와 유다 왕국의 벳 세메스에서 전투가 벌어졌고, 유다군은 이스라엘군에게 크게 패배해 도망쳤다. 요아스는 아마지야를 사로잡아 예루살렘으로 데려가 유다 왕궁의 보물들을 빼앗고 인질을 잡아 사마리아 성으로 돌아갔다.[4]
요아스의 아마지야에 대한 경멸과 조롱은 가시나무와 레바논 백향목의 비유에 담겨 있다. 분노한 아마샤는 벧세메스에서 전투를 벌였으나, 그의 군대와 땅은 굴욕적인 패배를 겪었다. 아마지야는 사로잡혔고, 예루살렘 성벽의 400큐빗이 무너졌으며, 도시, 성전, 궁전이 약탈당했고, 인질들이 사마리아로 끌려갔다.[4]
4. 종교적 과오와 몰락
아마지야는 에돔을 정벌하고 돌아온 후, 세이르 자손들의 신상을 가져와 자신의 신으로 삼고 그 앞에 절하며 분향했다. 이에 하나님이 크게 분노하여 예언자를 보냈으나, 아마지야는 경고를 무시했다.
이후 아마지야는 예후의 손자이자 여호아하스 왕의 아들인 이스라엘 왕국의 왕 요아스에게 싸움을 걸었다. 유다 왕국의 벳 세메스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유다군은 이스라엘군에게 대패하여 도망쳤고, 아마지야는 요아스에게 사로잡혀 예루살렘으로 끌려갔다. 요아스는 유다 왕궁의 보물들을 약탈하고 인질들을 사마리아 성으로 데려갔다.
결국 이러한 패배는 그의 목숨을 앗아간 음모로 이어졌다. 아마지야는 자신에게 닥친 재앙에 분노한 암살자들의 손에 죽임을 당했다.[4]
4. 1. 우상 숭배
아마지야는 세이르 자손들의 신상을 가져와 자기 신으로 세우고 그 앞에 예배하며 향을 피웠다.[1] 그러자 하나님이 크게 노해 예언자 한 사람을 보내 경고했으나 아마지야는 이를 무시했다.[1] 아마지야는 에돔을 공격할 때 북 이스라엘의 군대를 고용했지만, 예언자의 조언에 따라 자국으로 돌려보냈다.[3] 전쟁에서 승리한 후, 적의 우상을 가져와 숭배했고, 이 사실을 예언자가 경고했지만 그는 귀 기울이지 않았다.[3]4. 2. 죽음
요아스 왕이 죽은 뒤 15년을 더 살았으나 예루살렘에서 모반이 일어났고 아마지야는 라기스로 도망쳤으나 모반자들이 거기까지 쫓아가 아마지야를 살해했다.[4] 그의 시신은 예루살렘으로 옮겨져 왕의 묘에 묻혔다.(2|열왕기|14:19–20|열왕기 14장 19-20절he, 2|역대기|25:27–28|역대기 25장 27-28절he). 열왕기하의 기록은 음모를 "사실"만 기록하고 있는 반면, 역대기 저자는 "특징적으로 아마샤의 배교와 음모를 연결"하고 있으며, 이는 "아마샤가 주님을 따르는 데서 돌아선 후" (그리고 함축적으로, ''그 때문에'') 발생했다고 기록하고 있다.[8]5. 평가
아마지야는 다윗 왕이 세운 의로움의 기준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여호와께서 보시기에 정직하게 행하였다"는 평가를 받았다.[9] 특히 그가 "산당"에 있는 지역 신전을 제거하지 않고 예루살렘에서 예배를 중앙 집권화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평가를 받았다. 역대기서에서는 그의 통치 초기를 두고 "여호와께서 보시기에 정직하게 행하였으나 진실한 마음으로는 아니하였다"고 평가하기도 한다.[10]
성서 학자 H. P. 마티스는 역대기하 25장 7-10절에서 아마지야가 용병을 해고하는 문제를 다루는 구절이 "역대기 저술가에게 사용 가능한 독립적인 출처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그의 신학에 부합하지 않기 때문이다"라고 평가했다.[11]
요아스의 아들로 태어난 아마지야는 25세에 왕이 되어 29년간 통치했다. 그는 아버지 요아스 왕을 살해한 신하들을 처형했지만, 모세의 율법 규정에 따라 그들의 아이들의 목숨은 살려두었다.
에돔을 공격할 때 북 이스라엘의 군대를 고용했지만, 예언자의 조언에 따라 자국으로 돌려보냈다. 전쟁에서 승리한 후, 적의 우상을 가져와 숭배했는데, 이 사실을 예언자가 경고했지만 그는 귀 기울이지 않았다. 그 때문에 하나님의 노여움을 사서, 이스라엘 왕 요아스에게 침략당했다. 그리고 베트세메스 전투에서 패배하여 아마샤는 포로가 되었고 성전의 많은 보물을 요아스에게 빼앗겼다.
유다의 지도자들은 아마샤의 아들 웃시야를 세웠고, 기원전 791년 이후에는 아마샤와 웃시야가 공동 통치를 했다.
기원전 790년 또는 기원전 781년에 예루살렘의 다윗의 왕위에 복위했다. 그러나 그 후 예루살렘 사람들이 그에게 반란을 일으켰고, 아마샤는 라기스로 도망쳤으나, 결국 추격해온 암살자에 의해 살해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1 Chronicles 3:1 Amaziah his son, Azariah his son, Jotham his son
http://mlbible.com/1[...]
Mlbible.com
2012-10-01
[2]
성경
[3]
서적
The Mysterious Numbers of the Hebrew Kings
Zondervan/Kregel
[4]
백과사전
Amaziah
http://jewishencyclo[...]
[5]
성경
[6]
서적
The Legends of the Jews
https://books.google[...]
[7]
서적
The Legends of the Jews
https://books.google[...]
[8]
웹사이트
Cambridge Bible for Schools and Colleges
https://biblehub.com[...]
2020-05-18
[9]
성경
[10]
성경
[11]
서적
1 and 2 Chronicles
https://b-ok.org/dl/[...]
2017-1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