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예언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언자는 신의 메시지를 전하고 미래의 사건을 예언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앞으로 말하는 자'라는 뜻의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다. 히브리어, 아랍어 등 셈어에서도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며, 히브리어에서는 타나크의 두 번째 부분인 느비임이 예언자들에게 할애되어 있다. 고대 수메르, 조로아스터교에서도 예언자와 유사한 역할을 하는 인물들이 존재했다.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는 각자의 전통에서 예언자를 인정하며, 기독교는 예수, 이슬람교는 무함마드를 주요 예언자로 여긴다. 다양한 종교에서 스스로를 예언자로 칭하며 종파를 형성한 인물들도 있으며, 현대 사회에서는 미래를 예측하고 경고하는 사람들을 비유적으로 예언자라고 부르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언자 - 그리고리 라스푸틴
    러시아 제국 말기, 라스푸틴은 농부 출신으로 신비한 능력으로 황실의 신임을 얻어 궁정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사생활과 정치 개입에 대한 논란, 암살, 그리고 그의 죽음 이후 러시아 제국의 붕괴 예언 등으로 인해 신비로운 인물로 평가받는다.
  • 예언자 - 츠비카우 예언자들
    츠비카우 예언자들은 16세기 초 독일 츠비카우에서 활동하며 성령의 계시, 유아 세례 반대, 종말론을 주장한 급진적 종교 개혁 운동 세력으로, 루터와 갈등을 겪었으며 토마스 뮌처와의 관계는 논쟁적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예언자
기본 정보
직업종교적 지도자, 전달자
역할신과 인간 사이의 중재자
관련 항목예언
관련 직업사제, 점술가, 샤먼
종교적 관점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다른 종교다양한 종교에서 예언자 역할 존재

2. 어원

영어 단어 ''prophet''(예언자)는 '앞으로/향하여'를 뜻하는 ''pro''와 '말하다'를 뜻하는 ''phesein''에서 파생된 복합 그리스어 단어 προφήτης|prophḗtēsgrc음역이다.[3] 따라서 προφήτης|prophḗtēsgrc는 신성한 존재로부터 인간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사람으로, 때로는 미래의 사건을 예언하기도 한다. 다른 해석으로는 옹호자 또는 연설가를 의미하기도 한다.[3] 고전 그리스어에서 이 단어는 원래 "대신 말하는 자"라는 의미였으며, 주로 "신의 대변자"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다.[132][133][134][135] 접두사 "προ-"에는 "대신" 외에도 "앞에"라는 의미도 있어 "미리 말하는 사람"으로 해석될 여지도 있지만, 성서 맥락에서는 주로 "신의 대변자"로 이해되었다.[136][137] 그러나 성서의 예언에는 미래에 대한 내용도 많으므로 "미리 말하는 사람"의 측면도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 단어에서 파생된 영어 "prophet"와 프랑스어 "prophète"는 "신의 대변자"와 "(성서와 관계없이) 미래를 말하는 자"라는 두 가지 의미를 모두 갖게 되었다. 후자의 의미로는 영어에서 "foreteller", 프랑스어에서 "prédiseur" 등의 단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이 그리스어 단어는 셉투아진트에서 히브리어 단어 נָבִיא|nāvîhe아랍어 단어 نبي|nabīar를 번역하는 데 사용되었다.[3] 구약성서에서 예언자를 뜻하는 가장 일반적인 히브리어는 נָבִיא|nāvîhe이다. W.F. 올브라이트는 이 히브리어와 아랍어 단어의 기원이 아카드어 nabûakk에 있다고 보았다.[3] 아카드어 ''nabû''는 "전령" 또는 "인가된 사람"[4]을 의미하며, 셈어족 뿌리 n-b-y 또는 nbʾ에서 파생되었다.[5] 이는 시리아어 ܢܒܝܐ|nəḇiyyāsyc, 아랍어 نبي|nabiyyar, 히브리어 נביא|nāḇihe와 동족어로, 모두 '예언자'를 의미한다.[6] '나비(nabi)'의 어원에 대해서는 아카드어 기원으로 "주어진 자" 혹은 "말하는 자"를 의미한다는 설이 유력하다.[130][131]

히브리어에서 "대변인"을 뜻하는 נָבִיא|nāvîhe는 전통적으로 "예언자"로 번역된다. 타나크의 두 번째 부분인 느비임은 히브리 예언자들에게 할애되어 있다. ''navi''의 의미는 신명기 18장 18절에서 설명된 것으로 보이는데,[7] 여기서 은 "...내가 내 말을 그의 입에 넣을 것이니, 그가 내가 그에게 명령하는 모든 것을 그들에게 말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따라서 ''navi''는 하나님의 "입"으로 여겨졌다. 유대교 전통에 따르면, 어근 눈-베트-알레프 ("navi")는 비어 있음 또는 열려 있음을 의미하는 두 글자 어근 nun-bet을 기반으로 하며, 이는 초월적인 지혜를 얻기 위해 자신을 "열린" 상태로 만들어야 함을 의미한다.[8]

한국어에서 '예언자(預言者)'는 주로 '맡길 예(預)' 자를 사용하여 '신의 말씀을 맡은 자'라는 의미를 강조한다. 이는 한역 성경에서 유래한 일본어 '預言者(요겐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140] 반면, '미리 예(豫)' 자를 쓰는 '예언자(豫言者)'는 '미래의 일을 미리 말하는 사람'이라는 의미로 구분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이는 일본에서 '預(맡길 예)' 자에 '맡다(預かる)'라는 의미가 더해지면서, '신의 말씀을 맡은 자(預言者)'와 '미래를 말하는 자(予言者)'를 구분하려는 시도에서 비롯된 이해 방식이다.[141][142]

3. 예언자의 역할

이스라엘의 종교에 높은 윤리성을 부여하고 세계 종교로서의 기독교로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은 예언자들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스라엘 민족이 유목 생활에서 벗어나 비옥한 땅에 정착하면서, 기존 유목 문화와는 다른 고도의 농경 문화와 접하게 되었다. 이러한 두 문화의 충돌과 갈등은 이스라엘에서 예언자가 등장하게 된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이스라엘의 종교적 전통이 농경 문화에 흡수되지 않고 독자적으로 발전할 수 있었던 데에는 예언자들의 역할이 결정적이었다. 사무엘기에는 "오늘날의 예언자(נביא|나비he)는 옛날에 선지자(רֹאֶה|로에he)라고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일반적으로 '선지자'(רֹאֶה|로에he)는 고대 셈족 사회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점술가나 마술사와 유사한 인물로, 미래의 일이나 숨겨진 것을 꿰뚫어 보는 능력을 가진 사람을 의미했다. 이와는 별개로, 같은 사무엘기에는 악기 연주를 통해 황홀경에 빠져 집단행동을 하는 예언자들의 모습도 묘사된다. 이러한 엑스터시즘(ecstasism)은 주로 농경 문화권에서 나타나는 요소였다. 이스라엘의 예언자들에게서도 이러한 점술가적 측면과 황홀경적 측면을 모두 찾아볼 수 있지만, 그들의 본질적인 특징은 각 예언자의 마음을 사로잡았던 강렬한 영적 체험이었다. 예언자의 메시지는 종종 사람들의 반감을 사 박해로 이어지기도 했으나, 이 강렬한 영적 체험은 박해의 고통을 이겨낼 힘을 주었다. 예언자는 사제와 달리 신전이나 교단 같은 조직에 얽매이지 않고 완전히 독립적으로 활동하였다.[150]

예언자들은 과 이스라엘 민족 사이의 중개자 역할을 수행했다. 그들은 신에 대한 신뢰를 강조하고 정의를 추구할 것을 촉구했으며, 사람들이 저지른 죄를 지적하며 회개를 요구했다. 또한, 민족이 어려움에 처했을 때는 위로와 격려를 통해 힘을 북돋아 주며 신의 대리자로서 역할을 했다. 이들은 '신의 말씀을 전한다'는 확신에 따라 행동하는 사람들이었다.[150] 사회종교가 잘못된 길로 나아갈 때마다 나타나 이를 직설적으로 비판하고 바로잡으려 했기에, 때로는 심한 박해를 받기도 했다. 반면, 박해를 피하고 인기에 영합하며 이익을 챙기는 거짓 예언자들도 있었다. 이들은 야훼의 말씀을 정직하게 전하기보다, 야훼의 이름을 함부로 사용하며 권력과 결탁하고 대중이 듣기 좋아하는 말만 늘어놓는 자들이었다. 신약성서의 마태복음서에서도 이러한 맥락에서 거짓 예언자를 경계하고 있다.[151][152]

구약학자 월터 브루그만은 예언자들이 이스라엘 사회의 지배계급과 거짓 예언자들이 민중에게 낙관적인 환상을 심어주며 기만할 때, 소수 지배계급이 부를 독점하는 불평등한 분배 구조로 빈부격차가 심화될 때, 그리고 지배계급이 국가 질서를 명분으로 민중을 억압할 때 등장하여 야훼의 말씀을 선포함으로써 현실의 모순을 드러낸 인물들이라고 해석하였다. 이는 예언자들이 사회 정의와 약자 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시사한다.[153]

구약성경에서 예언자는 하나님의 말씀을 받아 사람들에게 전달하는 중재자이며, 예언(預言)은 하나님의 임재를 통해 이루어진다. 예언자들은 주로 '말씀'을 의미하는 דָּבַר|다바르he, '주께서 말씀하시니'라는 의미의 עָבַר|아마르he, '주의 말씀이라'는 뜻의 נְאֻם־יְהוָה|네움 아도나이he 등의 표현을 사용하여 하나님의 메시지를 전했다. '환상'(חָזוֹן|하존he)이나 '꿈'(חֲלוֹם|할롬he)을 통해 전달된 말씀은 보조적인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특히 '경고'를 의미하는 מַשָּׂא|맛사he는 주로 이방 민족에 대한 심판을 예언할 때 사용된 표현이다. 예언자를 지칭하는 칭호로는 가장 흔하게 쓰인 נביא|나비he 외에도, 환상을 보는 자로 묘사되는 חֹזֶה|호제he, 사무엘에게 사용되었던 רֹאֶה|로에he, 그리고 '하나님의 사람'으로 불린 אִישׁ הָאֱלֹהִים|이쉬 하엘로힘he 등이 있다. '이쉬 하엘로힘'은 엘리야나 엘리사처럼 기적을 행하거나 다윗처럼 특별한 사명을 맡은 인물들에게 주로 사용되었다. 예언자는 단순히 말씀을 전하는 것 외에도, בְּנֵי הַנְּבִיאִים|브네 하느비임he이라 불리는 예언자의 생도들을 훈련시키는 역할도 담당했다.

예언자는 하나님과 사람 사이의 중재자로서 제사장과 유사한 역할을 했지만,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제사장은 정규직으로 보수를 받고, 성전과 교인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우림과 둠밈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하나님의 뜻을 물었다. 반면, 예언자는 제도권에 속하지 않았으며, 하나님으로부터 직접적인 부르심을 받아야만 활동할 수 있었다. 이들은 보수를 받지 않고 후원자의 도움으로 활동을 이어갔으며, 사람들이 필요에 따라 찾아가는 존재가 아니라 하나님께서 필요할 때 보내시는 존재였다. 아모스는 자신의 고향을 떠나 북이스라엘에서 활동하며 제도권을 향해 경고의 메시지를 전한 대표적인 예이다.

예언자는 크게 참 예언자(True Prophet)와 거짓 예언자(False Prophet)로 나뉜다. 참 예언자는 주로 하나님의 심판을 선포하며, 때로는 구원을 예언하기도 하지만 심판의 경고가 주된 메시지였다. 반면, 거짓 예언자는 화평, 평화, 안정을 강조하며 심판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지 않고, 대중이 듣고 싶어 하는 달콤한 말로 그들을 기만했다. 성경에는 참과 거짓 예언자를 구분하는 여러 사례가 등장한다. 열왕기상 13장에서는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던 예언자가 그 말씀에서 벗어나는 순간 거짓 예언자가 되는 모습을 보여주며, 열왕기상 22장에서는 미가야 선지자를 통해 두 종류의 예언자의 대립을 확인할 수 있다.

예언자들의 전통은 남북 왕국의 역사적 맥락에 따라 구분되기도 한다. 북이스라엘(에브라임 전통)의 예언자들은 주로 모세의 신명기적 전통에 기반하여 심판과 광야에서의 예언을 강조했다. 이들은 주로 외곽 지역에서 활동하며 사회적 약자의 문제에 민감하게 반응했고,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제사장과 다른 예언자들을 비판했다. 반면, 남유다의 예언자들은 주로 제도권 내에서 활동하며 왕을 설득하거나 긍정적인 구원의 메시지를 전파하는 경향이 있었다. 하박국과 이사야가 남유다 전통의 대표적인 예언자로 꼽힌다.

또한 예언자는 기록 활동 여부에 따라 저술 예언자와 비문서 예언자로 나뉜다. 저술 예언자는 아모스, 이사야, 예레미야처럼 자신의 예언을 기록으로 남긴 이들이다. 이들이 직접 기록했는지, 아니면 후대에 기록이 모아졌는지는 학자들 사이에 논쟁의 여지가 있다. 비문서 예언자는 사무엘, 엘리야, 엘리사처럼 이름은 기록되었으나 예언 자체가 문서 형태로 전해지지 않은 이들이다.

주요 예언자 중 예레미야는 "눈물의 예언자"로 불리며, 주로 이스라엘의 죄악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과 어두운 미래를 예언했다. 이사야는 비교적 긍정적인 예언, 특히 메시아의 도래에 대한 희망적인 메시지(이사야 11장)를 많이 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요나는 니느웨에 대한 심판을 선포했지만, 니느웨 사람들이 회개하자 하나님께서 뜻을 돌이키심으로써 예언이 성취되지 않은 독특한 사례를 보여준다. 나단다윗 왕에게 주로 긍정적인 예언을 전하며 구원의 메시지를 선포한 대표적인 인물이다.

4. 구약성경의 예언자

구약성경에는 에스겔, 이사야, 예레미야, 아모스 등 주요 예언자들과 호세아부터 말라기까지 12권의 소예언서를 작성한 예언자들이 언급된다. 이들의 예언서는 대부분 주전 8세기 이후의 기록으로, 이들을 문서 예언자, 정경 예언자, 또는 고전 예언자라고 부른다.

구약성경에서 예언자는 하나님의 말씀을 받아 사람들에게 전달하는 중재자 역할을 했다. 예언은 단순히 미래를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을 선포하는 행위였다. 예언자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전했는데, 주로 דָּבַר|다바르he(말씀), עָבַר|아마르he(주께서 말씀하시니), נְאֻם־יְהוָה|네움 아도나이he(주의 말씀이라)와 같은 표현을 사용했다. חָזוֹן|하존he(환상)이나 חֲלוֹם|할롬he(꿈)을 통해 전달된 말씀은 보조적인 수단이었으며, מַשָּׂא|맛사he(경고)는 주로 이방 민족에 대한 심판을 예언할 때 사용되었다.

예언자를 가리키는 칭호로는 가장 흔하게 쓰인 נביא|나비he가 있으며, 환상을 보는 자라는 뜻의 חֹזֶה|호제he, 사무엘에게 사용된 רֹאֶה|로에he(보는 자), 그리고 '하나님의 사람'이라는 뜻의 אִישׁ הָאֱלֹהִים|이쉬 하엘로힘he 등이 있다. '이쉬 하엘로힘'은 엘리야엘리사처럼 기적을 행하거나 다윗처럼 특별한 사명을 맡은 인물에게 주로 사용되었다. 사무엘기상 9장 9절에 따르면, '나비'의 옛 이름은 '로에'였다고 한다.[45] 이는 예언자의 역할이 점을 치는 것에서 도덕적 교훈을 주는 역할로 변화했음을 시사할 수 있다. 일부 학자들은 첫 번째 성전 시대에 점술, 의식, 제사 등을 행하던 길드 소속의 예언자-제사장들과, 이러한 행위를 비판하며 오직 하나님의 메시지만을 전달하던 정경 예언자들이 공존했다고 보기도 한다.[46] 예언자들은 בְּנֵי הַנְּבִיאִים|브네 하느비임he(예언자 생도들)을 훈련시키기도 했다.

예언자는 하나님과 사람 사이의 중재자라는 점에서 제사장과 비슷하지만 구별되는 역할을 수행했다. 제사장은 성전이나 회당을 중심으로 정규적으로 활동하며 우림과 둠밈 등으로 하나님의 뜻을 물었지만, 예언자는 제도권 밖에 머물며 하나님의 직접적인 부르심에 따라 활동하고 후원을 통해 생계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았다. 아모스처럼 자신의 고향을 떠나 북이스라엘에서 활동하며 제도권을 비판한 예언자도 있었다.

예언자들은 사회종교가 잘못된 길로 갈 때 나타나 이를 비판하고 바로잡으려 했기 때문에 종종 심한 박해를 받았다.[33] 예레미야는 하나님의 말씀을 전했다는 이유로 형제들에게 공격받고, 구타당하고 감금되었으며, 죽음의 위협을 받고 물웅덩이에 던져지기도 했다.[36][37][38][39][40][41][42] 이사야 역시 그의 메시지를 거부하는 이들로부터 비난을 받았다.[31][43] 모세 또한 파라오에게 생명의 위협을 받았다.[44]



이와 대조적으로 인기에 영합하며 권력과 결탁하여 대중이 듣기 좋아하는 말만 하는 거짓 예언자들도 있었다. 이들은 야훼의 이름을 함부로 사용하며 사람들을 기만했다.[151][152] 구약성경은 참 예언자와 거짓 예언자를 구분하는 기준을 제시한다. 참 예언자는 주로 하나님의 심판을 선포하며 회개를 촉구했고, 때로는 구원을 약속하기도 했지만 심판의 경고가 주를 이루었다. 반면 거짓 예언자는 무조건적인 화평과 안정을 내세우며 듣기 좋은 말로 사람들을 속였다. 열왕기상 13장과 22장(미가야 이야기) 등에서 참 예언자와 거짓 예언자의 대립을 찾아볼 수 있다. 토라 (신명기 13장 2-6절, 18장 20-22절)에서는 예언한 내용이 실제로 이루어지는지를 참 예언자의 기준으로 삼았으며, 거짓 예언은 사형에 해당하는 죄로 간주했다.[143]

구약학자 월터 브루그만은 예언자들이 이스라엘 사회의 지배 계급과 거짓 예언자들이 민중에게 낙관적인 환상을 심어주며 기만할 때, 소수 지배층의 부 독점과 빈부 격차가 심화될 때, 국가 질서를 명분으로 민중을 억압할 때 등장하여 야훼의 말씀을 통해 현실을 직시하게 만든 이들이라고 해석했다.[153]

예언자들은 말뿐만 아니라 상징적인 행동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기도 했다. 예레미야는 레갑 족속의 순종을 통해 백성의 불순종을 지적했고,[21][22] 허리띠를 묻어 썩게 하여 유다의 교만이 멸망할 것을 보여주었으며,[23][24][25] 옹기 그릇을 깨뜨려 유다의 파멸을 예고했고,[26] 나무 멍에를 메고 바빌론의 지배를 상징적으로 나타냈다.[27] 이사야는 3년간 옷을 벗고 맨발로 다니며 다가올 포로 생활을 예언했고,[28] 에스겔은 오랫동안 옆으로 누워 정해진 음식만 먹으며 예루살렘 포위의 참상을 보여주었다.[29]

예언 전통은 북이스라엘(에브라임 전통)과 남유다의 역사적 맥락에 따라 다른 특징을 보이기도 한다. 북이스라엘 예언자들은 모세신명기 전통에 영향을 받아 심판과 광야에서의 경험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들은 주로 외곽 지역에서 활동하며 사회적 약자의 문제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부패한 제사장이나 다른 예언자들을 비판했다. 반면, 남유다 예언자들은 예루살렘 성전을 중심으로 제도권 내에서 활동하며 왕에게 조언하거나 긍정적인 구원의 메시지를 선포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박국과 이사야가 남유다 전통의 예언자로 분류될 수 있다.

예언자는 기록 활동 여부에 따라 문서 예언자와 비문서 예언자로 나뉘기도 한다. 아모스, 이사야, 예레미야 등은 자신의 예언을 기록으로 남긴 문서 예언자이며, 사무엘, 엘리야, 엘리사 등은 이름은 전해지지만 예언 내용이 책으로 묶이지 않은 비문서 예언자이다.

타나크(히브리 성경)에는 아브라함, 모세, 미리암, 이사야, 사무엘, 에스겔, 말라기, 욥 등 많은 예언자가 등장한다.[16][17] 유대교에서는 모세를 가장 위대한 예언자로 여긴다. 탈무드는 인류에게 영구적인 메시지를 남긴 48명의 남성 예언자와 7명의 여성 예언자(사라, 미리암, 드보라, 한나, 아비가일, 훌다, 에스더)를 인정한다.[49] 리브가, 라헬, 레아 역시 예언자로 보는 견해도 있다.[47] 이사야서 8장 3-4절에는 이사야의 아내도 '여예언자'로 불린다.[48] 민수기 22장의 발람처럼 비유대인 예언자도 언급된다.[50]

유대교 전통에 따르면, 학개, 스가랴, 말라기가 바빌론 유배 이후 활동한 마지막 예언자들이며, 그 이후로는 예언이 그치고 바트 콜(하나님의 목소리)만이 들리게 되었다고 본다. (탈무드 산헤드린 11a) 70년 예루살렘 성전 파괴 이후 예언자가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다고 생각하며, 이 때문에 하나님과의 새로운 계약은 불가능하다고 여긴다. 따라서 기독교가 주장하는 신약 성경의 '새로운 계약'을 인정하지 않는다. 또한 유대교에서는 다니엘을 예언자로 간주하지 않는다.

히브리 성경에서 예언서는 토라(율법서)와 케투빔(성문서) 사이에 위치하며, 크게 '전 예언서'와 '후 예언서'로 나뉜다.

5. 신약성경과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의 예언자

신약성경의 복음서 저자들은 구약성경 예언자들의 예언을 근거로 예수 그리스도가 구약성경에서 말하는 그리스도라고 주장했다. 구약성경학자 월터 브루그만에 따르면, 예수는 구약성경 예언자들의 전통을 이어받은 예언자이다. 예를 들어, 예수는 예언자들의 전통에 따라 가난한 사람이 복이 있고, 부자와 배부른 사람, 웃는 사람에게 화가 있다고 선언함으로써(누가복음서 6:20-26), 가난한 민중들로 이루어진 대안 공동체를 구상하고 새로운 세상이 다가온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하는 이들의 어리석음을 지적했다.[154]

또한 기독교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에서는 성령이 예언자들을 통해서 말씀하셨다고 고백한다. 신약성경에서도 예언(預言)에 대해 언급하는데, 이는 단순히 미래의 일을 예측한다는 의미보다는 하느님의 말씀을 전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6.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의 예언자

기독교에서는 예언자(또는 선견자)를 성령을 통해 하느님으로부터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영감을 받은 사람으로 본다. 이는 교회가 시작되기 전의 유대교 예언자와 기독교 교회 내 예언자를 모두 포함한다.[51] 메시지를 받는 것을 계시, 전달하는 것을 예언이라 한다.

이슬람에서는 꾸란에 명시된 여러 인물을 "이슬람의 예언자"(نبي|나비ara ''nabī'')로 부른다. 무슬림은 이들이 인류를 인도하기 위해 신(알라)으로부터 특별한 사명을 받았다고 믿으며, 무함마드 외에 아담, 노아, 아브라함(이브라힘), 모세(무사), 예수(이사) 등을 예언자로 여긴다.[100]

6. 1. 유대교



타나크(히브리 성경)에는 여러 예언자들이 등장하는데, 대표적인 인물로는 아브라함, 모세, 미리암, 이사야, 사무엘, 에스겔, 말라키, 그리고 욥 등이 있다. 이 중 모세는 유대교에서 가장 중요한 예언자로 여겨진다.[16][17] 출애굽 과정에서 "모세에게 있던 영"이 70명의 장로들에게 전해져 그들도 잠시 예언을 했으나, 대부분은 다시 예언하지 못했다는 기록이 있다.[18] 모세는 모든 이스라엘 백성이 예언자가 되기를 바랐다고 전해진다.[19]

이스라엘이나 유다의 '네비임'(נְבִיאִים|느비임he, "대변자", "예언자")은 하나님의 말씀을 기록하고 선포하는 역할 외에도, 종종 자신의 삶을 통해 예언적인 상징적 행동을 보여주었다.[20] 예를 들어, 예레미야는 백성의 불순종을 레갑 족속의 순종과 대조하기 위해,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레갑 족속에게 조상의 명령을 어기고 포도주를 마시도록 권했다. 레갑 족속이 이를 거절하자 하나님은 그들을 칭찬하셨다.[21][22] 또한 예레미야는 유다의 교만이 어떻게 멸망할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베 허리띠를 사서 숨겨 썩게 했고,[23][24][25] 장로들과 제사장들 앞에서 벤 힌놈 골짜기에서 옹기 그릇을 깨뜨려 유다 민족과 도시의 돌이킬 수 없는 파멸을 예고했다.[26] 하나님은 예레미야에게 나무와 가죽끈으로 멍에를 만들어 목에 메게 함으로써, 백성이 바빌론의 왕 느부갓네살의 지배 아래 놓일 것임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도록 지시하셨다.[27] 비슷하게, 예언자 이사야는 다가올 포로 생활을 예시하기 위해 3년 동안 옷을 벗고 맨발로 다녔으며,[28] 예언자 에스겔은 예루살렘 포위 공격을 상징하기 위해 390일 동안 한쪽으로 누워 정해진 양의 음식만 먹어야 했다.[29]

히브리 성경에서 예언자의 임무는 매우 엄격하고 정확하게 묘사되며,[30][31][32] 이 때문에 예언자들은 종종 박해와 반대에 직면했다.[33] 하나님께서 예레미야에게 하신 "그들이 너를 대적하여 싸울 것이나 너를 이기지 못하리라"[34]는 약속은, 회개를 거부하고 임박한 파멸을 경고하는 예레미야의 예언 활동 중에 여러 차례 실현되었다.[33][35] 예레미야는 하나님의 말씀을 전했다는 이유로 형제들에게 공격받고,[36] 제사장과 거짓 예언자들에게 구타당하고 감금되었으며,[37][38] 왕에게 투옥되고,[39] 살해 위협을 받았고,[40] 유다 관리들에 의해 진흙 구덩이에 던져졌으며,[41] 거짓 예언자들의 반대에 부딪혔다.[42] 마찬가지로 이사야는 그의 메시지를 거부하는 청중들로부터 "길에서 벗어나라! 길에서 물러나라! 더 이상 이스라엘의 거룩한 분에 대해 듣고 싶지 않다!"는 비난을 들어야 했다.[31][43] 모세 역시 파라오로부터 생명의 위협을 받았다.[44]

사무엘기 상권 9장 9절에 따르면,[45] '나비'(예언자)의 옛 명칭은 '로에'(히브리어: רֹאֶה, "보는 자")였다. 이는 예언자의 역할이 점을 치고 보수를 받던 것에서 도덕적 가르침을 전하는 역할로 변화했음을 시사할 수 있다. L. C. Allen(1971)은 첫 번째 성전 시대에 실로와 같은 지역 성소에 소속되어 점술, 의식, 제사 등을 행하고 서기관 역할을 하던 예언자-제사장 길드가 있었던 반면, 정경에 기록된 예언자들은 이러한 활동과 무관하게(때로는 점술을 비판하며) 오직 하나님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집중했다고 주장했다.[46] 예언자-제사장들은 제자 양성과 채용을 통해 신비주의적인 길드처럼 운영되었지만, 정경 예언자들은 이러한 조직적 형태를 띠지 않았다.

유대교 전통은 기독교이슬람교와 달리 다니엘을 예언자로 간주하지 않는다.

어떤 유대교 전승에서는 이집트를 탈출한 이스라엘 백성의 수보다 두 배나 많은 예언자가 있었다고 주장하며, 이는 120만 명에 달하는 숫자이다.[49] 탈무드는 후대에 영구적인 메시지를 남긴 48명의 남성 예언자를 인정한다.[49] 또한 탈무드는 모든 세대에 중요한 메시지를 전한 7명의 여성 예언자를 언급한다.[49]

탈무드가 인정하는 여성 예언자[49]
이름설명
사라아브라함의 아내
미리암모세아론의 누이
드보라판관이자 예언자
한나예언자 사무엘의 어머니
아비가일다윗 왕의 아내
훌다예레미야 시대의 예언자
에스더페르시아 왕비



탈무드와 성경 주석가 라시리브가, 라헬, 레아 역시 예언자였다고 지적한다.[47] 이사야서 8장 3-4절[48]에서는 이사야의 아내를 "여예언자"라고 칭하며, 그녀가 아들 마헬살랄하스바스를 낳았다고 기록하지만, 다른 곳에서는 그녀에 대한 언급이 없다.

타나크에 등장하는 예언자들이 항상 유대인은 아니었다.[49] 예를 들어, 민수기 22장에 나오는 발람은 비유대인 예언자였다.[50] 탈무드에 따르면, 예언자 오바댜는 유대교로 개종한 인물이다.

유대교 성경에 마지막으로 언급되는 '네비임'은 학개, 스가랴, 그리고 말라키이다. 이들은 모두 기원전 586년부터 539년까지 이어진 70년간의 바빌론 유수 말기에 활동했다. 탈무드(산헤드린 11a)는 학개, 스가랴, 말라키를 마지막 예언자로 규정하며, 그 이후 시대에는 오직 '바트 콜'(히브리어: בת קול, 문자 그대로 '목소리의 딸', 즉 '하나님의 목소리')만이 알려졌다고 말한다.

율리우스 슈노어 폰 카롤스펠트가 1860년에 그린 이사야의 환상.


유대교의 토라는 '거짓 예언자'에 대한 문제를 다루고 있다(신명기 13장 2-6절, 18장 20-22절).[143] 예언자가 선포한 내용이 실제로 이루어지는지 여부가 그의 정당성을 판단하는 기준이었으며, 구약 시대에는 거짓 예언자는 사형에 처해질 수 있는 중죄로 간주되었다.

디아스포라 이후의 유대교에서는 서기 70년 예루살렘 성전 파괴 이후 더 이상 유대 민족에게 예언자가 나타나지 않는다고 본다. 따라서 예언자가 부재한 상태에서는 하나님과의 계약이 갱신될 수 없다고 여긴다. 이러한 관점에서 유대교는 모세를 통해 맺어진 하나님과의 "옛 계약"을 고수하며, 기독교가 주장하는 신약 성경의 "새로운 계약" 내용을 인정하지 않는다.

6. 2. 기독교



기독교에서 예언자(또는 선견자)는 성령을 통해 하느님으로부터 메시지를 전달받도록 영감을 받은 사람을 의미한다. 이는 유대교 예언자와 같이 교회가 시작되기 전에 활동했던 인물들과 기독교 교회 내에서 활동했던 예언자 모두를 포함한다. 일부 기독교 교파는 예언자의 메시지를 특정 공동체 구성원만을 위한 것으로 한정하여 사회적 또는 정치적 메시지를 배제하기도 하지만, 성경에는 예언자들이 사회적,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부름받은 사례가 여러 차례 기록되어 있다.[51] 메시지를 받는 행위를 계시라 하고, 이를 전달하는 것을 예언이라고 한다.

"예언자"라는 용어는 공적 또는 사적 계시를 받는 사람에게 적용될 수 있다. 가톨릭교회에서는 공적 계시가 신앙의 유산의 일부이며, 이는 예수에 의해 완성되었다고 본다. 반면 사적 계시는 신앙의 유산에 추가되지 않는다. "신앙의 유산"은 예수 그리스도의 모든 계시를 의미하며, 성경과 교회의 전통을 통해 후대에 전달된다.

성경은 사도들에게 전해진 복음과 다른 내용을 설교하는 사람을 '거짓 예언자'로 규정한다.[52] 구약성경신명기[53]에는 실현되지 않는 사건을 예언하는 자에 대한 경고가 있으며, 이들을 사형에 처해야 한다고 명시한다. 다른 구절에서는 거짓 예언자가 의도적으로 속이거나, 망상에 빠지거나, 사탄의 영향을 받거나, 자신의 영에서 비롯된 말을 하는 사람일 수 있다고 설명한다.[54]

''세례자 요한의 설교'', 1665년경, 마티아 프레티 작


기독교는 유대교 전통에서 시작된 나자렛 예수의 활동에서 비롯된 종교로, 구약성경에 기록된 예언자들을 유대교와 마찬가지로 인정한다.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에서는 "성령은... 예언자를 통해 말씀하셨다"고 고백한다. 예수의 오심 전 구약의 마지막 예언자는 세례자 요한으로 여겨진다.[61][62]

기독교에서는 예수를 단순한 예언자와 구별하여, 하느님의 아들이자 메시아(구세주)로 믿는다. 다만, 그의 사역으로 인해 "예언자"로 불리기도 한다(사도행전 7:37). 신약성경사도행전이나 서간 등에서는 예언 활동이 초기 기독교 교회(초대 교회)에서도 이루어졌으며, 예언하는 신도들이 당시 "예언자"로 인정받았음을 보여준다. 예루살렘에서 안티오크로 이동한 예언자 중 한 명인 아가보는 큰 기근을 예언했고, 이는 실제로 일어났다. 아가보는 후에 바울이 체포되어 이방인에게 넘겨질 것도 예언했다. 최초의 이방인 선교사로 파송된 바울과 바나바 역시 예언자 또는 교사 그룹에 속했으며(사도행전 13:1), 예루살렘 회의의 결정 사항을 여러 교회에 전달하기 위해 파견된 유다와 실라도 예언자였다(사도행전 15:32). 실라는 바울의 두 번째 전도 여행에 동행하기도 했다. 바울 서신 중 에베소서에서는 "여러분은 사도와 예언자라는 기초 위에 세워졌으며, 그리스도 예수 자신이 그 모퉁잇돌이십니다."(에베소서 2:20)라고 언급하며, 초대 교회에서 예언자의 역할이 사도 다음으로 중요하게 여겨졌음을 시사한다. 요한 계시록 11:10,[63] 마태복음 10:40–41 및 23:34,[64] 요한복음 13:20 및 15:20[65] 등에서도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 이후 예언자의 존재를 명시적으로 다룬다.

''디다케''는 참된 예언자와 거짓 예언자를 구별하는 방법과 교회 내 예언자에게 십일조를 바치는 것에 대한 지침을 제공한다.[67] 이레네우스는 2세기 신자들 중 예언의 은사를 가진 이들에 대해 기록했으며,[68] 순교자 유스티누스는 ''트리폰과의 대화''에서 당시 유대인에게서는 예언자를 찾을 수 없었지만 교회에는 예언자가 있었다고 주장했다.[69] ''헤르마스의 목자''는 교회 내 예언의 적절한 운영에 대한 환상 속 계시를 묘사한다.[70] 유세비우스는 아테네의 콰드라투스와 필라델피아의 암미아를 열두 사도 시대 이후의 저명한 예언자로 언급했다.[71][72] 테르툴리아누스는 자신이 속했던 몬타누스파의 교회 모임을 설명하며 2세기 교회의 예언 관행을 상세히 기술했다.[73]

성령이 기독교인들에게 영적 은사를 계속 부여한다고 믿는 입장을 은사 계속주의라고 한다.[59][60] 이러한 은사에는 예언, 방언, 신유, 분별력 등이 포함될 수 있다.[60] 반면, 은사 중지주의자들은 이러한 은사가 신약 시대에만 주어졌으며 마지막 사도의 죽음 이후 중단되었다고 믿는다.[60]

이오나의 콜룸바(521–597), 성 말라키(1094–1148), 파드레 피오(1887–1968)와 같은 후대의 여러 기독교 성인들도 예언 능력을 가졌다고 전해진다.[74] 1917년 포르투갈 파티마나 1980년대 르완다 키베호에서 발생한 마리아 발현과 같은 사건들은 해당 지역뿐 아니라 세계 미래에 대한 예언적 예측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았다.[75]

기독교 역사 전반에 걸쳐 몬타누스파, 노바티아누스파, 도나투스파, 프란체스코회, 재세례파, 카미사르, 청교도, 퀘이커, 경건주의, 루터교[76], 급진적 경건주의 등 다양한 예언적 운동이 나타났다. 현대의 오순절주의와 은사주의자들은 예언의 은사가 오늘날에도 유효하다고 믿으며, 이들은 2011년 기준으로 약 5억 8천 4백만 명에 달한다.[77] 특히 사도적-예언적 운동 내 일부는 하나님께서 특정 개인들에게 예언자의 은사를 계속 주신다고 본다.

정교회에서는 구약의 예언자들을 "'''성 예언자'''"라는 칭호로 부르며 기념한다.

일부 기독교 종파는 "현대의" 예언자 존재를 인정한다. 예를 들어,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몰몬교)는 하나님이 여전히 예언을 통해 인류와 소통한다고 가르치며,[78] 교회의 지도자(대관장)를 "예언자"라고 칭한다.

6. 3. 이슬람교

꾸란은 여러 인물을 "이슬람의 예언자"(نبي|나비ar, nabī; 복수 أنبياء|안비야ar, anbiyāʾ)로 명시하고 있다. 무슬림은 이들이 인류를 인도하기 위해 신(알라)으로부터 특별한 사명을 받은 존재라고 믿는다. 무함마드 외에도 아담, 노아, 아브라함(이슬람식 이름: ''이브라힘''), 모세(이슬람식 이름: ''무사''), 예수(이슬람식 이름: ''이사'') 등이 예언자에 포함된다.

천사 가브리엘로부터 첫 계시를 받는 무함마드의 묘사. Jami' al-tawarikh 사본에서, 라시드 알딘 하마다니, 1307, 일 칸국 시대.


꾸란에는 25명의 예언자 이름만 언급되지만,[97] 하디스(''무스나드 아흐마드 이븐 한발'' 21257번)에 따르면 역사상 총 124,000명의 예언자가 있었다고 전해진다.[98] 다른 전승에서는 224,000명으로 보기도 한다. 일부 학자들은 실제로는 훨씬 더 많은 예언자가 있었으며, 오직 신만이 그 수를 안다고 주장한다. 꾸란은 신이 모든 시대와 민족에게 예언자를 보냈으며, 무함마드는 모든 인류를 위해 보내진 마지막 예언자라고 말한다.[99] 모든 예언자의 메시지는 본질적으로 동일하다고 믿어진다. 이슬람에서는 모든 예언적 메신저(رسول|라술ar, rasūl)는 예언자이지만, 모든 예언자가 메신저는 아니다. 예언자는 자신의 행동과 성품을 통해 신의 율법을 보여주는 역할을 하지만, 메신저는 신의 율법(계시)을 선포하고 사람들에게 복종과 따름을 요구하는 더 적극적인 역할을 한다. 무함마드는 다른 모든 예언자 및 메신저와 구별되며, 신에 의해 모든 인류를 위한 마지막 예언자이자 메신저로 임명되었다고 믿어진다. 이슬람의 예언자 중 다수는 유대교(토라, 예언서, 성문서)와 기독교의 경전에도 등장하는 인물들이다.[100]

무슬림들은 종종 무함마드를 단순히 "예언자"라고 칭한다.[101][102][103][104] 예수는 기독교에서와 마찬가지로 동정녀 탄생으로 태어났으며, 이슬람에서도 중요한 예언자로 간주된다.[105] 꾸란에서 예수는 "마리아의 아들" 등 다양한 호칭으로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187회 이상 언급되어(93개 ),[106][107] 꾸란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인물 중 하나이다. 그의 이름 '이사'는 25번 등장한다.[108] 모세(무사)와 아브라함(이브라힘) 역시 꾸란에서 자주 언급된다.

전통적으로 네 명의 예언자가 신으로부터 경전을 받았다고 여겨진다. 모세에게는 토라(Tawrat), 다윗에게는 시편(Zābūr), 예수에게는 복음(Injil), 그리고 무함마드에게는 꾸란이 내려졌다. 이 네 예언자는 '메신저'(라술)로 간주된다. 신으로부터 직접적인 경전을 받지 않았더라도 아론(하룬), 이스마엘(이스마일), 요셉(유수프)과 같은 다른 주요 예언자들도 메신저 또는 예언자(나비)로 여겨진다.

이슬람에서는 특히 다음의 다섯 예언자를 '''5대 예언자'''(울룰 아즘, أولو العزم|울룰 아즘ar, 굳센 결의를 지닌 예언자들)로 중요하게 여긴다.

# 노아 (누흐)

# 아브라함 (이브라힘)

# 모세 (무사)

# 예수 (이사)

# 무함마드

이들 중 무함마드는 신이 보낸 마지막 예언자('예언자들의 봉인')라고 믿는다.

7. 조로아스터교의 예언자

3세기 미트라교의 조로아스터 묘사, 시리아 두라 유로포스에서 프란츠 퀴몽 발견


조로아스터교는 예언자와 예언 개념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기원전 6세기경 고대 페르시아에서 존경받는 인물 조로아스터 (또는 자라투스트라)가 창시한 조로아스터교는 예언자 인물 묘사에서 특히 종교적, 철학적 전통에 깊은 영향을 미친 근본적인 사상을 도입했다.

조로아스터교 신앙의 핵심은 아후라 마즈다라는 단일 최고 신의 개념이다. 이 신은 앙그라 마이뉴가 구현하는 어둠과 혼돈의 세력과 영원한 투쟁을 벌인다. 조로아스터는 이 신앙의 주요 예언자로서 아후라 마즈다로부터 신성한 계시와 환상을 받았으며, 이는 조로아스터교의 성서인 아베스타의 기초가 되었다.

예언자로서 조로아스터의 역할은 미래의 종교 지도자와 선지자들에게 모범을 제시했다. 그는 일신교적 원리, 윤리적 이원론, 선과 악의 우주적 전투에 대한 아이디어를 분명히 설명했다. 이는 고대 페르시아의 종교적 풍경뿐만 아니라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텔레마와 같은 후기 전통에도 영향을 미쳤다.[13]

예언자 이해를 형성하는 데 있어 조로아스터교의 유산은 중요하다. 조로아스터의 신과의 직접적인 소통, 인류와 신의 뜻 사이의 중재자 역할, 그리고 도덕적 정당성에 대한 그의 가르침은 후기 종교 전통에서 발전한 예언자직 개념의 토대를 마련했다.

조로아스터교 사상의 영향은 예언자를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 인물로 보는 데서 나타난다: 단일 최고 신이 선택하여 신성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공동체를 인도하며, 도덕적 원칙을 옹호하는 개인. 조로아스터가 확립한 구조화된 예언 전통은 미래의 예언자들에게 선례를 설정하여, 역사를 통틀어 사회가 예언자적 인물을 인식하고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형성했다.[14]

다른 고대 문명에도 비슷한 역할을 하는 사람들이 있었을 수 있지만, 조로아스터교의 체계적인 예언 접근 방식과 후기 종교 사상에 대한 지속적인 영향력은 예언 전통의 중요한 예시로서 그 역사적 위치를 확고히 했다. 이는 신에 대한 인류의 이해와 신의 뜻을 전달하는 예언자의 역할을 풍요롭게 하는 데 기여했다.

8. 구약 이후의 다양한 종파와 예언자

기독교에서 유래한 다양한 종파들에서 스스로 예언자라고 주장하거나 신도들에 의해 예언자로 간주된 인물들이 등장하였다. 이들은 각자의 종교적 비전과 교리를 통해 종파를 형성하거나 신학적 기반을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나, 성경 외의 '예언'을 주장하는 점에서 주류 종파로부터 이단 혹은 이교로 간주되기도 한다.

8. 1. 조셉 스미스 주니어

조셉 스미스는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로 대표되는 몰몬교의 창시자이자 초대 회장으로, 몰몬경을 비롯한 여러 경전을 받아 기록했다고 주장하며 자신을 예언자로 간주했다. 그는 예수 그리스도가 새로운 복음을 계시했다고 선포하며 몰몬교를 설립하였다.

8. 2. 엘런 G. 화이트

엘런 화이트는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안식교)의 공동 설립자 중 한 명이다. 1863년에 설립된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는 엘런 G. 화이트가 예언의 영적 은사를 받은 예언자라고 믿는다. 그녀는 건강, 식생활, 예수 재림에 관한 메시지를 전파하며 교리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8. 3. 찰스 테이즈 러셀

찰스 테이즈 러셀여호와의 증인의 창립자로, 종말론적 성경 해석과 예언을 통해 여호와의 증인의 신학적 토대를 마련했다. 비록 그의 종말 예언은 여러 차례 실패했으나, 그의 가르침은 여호와의 증인의 교리로 이어졌다.

8. 4. 데이비드 코레시

데이비드 코레시다윗교의 지도자였다. 다윗교는 1959년 벤자민 로덴에 의해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에서 갈라져 나온 종교 단체이다. 코레시는 1983년부터 자신을 다윗교의 마지막 예언자이자 "하느님의 아들, 어린 양"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종말론적 교리를 설파하며 신도들을 이끌었으나, 1993년 텍사스주 웨이코에서 발생한 웨이코 포위전 중 FBI와의 충돌 과정에서 사망하며 비극적인 최후를 맞았다.

8. 5. 문선명

문선명은 통일교의 창립자이다. 그는 자신을 재림 예수라고 주장하며, 기독교 교리에 새로운 계시를 더하여 통일교를 만들었다. 문선명은 구약과 신약을 완성할 사명을 받았다고 주장했으며, 통일교를 전 세계적으로 확산시켰다.

8. 6. 짐 존스

짐 존스인민사원(Peoples Temple)의 설립자로, 자신을 예언자로 칭하며 신도들에게 절대적 복종을 요구했다. 그는 사회주의적 이상과 종교를 결합했으나, 1978년 가이아나 존스타운에서 발생한 집단 자살 사건으로 악명을 떨쳤다.

9. 일본의 예언자

일본에서는 『입정안국론』을 통해 내우외환의 위기를 경고한 가마쿠라 불교의 니치렌이나, 비전론을 주장하며 대동아 전쟁에 반대했던 무교회주의 기독교 사상가 우치무라 간조와 야나이하라 타다오 등이 '예언자적 인물'로 평가받는다[147]. 이들이 예언자로 여겨지는 이유는 강렬한 소명 의식과 종말론적 관점에서 사회를 비판하고, 그로 인해 전통 종교 세력이나 사회로부터 박해를 받았다는 점 때문이다. 예언자는 종종 사회가 위기에 처했을 때 나타나 시대의 변화를 이끄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147].

그 외 신종교 계열에서는 오오모토의 데구치 오니사부로, 진광계의 오카다 미츠타마, 아함종의 키리야마 야스오 등도 예언자로 간주된다[148].

한편, 옴진리교의 교주 아사하라 쇼코는 노스트라다무스의 예언 등을 자신의 교리에 끌어들이고 예언을 거듭하면서 스스로를 절대적인 예언자라고 칭하기도 했다[148].

10. 현대 사회와 예언자

현대 사회에서 '예언자'라는 용어는 종교적인 의미 외에도, 사회 현상이나 미래를 예측하고 경고하는 사람들을 비유적으로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빅토리아 시대의 문화 비평가였던 토머스 칼라일존 러스킨은 '빅토리아 시대의 예언자'로 불렸다.[125]

위기가 고조될 것이라고 주장하는 논평가들은 종종 '파멸의 예언자'라고 불린다.[126][127]

미래의 사건을 예측하기 위해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학자들 또한 세속적인 의미에서 예언자로 간주될 수 있다. 2020년, 작가 앤 드루얀은 "제가 정말 감명받은 예언자는 지난 70년간의 기후 과학자들뿐입니다."라고 말했다. 그녀는 고인이 된 남편이자 천문학자인 칼 세이건을 현대의 예언자 중 한 명으로 언급하며, "[그]가 추측했던 많은 것들이 사실로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그들은 모두 인간입니다. 그들은 단지 자신의 지식과 지성을 사용하여 좋은 추측을 했던 것입니다."라고 덧붙였다.[128]

참조

[1] 웹인용 prophet https://www.thefreed[...] 2021-12-19
[2] 웹사이트 prophet – Definition from the Merriam-Webster Online Dictionary https://web.archive.[...] 2008-04-10
[3] 학술지 The Etymological Origins of the Hebrew nābîʾ: The One Who Invokes God https://www.jstor.or[...] 1993
[4] 백과사전 Nabû https://referencewor[...] Brill 2022-10-14
[5] 웹사이트 Semitic Roots Appendix https://www.ahdictio[...] 2019-12-06
[6] 문서
[7] 성경
[8] 성경
[9] 도서 The Greatness That Was Babylon
[10] 학술지 The Sumerian city-state: A comparative study of six city-state cultures: an investigation conducted by the Copenhagen Polis Center C.A. Reitzels Forlag, 23-42.
[11] 문서
[12] 문서
[13] 도서 A History of Medieval Islam Routledge
[14] 도서 Ancient Wisdom in the Age of the New Science: Histories of Philosophy in England, C. 1640-17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문서
[16] 웹사이트 Deuteronomy 34:10 https://www.sefaria.[...] 2024-05-22
[17] 인용 13 principles of faith
[18] 성경
[19] 성경
[20] 도서 All the Parables of the Bible Zondervan
[21] 성경 The Jewish Study Bible Oxford University Press
[22] 성경 Commentary on Jeremiah 35 Oxford University Press
[23] 성경 The Jewish Study Bible Oxford University Press
[24] 도서 Commentary on Jeremiah 13 Doubleday
[25] 도서 Jeremiah, Lamentations Hendrickson Publishers
[26] 성경 The Jewish Study Bible Oxford University Press
[27] 성경 The Jewish Study Bible Oxford University Press
[28] 성경 The Jewish Study Bible Oxford University Press
[29] 성경 The Jewish Study Bible Oxford University Press
[30] 성경 Commentary on Jeremiah Oxford University Press
[31] 도서 Isaiah (Commentary) Hendrickson
[32] 성경 Commentary on Isaiah 6:8–13 Oxford University Press
[33] 도서 ’’Jeremiah (Prophet)’’, The Anchor Bible Dictionary Volume 3 Doubleday
[34] 성경
[35] 도서 ’’Jeremiah, Lamentations’’ Broadman Press
[36] 서적 Jeremiah 12:6, The Jewish Study Bib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37] 서적 Jeremiah 20:1–4, The Jewish Study Bib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38] 서적 The NIV Study Bible Zondervan 1995
[39] 서적 Jeremiah 37:18, Jeremiah 38:28, The Jewish Study Bib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40] 서적 Jeremiah 38:4, The Jewish Study Bib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41] 서적 Jeremiah 38:6, The Jewish Study Bib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42] 서적 Jeremiah 28, The Jewish Study Bib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43] 서적 Isaiah 30:11, The Jewish Study Bib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44] 서적 Exodus 2, Exodus 10:28, The Jewish Study Bib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45] Bibleverse 1 Samuel 9:9 Hebrew – English Bible
[46] 서적 Prophets and Markets: The Political Economy of Ancient Israel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2013
[47] 문서 Rashi on Genesis 29:34
[48] 웹사이트 1611 King James Bible: Book of Isaiah, chapter 8, verse 3-4. https://www.kingjame[...]
[49] 웹사이트 Prophets and Prophecy http://www.jewfaq.or[...]
[50] Bibleverse Numbers 24:1–24:18
[51] Bibleverse Matthew 14:1–7, 2 Kings 3:11
[52] 서적 Revealed in Ephesians: The Mystery of Who I Am in Christ WestBow Press 2019-01-25
[53] Bibleverse Deuteronomy 18:21–22
[54] Bibleverse Ezekiel 13:3
[55] 뉴스 Advent and the Jewish Prophets https://www.catholic[...] The Catholic World Report 2021-12-01
[56] 문서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783
[57] 문서 CCC, 905
[58] 웹사이트 Roots of Catholic Social Teaching Found in the Old Testament Prophets https://www.usccb.or[...] USCCB
[59] 웹사이트 Pentecostals Don't Have a Copyright on the Holy Spirit (Part I) https://www.seedbed.[...] 2015-09-04
[60] 서적 Ordinary Christians, Extraordinary Signs: Healing in Evangelization The Word Among Us Press 2019-04-10
[61] Bibleverse Luke 16:16 KJV
[62] 서적 John 1-11 MacArthur New Testament Commentary Moody Publishers 2006-03-01
[63] Bibleverse Revelation 11:10
[64] Bibleverse Gospel of Matthew Matthew 10:40–41, Matthew 23:34
[65] Bibleverse Gospel of John John 13:20, John 15:20
[66] Bibleverse Acts of the Apostles Acts 11:25–30, Acts 13:1, Acts 15:32
[67] 웹사이트 Early Christian Writings: Didache (Chapters 11–15) http://www.earlychri[...]
[68] 웹사이트 "Against Heresies, Book V Chapter 6.1" http://www.newadvent[...]
[69] 웹사이트 Early Christian Writings: Dialogue with Trypho (Chapter LXXXII) http://www.earlychri[...]
[70] 웹사이트 Early Christian Writings: Shepherd of Hermas (Eleventh Commandment) http://www.earlychri[...]
[71] 웹사이트 "''Ecclesiastical History'', Book III, Chapter 37.1" http://www.newadvent[...]
[72] 웹사이트 "''Ecclesiastical History'', Book V, Chapter 17.2–4" http://www.newadvent[...]
[73] 웹사이트 "''A Treatise on the Soul'', Chapter 9" http://www.newadvent[...]
[74] 웹사이트 Who Is a Prophet? https://slife.org/pr[...] 2019-05-24
[75] 웹사이트 The Miracle Hunter : Marian Apparitions http://marianapparit[...] 2016-06-10
[76] 웹사이트 Jürgen Beyer, ''Lay prophets in Lutheran Europe (c. 1550–1700)'' (Brill's series in church history and religious culture 74), Leiden & Boston: Brill, 2017 https://web.archive.[...] 2017-12-09
[77] 뉴스 "'Global Christianity: A Report on the Size and Distribution of the World's Christian Population'" http://www.pewforum.[...]
[78] 웹사이트 BBC - Religions - Mormon: Living prophets https://www.bbc.co.u[...]
[79] 서적 Splendeurs des oasis d'Ouzbékistan Louvre Editions 2022
[80] 웹사이트 Believers, Proselytizers, & Translators The Sogdians https://sogdians.si.[...]
[81] 논문 "The Prophet's Seal: A Contextualized Look at the Crystal Sealstone of Mani (216-276 C.E.) in the Bibliothèque nationale de France" https://www.jstor.or[...] 2010
[82] 웹사이트 Manichaeism http://www.iranchamb[...] Iran Chamber Society 2015-01-12
[83] 문서 Henning, W.B., ''The Book of Giants'', BSOAS, Vol. XI, Part 1, 1943, pp. 52–74: "...Mani, who was brought up and spent most of his life in a province of the Persian empire, and whose mother belonged to a famous Parthian family, did not make any use of the Iranian mythological tradition. There can no longer be any doubt that the Iranian names of Sām, Narīmān, etc., that appear in the Persian and Sogdian versions of the Book of the Giants, did not figure in the original edition, written by Mani in the Syriac language."
[84] 간행물 Iranica
[85] 서적 The History of Hell Harcourt Brace
[86] 서적 Mesopotamian elements in Manichaeism (King and Saviour II): Studies in Manichaean, Mandaean, and Syrian-gnostic religion Lundequistska bokhandeln 1946
[87] 서적 A World Full of Gods: The Strange Triumph of Christianity https://www.worldcat[...] Plume 2001-07
[88] 간행물 Manichæism https://www.newadven[...] The Catholic Encyclopedia 1910-10-01
[89] 서적 Frontiers of Faith: The Christian Encounter With Manichaeism in the Acts of Archelaus https://books.google[...] BRILL
[90] 서적 Mani, the Angel and the Column of Glory: An Anthology of Manichaean Texts Floris Books 1998
[91] 서적 Gnosis and Hermeticism from Antiquity to Modern Times SUNY Press 1998
[92] 서적 Manichaean Texts from the Roman Empi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93] 서적 The Manichaean Body: In Discipline and Ritual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0
[94] 서적 福州摩尼教重要遗址——福州台江义洲浦西福寿宫
[95] 서적 福建摩尼教寺院遗址考
[96] 웹사이트 The Forgotten Buddha: Manichaeism and Buddhist Elements in Imperial China https://blog.nus.edu[...] 2024-01-29
[97] 서적 Prophets in the Quran: an introduction to the Quran and Muslim exegesis https://books.googl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2011-01-29
[98] 웹사이트 Number Of Prophets & Messengers http://islamic-repli[...]
[99] 문서 qref
[100] 문서 Biblical narratives and the Quran
[101] 문서 Chambers 21st Century Dictionary
[102] 문서 Beyond the Written Word: Oral Aspects of Scripture in the History of Religion 1993
[103] 문서 The militia 1992
[104] 문서 Tafsir Ibn Kathir Juz’ 26 (Part 26): Al-Ahqaf 1 To Az-Zariyat 30 2009
[105] 문서 qref
[106] 서적 Jesus the Messiah in Muslim thought ISPCK/HMI 2002
[107] 서적 Jesus in the Qur’ān 2013-05-02
[108] 서적 Understanding Islam and Christianity 2013-10
[109] 간행물 Hierohistory in Qāḍī l-Nuʿmān's Foundation of Symbolic Interpretation (Asās al-Taʾwīl): The Birth of Jesus https://www.academia[...]
[110] 서적 Handbook of Islamic Sects and Movements "[[Brill Publishers]]"
[111] 서적 Religious Dynamics under the Impact of Imperialism and Colonialism "[[Brill Publishers]]"
[112] 서적 Islam and the Ahmadiyya jamaʻat: History, belief, practice Columbia University Press
[113] 서적 Conscience and Coercion: Ahmadi Muslims and Orthodoxy in Pakistan https://books.google[...] Guernica Editions
[114] 서적 Prophecy Continuous: Aspects of Ahmadi Religious Thought and Its Medieval Background Oxford University Press
[115] 서적 From Sufism to Ahmadiyya: A Muslim minority movement in south Asia Indiana University Press
[116] 서적 Conscience and Coercion: Ahmadi Muslims and orthodoxy in Pakistan https://books.google[...] Guernica Editions
[117] 웹사이트 Ahmaddiyyat - an introduction https://www.alislam.[...] Ahmadiyya Muslim Community [online] 2018-02-27
[118] 서적 Discovering Israel: An Archeological Guide to the Holy Land https://books.google[...] Eerdmans 1981
[119] 서적 The Origins of the Druze People and Religion: With Extracts from Their Sacred Writings Library of Alexandria
[120] 서적 The Druze in the Middle East: Their Faith, Leadership, Identity and Status Michigan University press
[121] 간행물 The Christian Influences in Ismaili Thought 2023
[122] 백과사전 Bahā'īs https://archive.org/[...] Macmillan Reference USA
[123] 간행물 The Concept of Manifestation in the Baháʼí Writings http://bahai-library[...]
[124] 성경
[125] 논문 Edward Irving, Thomas Carlyle, and the making of the 'Victorian Prophet' https://era.ed.ac.uk[...] 2020-02-11
[126] 웹사이트 Ruff sees more rough times ahead – MarketWatch http://www.marketwat[...] 2009-04-09
[127] 뉴스 Nouriel Roubini: I fear the worst is yet to come – Times Online http://business.time[...] 2008-10-26
[128] 웹사이트 Exploring Possible Worlds with Ann Druyan https://skepticalinq[...] Center for Inquiry 2020-06-30
[129] 웹사이트 預言者 https://kotobank.jp/[...] 2017-08-01
[130] 서적 『キリスト教大事典・改訂新版』 "[[教文館]]" 1968
[131] 서적 『新聖書大辞典』 "[[キリスト新聞社]]" 1971
[132] 문서
[133] 문서
[134] 서적 『新約聖書ギリシア語辞典』 キリスト新聞社 1978
[135] 서적 ルメートルほか『図説キリスト教文化事典』 "[[原書房]]" 1998
[136] 서적 『日本キリスト教歴史大事典』 "[[教文館]]" 1988
[137] 서적 『新約聖書ギリシャ語小事典』 教文館 2002
[138] 웹사이트 預言とは - 鈴木範久、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預言」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139] 웹사이트 予言とは - 百科事典マイペディア「予言」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140] 서적 『聖書の日本語 - 翻訳の歴史』 "[[岩波書店]]" 2006
[141] 서적 お言葉ですが…11 連合出版 2006
[142] 서적 新約聖書ギリシャ語小事典 教文館 2002
[143] 웹사이트 PROPHET, FALSE http://www.jewishenc[...] JewishEncyclopedia.com 2016-04-26
[144] 문서 ネビービーム・リショーニーム
[145] 문서 ネビーイーム・アハローニーム
[146] 문서 トレー・アサル
[147] 기타 預言者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코토뱅크
[148] 논문 現代の終末予言宗教・オウム真理教の終末論研究の意味と課題 1997
[149] 서적 예언서 대한기독교서회 2019-10-15
[150] 글로벌 예언자
[151] 인용구
[152] 인용구
[153] 서적 예언자적 상상력 복있는 사람
[154] 서적 예언자적 성상력 복있는 사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