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메리카검은멧토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메리카검은멧토끼는 몸길이 약 55cm의 토끼로, 멕시코 바하칼리포르니아주의 에스피리투산토섬에 고유하게 서식한다. 검은색 털을 가지며, 섬의 풀밭, 경사면, 사구 등에서 발견된다. 섬에는 대형 포식자가 없어 흑색증이 나타났으며, 에스피리투산토영양다람쥐 등과 서식지를 공유한다. 에스피리투산토섬은 멕시코 정부에 의해 생물권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생태관광지이자 유네스코 자연보존지역으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1년 기재된 포유류 - 몰로니흉내박쥐
몰로니흉내박쥐는 정보가 없는 박쥐의 일종으로, 학술적 기재나 생태 정보가 없어 실체가 확인되지 않은 명칭으로 보인다. - 1891년 기재된 포유류 - 피그미토끼
피그미토끼는 북미 서부 그레이트 베이슨 지역에 분포하는 세계에서 가장 작은 토끼과 동물로, 짧은 귀와 회색 털을 가졌으며, 굴을 파는 북미 유일의 토끼과 동물이고, 멸종 위기에 처한 컬럼비아 분지 피그미토끼 보존을 위한 교배 프로그램이 진행 중이다. - 산토끼속 - 북극토끼
북극 툰드라에 사는 북극토끼는 추위에 강한 두꺼운 털을 가진 대형 토끼로, 서식지에 따라 털갈이를 하며 목본 식물을 주로 먹지만 기후 변화와 서식지 파괴로 생존을 위협받고 있다. - 산토끼속 - 고산토끼
고산토끼는 페노스칸디아에서 시베리아 동부에 걸쳐 서식하며 북극 및 산악 환경에 적응한 토끼의 일종으로, 털갈이를 통해 겨울에는 흰색으로 변하는 특징을 가지나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개체수 감소 우려가 있어 보호 노력이 필요하다. - 멕시코의 고유종 동물 - 바키타
바키타는 멕시코 캘리포니아만에 서식하는 세계에서 가장 작은 쇠돌고래과 고래로, 검은 눈테 무늬가 특징이며 극심한 혼획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 멕시코의 고유종 동물 - 멕시코작은귀땃쥐
아메리카검은멧토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Lepus insularis |
명명자 | W. Bryant, 1891 |
속 | 산토끼속 |
종 | 아메리카검은멧토끼 |
이명 | 해당 없음 |
멸종 위기 등급 | 취약종 |
멸종 위기 등급 기준 | IUCN 3.1 |
멸종 위기 등급 참고 | '' |
![]() |
2. 모습
아메리카검은멧토끼의 몸길이는 약 55cm이며, 꼬리 길이는 약 9.5cm이다. 머리 윗면, 등, 꼬리 윗면은 광택 있는 검은색 털에 갈색을 띤다. 머리, 몸통 옆면, 다리는 짙은 시나몬색 또는 황갈색이다. 몸 아랫부분과 꼬리 밑은 더 옅은 갈색이다. 눈 주변은 회색 털로 둘러싸여 있으며, 귀 안쪽은 검회색이고 긴 회색 털이 나 있다.[9]
멕시코 바하칼리포르니아주 에스피리투산토섬의 고유종이다.[10][4] 주로 풀이 나있거나 돌으로 이루어진 경사면, 메사, 사구, 골짜기나 풀숲, 엽채류, 관목, 선인장 주변에서 발견된다.[10]
아메리카검은멧토끼는 에스피리투산토섬에서만 발견되기 때문에 총 서식지는 섬 면적인 95km2 뿐이다.[8] 하지만 섬의 생태와 아메리카검은멧토끼 개체수는 어느 정도 안정되어 있다. 개체수에 대한 주요 위협은 인간들에 의한 외래종 유입과 서식지 교란이다. 에스피리투산토섬은 무인도이며 멕시코 정부가 ''Área de Protección de Flora y Fauna: Islas del Golfo de California''로 지정하여 보존하고 있다.[11] 이 섬은 주요한 생태관광지이며 1995년 유네스코는 ''Islas del Golfo de California'' 자연보존지역으로 선포하였다.[12]
[1]
간행물
"''Lepus insularis''"
2019
3. 생태
아메리카검은멧토끼는 검은빛 털이 주변 갈색, 회색, 초록색 자연 환경과 잘 맞지 않기 때문에 매우 눈에 잘 띄는 편이다. 캘리포니아멧토끼와 근연종이지만, 캘리포니아멧토끼는 육지의 포식자들에게 노출되어 있어 흑색증이 나타나지 않는다. 에스피리투산토섬에는 아메리카검은멧토끼를 잡아먹을 대형 포식자들이 없다. 아메리카검은멧토끼는 에스피리투산토섬에서 에스피리투산토영양다람쥐, 가시주머니생쥐, 선인장쥐, 사막숲쥐, 알락꼬리고양이와 서식지를 공유한다. 또한 섬에는 여러 종류의 도마뱀, 뱀과 관머리까라까라, 아메리카황조롱이와 같은 육식조 또한 서식한다.[9][3]
4. 보전 상태
참조
[2]
서적
MSW3 Lagomorpha
[3]
논문
"''Lepus insularis''"
[4]
간행물
"''Lepus insularis''"
2008
[5]
웹사이트
Áreas de Protección de Flora y Fauna - Islas del Golfo de California
http://islasgc.conan[...]
2015-03-28
[6]
웹사이트
UNESCO, Islas del Golfo de California Biosphere Reserve
http://www.unesco.or[...]
UNESCO Biosphere Programme
[7]
간행물
"''Lepus insularis''"
2019
[8]
서적
MSW3 Lagomorpha
[9]
논문
"''Lepus insularis''"
[10]
간행물
"''Lepus insularis''"
2008
[11]
웹사이트
Áreas de Protección de Flora y Fauna - Islas del Golfo de California
http://islasgc.conan[...]
2015-03-28
[12]
웹사이트
UNESCO, Islas del Golfo de California Biosphere Reserve
http://www.unesco.or[...]
UNESCO Biosphere Programm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