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하칼리포르니아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하칼리포르니아주는 멕시코의 주로, 캘리포니아 반도의 북부에 위치하며, 멕시코의 29번째 주로 1952년에 설립되었다. 이 지역은 원래 원주민들이 거주했으며, 스페인 식민 시대를 거쳐 멕시코 독립 이후 멕시코에 편입되었다. 지중해성 기후에서 사막 기후까지 다양한 기후를 보이며, 주요 도시로는 티후아나, 멕시칼리 등이 있다. 경제는 제조업, 특히 관세 없는 수출 지향적 제조업에 크게 의존하며, 관광 산업도 발달했다. 정치적으로는 주지사와 주 의회를 선출하며, 연방 정부의 하원 의원 8명을 배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하칼리포르니아주 - 티후아나
티후아나는 1889년에 설립된 멕시코 바하칼리포르니아주의 도시로, 샌디에이고와 국경을 접하며, 멕시코 북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며, 제조업, 관광, 의료 관광이 발달했으나, 멕시코 마약 전쟁으로 높은 범죄율을 보이는 도시이다. - 바하칼리포르니아주 - 콜로라도 사막
콜로라도 사막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남부와 멕시코 바하칼리포르니아주 북부에 걸쳐있는 소노라 사막의 하위 지역으로, 낮은 고도, 두 번의 우기, 다양한 서식지가 특징이며, 국립 및 주립 공원들이 위치하여 사막 생태계 보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물 관리 및 개발 압력으로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 멕시코의 주 - 캄페체주
캄페체주는 멕시코 유카탄 반도에 위치하며 마야 유적지와 다양한 생태계를 가진 곳으로, 석유 생산과 관광업이 주요 산업이고 캄페체 시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멕시코의 주 - 유카탄주
유카탄주는 멕시코 남동부에 위치하며 마야 문명의 중심지였고, 헤네켄 산업으로 번영했으며, 유카텍 마야어를 사용하는 원주민이 많고, 안전한 지역으로 평가받는 곳이다. - 멕시코의 행정 구역 - 캄페체주
캄페체주는 멕시코 유카탄 반도에 위치하며 마야 유적지와 다양한 생태계를 가진 곳으로, 석유 생산과 관광업이 주요 산업이고 캄페체 시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멕시코의 행정 구역 - 유카탄주
유카탄주는 멕시코 남동부에 위치하며 마야 문명의 중심지였고, 헤네켄 산업으로 번영했으며, 유카텍 마야어를 사용하는 원주민이 많고, 안전한 지역으로 평가받는 곳이다.
바하칼리포르니아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자유롭고 주권적인 바하칼리포르니아 주 |
로마자 표기 | Estado Libre y Soberano de Baja California |
국가 | 멕시코 |
위치 | 주 |
주도 | 메히칼리 |
최대 도시 | 티후아나 |
최대 광역 도시권 | 티후아나 광역권 |
면적 순위 | 12위 |
인구 순위 | 14위 |
인구 밀도 순위 | 19위 |
면적 | 71,450 km² |
인구 | 3,769,020명 (2020년)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인구 통계 | 바하칼리포르니아인 |
인간 개발 지수 | 0.811 (매우 높음) |
시간대 | PST |
UTC 오프셋 | -8 |
서머타임 | PDT |
UTC 오프셋 (서머타임) | -7 |
우편 번호 | 21, 22 |
지역 번호 | 615 616 646 653 658 661 664 665 686 |
ISO 코드 | MX-BCN |
웹사이트 | 바하칼리포르니아 주 공식 웹사이트 |
정치와 정부 | |
주지사 | 마리나 델 필라르 아빌라 올메다 |
입법부 | 바하칼리포르니아 의회 |
연방 상원의원 | 하이메 보니야 발데스 알레한드라 레온 가스텔룸 히나 크루스 블랙리지 |
연방 하원 의원 | 예세니아 올루아 곤살레스 (제1 선거구) 훌리에타 안드레아 라미레스 파디야 (제2 선거구) 아르만도 레예스 레데스마 (제3 선거구) 소코로 이르마 안다솔라 고메스 (제4 선거구) 에방헬리나 모레노 게라 (제5 선거구) 엑토르 마레스 코시오 (제6 선거구) 이사이스 베르틴 산도발 (제7 선거구) 파우스토 가야르도 가르시아 (제8 선거구) |
주의회 | 바하칼리포르니아 주의회 |
역사 | |
주 승격 이전 | 바하칼리포르니아 북부 준주 |
주 승격 | 1952년 1월 16일 (29번째) |
경제 | |
GDP 총액 (2022년) | 1조 820억 멕시코 페소 (539억 달러) |
1인당 GDP (2022년) | 14,185 달러 |
기타 정보 | |
국가 | 멕시코 |
![]() | |
![]() | |
주가 | 칸토 아 바하칼리포르니아 |
참고 | |
비고 | 바하칼리포르니아는 미국 서머타임 스케줄을 따르는 유일한 주이며, 멕시코의 다른 지역은 표준 시간제를 연중 유지한다. |
2. 역사
바하칼리포르니아 지역은 원래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살던 땅이었다. 이후 에스파냐가 이 지역을 정복하면서 멕시코 칼리포르니아주의 일부가 되었다. 시간이 흘러 알타칼리포르니아가 분리되었고, 현재의 바하칼리포르니아주와 바하칼리포르니아수르주만이 바하칼리포르니아라는 이름 아래 남게 되었다. 한때 미국은 바하칼리포르니아주와 인접한 소노라주를 새로운 노예주로 편입하려는 계획을 세우기도 했다. 1976년 9월 말부터 10월 초 사이에는 허리케인이 바하칼리포르니아주를 강타하여 홍수 등으로 1,000명이 넘는 사망자가 발생하는 큰 피해를 겪었다.[45]
2. 1. 선사 시대
최소 1만 1천 년 전부터 사람들이 이 반도에 도착하여 거주하기 시작했다. 당시 반도에는 주로 두 개의 주요 원주민 집단이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남쪽에는 코치미족이 있었고, 북쪽에는 유마어족에 속하는 여러 집단, 즉 킬리와, 파이파이, 쿠메야이족, 코코파족, 그리고 퀘찬족이 있었다.이들 민족은 지역 환경에 적응하는 방식이 다양했다. 반도 중앙 사막의 코치미족은 자주 이동하는 일반적인 수렵 채집인이었지만, 서해안 세드로스 섬의 코치미족은 강력한 해양 경제를 발전시켰다. 물이 풍부한 북서쪽에 거주하던 킬리와족, 파이파이족, 그리고 쿠메야이족 역시 수렵 채집인이었지만, 이 지역은 더 많은 인구와 정착 생활을 지원했다. 바하칼리포르니아주 북동부에 거주하던 코코파족과 퀘찬족은 콜로라도강 하류의 충적 평원에서 농업을 실천했다.
또 다른 집단으로는 북쪽에서 온 과치미스족이 있었다. 이들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과달루페 산맥 동굴 벽화의 대부분을 만들었다. 과치미스족에 대해서는 기원전 100년에서 서기 1300년 사이에 이 지역에 살았다는 것 외에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13]
2. 2. 스페인 식민 시대
1539년, 프란시스코 데 우요아가 캘리포니아만의 동해안을 정찰하고 반도 서해안을 적어도 세드로스 섬 북쪽까지 탐험하면서 유럽인들이 현재의 바하칼리포르니아주 지역에 처음 도달했다. 에르난도 데 알라르콘은 1540년에 동해안으로 돌아와 콜로라도강 하류까지 올라갔고, 후안 로드리게스 카브리요(포르투갈어: João Rodrigues Cabrilho, 주앙 로드리게스 카브릴류)는 1542년에 서해안 정찰을 완료했다. 세바스티안 비스카이노는 1602년에 다시 서해안을 조사했지만, 그 후 한 세기 동안 외부 방문객은 거의 없었다.예수회는 1697년 로레토에 반도 최초의 영구적인 선교 식민지를 설립했다. 이후 수십 년 동안 예수회는 점차 현재 바하칼리포르니아수르주 전역으로 영향력을 확장했다. 1751년부터 1753년까지 크로아티아 출신 예수회 선교 탐험가인 페르디난드 콘슈차크는 바하칼리포르니아주 북부 지역으로 육로 탐험을 실시했다. 이를 바탕으로 코치미족 거주 지역에 산타 게르트루디스(1752년), 산 보르하(1762년), 산타 마리아(1767년) 선교부가 차례로 세워졌다.
1768년 예수회 추방 후, 잠시 동안 프란체스코회가 선교 활동을 관리하며(1768년~1773년) 산 페르난도 벨리카타에 새로운 선교부를 건설했다. 더 중요한 점은, 가스파르 데 포르톨라와 후니페로 세라가 이끈 1769년 알타칼리포르니아 정착 탐험대가 이 지역 북서부 지역을 처음으로 육로로 탐험했다는 것이다.[14]

도미니코회는 1773년 프란체스코회로부터 바하 캘리포르니아 선교 운영을 인수했다. 그들은 북부 코치미족과 서부 유마어족 사이에 새로운 선교망을 구축했는데, 처음에는 해안가에, 이후 내륙으로 확장하여 엘 로사리오(1774년)에서 데스칸소(1817년)까지, 즉 티후아나 남쪽 팔로우 선 아래 지역까지 선교부를 설립했다.
1804년, 스페인 왕실은 북부의 프란체스코회 선교 지역과 남부의 도미니코회 선교 지역을 구분하는 선을 기준으로 캘리포니아를 알타(상부) 캘리포니아와 바하(하부) 캘리포니아로 공식적으로 나누었다. 이 시기 바하 캘리포르니아의 식민지 총독으로는 호세 호아킨 데 아릴라가(1804년~1805년), 펠리페 데 고이코에체아(1806년~1814년), 그리고 호세 다리오 아르궤요(1814년 4월 11일~1822년)가 있었다.
2. 3. 멕시코 독립 이후
멕시코 독립 이후, 멕시코 자유주의자들은 로마 가톨릭 교회가 여전히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문제로 인식했다. 이에 1833년 선교지의 세속화를 의무화하여 교회의 권한을 줄이고자 했다.미국-멕시코 전쟁(1846년-1848년)이 끝나고 과달루페 이달고 조약이 체결되면서, 미국은 과거 뉴스페인과 멕시코가 지배했던 넓은 영토(대부분 인구가 희박한 지역)를 차지하게 되었다. 알타 캘리포니아는 미국 영토가 되었고, 캘리포니아 골드러시를 거치며 인구가 급증하여 미국의 주로 편입되었다. 반면, 바하칼리포르니아는 멕시코 영토로 남았으며, 이 과정에서 현재의 티후아나, 멕시칼리, 테카테 시가 위치한 지역을 알타 캘리포니아로부터 넘겨받았다.
1853년, 미국의 용병 윌리엄 워커가 라파스를 무단으로 점령하고 스스로를 바하 캘리포니아 공화국의 대통령이라 칭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그러나 몇 달 뒤 멕시코 정부의 대응으로 그는 물러날 수밖에 없었다.
1876년 자유주의 성향의 군 장군이었던 포르피리오 디아스가 정권을 잡은 후, 멕시코 전역의 개발과 현대화를 목표로 하는 대규모 사업들이 시작되었다. 바하칼리포르니아주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요 사건들이 있었다.
- 1884년: 루이스 훌러(Luis Huller)와 조지 H. 시슨(George H. Sisson)이 지역 개발을 약속하는 대가로 현재 주 면적의 상당 부분을 포함하는 특허권을 얻었다.[15]
- 1905년: 리카르도 플로레스 마곤과 엔리케 플로레스 마곤 형제의 저술에 영향을 받은 무정부주의 운동인 '마고니스타'(Magonista) 혁명이 시작되었다.
- 1911년: 멕시코 자유당(Partido Liberal Mexicano|멕시코 자유당es, PLM) 세력이 멕시칼리와 티후아나를 점령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연방군에 항복했다.
- 1917년: 12월 11일, 베누스티아노 카란사 대통령의 측근으로 알려진 한 인물이 미국 상원의원 헨리 애슈어스트에게 바하칼리포르니아주를 5000만달러에 매각하겠다는 제안을 했다.[16]
- 1931년: 바하칼리포르니아주가 행정적으로 북부와 남부 지역으로 분할되었다.
- 1952년: 바하칼리포르니아 북부 지역이 멕시코의 29번째 주인 바하칼리포르니아주로 공식 승격되었다. 남부 지역(북위 28도 이남)은 연방 정부가 직접 관리하는 지역으로 남았다.
- 1974년: 연방 직할지였던 바하칼리포르니아 남부 지역이 멕시코의 31번째 주인 바하칼리포르니아수르주로 승격되었다.
- 1976년: 9월 30일부터 10월 1일까지 허리케인이 바하칼리포르니아주를 강타하여 홍수 등으로 1,000명 이상이 사망하는 큰 피해가 발생했다.[45]
- 1989년: 국민행동당(PAN) 소속의 에르네스토 루포 아펠이 주지사로 당선되었다. 그는 오랫동안 멕시코 정치를 지배해 온 혁명제도당(PRI) 소속이 아닌 첫 바하칼리포르니아 주지사였으며, 멕시코 혁명 이후 전국적으로도 첫 야당 주지사라는 기록을 세웠다. 이후 바하칼리포르니아주는 2010년대까지 국민행동당의 주요 지지 기반으로 여겨졌다.[17]
3. 지리
바하칼리포르니아주는 북아메리카의 캘리포니아 지역 내에 위치하며, 북쪽으로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서쪽으로는 태평양, 동쪽으로는 소노라주 및 코르테스 해(캘리포니아만), 남쪽으로는 바하칼리포르니아수르주와 접한다. 비교적 좁은 면적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지형을 보여준다.
캘리포니아 산맥의 일부인 반도 산맥이 주의 지리적 중심부를 남북으로 가로지른다. 이 중 후아레스 산맥과 산페드로마르티르 산맥이 가장 대표적이며, 이들 산맥에는 남부 캘리포니아의 샌 가브리엘 산맥처럼 숲이 우거져 있다. 반도 전체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인 피카초 델 디아블로가 산페드로마르티르 산맥에 솟아 있다. 산맥 사이의 계곡들은 농업에 적합한 기후를 가지고 있는데, 과달루페 계곡과 오호스 네그로스 계곡에서는 감귤류와 포도가 재배된다. 광물이 풍부한 이 산맥 지대는 남쪽으로 캘리포니아만까지 이어지며, 서쪽 사면은 점차 넓어져 바하칼리포르니아수르주와의 경계 부근에 베렌도 평원을 형성한다. 주의 중부와 남부에는 라 아삼블레아 산맥, 칼라마후에 산맥, 산 루이스 산맥, 산 보르하 산맥 등이 자리 잡고 있다.
주의 북서부 해안은 태평양에서 불어오는 온화한 바람과 차가운 캘리포니아 해류의 영향으로 연중 비교적 쾌적한 기후를 나타낸다.[18] 그러나 캘리포니아 해류의 영향으로 북쪽에서 오는 비구름이 반도 남쪽까지는 잘 도달하지 못해, 엘 로사리오 강 이남 지역부터는 점차 건조해지며 사막 지형으로 바뀐다.
동쪽 지역은 소노라 사막의 일부가 캘리포니아주와 소노라주로부터 뻗어와 멕시칼리 계곡까지 이어진다. 이 지역은 멕시코에서 가장 높은 기온이 기록되는 곳 중 하나이지만, 콜로라도 강에서 물을 끌어와 관개 농업을 함으로써 중요한 농업 중심지가 되었다. 멕시칼리 인근에는 지질학적으로 큰 풀 어파트 분지의 일부인 세로 프리에토 지열 지대가 위치해 있으며, 이곳에서 생산되는 전력은 주 전체 소비량의 약 80%를 충당하고 캘리포니아로 수출할 만큼 충분하다. 또한, 후아레스 산맥과 쿠카파 산맥 사이에는 해수면보다 낮은 염호인 라구나 살라다가 있다. 쿠카파 산맥에서 가장 높은 산은 마운트 시그널(세로 델 센티넬라)이다.
태평양 연안에는 여러 섬들이 흩어져 있다. 주 경계의 가장 서쪽에 위치한 과달루페 섬은 대규모 바다사자 서식지로 유명하며, 남서쪽 해역에는 세드로스 섬이 있다. 엔세나다와 티후아나 앞바다에는 각각 토도스 산토스 제도와 코로나도 제도가 위치한다. 바하칼리포르니아주에 속하는 캘리포니아만의 모든 섬들은 행정구역상 멕시칼리 시에 포함된다.
바하칼리포르니아주는 필요한 물의 대부분을 콜로라도 강에서 얻는다. 역사적으로 콜로라도 강은 콜로라도 강 삼각주를 형성하며 캘리포니아만으로 흘러 들어갔으나, 미국 남서부 지역의 물 수요 증가로 인해 현재는 강 하류까지 도달하는 물의 양이 크게 줄어들었다. 티후아나 광역시는 티후아나 강을 주요 수원으로 이용하며, 샌디에이고 카운티의 오테이 수도국으로부터 물을 구입하기도 한다. 주의 많은 농촌 지역은 우물, 소수의 댐, 오아시스 등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안정적인 식수 확보는 주가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다.
주 인구의 75% 이상은 북부의 주요 도시인 티후아나와 주도인 메히칼리에 집중되어 거주한다.[48]
3. 1. 기후
바하칼리포르니아주의 기후는 지중해성 기후에서 건조 기후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주의 북서쪽 모퉁이 지역은 지중해성 기후의 특징을 보이는데, 여름은 건조하고 온화하며 겨울은 서늘하고 비가 내린다. 이 기후는 티후아나에서 산킨틴과 인근 내륙 계곡에 이르는 지역에서 관찰된다. 태평양의 온화한 바람과 차가운 캘리포니아 해류의 영향으로 북서부 해안의 기후는 연중 쾌적하다.[18] 차가운 해류는 종종 해안 근처에 낮은 해무를 생성하며, 이 안개는 주의 태평양 연안 어디에서든 발생할 수 있다. 엘 로사리오 강 남쪽부터는 풍경이 지중해성에서 사막으로 바뀌며, 이 사막 지역은 해안 안개 덕분에 다양한 다육식물이 자라기에 좋은 환경이다.

바하 칼리포르니아 산맥으로 갈수록 고도가 높아지면서 고산 기후가 나타난다. 여름은 서늘하고 겨울은 밤 기온이 영하로 떨어질 정도로 추울 수 있다. 12월부터 4월 사이에는 시에라 데 후아레스, 시에라 데 산 페드로 마르티르, 그리고 두 산맥 사이의 계곡에서 눈이 내리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지형성 강수 효과로 인해 북부 산악 지대는 서쪽 해안 평야나 동쪽 사막 평야보다 강수량이 훨씬 많다. 이 지역의 산에는 소나무, 삼나무, 전나무 숲이 형성되어 있다.
산맥의 동쪽은 비그늘 효과로 인해 매우 건조한 환경이 조성된다. 이곳의 소노라 사막 지역은 여름이 덥고 겨울은 거의 서리가 내리지 않는 온화한 날씨를 보인다. 특히 멕시칼리 계곡은 멕시코에서 가장 높은 기온을 기록하는 곳 중 하나로, 한여름에는 기온이 47°C를 넘어서고 때로는 50°C를 초과하기도 한다.
태평양 연안을 따라 남쪽으로 내려가면 기후는 사막 기후로 바뀌지만, 캘리포니아 만 연안보다는 덜 덥고 온화한 편이다. 지중해성 기후에서 사막 기후로의 전이 지대는 산킨틴에서 엘 로사리오까지 이어진다. 내륙과 캘리포니아 만 연안 지역은 식생이 부족하고 여름철 기온이 매우 높다. 캘리포니아 만의 섬들 역시 사막 기후를 띤다. 사막 지역에는 카타비나, 산 보르하, 산타 게르트루디스와 같이 소수의 마을이 있는 오아시스가 존재한다.[19]
3. 2. 동식물
고지대에서는 제퍼리소나무, 설탕소나무, 피ñon 소나무 등이 흔히 자란다.[20] 하층 식생으로는 마잔자니타 등이 있다. 파충류 중에서는 서부울타리도마뱀이 서식하는데, 이곳은 이 도마뱀의 분포 범위 남쪽 끝에 해당한다.[21] 어류 속 ''Bajacalifornia''의 이름은 바하칼리포르니아 반도에서 유래했다.[22]1857년 헌법 국립공원과 시에라데산페드로마르티르 국립공원은 바하칼리포르니아 반도의 주요 야생동물 보호구역으로, 여러 종류의 침엽수가 서식한다. 가장 흔한 나무는 제퍼리소나무, ''Pinus ponderosa'', ''Pinus cembroides'', ''Pinus quadrifolia'', ''Pinus monophylla'', ''Juniperus'' 등이며, ''Arctostaphylos pringlei'' subsp. ''drupacea'', ''Artemisia ludoviciana'', ''Adenostoma sparsifolium'' 등도 자란다. 바하칼리포르니아는 캘리포니아 남서부의 라구나 산맥 및 산자신토 산맥과 많은 식물 종을 공유한다. 시에라데후아레스 산맥의 저지대는 차파랄과 사막 관목 지대의 특성을 보인다.


이들 국립공원에는 다양한 포유류가 서식하는데, 대표적으로 뮬사슴, 큰뿔양, 쿠거, 밥캣, 링테일캣, 코요테, 토끼, 다람쥐 등이 있으며, 30종 이상의 박쥐도 발견된다. 조류 또한 다양하여 흰머리수리, 황금독수리, 매, 딱따구리, 검은독수리, 까마귀, 캘리포니아메추라기, 캘리포니아콘도르를 비롯해 여러 종의 동고비과(Sittidae) 조류와 오리 등이 서식한다.




태평양 연안에서 약 250km 떨어진 과달루페 섬과 그 주변 해역은 과달루페 섬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어, 멸종 위기에 처한 해양 및 육상 동식물을 보호하고 있다. 이 지역에는 바키타, 해달, 프롱혼, 백상아리, 과달루페물개 등이 서식하며, 방울뱀의 일종인 ''Crotalus cerastes''도 발견된다.




과달루페 섬의 식물로는 ''Fouquieria columnaris'', ''Eschscholzia californica''(캘리포니아 양귀비), ''Washingtonia filifera''(캘리포니아 부채야자), ''Coreopsis gigantea'', ''Pinus radiata''(라디아타소나무) 등이 자란다.
4. 인구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바하칼리포르니아주의 인구는 3,769,020명이다.[47]
순위 | 도시 | 시 | 인구 |
---|---|---|---|
1 | 티후아나 | 티후아나 | 1,810,645 |
2 | 멕시칼리 | 멕시칼리 | 854,186 |
3 | 엔세나다 | 엔세나다 | 330,652 |
4 | 로사리토 | 플라야스 데 로사리토 | 100,660 |
5 | 테카테 | 테카테 | 81,059 |
바하칼리포르니아주는 유럽계 조상을 가진 주민이 많지만, 역사적으로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출신 이민자 인구도 상당수 존재해왔다. 특히 멕시칼리에는 대규모 중국인 공동체가 형성되어 있으며, 19세기와 20세기 초 스페인령 필리핀 시기와 미국의 필리핀 지배 시기(1898년~1946년)에 이주해 온 필리핀인들도 다수 거주한다. 티후아나와 엔세나다는 초기 아시아계 미국인들이 캘리포니아에 정착한 이후, 미국으로 입국하려는 동아시아인들의 주요 관문 역할을 해왔다.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주 인구의 1.71%가 흑인, 아프로 멕시코인 또는 아프리카계 후손으로 확인되었다.[29]
1960년대 이후로는 멕시코 남부 주 출신 이주민들이 농업(특히 멕시칼리 계곡과 인접한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임페리얼 밸리) 및 제조업 분야에 종사하기 위해 대거 유입되었다. 엔세나다, 티후아나, 멕시칼리 같은 도시들은 미국 시민권 취득을 목표로 하는 이주민들로 인해 성장하기도 했다. 미국 입국을 기다리는 임시 거주자들은 flotillas|플로티야스es라고 불리는데, 이는 '함대'를 의미하는 스페인어 단어 flota|플로타es에서 유래했다.
또한 중남미 다른 국가들과 미국, 캐나다 출신의 이민자 공동체도 상당한 규모를 이루고 있다. 약 20만 명 이상의 미국인 거주자들이 주 내에 살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며, 특히 엔세나다와 같은 해안 휴양 도시에는 미국 시민권을 유지하면서 저렴한 주택을 찾아 은퇴 생활을 하는 이들이 많다. 산펠리페, 로사리토, 티후아나 역시 저렴한 주거 비용과 샌디에이고와의 근접성으로 인해 많은 미국인들이 거주하고 있으며, 이는 멕시코시티 다음으로 멕시코 내에서 두 번째로 큰 미국인 인구 규모이다.
약 6만 명의 오악사카주 출신 주민들이 바하칼리포르니아주에 거주하고 있으며, 이들 중 약 40%는 적절한 출생 증명서를 소지하지 못한 상태이다.[30]
멕시코 과학기술 국가위원회(Conacyt) 연구에 따르면, 2008년 약 81만 명이었던 주 내 빈곤층 인구가 약 100만 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 수치에 지역 주민, 타 주 출신 이주민, 또는 국제 이주민 중 어느 집단이 포함되는지는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았다.[31]
5. 경제
2005년 기준으로, 바하칼리포르니아주의 경제 규모는 멕시코 국내총생산(GDP)의 3.3%를 차지하며, 219.95999999999998억달러에 달한다.[34] 바하칼리포르니아주의 경제는 관세 없는 수출 지향적 제조업(마킬라도라)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2005년 기준으로 제조업 부문에 284,255명이 고용되었으며[34], 연방 프로섹 프로그램 하에 운영되는 900개 이상의 기업이 있다. 로자리토(Rosarito)와 같은 도시는 아름다운 해변과 온화한 기후를 바탕으로 세계적인 관광지로 발달했다.[48] 또한 바하 영화 스튜디오는 대형 수조 시설을 갖추고 있어 영화 촬영지로도 활용된다.[33]
2021년에는 57,550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되어 인구 1,000명당 약 15.2개의 일자리를 기록했다. 이는 멕시코 전국에서 5위, 국경 주 중에서는 누에보레온주 다음으로 2위에 해당한다. 이러한 새로운 일자리는 주로 티후아나, 멕시칼리, 엔세나다, 플라야스 데 로사리토, 테카테 등 주요 도시와 그 주변 지역에서 발생했다. 2021년에 높은 성장률을 보인 산업 분야로는 혁신 산업, 운송 및 통신, 상업, 건설 등이 있다.[35] 2021년 11월 기준, 바하칼리포르니아주는 멕시코 북부 주들 중 가장 높은 고용률(96.7%)을 기록했다.[35]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치도 활발하다. 2021년 9월 기준으로 바하칼리포르니아주는 멕시코 내에서 세 번째로 많은 외국인직접투자를 유치했으며, 이는 전국 총액의 약 7.7%에 해당한다. 이는 누에보레온주(7.7%)와 멕시코시티(16.5%)에 이어 세 번째 규모이다.[35] 주 내 외국인직접투자 중 약 81.4%는 미국으로부터 유입되었으며, 주요 투자 분야는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건설(50.3%)과 자동차 및 트럭 제조(8.2%)이다.[35]
외국인의 부동산 투자와 관련하여, 멕시코는 1973년 외국인투자법[36][37]을 통해 외국인이 멕시코 국경 및 해안 지역 내 토지를 소유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했다. 이는 멕시코 은행을 통해 관리되는 신탁, 즉 '피데이코미소'(Fideicomisoes)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 신탁은 외국인 매수자에게 토지에 대한 모든 소유권 및 권리(매각, 상속, 임대, 양도 포함)를 보장한다. 1994년 법 개정으로 피데이코미소는 50년 기한으로 설정되었으며, 언제든지 50년 연장을 신청할 수 있다.[38] 이러한 제도는 과거 외세 침략으로 인한 영토 상실 경험 때문에 설정된 "제한 구역"[39] 내에서도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1973년에 도입되었다.[40] 멕시코 시민이 은행 신탁 재산을 매입하는 경우에는 신탁 상태를 유지하거나, 신탁에서 벗어나 일반적인 소유권 증서(escrituraes)로 소유권을 취득할 수도 있다.
6. 정치
바하칼리포르니아주는 멕시코의 연방주로서, 주 정부와 연방 정부 차원의 정치 활동이 이루어진다. 주 차원에서는 주지사, 주 의회, 그리고 각 지방자치구(municipio)의 시장을 선거를 통해 선출한다. 연방 차원에서는 대통령 선거와 멕시코 의회 선거에 참여하여 연방 상원 의원과 하원 의원을 선출한다.
최근 몇 년간 바하칼리포르니아주의 정치 지형은 큰 변화를 겪었다. 오랫동안 국민행동당(PAN)과 제도혁명당(PRI)이 주요 정당으로 경쟁해왔으나, 2010년대 후반부터 좌파 성향의 모레나(MORENA)가 급부상하여 주요 정치 세력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2019년 이후 선거에서 모레나는 주지사직과 주 의회 다수석, 주요 시장직을 차지하며 영향력을 확대했으며, 2021년에는 주 최초의 여성 주지사를 배출하기도 했다. 연방 선거에서도 모레나의 강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6. 1. 주 정부


현직 주지사는 모레나 소속의 마리나 델 필라르 아빌라 올메다로, 2021년부터 재임 중이다. 이는 바하칼리포르니아 주 최초의 여성 주지사이다.
바하칼리포르니아 주에서는 주 선거를 통해 주지사, 주 의회 의원 25명, 시장 5명을 선출한다. 선거 주기는 2019년 이전에는 3년이었으나, 2019년부터는 2년으로 변경되었다. 주 의회 의원 25명 중 17명은 각 선거구에서 과반수 대표제로 선출되며 최대 4번까지 연임할 수 있다. 나머지 8명은 비례 대표제로 선출되며, 이들은 한 번만 임기를 수행할 수 있다.
2019년 주 선거에서는 모레나가 주도하는 훈토스 아세모스 이스토리아 연합의 하이메 보닐라 발데스가 27.58%의 득표율 차이로 주지사에 당선되었다. 당시 모레나 연합은 주 의회 25석 중 21석과 5개 시장직을 모두 확보했다.
2021년 주 선거에서는 모레나 연합의 마리나 델 필라르 아빌라 올메다가 17.49%의 득표율 차이로 승리하여 주 최초의 여성 주지사가 되었다. 이 선거에서 모레나 계열 후보들은 5개 시장직을 모두 차지했다. 2021년 선거 결과 주 의회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정당 | 의석 수 |
---|---|
모레나 | 13석 |
솔리다리티 엔카운터당 (PES) | 3석 |
국민행동당 (PAN) | 3석 |
노동당 (PT) | 3석 |
합계 | 25석 |
2024년 선거에서는 모레나가 주 의회에서 한 석을 추가로 얻어 의석 수를 늘렸다.
6. 2. 연방 정부
2018년 멕시코 총선거에서 바하칼리포르니아주의 대통령 선거는 모레나 소속의 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가 63.10%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압도적으로 승리했다. 바하칼리포르니아주를 대표하는 멕시코 하원 의원 8석 중 5석은 모레나 후보가, 2석은 사회조우당 후보가, 1석은 노동당 후보가 차지했다.
2021년 멕시코 총선거에서는 바하칼리포르니아주를 대표하는 멕시코 하원의원 8석 중 6석을 모레나 후보가 차지했으며, 나머지 2석은 노동당과 녹색당 후보가 각각 1석씩 나누어 가졌다. 다음 총선거는 2024년에 예정되어 있다.
7. 교통
- 멕시코 연방 고속도로 1호선
- 멕시코 연방 고속도로 2호선
- 멕시코 연방 고속도로 3호선
- 멕시코 연방 고속도로 5호선
- 멕시코 연방 고속도로 12호선
8. 치안
미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어 마약과 무기 밀수 거래가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지역이다. 2010년대 이후 치안이 악화되는 추세이다. 2018년 7월에는 공안부 장관의 자택에 수류탄을 실은 드론이 떨어지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46]
9. 미디어
바하칼리포르니아주의 신문으로는 《엘 센티넬라》(El Centinelaes), 《엘 인포르마도르 데 바하 칼리포르니아》(El informador de Baja Californiaes), 《엘 메히카노(티후아나판)》(El Mexicano (edición Tijuana)es), 《엘 메히카노 제2판》(El Mexicano Segunda Ediciónes), 《엘 솔 데 티후아나》(El Sol de Tijuanaes), 《엘 비히아》(El Vigíaes), 《에스토 데 라스 칼리포르니아스》(Esto de las Californiases), 《프론테라》(Fronteraes), 《라 크로니카 데 바하 칼리포르니아》(La Crónica de Baja Californiaes), 《라 보스 데 라 프론테라》(La Voz de la Fronteraes), 《세마나리오 세타》(Semanario Zetaes) 등이 있다.[41][42][43]
10. 교육
바하칼리포르니아주는 높은 교육 수준과 성취도를 바탕으로 멕시코 내에서 우수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주 정부는 산업 수요에 맞는 인력 양성을 위해 학교와 기업을 연계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직업 훈련 및 자격 향상 과정을 제공하여 노동력 수준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교육 통계를 보면, 6세에서 14세 사이 인구의 91.60%가 초등학교에 다니고 있으며, 15세 이상 인구 중 61.95%는 고등학교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한 상태이다. 유치원부터 대학교까지 모든 학년에 걸쳐 공립학교가 운영되고 있다.
이 주에는 103개의 전문 학위를 제공하는 32개의 대학교가 있다. 이들 대학에는 바이오테크놀로지, 물리학, 해양학, 컴퓨터 과학, 디지털 지열 기술, 천문학, 항공우주, 전기 공학, 청정 에너지 등 첨단 분야의 기초 및 응용 연구를 수행하는 19개의 연구 개발 센터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고등 교육 기회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바하칼리포르니아주는 기술 및 과학 혁신 분야에서 자급자족 역량을 키우고 외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는 것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 현재 기업들은 새로운 생산 공정 개발과 기업 육성을 위한 기술을 필요로 하고 있다. 박사 과정을 포함한 대학원 학위 과정은 121개가 있으며, 53개의 대학원이 운영 중이다.[32]
참조
[1]
뉴스
Transformación Política de Territorio Norte de la Baja California a Estado 29
http://www.bajacalif[...]
2008-07-20
[2]
웹사이트
Medio Físico del Estado de Baja California
http://e-local.gob.m[...]
2013-02-12
[3]
서적
Promexico
Editorial Emán
[4]
웹사이트
México en cifras
https://www.inegi.or[...]
2016-01-01
[5]
웹사이트
Encuesta Intercensal 2015
http://www.inegi.org[...]
INEGI
[6]
웹사이트
Indicadores Regionales de Actividad Económica 2023
https://www.banamex.[...]
2023-06-13
[7]
웹사이트
Daylight Saving Time Around the World 2023
https://www.timeandd[...]
[8]
웹사이트
Sistema de Cuantas Nacionales de México
http://www.inegi.org[...]
INEGI
[9]
웹사이트
Reporte: Jueves 3 de Junio del 2010. Cierre del peso mexicano
http://www.pesomexic[...]
PesoMexicano
2010-06-03
[10]
서적
Lands and Peoples: North America
Grolier
[11]
웹사이트
Baja California Embraces New Branding to Boost Tourism During Pandemic Recovery
https://timesofsandi[...]
2021-04-23
[12]
서적
Baja Camping: The Complete Guide
Avalon Travel Publishing
[13]
웹사이트
Rock Paintings of the Sierra de San Francisco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onvention
[14]
웹사이트
History of Riverside County, California
http://www.mocavo.co[...]
[15]
간행물
Ensenada: Its background, founding and early development
http://www.sandiegoh[...]
San Diego Historical Society
[16]
서적
A Many-Colored Toga: The Diary of Henry Fountain Ashurst
The University of Arizona Press
[17]
웹사이트
PAN loss in Baja California mirrors Mexico's trend
https://www.sandiego[...]
2012-07-02
[18]
웹사이트
Normales Climatológicas 1971–2000
http://smn.cna.gob.m[...]
Servicio Meteorológico Nacional
2007-06-25
[19]
간행물
Reconstruction of past climatic events using oxygen isotopes in Washingtonia robusta growing in three anthropic oases in Baja California Sur
[20]
간행물
Flora of the Cape Region
https://www.biodiver[...]
Zoe Publishing Company
[21]
웹사이트
Western fence lizard (Sceloporus occidentalis)
http://www.globaltwi[...]
2008-08-30
[22]
간행물
Deep Sea Fishes of the 'Albatross' Lower California Expedition
http://digitallibrar[...]
[23]
웹사이트
Magnitude 7.2 – Baja California, Mexico
https://earthquake.u[...]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0-04-06
[24]
뉴스
At Least Two Die In 7.3-Magnitude Baja Quake
http://www.ktvu.com/[...]
KTVU
2010-04-04
[25]
뉴스
Baja governor seeks emergency declaration after quake
http://www.cnn.com/2[...]
CNN Wire
2010-04-06
[26]
웹사이트
Resultados de las Elecciones Federales – México 2012
https://electionsmx2[...]
[27]
웹사이트
Censo Baja California 2020
https://inegi.org.mx[...]
[28]
웹사이트
Censo de Población y Vivienda 2010
http://www.inegi.org[...]
INEGI
[29]
웹사이트
Panorama
https://www.inegi.or[...]
[30]
웹사이트
Con problemas en acta de nacimiento 40% de oaxaqueños en Baja California
http://www.noticiasn[...]
2012-11-28
[31]
웹사이트
Aumentó pobreza en BC, de 2008 al 2014
http://www.oem.com.m[...]
Organización Editorial Mexicana
2016-10-15
[32]
웹사이트
Education System
http://www.investinb[...]
Secretariat of Economic Development
[33]
웹사이트
Twentieth Century Fox sells Baja
https://variety.com/[...]
2007-05-21
[34]
보고서
Industrial Costs in Mexico – A Guide for Foreign Investors 2007
http://www.bancomext[...]
Bancomext
[35]
웹사이트
Panorama Económico de Baja California - Enero de 2022
http://www.bajacalif[...]
2022-01-01
[36]
웹사이트
Foreign Investment Law
https://www.gob.mx/c[...]
Government of Mexico
1973-03-09
[37]
논문
Mexico: Foreign Investment Act of 1993
1994-01-01
[38]
웹사이트
Mexico and Direct Foreign Ownership of Coastal Property
http://www.mexidata.[...]
2010-04-12
[39]
웹사이트
The Restricted Zone in Mexico
http://www.mexicolaw[...]
[40]
웹사이트
Buying Real Estate in Baja? You Need a Fideicomiso!
http://www.bajaopenh[...]
[41]
서적
Los medios de comunicación en Baja California
Universidad Autónoma de Baja California
[42]
웹사이트
Publicaciones periódicas en Baja California
https://sic.gob.mx/l[...]
Gobierno de Mexico
[43]
웹사이트
Latin American & Mexican Online News
http://libguides.uts[...]
University of Texas at San Antonio Libraries
[44]
웹사이트
Censo de Población y Vivienda 2020
https://www.inegi.or[...]
[45]
뉴스
死者千人超す メキシコのハリケーン
朝日新聞
1976-10-04
[46]
웹사이트
手りゅう弾付きドローン、州治安当局トップ自宅に落下
https://www.afpbb.co[...]
AFP
2018-07-12
[47]
웹인용
Encuesta Intercensal 2015
http://www.inegi.org[...]
INEGI
[48]
뉴스인용
갖출건 다 갖춘 휴양지, 멕시코 바하 캘리포니아 반도
http://life.joins.co[...]
중앙일보사
2008-09-1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