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멘호테프 2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멘호테프 2세는 투트모세 3세의 아들로, 기원전 1400년경 아버지의 사망 후 이집트 파라오가 되었다. 그는 두 차례의 군사 원정을 수행했으며, 일부 종교계에서는 그를 출애굽 시기의 파라오로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학계에서는 일반적으로 람세스 3세 또는 아흐모세 1세를 출애굽의 파라오로 간주하며, 힉소스인들의 패퇴가 출애굽 전승의 기원이 되었다고 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집트 제18왕조 - 투탕카멘
    투탕카멘은 기원전 14세기에 이집트 제18왕조의 파라오로, 아케나톤의 아들로 추정되며, 10세에 파라오가 되어 아텐 신앙을 폐지하고 아멘 신앙으로 복귀했으며, 18세에 사망하여 그의 무덤에서 많은 유물이 발견되었다.
  • 이집트 제18왕조 - 네페르티티
    네페르티티는 기원전 14세기 이집트 제18왕조의 왕비로, 아크나톤의 종교 개혁과 수도 이전에 깊이 관여하며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했고 아름다운 흉상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그녀의 출생, 결혼, 왕비로서의 삶, 사후 행적에 대해서는 다양한 연구와 논란이 존재한다.
  • 이집트 제18왕조의 파라오 - 투트모세 3세
    투트모세 3세는 고대 이집트 제18왕조의 여섯 번째 파라오로, 하트셉수트의 섭정 이후 이집트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정복한 군사적 지도자이며, 메기도 전투를 비롯한 17차례의 원정과 건축물을 통해 광대한 제국을 건설했다.
  • 이집트 제18왕조의 파라오 - 투탕카멘
    투탕카멘은 기원전 14세기에 이집트 제18왕조의 파라오로, 아케나톤의 아들로 추정되며, 10세에 파라오가 되어 아텐 신앙을 폐지하고 아멘 신앙으로 복귀했으며, 18세에 사망하여 그의 무덤에서 많은 유물이 발견되었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아멘호테프 2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멘호테프 2세
루브르 박물관에 있는 아멘호테프 2세의 조각상
칭호이집트 제18왕조의 제7대 파라오
재위기원전 1425년 ~ 기원전 1400년
사망일기원전 1400년
가족 관계
부친투트모세 3세
모친메리트르-핫셉수트
배우자티아(Tiaa)
왕위 계승
이전 왕투트모세 3세
다음 왕투트모세 4세
왕조
왕조이집트 제18왕조

2. 왕권 승계 과정

투트모세 3세는 말년에 아들 아멘호테프 2세가 자신처럼 섭정의 굴욕을 당하지 않고,[3] 후계 체제를 확고하게 하기 위해 공동 통치를 추진한 뒤 기원전 1400년에 사망했다.

3. 군사 원정

(이전 단계에서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내용을 작성할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수정할 내용도 없습니다.)

4. 성경과의 연관성

일부 종교계에서는 아멘호테프 2세를 출애굽의 파라오로 주장하기도 한다.[8] 동양학자 마리오 리베라니는 아브라함의 이름과 세티 1세의 비석(c. 1289 BC)에서 언급되는 유목민족 부족인 라함(Raham) 사이의 연관성을 제안하기도 했다.[15]

4. 1. 출애굽 시기 논쟁

아멘호테프 2세는 재위 3년 차(기원전 1422년)와 9년 차(기원전 1416년)에 아시아로 원정을 떠났고, 이 원정에서 101,128명의 노예를 잡아왔다는 기록이 있지만 확실하지 않다.[6][7] 종교계에서는 아멘호테프 2세를 람세스 2세와 함께 출애굽의 파라오로 주장하기도 한다.[8] 일부에서는 이 노예들 중 일부가 이집트를 탈출하여 가나안으로 도망쳤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출애굽이 그의 치세 동안 발생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9][10]

기원전 14세기의 아마르나 문서에는 가나안에서 반란을 일으킨 하비루(히브리)가 기록되어 있는데, 출애굽을 아멘호테프 2세 시기로 보는 학자들은 이를 근거로 삼는다. 그러나 학계에서는 기원전 1200년경 기후 변화와 사회 변화로 인해 유목민들이 정착 생활로 전환하며 이스라엘이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11] 유목민 외에도 가나안 도시 왕국에서 이탈한 하층민 계층("하비루"는 사회적 하층민을 의미) 역시 초기 이스라엘의 일부가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하비루가 초기 이스라엘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 곧 출애굽 시기를 특정할 수 있는 근거는 아니며,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 주장에 반대한다. 성경에서는 이스라엘이 가나안 내 소수 세력으로 묘사되며, 가나안인들과 섞여 사는 모습이 나타나기 때문에, 하비루를 가나안 토착민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세티 1세의 군사 원정 목록에 나오는 "i-ś-r"을 아셀 지파와 동일시하는 학자들도 있고,[12][13] 베를린 비문(Berlin Pedestal Relief 또는 ÄM 21687)을 근거로 이스라엘이 가나안에 등장한 시기가 기원전 13세기 초나 기원전 14세기 중엽부터였다고 주장하는 학자들도 있어,[14] 아멘호테프 2세 치세에 출애굽이 일어났을 가능성은 상당하다. 그러나 이 지명들은 족장 시대와 관련되었을 수도 있다.

실제 사학계에서는 아멘호테프 2세가 출애굽의 파라오로 다루어지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람세스 3세나 아흐모세 1세가 출애굽의 파라오로 지목된다.

4. 2. 하비루(히브리)와의 관계

기원전 14세기의 기록인 아마르나 문서에는 가나안에서 반란을 일으키는 하비루(히브리)가 기록되어 있는데, 출애굽을 아멘호테프 2세의 시기로 보는 학자들은 이를 근거로 삼기도 한다.[11] 그러나 학계에서는 하비루를 사회 하층민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11] 이들은 초기 이스라엘과 연합하거나 섞여 살던 가나안 토착민으로 보는 것이 더 적합하다.[11]

4. 3. 다른 파라오 후보군

아멘호테프 2세는 재위 3년차인 기원전 1422년에 아시아로 1차 원정을 떠났고,[4] 재위 9년차인 기원전 1416년에는 마지막 원정을 떠났다.[5] 비석 기록에 따르면 아멘호테프 2세가 이 원정에서 101,128명의 노예를 잡아왔다고 하지만 확실하지는 않다.[6][7] 종교계에서는 아멘호테프 2세를 람세스 2세와 함께 출애굽의 파라오로 주장하기도 한다.[8] 이 노예들 중 일부가 이집트를 탈출하여 가나안으로 도망쳤을 수도 있다고 보아 출애굽이 그의 치세 동안에 발생했을 수도 있다고 주장하는 이들도 있다.[9][10]

기원전 14세기의 기록인 아마르나 문서에서는 가나안에서 반란, 전쟁 등을 일으키는 하비루(히브리)를 기록하는데, 출애굽을 아멘호테프 2세의 치세로 보는 학자들은 이를 근거로 삼는다. 하지만, 하비루가 초기 이스라엘과 관련이 있다고 해서 출애굽을 그의 시기로 특정할 수는 없으며, 대부분의 학자들 역시 이를 근거로 출애굽이 아멘호테프 2세의 치세 때 있었다는 주장에 반대한다.

람세스 2세의 아버지인 세티 1세의 군사 원정 목록에서 므깃도와 가데스 사이의 땅이 아셀과 발음이 유사한 "i-ś-r"로 기록되어 있는 것을 아셀 지파와 동일시하는 학자들이 있다는 점,[12][13] 그리고, 메르넵타의 비문이 아니라 호렘헤브람세스 2세의 치세 동안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베를린 비문(Berlin Pedestal Relief 또는 ÄM 21687)이 이스라엘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이라는 점[14]을 고려하면, 아멘호테프 2세의 치세 동안에 출애굽이 일어났을 가능성은 상당하다.

실제 사학계에서는 아멘호테프 2세가 출애굽의 파라오로서 다루어지지는 않는다.

4. 3. 1. 람세스 3세

멘프레드 비탁 교수와 게리 A. 렌즈버그 교수는 람세스 3세를 출애굽의 파라오로 지목한다.[16] 람세스 3세 시대에 이스라엘 출신 노동자가 세운 집이 발견된 것은 이스라엘인의 이집트 노예 생활을 시사한다.[16]

4. 3. 2. 아흐모세 1세

대부분의 학자들은 아흐모세 1세에 의한 힉소스인들의 패퇴가 출애굽 전승의 기원이 되었다고 본다.[17][18][19][20][21][22] 초기 철기 시대 이전의 기록상으로 확인된 시나이반도(최북부)를 거쳐 가나안 땅으로 되돌아갔던 민족이 힉소스인들뿐이었으며,[23] 요세푸스와 같은 역사가들과 교부들 역시 이들의 패퇴를 출애굽과 연결시었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24][25] 물론, 힉소스 패퇴를 출애굽 전승의 기원으로 본다는 것이 힉소스와 이스라엘이 관련이 있다거나 출애굽 이야기가 역사적이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스라엘 핑켈슈타인을 포함한 힉소스 패퇴를 출애굽으로 보는 학자들은 기원전 8세기 이스라엘이 영토를 확장하면서 가나안 저지대의 사람들이 가지고 있었을 힉소스 패퇴에 대한 전승을 수입하거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본다.

참조

[1] 문서 메리트르-하트셉수트(Merytre-Hatshepsut)는 이집트 제18왕조 제5대 여성 파라오 [[하트셉수트]]와 전혀 다른 사람이다.
[2] 서적 Egypt of the Pharaohs Clarendon Press 1961
[3] 문서 [[투트모세 3세]]는 29세까지 23년 동안 [[투트모세 2세]] 부인인 [[하트셉수트]]에게 섭정당했다.
[4] 서적 Egypt of the Pharaohs Oxford University Press 1964
[5] 서적 Egypt of the Pharaohs Oxford University Press 1964
[6] 서적 Studies in the Reign of Amenophis II Gerstenbeg Verlag, Hildesheim 1987
[7] 서적 Studies in the Reign of Amenophis II Hildesheimer Ägyptologische Beiträge (HÄB) 1987
[8] 간행물 성경시대 역사탐방<56> 출애굽 당시 이집트왕 아멘호텝 2세
[9] 웹사이트 Amenhotep II and the Historicity of the Exodus Pharaoh Associates for Biblical Research
[10] 웹사이트 Who Was the Pharaoh of the Exodus? Armstrong Institute of Biblical Archaeology
[11] 간행물 The Emergence of Israel: A Phase in the Cyclic History of Canaan in the Third and Second Millennia BCE Jerusalem 1994
[12] 간행물 Asien und Europa nach Altägyptischen Denkmälern Leipzig 1893
[13] 문서 물론, 이를 아셀 지파로 식별하는 것에 반대하는 학자들도 있다. 아셀 지파가 이스라엘로 귀화한 외국 민족으로 보는 학자들도 있는데, 이들은 후기 청동기 시대 붕괴 때 가나안으로 이주한 바다 민족(Sea Peoples)인 웨쉐시(Weshesh)와 동일한 민족으로 식별한다.
[14] 논문 The Earliest Reference to Israel and Its Possible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Background Vetus Testamentum 2017
[15] 간행물 The Apiru of Mount Yarumta, together with the Tayaru, attack the Raham tribe Princeton 1955
[16] 서적 On the Historicity of the Exodus: What Egyptology Today Can Contribute to Assessing the Biblical Account of the Sojourn in Egypt Springer 2015
[17] 서적 Egypt, Canaan, and Israel in Ancient Tim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2
[18] 서적 From Akhenaten to Moses: Ancient Egypt and Religious Chang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19] 서적 The Emergence of Iron Age Israel: On Origins and Habitus Springer 2015
[20] 서적 Israel's Exodus in Transdisciplinary Perspective: Text, Archaeology, Culture, and Geoscience Springer 2015-03-28
[21] 서적 The Bible Unearthed Free Press 2002
[22] 서적 Exod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23] 서적 The Bible Unearthed
[24] 서적 The Bible Unearthed
[25] 웹사이트 IBSS – Biblical Archaeology – Date of the Exodus https://www.bibleand[...] Institute for Biblical & Scientific Studies 2017-04-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