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르넵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르넵타는 람세스 2세의 아들이자 이집트 제19왕조의 파라오로, 기원전 1213년부터 기원전 1203년까지 약 10년 동안 통치했다. 그는 람세스 2세의 여러 아들들이 사망하면서 왕위 계승자가 되었으며, 이세트노프레트 2세와 결혼하여 세티 2세 등을 낳았다. 메르넵타는 리비아와 바다 민족의 침략을 격퇴하고 가나안 원정을 수행했으며, 특히 '이스라엘 비문'을 통해 이스라엘 민족의 존재를 언급한 최초의 이집트 왕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70세 전후의 고령으로 사망했으며, 세티 2세가 그의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집트 제19왕조의 파라오 - 람세스 1세
    람세스 1세는 군인 가문 출신으로 호렘헤브의 후계자가 되어 이집트 제19왕조를 창시했으며, 짧은 재위 기간 동안 카르나크 신전 완공 감독, 아비도스 예배당 및 신전 건설 지시 등의 업적을 남겼다.
  • 이집트 제19왕조의 파라오 - 세티 1세
    세티 1세는 이집트 제19왕조의 파라오로, 혼란해진 왕국 질서를 재확립하고 이집트의 주권을 회복하는 데 힘썼으며, 활발한 군사 활동과 건축 사업을 통해 국력을 과시하고, 아비도스 장제전에 왕명표를 남겨 이집트 역사 연구에 기여했다.
  • 기원전 13세기 파라오 - 람세스 1세
    람세스 1세는 군인 가문 출신으로 호렘헤브의 후계자가 되어 이집트 제19왕조를 창시했으며, 짧은 재위 기간 동안 카르나크 신전 완공 감독, 아비도스 예배당 및 신전 건설 지시 등의 업적을 남겼다.
  • 기원전 13세기 파라오 - 세티 1세
    세티 1세는 이집트 제19왕조의 파라오로, 혼란해진 왕국 질서를 재확립하고 이집트의 주권을 회복하는 데 힘썼으며, 활발한 군사 활동과 건축 사업을 통해 국력을 과시하고, 아비도스 장제전에 왕명표를 남겨 이집트 역사 연구에 기여했다.
  • 람세스 2세 - KV5
    KV5는 이집트 왕가의 계곡에 있는 고대 무덤으로, 켄트 R. 위크스가 이끄는 테베 매핑 프로젝트를 통해 130개 이상의 방과 다양한 유물이 발견되었으며, 현재까지 발굴된 왕가의 계곡 무덤 중 최대 규모이다.
  • 람세스 2세 - 카데시 전투
    카데시 전투는 기원전 1274년 이집트의 람세스 2세와 히타이트의 무와탈리 2세 간에 벌어진 전투로, 전략적으로는 무승부로 끝났으며, 이후 이집트-히타이트 평화 조약으로 분쟁이 종식되었다.
메르넵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집트 박물관]], [[카이로]]에 있는 메르넵타의 화강섬록암 흉상
이집트 박물관, 카이로에 있는 메르넵타의 화강섬록암 흉상
호루스 이름 (호루스 상형문자)E1:D40-V28-D36-A28-G17-M17
호루스 이름카나크트 하이에마트
네브티 이름 (네브티 상형문자)D4-G30-Z3-D21:N17:Z1*N21-S3-U33-M17-G17-V28-G43-T14-A1-A1-N17:Z2
네브티 이름이리바우에르타엔트옘후
황금 호루스 이름 (황금 호루스 상형문자)V30:G54-O29:I9-F8
황금 호루스 이름네브세네드자아셰피트
즉위명 (즉위명 상형문자)N5-E11:n-N36:nTr*nTr*nTr
즉위명바엔레 메리네체루 (라의 영혼, 신들의 사랑을 받는 자)
본명 (본명 상형문자)H6-X1:D42-U4-D2:Z1-R4:X1*Q3-V28-Q3:X1-U6:N35
본명메르넵타 호테페르마트 (프타의 사랑을 받는 자, 진실은 기쁘다)
로마자 표기Merneptah
발음 (IPA)/ˈmɛrnɛptɑː, mərˈnɛptɑː/
통치
통치 기간기원전 1213년 - 기원전 1203년 (10년)
왕조이집트 제19왕조
이전 파라오람세스 2세
다음 파라오세티 2세/아멘메세스
개인 정보
배우자이세트노프레트 2세, 타카트?
자녀세티 2세, 메르넵타, 카엠와세트, 이세트노프레트
아버지람세스 2세
어머니이세트노프레트
출생기원전 1283년경
사망기원전 1203년 5월 2일 (80세)
매장지KV8; 미라는 KV35 왕실 은닉처에서 발견됨 (테베 네크로폴리스)

2. 가족

메르넵타는 람세스 2세와 이세트노프레트 1세 사이에서 태어난 넷째 아들이자 13번째 자식이었다.[21][22][23][24] 그는 투탕카멘 이후 최초의 왕족 출신 파라오였다. 정비는 이세트노프레트 2세로, 친누이 또는 조카딸로 추정된다. 이세트노프레트 2세는 메르넵타가 파라오가 되었을 때 대왕비가 되었다.

이들 사이의 자녀로는 메르넵타, 세티 2세, 타우스레트 등이 알려져 있다. 세티 2세가 파라오가 되었을 때, 투스렛은 그의 대왕비가 되었고, 이후에는 파라오의 자리에까지 오르게 되었다. 타카토와의 사이에서 아멘메세를 낳았다는 설이 있다.

2. 1. 가계도

메르넵타는 람세스 2세와 왕비 이세트노프레트 1세 사이에서 태어난 넷째 아이이자 열세 번째 아들이었다.[21][22][23][24] 그는 투탕카멘 이후 최초의 왕족 출신 파라오였다.

그는 자신의 친여동생 혹은 조카였을 가능성이 있는 이세트노프레트 2세와 결혼했으며, 이세트노프레트 2세는 그가 파라오로 즉위했을 때 대왕비가 되었다. 이들 사이에는 최소 두 아들(아버지의 이름을 딴 메르넵타와 세티 2세)과 딸 타우스레트가 있었다. 세티 2세가 파라오가 되었을 때 그의 누이 타우스레트는 그의 대왕비가 되었다. 그녀는 파라오 셉타 사후 스스로 파라오가 되었다.

아멘메세의 어머니인 타카토는 2차 왕비였을 수 있지만, 학자들은 아직 이를 확정하지 못했다.

3. 즉위 이전

람세스 2세는 90대까지 장수하여 이집트 역사상 가장 오래 재위한 파라오 중 한 명이었다. 그는 많은 후계자들보다 오래 살았고, 결국 열세 번째 아들인 메르넵타가 왕위를 잇게 되었다. 메르넵타는 람세스 2세 재위 40년에 육군 감독관(장군)으로 승진하기 전까지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지만, 정부의 여러 역할을 수행하며 파라오가 될 준비를 했을 것으로 보인다.[25]

람세스 2세 재위 55년에 메르넵타는 공식적으로 왕세자로 선포되었다. 그 후 람세스 2세의 마지막 12년 동안 섭정으로 봉사하면서 추가적인 책임을 맡았다.[9][25]

4. 연대기

현대에 확인된 역사 기록에 따르면, 메르넵타는 기원전 1213년 7월 말이나 8월 초순부터 기원전 1203년 5월 2일 사망할 때까지 거의 10년 동안 이집트를 통치했다.[26][3] 이스라엘 민족에 맞선 메르넵타의 가나안 군사 행동과 관련된 천문학적 계산에 따르면, 즉위 시기가 기원전 1219년 또는 1220년으로 추정될 수도 있다.[27]

5. 군사 행동

메르넵타는 재위 기간 동안 여러 차례 군사 작전을 수행했다. 집권 5년차에 바다 민족의 도움을 받아 서쪽에서 이집트를 위협하던 리비아인들과 페리레 전투를 벌여 승리했다. 이 전투는 나일강 삼각주 서쪽 가장자리에 위치한 페레르 시에서 벌어졌으며, 6시간 동안 진행되었다.

이 전투에 대한 기록은 카르나크의 여섯 번째 주탑 옆 벽에 산문으로 묘사되어 있으며, 메르넵타 석비(이스라엘 석비)에도 관련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특히 "방백들은 꿇어 엎드리며 '자비를!'이라고 외친다... 이스라엘은 황폐해졌고, 그 씨가 말랐다"라는 구절은 '부족' 또는 '민족'으로서 이스라엘의 존재에 대한 최초의 고대 이집트 기록이다.[29]

또한, 메르넵타는 재위 5년차 또는 그 이전에 가나안 지역에서 군사 원정을 벌였다. 이 원정에 대한 내용은 메르넵타 석비에 시적으로 묘사되어 있는데, "이스라엘은 황폐해졌고, 그 씨가 말랐다"라는 구절을 통해 이스라엘 민족에 대한 언급이 처음으로 나타난다.

5. 1. 리비아 및 바다 민족과의 전투

메르넵타는 통치 기간 동안 여러 차례 군사 작전을 수행해야 했다. 특히, 집권 5년 차에 바다 민족의 도움을 받아 서쪽에서 이집트를 위협하던 리비아인들과의 전투가 중요했다. 메르넵타는 나일강 삼각주 서쪽 가장자리에 위치한 페레르 시에서 리비아와 바다 민족 연합군을 상대로 6시간 동안 전투를 벌여 승리했다. (페리레 전투)

이 전투에 대한 기록은 카르나크의 여섯 번째 주탑 옆 벽에 산문으로 묘사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메르넵타가 에케시(Ekwesh), 테레시(Teresh), 루카(Lukka), 셰르덴(Sherden), 세켈레시(Shekelesh) 등 "모든 나라에서 온 북부인들"을 상대로 승리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28]

전투의 경과는 다음과 같다. "데드의 아들, 리비아의 불행하고 몰락한 우두머리인 메리에이"가 셰르덴, 세켈레시, 에크웨쉬, 루카, 테레쉬 등 바다 민족과 리비아 군대를 이끌고 테헤누를 공격했다. 그는 "그의 나라의 모든 전사와 군인들 중 최정예"를 데려왔고, 심지어 그의 아내와 자식까지 동반하여 페리레 평원의 서쪽 경계에 도착했다.[28]

이 소식을 접한 메르넵타는 격분하여 조정 신하들을 모아 연설을 했다. 이후 그는 프타 신이 칼을 건네며 "그대를 침탈하는 그 두려운 마음을 그대에게서 쫓아내라"고 말하는 꿈을 꾸었다. 궁수들이 출전하자, "아문 신도 그들과 함께하며 그 방패가 되었다"고 한다. 6시간 후, 살아남은 '아홉 활'(이집트에서 외국인을 가리키던 표현)들은 무기와 짐, 가족까지 버리고 도망쳤다. 메르넵타는 6,000명의 적군을 사살하고 9,000명을 포로로 잡았다고 기록했다. 특히, 전사한 시체의 음경할례받은 자들의 손을 잘라 그 수를 확인했는데, 이를 통해 에케시들이 할례를 받았다는 사실이 확인되었고, 이는 그들이 그리스인일 가능성을 시사한다.[28]

프타 신에게 제물을 바치는 메르넵타.


메르넵타의 승리는 메르넵타 석비(이스라엘 석비)에도 기록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방백들은 꿇어 엎드리며 '자비를!'이라고 외친다... 이스라엘은 황폐해졌고, 그 씨가 말랐다"라는 구절이 있다. 이는 국가나 도시가 아닌 '부족' 또는 '민족'으로서 이스라엘의 존재에 대한 최초의 고대 이집트 기록이다.[29]

5. 2. 가나안 원정

메르넵타는 파라오로 재위하던 기간 동안 여러 군사 원정을 수행했다. 특히, 그의 통치 5년차 또는 그 이전에 가나안 지역에서 벌어진 원정은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이 원정에 대한 기록은 '메르넵타 석비'(이스라엘 비석)에 시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이 비석의 내용은 메르넵타가 가나안 원정에서 '이스라엘'을 완전히 파괴했다고 주장한다. "이스라엘은 황폐해졌고, 그 씨가 말랐다"는 구절은 매우 강력한 표현으로, 이스라엘 민족에 대한 언급은 이 비석에서 처음으로 나타난다. 여기서 '이스라엘'은 국가나 도시가 아닌, '부족' 또는 '민족'으로 언급되어, 당시 이스라엘이 아직 국가를 형성하기 전의 단계였음을 시사한다.[29]

텔 게젤 유적에서는 불태워진 건축물과 희생자의 유해가 대량으로 발굴되었는데, 이는 메르넵타 석비에 기록된 내용과 일치한다. 이러한 고고학적 발견은 메르넵타의 가나안 원정이 실제로 일어났으며, 그 과정에서 이스라엘을 포함한 여러 지역이 파괴되었음을 뒷받침한다.[18]

메르넵타의 가나안 원정은 이집트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가나안 지역의 정치적 상황을 안정시키려는 목적을 가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원정의 결과로 이집트는 가나안 지역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하고, 주변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었다.

6. 계승

파라오 메르넵타의 석관. 그의 무덤에서 발굴되었다.


메르넵타는 즉위 당시 이미 70대 초반, 못 되어도 60대 후반의 노인이었다.[30] 그는 아버지 람세스 2세의 수도였던 피라메세에서 멤피스로 이집트의 행정 중심지를 다시 옮겼고, 그곳에 프타 신전 옆 왕궁을 세웠다. 이 궁전은 1915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박물관의 클라렌스 스탠리 피셔가 발굴했다.

메르넵타 사후 왕위 계승 문제가 발생했다. 그는 KV 8 무덤에 안치되었으나, 나중에 옮겨져 미라가 보존되어 있다.

6. 1. 왕위 계승 분쟁

메르넵타의 후계자는 세티 2세였으며, 그는 이세트노프레트 여왕의 아들이었다. 그러나 세티 2세의 왕위 계승은 순탄치 않았다.[14] 아멘메세라는 경쟁자가 나타나 세티 2세 재위 기간 중 상 이집트와 쿠시 왕국을 장악했다. 아멘메세는 메르넵타의 또 다른 아들이거나, 람세스 2세의 아들일 가능성도 있다. 세티 2세는 아멘메세를 물리친 후 재위 5년째에 테베에 대한 권위를 되찾을 수 있었다. 상 이집트를 장악하기 전 아멘메세는 메수이로 알려졌고 쿠시의 부왕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7. 메르넵타의 미이라

파라오 메르넵타의 미이라(머리 부분)


메르넵타의 미라는 원래 왕가의 계곡에 있는 KV8 무덤에 묻혔지만, 그곳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1898년 빅토르 로레에 의해 아멘호테프 2세의 무덤(KV35)에서 다른 18구의 미라와 함께 발견되었다. 발견된 파라오 메르넵타의 미라는 카이로로 옮겨졌고 1907년 7월 8일 엘리엇 스미스(G. Elliott Smith) 박사에 의해 분석이 진행되었다.

스미스 박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미라는 보존 상태가 나쁘지 않았으며, 도굴로 인해 팔에 손상이 있었을 뿐 다른 파라오와 비교해도 상당히 상태가 좋았다.
  • 신장은 1714mm이며 아버지인 람세스 2세와 마찬가지로 사망 당시 매우 고령이었기 때문에 관절염, 충치, 치주 질환, 동맥경화 등 다양한 질병으로 고통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2021년 4월, 메르넵타의 미라는 파라오의 황금 퍼레이드라는 행사에서 다른 17명의 왕과 4명의 왕비의 미라와 함께 이집트 고대 유물 박물관에서 이집트 문명 국립 박물관으로 옮겨졌다.[19]

참조

[1] 웹사이트 King Merenptah http://www.digitaleg[...] University College London 2007-09-29
[2] 웹사이트 Merneptah http://www.dictionar[...]
[3] 서적 Chronologie des Pharaonischen Ägypten Mainz
[4] 서적 Tutankhamun's Armies: Battle and Conquest During Ancient Egypt's Late Eighteenth Dynasty John Wiley & Sons
[5] 서적 The Eye Of Horus: A History of Ancient Egypt Longman Cheshire
[6] 서적 1: Building Bridges of Time, Places and People: Volume I: Tombs, Temples & Cities of Egypt, Israel, Greece & Italy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2012-05-02
[7] 웹사이트 Merneptah http://mathstat.slu.[...] Saint Louis University 2017-12-21
[8] 웹사이트 Penn Museum - Egypt (Sphinx) Gallery https://www.penn.mus[...] 2017-12-21
[9] 웹사이트 Merneptah http://ancient_egypt[...] 2017-12-21
[10] 서적 The End of the Bronze 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1] 서적 "The Amarna Period and the Later New Kingdom" in The Oxford History of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12] 뉴스 First Discovery of Bodies in Biblical Gezer, From Fiery Destruction 3,200 Years Ago https://www.haaretz.[...] 2017
[13] 웹사이트 Merenptah's Fourth Year Text at Amada https://www.academia[...]
[14] 서적 Ramesses: Egypt's Greatest Pharaoh Penguin Books
[15] 서적 The Royal Mummies Cairo
[16] 뉴스 22 Ancient Pharaohs Have Been Carried Across Cairo in an Epic 'Golden Parade' https://www.sciencea[...] 2021-04-05
[17] 서적 "The Amarna Period and the Later New Kingdom" in The Oxford History of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18] 뉴스 First Discovery of Bodies in Biblical Gezer, From Fiery Destruction 3,200 Years Ago https://www.haaretz.[...] 2017
[19] 뉴스 22 Ancient Pharaohs Have Been Carried Across Cairo in an Epic 'Golden Parade' https://www.sciencea[...] 2021-04-05
[20] 서적 Chronologie des Pharaonischen Ägypten Mainz
[21] 서적 The Eye Of Horus: A History of Ancient Egypt Longman Cheshire
[22] 서적 1: Building Bridges of Time, Places and People: Volume I: Tombs, Temples & Cities of Egypt, Israel, Greece & Italy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2012-05-02
[23] 웹사이트 Merneptah https://mathstat.slu[...] Saint Louis University 2017-12-21
[24] 웹사이트 Penn Museum - Egypt (Sphinx) Gallery Penn Museum 2017-12-21
[25] 웹사이트 Merneptah http://ancient_egypt[...] 2017-12-21
[26] 서적 Chronologie des Pharaonischen Ägypten Mainz
[27] 간행물 Solar eclipse of 1207 BC helps to date pharaohs https://academic.oup[...] Astronomy & Geophysics 2017-10-01
[28] 서적 The End of the Bronze 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9] 서적 "The Amarna Period and the Later New Kingdom" in The Oxford History of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30] 서적 Ramesses: Egypt's Greatest Pharaoh Penguin Books
[31] 서적 The Royal Mummies Cair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