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브라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브라함은 구약성서에 등장하는 유대인의 조상으로, '열국의 아버지'라는 뜻을 지닌다. 원래 이름은 아브람이었으나, 야훼와의 언약을 통해 아브라함으로 개명되었다. 그의 이름은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에서 널리 사용되며, 특히 유대교에서는 "아브라함 아비누" (우리의 조상 아브라함)로 불리며 존경받는다. 아브라함은 믿음의 조상으로, 하느님의 명령에 순종하여 가나안으로 이주하고, 롯과의 분가, 이삭을 제물로 바치려는 믿음 등을 통해 하느님과의 언약을 맺었다. 신약성서에서도 아브라함은 하느님을 표상하는 인물로, 믿음의 표본으로 묘사된다.
유대인의 으뜸가는 조상의 이름으로, 그 뜻은 '열국(列國)의 아버지'(창세기 17:4~5)이다. 원래 이름은 아브람(Abram, 뜻: 큰 아버지)이었는데, 야훼와 언약을 맺으며 그의 뜻을 따라 아브라함으로 개명한다.(창세기 17:5)[117]
20세기 초중반, 윌리엄 올브라이트와 G. 어니스트 라이트 같은 저명한 고고학자들과 알브레히트 알트, 존 브라이트 같은 성경학자들은 아브라함이 기원전 2000년에서 1900년 사이에 활동했던 실제 인물이거나 그 시대 사람들의 모습을 반영한 인물이라고 믿었다.[118] 그러나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이스라엘 역사와 성경 본문에 대한 새로운 주장들이 이러한 견해에 도전했다. 토마스 L. 톰슨의 ''족장 이야기의 역사성''(1974)[119]과 존 반 세터스의 ''역사와 전통 속의 아브라함''(1975)[120]이 대표적이다.
데라는 노아의 9대손으로, 아브람, 나홀, 하란, 사라의 아버지였다.[2] 하란은 아브람의 조카인 롯의 아버지였으며, 이 가족은 갈대아 우르에 살았으나 그곳에서 죽었다. 아브람은 사라 (사래)와 결혼했다. 데라, 아브람, 사래, 롯은 가나안으로 떠났지만, 하란이라는 곳에 정착했고, 거기서 데라는 205세의 나이로 죽었다.[3]
2. 이름의 의미
아브라함(אַבְרָהָם|아브라함he)은 어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창세기』에 나오는 인물로, 젊은 시절에는 아브람(אַבְרָם|아브람he)이라고 불렸다(『창세기』 제11~17장). 아브람의 의미는 "아버지(父)는 높다"는 뉘앙스로, 출생의 좋음을 나타낸다. 아브라「하」무와 같이 "하"를 붙여 늘이는 것은 중동의 아람어 등에서 흔히 보이는 변화인데, 『창세기』 제17장에서는 "많은 민족(たみ)의 아버지"(많음=하몬, 아버지=아브)라는 의미로, 그의 자손 번영을 위해 신이 직접 개명한 것이라고 한다[103]。
(아브람과 아브라함의 다른 한국어 번역 예시: "아브람=높여진 아버지"와 "아브라함=많은 것들의 높여진 아버지"[104]).
아브라함이라는 이름은 유대교, 기독교 등을 지지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세계적으로 남성의 이름으로 매우 흔히 사용된다. 이스라엘에 사는 유대교도 중에서도 그 이름을 가진 사람이 매우 많다. 또한 이슬람교 사회에서도 이브라힘(إبراهيم)이라는 이름으로 남성의 이름으로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유럽에서 가톨릭만이 전파되던 시대에는 이 이름이 현대만큼 흔하게 사용되지는 않았다. 개신교가 생겨난 이후, 가톨릭 성인과 같은 이름을 피하여 구약성서의 인명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졌고, 근세에 아브라함이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이 다소 증가했다.
미국에서는 유대인의 수도 많고[105], 원래 인종적으로 유대계이면서 현재는 개신교 중에서도 특히 구약성서와 이스라엘을 중시하는 교회에 소속된 사람, 또는 인종적으로는 유대인과 관계없지만 개신교 교회에 속한 사람 등이 뒤섞여 있어서, 결과적으로 그 이름을 사용하는 사람이 상당히 많다. 제16대 대통령 링컨의 이름도 아브라함(Abraham, 영어 발음은 에이브러햄)이다. 영어에서의 약칭은 "에이브"이다.
3. 역사성
문학 학자인 톰슨은 고고학과 고대 문서를 바탕으로 족장들이 기원전 20세기에 살았다는 증거가 부족하며, 특정 성경 본문이 기원전 10세기 이후 시대의 상황을 반영한다고 주장했다. 반 세터스는 족장 이야기를 조사하여 그들의 이름, 사회적 환경, 메시지가 철기 시대의 창작물임을 시사한다고 주장했다.[121] 이들의 책은 성경 연구와 고고학의 패러다임 전환을 일으켜, 학자들이 족장 이야기를 역사적으로 여기지 않게 만들었다. 일부 보수 학자들이 족장 이야기를 옹호하려 했지만, 학계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122][123]
''The Bible Unearthed (2001)''은 고대 근동 지역의 사회와 문화에 대한 고고학적 발견을 통해 드러난 족장 내러티브의 여러 시대착오적인 점들을 지적하며, 족장 내러티브가 실제로 기원전 9-7세기에 설정되었음을 암시한다고 본다.
고고학자 윌리엄 G. 데버는 2001년에 "존경할 만한 모든 고고학자들은 아브라함, 이삭 또는 야곱을 '역사적 인물'로 만들 어떤 맥락도 복구할 희망을 포기했다."라고 썼다.[127] 21세기가 시작될 무렵, 고고학자들은 아브라함, 이삭, 야곱이 역사적 인물이 될 수 있는 맥락을 복구할 희망을 포기했다. 아브람과 아브라함이라는 이름은 셈족의 이름이고, 성경 학자들이 족장들이 살았던 시대라고 믿는 중기 청동기 시대(MBA, 기원전 2000~1500년)의 바빌로니아 점토판에서 확인되지만,[128] 이후 시대에도 사용된 일반적인 셈족 이름이기 때문에 아브라함 이야기의 역사성을 증명하지는 않는다.
3. 1. 내러티브의 기원
20세기 초중반, 윌리엄 올브라이트와 G. 어니스트 라이트 같은 저명한 고고학자들과 알브레히트 알트, 존 브라이트 같은 성경학자들은 족장들이 기원전 2000년경 "족장 시대"에 살았던 실제 인물이거나 그럴듯한 인물들의 합성이라고 믿었다.[118] 그러나 1970년대에 이스라엘의 역사와 성경 본문에 관한 새로운 주장이 제기되면서 이러한 견해는 도전을 받게 되었다. 이러한 주장은 토마스 L. 톰슨의 ''족장 이야기의 역사성''(1974)과[119] 존 반 세터스의 ''역사와 전통 속의 아브라함''(1975)에서 찾아볼 수 있다.[120]
문학 학자인 톰슨은 고고학과 고대 문서를 바탕으로, 족장들이 기원전 2000년에 살았다는 설득력 있는 증거가 부족하며, 특정 성경 본문이 기원전 1000년 이후의 시대 상황과 관심사를 반영한다고 지적했다. 반 세터스는 족장 이야기를 검토하여 그들의 이름, 사회적 환경, 메시지가 철기 시대의 창작물임을 강력하게 시사한다고 주장했다.[121] 반 세터스와 톰슨의 연구는 성경 연구와 고고학에서 패러다임 전환을 가져왔으며, 점차 학자들은 족장 이야기를 역사적인 것으로 간주하지 않게 되었다.[122] 일부 보수적인 학자들은 이후 족장 이야기를 옹호하려 했지만, 학계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122][123]
21세기 초, 고고학자들은 아브라함, 이삭, 야곱을 신뢰할 만한 역사적 인물로 만들 수 있는 맥락을 복구할 희망을 포기했다. 아브람과 아브라함이라는 이름은 셈족 이름이며, 성경 학자들이 족장들이 살았던 시대라고 믿는 중기 청동기 시대(MBA, 기원전 2000-1500년)의 바빌로니아 점토판에서 확인되기도 하지만,[128] 이는 후대에도 사용된 일반적인 셈족 이름이기 때문에 아브라함 이야기의 역사성을 증명하지는 않는다.
아브라함 이야기는 다른 족장들의 이야기와 마찬가지로 상당한 구전 역사가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129] 아브라함에 대한 이야기는 에제키엘서 33:24와 이사야서 63:16에 언급된다. '아브라함'이라는 이름이 매우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다는 데에는 이견이 없다. 창세기가 전하는 전승은 원래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창세기 17:5에서는 아브라함의 어원을 "무리의 아버지"라 전하는데, 이는 민간 어원으로 본래 "아버지는 높임을 받으셨다"라는 뜻을 가지는 것으로 여겨진다.[130] 이 전승은 구전으로 전승되던 중 토라의 일부가 되었다. 대다수의 학자들은 이 시기를 대략 기원전 520-320년의 페르시아 시대로 추정한다.[131] 기록화의 메커니즘은 알려지지 않았지만,[132] 현재는 두 가지 가설들이 존재한다.[133] 첫 번째는 포로기/유수기 이후 공동체가 토라를 페르시아 제국 체제 내에서 기능할 법적 근거로 고안했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모세오경이 포로기 이후 유대인 공동체에 속할 사람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하고, 다양한 그룹, 특히 사제직과 평신도 "장로"의 권력 구조와 상대적 지위를 확립하기 위해 작성되었다는 것이다.[133]
토라의 완성과 포로 이후 유대교의 중심으로의 격상은 오래된 텍스트를 결합하는 것만큼이나 새로운 텍스트를 작성하는 것이었다. 마지막 오경은 기존 전통에 기반을 두었다.[134] 에제키엘서 33:24에서 포로 기간(즉, 기원전 6세기 전반)에 기록된 바빌론의 포로인 에스겔은 유다에 남아 있던 사람들이 아브라함으로부터 물려받은 유산을 근거로 땅의 소유권을 주장하는 방식을 이야기하고 있지만, 예언자는 그들에게 토라를 관찰하지 않기 때문에 그들이 주장할 권리가 없다고 말한다.[131] 이사야서 63:16에서도 유사하게 유다 사람들과 바빌로니아에서 유수기를 보낸 유대인들("골라 gôlâ") 사이의 긴장을 증언하고 있으며, 하나님은 이스라엘의 아버지이며 이스라엘의 역사는 아브라함이 아닌 출애굽기에서 시작된다고 말하고 있다. 이와 유사한 증거(예: 에스라-느헤미야)에서 유추할 수 있는 결론은 아브라함의 모습이 추방 당시와 그 이후에 유다의 위대한 지주들 사이에서 두드러졌을 것이며, 귀환한 망명자들의 주장과 반대되는 그들의 땅에 대한 그들의 주장을 지지하는 역할을 했을 것이라는 것이다.[131]
3. 2. 팔레스타인 기원 가설
20세기 초중반, 윌리엄 F. 올브라이트, G. 어니스트 라이트와 같은 저명한 고고학자들과 알브레히트 알트, 존 브라이트와 같은 성서학자들은 아브라함이 기원전 20세기(기원전 2000~1900년)에 활동했던 실제 인물이거나, 그 시대 사람들을 묘사한 인물이라고 믿었다.[118] 그러나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이스라엘 역사와 성경 본문에 대한 새로운 주장들이 이러한 견해에 도전했다. 토머스 L. 톰프슨(Thomas L. Thompson)의 ''족장 내러티브의 역사성''(1974)[119]과 존 반 세터스(John Van Seters)의 ''역사와 전통 속의 아브라함''(1975)[120]이 대표적이다.
문학 학자인 톰프슨은 고고학과 고대 문서를 바탕으로 족장들이 기원전 20세기에 살았다는 증거가 부족하며, 특정 성경 본문이 기원전 10세기 이후 시대의 상황을 반영한다고 주장했다. 반 세터스는 족장 이야기를 조사하여 그들의 이름, 사회적 환경, 메시지가 철기 시대의 창작물임을 시사한다고 주장했다.[121] 이들의 책은 성서 연구와 고고학의 패러다임을 바꾸어, 학자들이 족장 이야기를 역사적으로 여기지 않게 만들었다. 일부 보수 학자들이 족장 이야기를 옹호하려 했지만, 학계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122][123]
''성경 발굴''(The Bible Unearthed, 2001)은 고대 근동 지역의 사회와 문화에 대한 고고학적 발견을 통해 족장 내러티브의 시대착오적인 점들을 지적하며, 족장 내러티브가 기원전 9~7세기에 설정되었음을 시사한다.
고고학자 윌리엄 G. 데버는 2001년에 "존경할 만한 모든 고고학자들은 아브라함, 이삭 또는 야곱을 '역사적 인물'로 만들 어떤 맥락도 복구할 희망을 포기했다."라고 썼다.[127] 21세기가 시작될 무렵, 고고학자들은 아브라함, 이삭, 야곱이 역사적 인물이 될 수 있는 맥락을 복구할 희망을 포기했다. 아브람과 아브라함이라는 이름은 셈족의 이름이고, 성경 학자들이 족장들이 살았던 시대라고 믿는 중기 청동기 시대(MBA, 기원전 2000~1500년)의 바빌로니아 점토판에서 확인되지만,[128] 이후 시대에도 사용된 일반적인 셈족 이름이기 때문에 아브라함 이야기의 역사성을 증명하지는 않는다.
아브라함에 대한 구약의 가장 오래된 기록 중 하나인 에스겔 33:23-29는 아브라함이 땅을 기업으로 얻었다고 전한다. 이는 이사야 51:1-3의 말씀을 전제로 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에스겔 33:23-29와 이사야 51:1-3 모두 아브라함이 메소포타미아나 갈대아 우르 출신이라는 언급이 없는데, 이는 가장 초기의 아브라함 전승이 메소포타미아 출신 족장 전승보다는 가나안 땅 출신의 토착적인 족장에 대한 전승이었음을 보여준다는 것이 이스라엘 핀켈슈타인(Israel Finkelstein)의 제안이다.[135] 기원전 10세기 이집트의 파라오 셰숑크 1세의 부바스티스 입구의 전승 기록에서 네게브 지역의 지명 중 "아브라함의 요새"라는 지명을 언급하기에 아브라함 전승이 최소한 기원전 10세기부터 존재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36]
동양학자 마리오 리베라니(Mario Liverani)는 아브라함의 이름과 베이트셰안에서 발견된 세티 1세(기원전 1290-1279년)의 비석(기원전 1289년경)에서 언급되는 유목민족 부족인 라함(Raham) 사이의 연관성을 제안했다.[137] 이 부족은 아마도 갈릴래아의 베이트셰안 주변이나 가까운 지역에 살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반유목민이자 목가적인 셈족 부족은 자신들의 이름 앞에 바누("~의 아들들")라는 용어를 붙였기 때문에 라함족이 스스로를 바누 라함(Banu Raham)이라고 불렀다는 가설이 있다. 더욱이, 많은 사람들은 부족 구성원들 사이의 혈연 관계를 부족 내 유대의 결과라기보다는 시조 조상(즉, 부족에 이름을 준 사람)의 공통 혈통으로 해석했다. 이 시조 신화적 조상의 이름은 부칭(접두사) Abū("아버지")와 부족의 이름으로 구성되었다. 라함의 경우에는 아부 라함(Abu Raham)이었으며 나중에 아브라함(Ab-raham, Abraham)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갈대아 우르에서 하란까지의 아브라함의 여행은 유대인들이 바빌론 유수에서 귀환한 이야기를 회고적으로 반영한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4. 창세기에서 아브라함 이야기
하느님은 아브람에게 그의 고향과 친족을 떠나 그가 보여줄 땅으로 가라고 말씀하셨고, 그를 큰 민족으로 만들고, 그를 축복하고, 그의 이름을 위대하게 만들고, 그를 축복하는 자를 축복하고, 그를 저주하는 자를 저주하겠다고 약속하셨다. 아브람은 그의 아내 사래, 그의 조카 롯, 그들이 얻은 재산과 사람들을 데리고 하란을 떠나 가나안의 세겜으로 여행했을 때 75세였다.[5] 그런 다음 그는 벧엘 동쪽에 천막을 치고 벧엘과 아이 사이에 제단을 쌓았다.
데라의 아들 아브람은 메소포타미아 지역 갈대아의 우르에서 부유한 유목민의 집안에서 태어났다고 학자들은 생각하고 있다.
아브람은 아버지 데라가 죽은 후, 신으로부터 계시를 받고 이에 따라 아내 사라이, 조카 롯, 그리고 하란에서 합류한 사람들과 함께 약속의 땅 가나안으로 여행을 떠났다. 아브람이 75세 때의 일이다. 다음은 그 당시 신의 계시다.
아브람 일행이 가나안 땅에 들어서자, 세겜에서 신이 아브람 앞에 나타나,
라고 예언했다. 아브람은 자신을 위해 나타난 יהוה(신)을 위해 첫 번째 제단을 세겜에 쌓았다. 그 후, 아브람 일행은 더 남쪽으로 내려가 벧엘과 아이 사이로 이주했다. 그리고 이곳에도 신을 위한 제단을 쌓고 엘 샤다이라는 이름으로 기도했다.
그 후, 네게브 지방에 기근이 닥치자, 아브람 일행은 모두 이집트로 피난했다. 아름다운 아내 사라이 때문에 자신이 살해될 것을 두려워한 아브람은, 아내 사라이에게 자신의 여동생이라고만 말하게 했다.[107](사실, 사라이는 아브람의 이복 여동생이었다). 그 사라이가 이집트 왕의 궁정에 불려가자, 아브람은 막대한 재산을 쌓았다. 신은 아브람의 아내 사라이가 이집트 왕의 아내가 되자 이집트 왕과 왕가를 재앙으로 괴롭혔다. 이집트 왕은 신이 아브람 편에 서 있다는 상황을 이해하고, 아브람 일행을 그들의 모든 소유물과 함께 가나안 땅으로 돌려보냈다.
아브람 일행은 벧엘과 아이 사이의 제단으로 돌아와 엘 샤다이라는 이름으로 기도했다. 아브람 일행은 이미 가축도 노예도 금은 재산도 충분히 가지고 있었기에, 아브람은 가나안 지방을, 롯은 요르단의 저지대 전체를 선택하여 나누어 살았고, 롯은 나중에 동쪽, 요르단강 동쪽으로 이동했다.
아브람과 롯이 헤어진 후, 아브람에게 신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예언이 내려졌다.
4. 1. 믿음의 조상이 된 사연
아브람(아브라함의 옛 이름)은 아버지 데라의 집인 갈대아(칼데아) 우르를 떠나 가나안으로 가게 되었다.[138][139] 당시 부족 중심 사회에서 부족을 떠나 다른 곳으로 이주하는 것은 전쟁으로 인한 부족의 멸족을 가져올 수 있는 위험한 일이었고, 또한 이주한 곳에서 농지를 새로 개척해야 하는 힘든 일이었다. 그럼에도 아브라함은 하나님의 명령을 절대적으로 여기고 믿음대로 행하였다.[140]
100세가 된 아브라함은 하나님의 약속으로 아들 이삭을 얻게 되었다. 100세에 얻은 귀한 아들 이삭을 죽여서 제물로 바치라는 하나님의 명령에 아브라함은 고민 없이 바로 이삭을 바치려고 하였다. 이를 본 하나님은 아브라함의 믿음에 만족하여 세상 모든 민족이 복을 받을 수 있게 하셨다. 이로 인해 아브라함은 성경에서 믿음의 조상으로 칭송받게 되었다.[117] 성경은 아브라함이 이삭의 부활을 믿었다고 기록하고 있다.(히브리서 11:17~19)[141][142][143]
4. 2. 롯과의 분가와 하느님의 축복
아브람과 롯은 이집트에서 추방된 후, 가축과 재산이 많아져 목초지를 두고 갈등을 겪었다. 아브람은 롯에게 원하는 땅을 먼저 선택하도록 배려했고, 롯은 물이 풍부한 요르단강 동쪽 평원으로 가서 소돔 근처에 정착했다.[8] 아브람은 헤브론 근처 맘레 평원에 정착하여 하느님을 위한 제단을 쌓았다.[9]
이후 하느님은 아브람에게 나타나, 그가 보는 모든 땅을 영원히 그와 그의 자손에게 주겠다고 약속하며, 자손을 땅의 티끌처럼 많게 하리라고 축복했다.[144]
4. 3. 롯 구출과 십일조
롯이 거주하던 소돔 지역의 왕은 엘람 왕 그돌라오멜에게 충성하다가 반란을 일으켰다. 이에 그돌라오멜은 메소포타미아의 여러 왕들과 동맹을 결성하여 소돔과 고모라 등지를 쳐서 재물을 노획하고 사람들을 포로로 잡아갔는데, 그중에 아브라함의 조카 롯이 있었다. 아브라함은 이 소식을 듣고 사병 318명을 동원하여 롯을 구출하고, 소돔 왕에게서 빼앗긴 재물들도 모두 가지고 왔으며, 이외 전리품들도 획득했다. 아브라함은 획득한 소득의 10분의 1을 하나님의 제사장 멜기세덱에게 드려서 성경에서 등장하는 첫 십일조의 주인공이 되었다.[145]
소돔과 고모라가 엘람에 반역했을 때, 아브라함의 조카 롯은 엘람 침략군에 의해 가족 전체와 함께 포로로 잡혔다. 엘람군은 소돔 왕의 군대를 막 물리친 후 전리품을 징수하러 왔다.[10] 롯과 그의 가족은 당시 소돔 왕국의 외곽에 정착해 있어 눈에 띄는 표적이 되었다.[11]
포로에서 탈출한 한 사람이 아브라함에게 일어난 일을 알렸다. 아브라함은 이 소식을 듣자마자 훈련된 하인 318명을 소집했다. 아브라함의 군대는 싯딤 골짜기의 전투로 지쳐 있던 엘람군을 추격하기 위해 북쪽으로 향했다. 그들이 단에서 엘람군을 따라잡았을 때, 아브라함은 부대를 여러 부대로 나누어 야습 작전을 세웠다. 그 결과 포로들을 풀어줄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아브라함의 부대는 엘람 왕 그돌라오멜을 다마스쿠스 북쪽의 호바에서 추격하여 살해했다. 또한 롯과 그의 가족, 재산을 해방시켰고, 빼앗겼던 소돔의 모든 물품을 되찾았다.[12]
아브라함이 돌아오자, 소돔 왕은 그를 만나기 위해 "왕의 골짜기"인 사웨 골짜기로 나왔다. 또한 살렘 (예루살렘) 왕이자 엘 엘리온의 제사장인 멜기세덱은 빵과 포도주를 가져와 아브라함과 하나님을 축복했다.[13] 아브라함은 멜기세덱에게 모든 것의 십 분의 일을 주었다. 그러자 소돔 왕은 아브라함에게 자신의 백성만 돌려보내면 모든 재산을 갖도록 제안했다. 아브라함은 동맹국이 받을 몫 외에는 아무것도 받지 않겠다고 거절했다.
4. 4. 하느님 영접과 축복
아브라함은 손님으로 하느님을 맞는 축복을 받게 된다. 마므레 상수리 수풀 근처의 텐트 앞에 앉아 있던 아브라함은 세 명의 행인을 보게 되었다. 아브라함은 그 행인들 앞에 엎드려서 꼭 쉬고 가시라고 영접한다. 나무 그늘 아래 쉴 곳을 마련하고 쉴 수 있도록 준비한 아브라함은 송아지를 잡고 떡을 만들고 발을 씻기고 대접을 잘 하였다.[146] 그분이 바로 하느님과 천사들이었다.(창 18:1) 이후에 아브라함에게 아들을 주시겠다는 축복의 말씀을 하셨다. 이때 아브라함의 나이가 99세였고, 사라도 경수가 끊어졌고, 늙어서 자녀를 생산할 수 없는 상태였기에, 사라는 장막 뒤에서 자녀를 생산하는 기쁨을 갖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며 웃었다. 그러자 하느님께서 사라가 웃는 이유를 물어 보셨다. 사라가 웃지 않았다고 했지만, 하느님께서는 웃었다고 말씀하셨다. 하느님께서는 식사를 마치시고, 아브라함을 축복하시며 아브라함은 강대한 나라가 되고, 아브라함으로 인하여 천하 만민이 복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씀하셨다. 그 결과 이삭이 태어났다.(창 21:1~3) 이 사건을 빗대어 사도 바울은 히브리서에 "손님 대접하기를 잊지 말라 이로써 부지중에 천사들을 대접한 이들이 있었느니라"(히 13:2)라고 기록하였다.
13년 후, 아브람이 99세가 되었을 때, 하느님은 아브람의 새 이름을 "아브라함"으로 선언하셨다. 이는 "많은 민족의 아버지"라는 뜻이다.[17] 아브라함은 그 후 쪼갠 언약에 대한 지시를 받았으며, 그 언약의 표징은 할례였다.[18]
하느님은 사래의 새 이름을 "사라"로 선언하고, 그녀를 축복하며 아브라함에게 "내가 그녀에게서 네게 아들을 주리라"고 말씀하셨다.[19] 아브라함은 웃으며 "마음 속으로 '백 살 된 사람에게 아이가 태어날 수 있겠는가? 아흔 살 된 사라는 [아이를] 낳을 수 있겠는가?'"라고 말했다.[20] 아브라함은 하느님과의 만남 직후, 자신(99세)과 이스마엘(13세)을 포함한 그의 모든 남성 가구를 할례했다.[21]
얼마 지나지 않아, 한낮의 더위 속에서 아브라함은 마므레의 테레빈 나무 곁에 있는 그의 장막 입구에 앉아 있었다. 그가 눈을 들어보니 세 사람이 하느님 앞에 서 있었다. 그러자 그는 달려가 그들을 맞이하며 땅에 엎드려 절했다. 아브라함은 그들에게 발을 씻고 빵 한 조각을 가져다주겠다고 제안했고, 그들은 동의했다. 아브라함은 서둘러 사라의 장막으로 가서 고운 밀가루로 만든 잿빵을 주문했고, 종에게는 살진 송아지를 준비하라고 지시했다. 모든 것이 준비되자, 그는 그들 앞에 엉긴 젖, 우유, 송아지를 차려놓고, 그들이 먹는 동안 나무 아래에서 시중을 들었다.[22]
방문객 중 한 사람은 아브라함에게 내년 이맘때에 사라가 아들을 낳을 것이라고 말했다. 장막 입구에 있던 사라는 그 말을 듣고 그 나이에 아이를 갖는다는 생각에 속으로 웃었다. 방문객은 아브라함에게 사라가 그 나이에 아이를 낳는 것을 보고 왜 웃었는지, 하느님께는 불가능한 일이 없다고 말했다. 사라는 두려워하며 웃지 않았다고 부인했다.[23]
4. 5. 아내 사라의 미모로 인한 사건
가나안 땅에 심한 기근이 들어 아브람과 롯, 그리고 그들의 가족들은 고대 이집트로 이동했다. 가는 길에 아브람은 사라가 너무 아름다워 이집트 사람들이 자신을 죽이고 사라를 빼앗을까 두려워했다. 그래서 사라에게 이집트 사람들에게 자신의 누이라고 말하라고 했다.[107] (사실 사라는 아브람의 이복 여동생이었다).[29]
그들이 이집트에 들어가자 파라오의 신하들은 사라의 아름다움을 파라오에게 칭찬했고, 파라오는 그녀를 궁궐로 데려가고 그 대가로 아브람에게 재물을 주었다. 그러나 하느님은 파라오와 그의 집에 재앙을 내리셨고, 파라오는 사라가 아브람의 아내라는 것을 알게 되자 아브람과 사라에게 이집트를 떠나라고 요구했다.[6][7]
4. 5. 1. 이집트 왕에게 바쳐짐
아브라함의 아내 사라는 미모가 뛰어났다. 아브라함은 가나안 땅에 기근이 들어 고대 이집트로 내려갔을 때, 파라오가 사라를 취하기 위해 자신을 죽일 것이라고 생각하여 위기의식을 느꼈다. 그래서 사라를 이집트 왕에게 바치고 재물을 얻었다. 그러나 하나님이 재앙을 내리자 이집트 왕은 둘이 부부 관계임을 알고 사라를 아브라함에게 재물과 함께 돌려보냈다.[147]
소돔과 고모라 사건 이후 아브라함은 남방 그랄로 내려가 그랄 왕 아비멜렉에게도 사라를 바쳤다. 아비멜렉은 하나님의 계시를 통해 아브라함과 사라가 부부임을 알고 사라를 아브라함에게 돌려보내고 재물도 함께 주었다.
4. 5. 2. 아비멜렉 왕에게 바쳐짐
아브라함의 아내 사라는 아름다워서, 아브라함은 혹시라도 사라를 다른 이에게 빼앗길까 봐 위기감을 느꼈다. 가나안 땅에 기근이 들어 이집트로 내려갔을 때, 파라오가 사라를 취하기 위해 자신을 죽일 것이라고 생각하여 사라를 이집트 왕에게 바치고 재물을 얻었다.[147] 그 후 하느님의 재앙을 받은 이집트 왕은 둘이 부부 관계임을 알고 사라를 아브라함에게 재물과 함께 돌려보냈다.[6]
4. 6. 아브라함 상속자 선정 문제
아브라함에게는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자신의 상속자를 가신 중의 하나인 엘리에셀로 정하고 있었다.[2] 그러나 하느님께서는 아브라함의 아들이 상속자가 될 것이라고 말씀하셨다. 이후 아브라함은 사라의 몸종이었던 하갈을 통해 이스마엘을 얻게 되자, 이스마엘을 하느님께서 약속하신 상속자로 생각하였다.[18]
하지만, 아브라함이 99세가 되던 해, 하느님께서는 아브라함과 사라 사이에서 아들이 태어날 것이라고 예언하시고, 할례를 언약의 징표로 삼으셨다.[17][18][19] 이 예언대로 아브라함이 100세 되던 해에 이삭이 태어났다.[33]
사라는 이스마엘이 이삭을 조롱하는 것을 보고, 아브라함에게 이스마엘과 하갈을 내쫓으라고 요구했다. 이로 인해 이삭의 상속권이 명확해졌다.[35] 아브라함은 하느님의 뜻에 따라 이스마엘과 하갈을 내보냈고, 이삭에게서 그의 씨가 불릴 것이라는 약속을 받았다.[36]
4. 6. 1. 이스마엘 탄생 시점
아브람과 사래는 가나안에서 10년을 살았지만 아이가 없었다. 사래는 아브람에게 자신의 이집트 노예 하갈을 주어 아들을 낳게 하려 했다.[15] 하갈이 임신하자 사래를 멸시하기 시작했고, 사래는 하갈을 학대하여 하갈은 광야로 도망쳤다. 천사가 나타나 하갈에게 아브람의 진영으로 돌아가 아들을 낳을 것이며, 그 이름을 이스마엘이라 지으라고 했다. 아브람은 이스마엘이 태어났을 때 86세였다.[16]
4. 6. 2. 이삭 탄생 시점
아브라함이 99세가 되는 시점에 하느님께서는 아브라함이 본처인 사라를 통해 자녀를 생산할 것을 약속하시고, 100세에 이삭이 탄생하게 된다.[33] 아브라함은 그의 아들 이삭이 태어났을 때 "백 세"였다.[33]
5. 가족 관계
아브라함은 데라의 아들이며, 세 명의 부인을 두었다. 본처는 사라이고, 사라의 몸종이었던 하갈과 첩 그두라이다. 아브라함은 하갈에게서 이스마엘을 낳았고, 사라에게서 이삭을 낳았다. 그두라에게서는 시므란, 욕산, 므단, 미디안, 이스박, 수아를 낳았다.[148] 이삭은 아브라함의 후계자가 되어 대부분의 재산을 물려받았고, 다른 아들들에게도 재산을 나누어 주어 동방에 살게 했다.[145]
사후 아브라함은 첩 게두라를 통해 여섯 아들을 더 얻었다. 짐란, 욕산, 메단, 미디안, 이스박, 수아.[41]
5. 1. 가계도
wikitext데라 | |||
---|---|---|---|
사라[149] | 아브라함 | 하갈 | |
하란 | |||
나홀 | 밀가 | ||
이스마엘 | 롯 | ||
이스가 | 7 아들[150] | ||
브두엘 | 첫째 딸 | ||
둘째 딸 | 이스마엘 부족 | ||
이삭 | 리브가 | ||
라반 | 모압 | ||
암몬인 | 에서 | ||
야곱 | 라헬 | ||
빌하 | 에돔 | ||
실바 | 레아 | ||
style="text-align:left;" | | style="text-align:left;" | | ||
style="text-align:left;" | | style="text-align:left;" | |
6. 신약의 기록
신약성경에도 아브라함이 74회나 언급될 만큼 아브라함은 그리스도교에서도 중요한 인물이다.[151]
6. 1. 하느님을 표상하는 인물 아브라함
누가복음 16장의 부자와 나사로의 비유를 보면, 부자가 "아버지 아브라함이여..."라고 한 대목을 통해 아브라함은 하느님을 표상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142][152][153]조각 언약
주님의 음성이 환상 속에서 아브람에게 이르러 땅과 별처럼 많은 자손에 대한 약속을 반복했다. 아브람과 하느님은 언약식을 맺었고, 하느님은 이스라엘의 미래와 이집트에서의 속박에 대해 말씀하셨다. 하느님은 아브람에게 그의 후손들이 차지할 땅을 묘사하셨는데, 그 땅은 케나이트족, 케니즈족, 카드몬족, 히타이트, 페리즈족, 르바임족, 아모리족, 가나안족, 기르가스족, 여부스족의 땅이었다.[14]
6. 2. 영적인 아브라함의 자손
너희가 다 믿음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님의 아들이 되었으니 누구든지 그리스도와 합하여 세례를 받은 자는 그리스도로 옷 입었느니라 너희는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종이나 자주자나 남자나 여자 없이 다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이니라 너희가 그리스도께 속한 자면 곧 아브라함의 자손이요 약속대로 유업을 이을 자니라한국어[14] 육신적인 아브라함의 자손이 아닌, 그리스도께 속한 자가 아브라함의 자손이라는 의미이다. 구약성경에서 아브라함의 자손이 유업을 받고 복을 받은 것처럼, 그리스도께 속한 자들이 모두 구원받을 것을 말한다.6. 3. 믿음의 표본
그리스도교는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받는 종교이다. 믿음의 표본인 아브라함의 믿음과 그로 인한 행위는 구원받을 수 있는 믿음의 잣대가 된다.- 그러므로 믿음으로 말미암은 자는 믿음이 있는 아브라함과 함께 복을 받느니라 - 갈라디아서 3:9
- ... 예수께서 가라사대 너희가 아브라함의 자손이면 아브라함의 행사를 할 것이어늘 - 요한복음 8:39
- 우리 조상 아브라함이 그 아들 이삭을 제단에 드릴 때에 행함으로 의롭다 하심을 받은 것이 아니냐 - 야고보서 2:21
조각 언약
주님의 음성이 환상 속에서 아브람에게 이르러 땅과 별처럼 많은 자손에 대한 약속을 반복했다. 아브람과 하느님은 언약식을 맺었고, 하느님은 이스라엘의 미래와 이집트에서의 속박에 대해 말씀하셨다. 하느님은 아브람에게 그의 후손들이 차지할 땅을 묘사하셨는데, 그 땅은 케나이트족, 케니즈족, 카드몬족, 히타이트, 페리즈족, 르바임족, 아모리족, 가나안족, 기르가스족, 여부스족의 땅이었다.[14]
7. 각 종교에서의 아브라함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는 아브라함을 공통적으로 존경한다. 유대교는 아브라함을 유대 민족의 조상이자 하느님과 언약을 맺은 최초의 인물로 본다. 기독교는 아브라함을 믿음의 조상으로 여긴다. 이슬람교는 아브라함을 아담에서 무함마드로 이어지는 예언자 중 한 명으로 간주한다.
종교 | 아브라함에 대한 관점 |
---|---|
유대교 | 유대 민족의 조상이자 유대교의 아버지. 하느님과 언약을 맺음. |
기독교 | 믿음의 조상. 모든 신자들의 원형. |
이슬람교 | 아담에서 무함마드로 이어지는 예언자 중 한 명. 순수한 일신교 신앙을 가짐. |
thumb을 바치려 하는 아브라함과 천사(롤랑 드 라 이르 그림, 1650. 오를레앙 미술관)]]
7. 1. 유대교
אברהם אבינוhe(아브라함 아비누he)는 '우리의 조상 아브라함'이라는 뜻으로, 유대교에서 아브라함은 유대 민족의 생물학적 조상이자 유대교의 조상으로 여겨진다.[116] 하나님과 이름을 나란히 할 수 있는 세 명(아브라함, 이삭, 야곱) 중 한 명으로, 하나님과 매우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데라는 노아의 9대손으로, 아브람, 나홀, 하란 (הָרָןhe ''Hārān'') 그리고 사라의 아버지였다.[2] 하란은 아브람의 조카인 롯의 아버지였으며, 이들은 가족으로 갈대아 우르에 살았다. 아브람은 사라 (사래)와 결혼했다. 데라, 아브람, 사래, 롯은 가나안으로 떠났지만, 하란 (חָרָןhe ''Ḥārān'')이라는 곳에 정착했고, 거기서 데라는 205세의 나이로 죽었다.[3]
하느님은 아브람에게 고향과 친족을 떠나 그가 보여줄 땅으로 가라고 말씀하시고, 그를 큰 민족으로 만들고 축복하며, 그의 이름을 위대하게 만들겠다고 약속하셨다. 아브람은 아내 사래, 조카 롯, 그들이 얻은 재산과 사람들을 데리고 하란을 떠나 가나안의 세겜으로 여행했을 때 75세였다.[5]
조각 언약에서 주님의 음성이 환상 속에서 아브람에게 이르러 땅과 별처럼 많은 자손에 대한 약속을 반복했다. 아브람과 하느님은 언약식을 맺었고, 하느님은 이스라엘의 미래와 이집트에서의 속박에 대해 말씀하셨다. 하느님은 아브람에게 그의 후손들이 차지할 땅을 케나이트족, 케니즈족, 카드몬족, 히타이트, 페리즈족, 르바임족, 아모리족, 가나안족, 기르가스족, 여부스족의 땅이라고 묘사하셨다.[14]
유대교 전통에서 아브라함은 ''아브라함 아비누''(אברהם אבינו)라고 불리며, 유대인의 생물학적 조상이자 유대교의 아버지, 즉 최초의 유대인이다. 그의 이야기는 주간 토라 읽기 부분에서 주로 파라샤: 레흐 레카 (לֶךְ-לְךָ), 바예라 (וַיֵּרָא), 차예 사라이 (חַיֵּי שָׂרָה), 톨레도트 (תּוֹלְדֹת)에서 읽힌다.
히야 바르 아바는 아브라함이 젊었을 때 테라의 우상 가게에서 일했다고 가르쳤다. ''유대인의 전설''에 따르면, 하나님은 아브라함의 공적을 위해 하늘과 땅을 창조하셨다. 성경의 홍수 이후, 아브라함은 경건한 사람들 중 유일하게 하나님을 결코 버리지 않겠다고 엄숙히 맹세했으며, 노아와 셈의 집에서 "하나님의 길"에 대해 배우며, 노아와 셈으로부터 대제사장의 계보를 이어받아, 그 직분을 레위와 그의 씨앗에게 영원히 할당했다. 아브라함은 아버지의 땅을 떠나기 전에 니므롯의 불타는 화덕에서 갈데아의 우상들을 산산조각 내는 용감한 행동으로 기적적으로 구원을 받았다. 아브라함은 가나안에서 머무는 동안 여행자와 이방인에게 환대를 베풀고 그의 친절을 받은 사람들에게 하나님을 찬양하는 방법과 하나님에 대한 지식을 가르치는 데 익숙했다.
이삭과 야곱과 함께 그는 하나님의 이름이 결합되어 나타나는 인물로, 유대교에서의 하느님은 ''엘로헤이 아브라함, 엘로헤이 이츠하크 베 엘로헤이 야코브''(아브라함의 하나님, 이삭의 하나님, 야곱의 하나님)라고 불리며 다른 누구의 하나님이라고는 불리지 않았다. 그는 또한 30개 민족의 아버지로 언급되었다.
아브라함은 일반적으로 세페르 예치라의 저자로 여겨지며, 이는 유대교 신비주의에 관한 현존하는 가장 초기의 책 중 하나이다. 피르케이 아보트에 따르면, 아브라함은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열 가지 시험을 겪었다. 이삭의 번제는 성경에서 시험으로 명시되어 있으며, 나머지 아홉 가지는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후기 랍비 자료에서는 다양한 열거를 제공한다.
유대인들은 이삭의 아들 야곱 (야아코브)을 공통 조상으로 하여 이스라엘 12지파가 파생되었다고 여기며, 아브라함을 "아버지"로 숭배하고, "아브라함의 후예"라고 칭한다. 한편, 이삭의 이복형제로는 첩 하갈에게서 태어난 아들 이스마엘 (이슈마일)과 후처 케투라에게서 태어난 이복동생들이 있는데, 구약성서의 전승에 따르면 그들이 아랍인의 조상이 되었다고 한다.
또한 모든 유대교도 남자는 아브라함과 신과의 계약에 따라, 생후 8일째에 할례를 받도록 되어 있다.
7. 2. 이슬람교
이브라힘(아브라함)은 이슬람에서 아담으로부터 시작하여 이스마일(이시마엘)을 거쳐 무함마드에 이르는 선지자 계열의 중요한 연결 고리로 여겨진다.[116] 꾸란(코란)에서는 모세를 제외하고 가장 많이 언급되는 인물이기도 하다.[154]
이슬람에서 이브라힘은 '하나님을 섬기는 사람'이라는 의미의 ''하니프''(일신교)이자 '복종하는 자'라는 뜻의 ''무슬림''으로 불린다. 무슬림들은 그를 완벽한 무슬림의 원형이자 예언자, 족장으로 존경하며, 메카의 카바를 개혁한 인물로 여긴다. 이슬람 전통은 이브라힘을 이슬람의 첫 번째 선구자(또는 "아브라함의 종교"라는 ''밀라트 이브라힘'')로 여기며, 그의 삶의 목적과 사명은 하나님의 유일성을 선포하는 것이었다고 믿는다. 이슬람에서 아브라함은 주요 예언자들 중에서도 존경받는 위치를 차지하며, "이브라힘 할릴룰라", 즉 "하나님의 친구 아브라함"이라고 불린다. 이샤크와 야쿱 외에도, 이브라힘은 하나님의 눈에 가장 존경받고 훌륭한 사람들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78][79] 꾸란에서는 "무슬림의 아버지"이자 공동체의 역할 모델로도 언급된다.[80][81][82]
아랍인들은 이브라힘과 이스마일(이슈마엘)을 조상으로 여긴다. 이슬람교의 관점에서 이브라힘은 유대교나 기독교가 존재하지 않던 시대에 유일신을 믿고 헌신한 순수한 일신교도였다. 이슬람교는 유대교와 기독교가 모두 이브라힘의 신앙에서 벗어나 불완전한 일신교가 된 이후, 이브라힘의 순수한 일신교를 부흥시킨 가르침이라고 믿는다. 꾸란의 제3장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109]
터키의 무슬림 전승에서는 『구약성서』에 나오는 예언자 이브라힘이 가나안을 향해 출발한 "우르"(칼데아의 우르)는 샨르우르파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는 세속주의적 입장의 성서학에서도 지지받았다.[110] 이슬람교 전통에서는 이브라힘이 태어난 곳이 샨르우르파로 여겨지며, 이를 기념하는 모스크도 세워져 있다.
이슬람교도(무슬림)는 생후 7일부터 12세 사이에 할례를 하지만, 유대교와 달리 이브라힘에게서 유래한 법으로 여기지 않는다. 이브라함과 알라와의 계약에 따른 종교적 의무가 아니라, 공동체의 관습으로 간주하는 법학파가 유력하다.
7. 3. 기독교
기독교에서 아브라함은 하느님을 표상하고, 아브라함의 자손은 구원받는 하느님의 백성을 뜻한다.[155]아브라함은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와 같은 세계 3대 주요 종교에서 존경받는 인물이다. 기독교에서는 사도 바울이 아브라함이 모세 율법보다 앞서 하느님에 대한 믿음을 가졌다는 사실을 가르치면서, 그를 유대인이든 이방인이든 모든 신자들의 원형으로 여겼다.
기독교에서 아브라함은 하느님이 자신을 드러내기로 선택하고 그와 언약을 시작한 예언자로 존경받는다.[73] 사도 바울은 예수를 믿는 모든 사람(기독교인)이 "아브라함의 씨에 포함되어 아브라함에게 주어진 약속의 상속자"라고 선언했다.[73] 로마서 4장에서 아브라함은 하느님에 대한 "변함없는 믿음"으로 칭찬받았으며, 이는 은혜의 언약에 참여하는 자들이 "그리스도의 구원력에 대한 믿음을 보이는 자들"이라는 개념과 연결된다.[74][73]
역사적으로 교회 지도자들은 바울을 따라 아브라함을 모든 기독교인의 영적 아버지로 강조해 왔다.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는 기독교인들을 "믿음으로 아브라함의 자녀(또는 "씨")"라고 선언했으며, 밀라노의 암브로시우스는 "그들의 믿음을 통해 기독교인들이 아브라함에게 주어진 약속을 소유한다"고 말했고, 마르틴 루터는 아브라함을 "믿음의 사람의 전형"으로 회상했다.
로마 가톨릭 교회는 미사 중에 암송되는 로마 전례의 감사 기도에서 아브라함을 "우리 믿음의 아버지"라고 부른다. 그는 또한 여러 종파의 성인 달력에서 기념된다. 마론파 교회는 8월 20일, 콥트 정교회와 아시리아 동방 교회는 8월 28일, 로마 가톨릭 교회와 미주리 시노드 루터교회는 10월 9일에 기념한다.[72] 윌리엄 캑스턴은 15세기 황금 전설의 아브라함 이야기를 번역하면서 이 족장의 삶이 사순절 전 주일에 교회에서 읽혔다고 언급했다.[75] 그는 요식업계의 수호 성인이다. 동방 정교회는 그를 "의로운 조상 아브라함"으로 기념하며, 전례력에 두 개의 축일이 있다. 첫 번째는 10월 9일(전통적인 율리우스력을 따르는 교회에서는 10월 9일이 현대의 그레고리력으로 10월 22일에 해당)이며, 여기서 그는 조카 "의로운 롯"과 함께 기념된다. 다른 하나는 "조상들의 주일"(크리스마스 전 두 번째 주일)로, 그는 다른 예수의 조상들과 함께 기념된다. 아브라함은 또한 바실리우스 대제의 전례에서 아나포라 직전에 언급되며, 아브라함과 사라는 새로 결혼한 부부를 위해 사제가 드리는 기도에서 언급된다. 많은 영어권 주일학교에서 어린이들이 부르는 인기 있는 찬송가는 "아버지 아브라함"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족장을 기독교인의 영적 조상으로 강조한다.[76]
일부 기독교 신학자들은 "세 명의 방문객"을 삼위일체 하느님과 동일시하여, 그들의 나타남을 아브라함이 경험한 신현으로 본다.[77]
참조
[1]
서적
History of Ancient Israel
SBL Press
[2]
서적
Eerdmans dictionary of the Bible
[3]
논문
The Chronology of the Pentateuch: A Comparison of the MT and LXX
[4]
논문
Nahmanides' Understanding of Abraham's Mesopotamian Origins
https://tobias-lib.u[...]
[5]
성경
[6]
성경
[7]
성경
[8]
서적
Genesis, with an Introduction to Narrative Literature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9]
서적
The Religion of the Patriarchs
https://books.google[...]
A&C Black
1998-11-01
[10]
성경
[11]
성경
[12]
성경
[13]
서적
A History of Pentateuchal Traditions
[14]
논문
Abraham and the Covenant of the Pieces: A Study in Ambivalence
1961
[15]
웹사이트
Jewish Encyclopedia, Hagar
http://www.jewishenc[...]
Jewishencyclopedia.com
[16]
성경
[17]
성경
[18]
성경
[19]
성경
[20]
성경
[21]
성경
[22]
성경
[23]
성경
[24]
성경
[25]
성경
[26]
성경
[27]
성경
[28]
성경
[29]
성경
[30]
성경
[31]
성경
[32]
성경
[33]
성경
[34]
성경
[35]
성경
[36]
성경
Genesis 21:12 (NIV)
[37]
성경
Genesis 21:9–13 (NIV)
[38]
성경
Genesis 21:14–21 (NIV)
[39]
성경
Genesis 22:1–19 (NIV)
[40]
성경
Genesis 23:1–20 (NIV)
[41]
성경
Genesis 25:1–6 (NIV)
[42]
성경
Genesis 25:12–18 (NIV)
[43]
성경
Genesis 36:1–43
[44]
성경
Genesis 36:12–16 (NIV)
[45]
성경
Genesis 36:9–16 (NIV)
[46]
성경
Genesis 25:1–5 (NIV)
[47]
성경
Genesis 19:35–38 (NIV)
[48]
성경
Genesis 25:7–10 (NIV), 1 Chronicles 1:32 (NIV)
[49]
서적
A History of Israel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59
[50]
서적
The Historicity of the Patriarchal Narratives: The Quest for the Historical Abraham
https://books.google[...]
Gruyter, Walter de, & Company
1974
[51]
서적
Abraham in History and Tradition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975
[52]
서적
A Century of Biblical Archaeology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1
[53]
서적
(Dever 2001, p. 98)
2001
[54]
서적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Ancient Israel
https://britishacade[...]
British Academy
2007
[55]
서적
Early Babylonian letters from Larsa (Yale Oriental Series, Babylonian Texts, Vol. 2)
Yale University Press
1917
[56]
성경
Ezekiel 33:24
[57]
성경
Isaiah 63:16
[58]
성경
Ezekiel 33:24 (NIV)
[59]
성경
Isaiah 63:16 (NIV)
[60]
서적
Yahweh and the Origins of Ancient Israel: Insights from the Archaeological Recor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
[61]
서적
The Future of Biblical Archaeology: Reassessing Methodologies and Assumptions
https://books.google[...]
Eerdmans
2004
[62]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Genesi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
[63]
서적
Ancient Near Eastern Texts Relating to the Old Testament
Princeton
1955
[64]
학술지
Comments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Abraham Narrative: Between "Realia" and "Exegetica"
https://www.academia[...]
2014
[65]
웹사이트
Bava Batra 91a
https://www.sefaria.[...]
2021-03-08
[66]
웹사이트
Karus on the Frontiers of the Neo-Assyrian Empire, Orient 40 (2005)
https://www.jstage.j[...]
[67]
웹사이트
Rashbam on Bava Batra 91a:14:2
https://www.sefaria.[...]
2021-03-08
[68]
웹사이트
Bereishit Rabbah 38
https://www.sefaria.[...]
2021-03-11
[69]
서적
Sefer Yetzirah Hashalem
Jerusalem
1972
[70]
문서
Pirkei Avot 5:3
[71]
성경
Genesis 22:1
[72]
웹사이트
Commemorations
https://www.lcms.org[...]
Lutheran Church—Missouri Synod
2020-10-31
[73]
논문
Paul also shows us how the Abrahamic covenant relates to the covenantal administrations that precede and follow it. ... There is, then, covenantal continuity between the inaugural administration of God's one gracious covenant in the garden of Eden (Gen. 3:15) and the subsequent administration of that covenant to Abraham and his family (Gen. 12; 15; 17). The Abrahamic administration serves to reveal more of the person and work of Christ and, in this way, continue to administer Christ to human beings through faith.
2020
[74]
웹사이트
Abraham
http://cmje.usc.edu/[...]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75]
웹사이트
Abraham
http://www.fordham.e[...]
Internet Medieval Source Book
2014-04-03
[76]
서적
The Ultimate Guide to the Bible
Barbour
2000
[77]
학술지
The Early Christian Reception of Genesis 18: From Theophany to Trinitarian Symbolism
https://www.duq.edu/[...]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22-06-01
[78]
코란
Quran 38:45–47
[79]
웹사이트
Surah 38 Sad (The letter Saad). Read and listen Quran · Quran Academy
https://en.quranacad[...]
[80]
코란
Q22:78 & Q60:4–6
[81]
웹사이트
Surah 22 Al-Hajj (The Pilgrimage). Read and listen Quran · Quran Academy
https://en.quranacad[...]
[82]
웹사이트
Surah 60 Al-Mumtahanah (She that is to be examined). Read and listen Quran · Quran Academy
https://en.quranacad[...]
[83]
서적
The Origins of the Druze People and Religion: With Extracts from Their Sacred Writings
Library of Alexandria
1928
[84]
서적
The Druze in the Middle East: Their Faith, Leadership, Identity and Status
Michigan University press
2008
[85]
서적
Ginza Rba
https://livingwaterb[...]
Living Water Books
2011
[86]
서적
Ginza: Der Schatz oder Das große Buch der Mandäer
https://archive.org/[...]
Vandenhoek & Ruprecht
1925
[87]
서적
The Haran Gawaita and the Baptism of Hibil-Ziwa
Biblioteca Apostolica Vaticana
1953
[88]
서적
The Mandaeans of Iraq and Iran
Oxford At The Clarendon Press
1937
[89]
서적
John the Baptist and the Last Gnostics: the Secret History of the Mandaeans
Watkins
2016
[90]
웹사이트
Abraham's Farewell to Ishmael. George Segal. Miami Art Museum. Collections: Recent Acquisitions.
https://web.archive.[...]
2014-09-10
[91]
웹사이트
What did abraham look like in the bible? - The holy script
https://www.theholys[...]
2023-03-24
[92]
웹사이트
Abraham the Patriarch in Art – Iconography and Literature
http://www.christian[...]
Christian Iconography – a project of Georgia Regents University.
2014-04-18
[93]
웹사이트
The Holy Trinity
http://myweb.rollins[...]
Rollins.edu
2014-04-03
[94]
뉴스
Abraham's Quest For God
https://newspaperarc[...]
1935-01-26
[95]
서적
The Best in Children's Books: The University of Chicago Guide to Children's Literature, 1973–78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0
[96]
웹사이트
Cantata: Abraham ou le sacrifice d'Isaac Sébastien de Brossard. Sheet music
https://en.opera-sco[...]
[97]
웹사이트
The Cave - Steve Reich Composer
https://stevereich.c[...]
1990
[98]
웹사이트
Highway 61 Revisited | The Official Bob Dylan Site
http://www.bobdylan.[...]
[99]
뉴스
Rolling Stone's 500 Greatest Song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2008-08-08
[100]
뉴스
From Odessa to Duluth: The journey of Bob Dylan's grandparents
https://www.duluthne[...]
2022-03-28
[101]
웹사이트
アブラハム契約
https://s3-ap-northe[...]
2021-01-27
[102]
서적
新聖書辞典
[103]
서적
旧約聖書 創世記
株式会社岩波書店
2007
[104]
서적
口語訳旧約新約聖書
ドン・ボスコ社
1976
[105]
웹사이트
Wikipedia 영어판 (2007년 7월 27일)
2007-07-27
[106]
서적
ラルース 図説 世界史人物百科 Ⅰ 古代ー中世
原書房
2004
[107]
성경
創世記(口語訳)#12:13
[108]
서적
旧約聖書 創世記
株式会社岩波書店
2007
[109]
웹사이트
第3章イムラーン家章 15-92
http://islamjp.com/q[...]
2019-03-04
[110]
문서
「ウルファ」という地名が実際に確認されるのは東ローマ帝国時代以降である。
[111]
문서
마소라 본문(AD 9세기)의 족보를 바탕으로 한 연대
[112]
웹인용
Bible Timeline: Abraham
https://www.cmdeaf.o[...]
2021-09-27
[113]
문서
70인역(LXX) 본문(기원전 3세기)과 사마리아 오경(기원전 3세기)의 족보를 바탕으로 한 연대
[114]
웹인용
https://embassies.go[...]
2022-10-04
[115]
뉴스
“기독교-유대교 공통분모는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
국민일보
2021-06-04
[116]
서적
Inheriting Abraham: The Legacy of the Patriarch in Judaism, Christianity, and Islam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2
[117]
웹인용
개역한글판/창세기 - 위키문헌, 우리 모두의 도서관
https://ko.wikisourc[...]
2021-06-04
[118]
서적
A History of Israel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59
[119]
서적
The Historicity of the Patriarchal Narratives: The Quest for the Historical Abraham
1974
[120]
서적
Abraham in History and Tradition
Echo Point Books and Media
1975
[121]
서적
Biblical History and Israel's Past
Eerdmans
2011
[122]
서적
What Did the Biblical Writers Know and When Did They Know It?: What Archeology Can Tell Us About the Reality of Ancient Israel
Wm. B. Eerdmans Publishing
2001
[123]
논문
Some Recent Issues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Israel
British Academy
2007
[124]
서적
The Bible Unearthed
[125]
서적
The Bible Unearthed
[126]
뉴스
Hump stump solved: Camels arrived in region much later than biblical reference
Haaretz
2014-01-17
[127]
서적
What Did the Biblical Writers Know and When Did They Know It?: What Archeology Can Tell Us About the Reality of Ancient Israel
Wm. B. Eerdmans Publishing
2001
[128]
서적
Early Babylonian letters from Larsa
Yale University Press
1917
[129]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Biblical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30]
서적
The Historicity of the Patriarchal Narratives: The Quest for the Historical Abraham
Trinity Press International
2002
[131]
서적
The Exegesis of the Pentateuch: Exegetical Studies and Basic Questions
Mohr Siebeck
2009
[132]
서적
The Evolution of Adam
Baker Books
2012
[133]
서적
Introduction to Reading the Pentateuch
Eisenbrauns
2006
[134]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Bible: Sacred Texts and Imperial Contexts
John Wiley & Sons
2010
[135]
논문
Comments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Abraham Narrative: Between "Realia" and "Exegetica"
https://www.academia[...]
2014
[136]
서적
Eerdmans Dictionary of the Bible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00
[137]
서적
Ancient Near Eastern Texts Relating to the Old Testament
1955
[138]
웹인용
개역한글판/창세기 12장
https://ko.wikisourc[...]
2021-06-04
[139]
웹인용
“하란은 에블라 왕국에 속해 있었다”
http://champyungan.c[...]
2021-06-04
[140]
웹인용
개역한글판/히브리서 11:8
https://ko.wikisourc[...]
2021-06-04
[141]
웹인용
개역한글판/히브리서 - 위키문헌, 우리 모두의 도서관
https://ko.wikisourc[...]
2021-06-04
[142]
웹인용
뉴스 > 성경과 역사 > 그리스도 중심으로 읽는 성경: 창세기편(26) - 박춘식 교수(삼육대 신학과)
https://web.archive.[...]
2021-06-22
[143]
웹인용
[이수영 목사 설교] 교회, 아브라함의 자손
https://www.christia[...]
크리스천투데이
2021-06-22
[144]
웹인용
개역한글판/창세기 13장
https://ko.wikisourc[...]
2021-06-09
[145]
웹인용
개역한글판/창세기 - 위키문헌, 우리 모두의 도서관
https://ko.wikisourc[...]
2021-06-09
[146]
웹인용
개역한글판/창세기 18장
https://ko.wikisourc[...]
2021-06-04
[147]
웹인용
개역한글판/창세기 12장
https://ko.wikisourc[...]
2021-06-11
[148]
웹인용
개역한글판/창세기 25장
https://ko.wikisourc[...]
2021-06-09
[149]
문서
창세기 20장 12절. 사라는 아브라함의 이복동생이다.
[150]
문서
창세기 22장 21~22절. 우스, 부즈, 부스, 그므엘, 게셋, 하소, 빌다스, 이들랍
[151]
웹인용
대한성서공회 - 신약 부분 '아브라함' 검색
https://www.bskorea.[...]
2021-06-14
[152]
웹인용
12.부자와 거지 나사로를 비유한 천국 {{!}} 성경과 교회
https://bibleandchur[...]
2021-06-22
[153]
웹인용
개역한글판/누가복음 - 위키문헌, 우리 모두의 도서관
https://ko.wikisourc[...]
2021-06-22
[154]
서적
Islam: A Guide for Jews and Christian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9-01-10
[155]
웹인용
아브라함의 자손 - 오늘날 아브라함의 자손은 유대인일까?
https://pasteve.com/[...]
2021-06-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