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문센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문센해는 남극 대륙 서부, 메리 버드 랜드 동쪽에 위치한 바다이다. 탐험가 로알 아문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서남극 빙상에서 흘러나오는 빙하로 인해 연중 유빙이 관찰된다. 파인 아일랜드 빙하와 스웨이츠 빙하가 아문센해로 흘러들어가며, 이 지역의 빙하 감소는 해수면 상승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아문센해는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빙하 유실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1996년부터 2021년 사이에 상당한 양의 얼음을 잃어 해수면 상승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극해의 해역 - 로스해
    로스해는 서남극에 위치한 거대한 만 형태의 해역으로, 로스 빙붕을 포함한 복잡한 지형, 다양한 해저 지형, 높은 생물다양성을 특징으로 하며, 남극 이빨고기 어업과 기후변화의 위협에 직면해 2016년 세계 최대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으나 일몰 조항으로 논란이 있고, 뉴질랜드가 일부 영유권을 주장하지만 남극 조약에 따라 동결 상태이다.
  • 남극해의 해역 - 웨들해
    웨들해는 남극 대륙에 깊숙이 만입된 바다로, 스코샤해 남쪽 남극반도와 드론닝 모드 랜드 사이에 위치하며, 심해수와 저층수 형성의 주요 지역이고,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하며, 영토 주권은 남극 조약에 의해 동결된 상태이다.
  • 남극 지역 - 로스해
    로스해는 서남극에 위치한 거대한 만 형태의 해역으로, 로스 빙붕을 포함한 복잡한 지형, 다양한 해저 지형, 높은 생물다양성을 특징으로 하며, 남극 이빨고기 어업과 기후변화의 위협에 직면해 2016년 세계 최대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으나 일몰 조항으로 논란이 있고, 뉴질랜드가 일부 영유권을 주장하지만 남극 조약에 따라 동결 상태이다.
  • 남극 지역 - 오스트레일리아령 남극 지역
    오스트레일리아령 남극 지역은 남극 조약 체계에 따라 남위 60도 이남, 동경 45도에서 160도 사이의 섬과 영토를 포함하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영유권 주장 지역으로, 오스트레일리아 남극사업단이 세 곳의 상주 기지를 운영하며 과학 연구를 수행하고 있고, 일부 국가에서만 인정하며 고래잡이 문제 등으로 국제적 논란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아문센해
개요
위치남극해
좌표(표시 안 함)
지리
아문센해의 빙산
아문센해의 빙산
아문센해의 수심도
일반 정보
이름 (영어)Amundsen Sea
위치남극해
특징남극해의 만
길이(약 4.8km)

2. 지리

스웨이츠 빙하에서 떨어져 나가는 거대한 B-22 빙산과 이미지 오른쪽의 파인 아일랜드 빙하에서 나온 B-21 빙산의 잔해


남극 대륙 서부 (서남극) 메리 버드 랜드 동쪽에 접한 바다이다. 동쪽은 서스턴 섬의 Flying Fish Cape|플라잉 피시 곶영어(서경 102도 20분)에서 서쪽은 사이플 섬의 Cape Dart|다트 곶영어(서경 126도 9분)까지의 해역이다. 탐험가 로알 아문센의 이름을 따서 노르웨이인 닐스 라르센이 명명했다.

서남극 대륙 빙상에서 빙하 등으로 얼음이 공급되어 연중 넓은 범위에 걸쳐 유빙이 관찰된다. 아문센해로 흘러드는 빙상은 평균 두께가 약 3km로, 텍사스 주 크기와 비슷하며, 아문센해 만(ASE)으로 알려져 있다. 이 만은 서남극 빙상의 세 주요 빙상 유출 분지 중 하나이며, 로스해 과 웨델해 만과 함께한다.

파인 아일랜드와 스웨이츠 빙하는 남극 대륙에서 가장 큰 5개 빙하 중 두 곳으로, 모두 아문센해로 흘러 들어간다. 과학자들은 이 지역이 서남극 빙상의 취약한 부분일 수 있다고 제안하며, 2000년대 중반부터 이 빙하들의 유속이 증가했다고 보고했다. 이 빙하들이 완전히 녹으면 전 세계 해수면이 약 0.9m에서 1.9m 정도 상승할 수 있으며, 서남극 빙상 전체와 동남극 빙상의 일부를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다.[2]

2004년 연구에서는 아문센해의 얼음이 빠르게 녹고 균열이 생겨 해안 얼음 선반이 "5년 이내에" 붕괴될 것으로 예상했으며, 모든 해빙이 녹을 경우 서남극 빙상에서 1.3m의 해수면 상승이 예상된다고 예측했다.[3] 2005년 영국 남극 조사소 측정 결과, 아문센해 만으로의 얼음 배출 속도는 연간 약 250 km3였으며, 이는 전 세계 해수면을 연간 0.2 mm 상승시키기에 충분했다.[4]

허드슨 산맥 근처 파인 아일랜드 빙하 바로 북쪽에 지하 화산이 있다. 이 화산은 약 2,200년 전에 마지막으로 분화했으며, 얼음 속에 널리 퍼진 화산재 퇴적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이전 1만 년 동안 남극 대륙에서 일어난 가장 큰 분화였다.[5][6] 화산 활동이 빙하 유속 증가에 기여했을 수 있지만,[7] 가장 유력한 이론은 해양 온난화로 인해 유속이 증가했다는 것이다.[8][9] 이 물은 기압 시스템 변화로 인한 심해수 용승으로 따뜻해졌으며, 지구 온난화의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10]

2010년 1월, 모델링 연구에 따르면 파인 아일랜드 빙하의 "티핑 포인트"가 1996년에 통과했을 수 있으며, 2100년까지 200km의 후퇴 및 24cm의 해수면 상승이 가능하다고 추정했다. 다만, 이 모델은 현실을 매우 조잡하게 나타낸다고 언급했다.[11][12] 2023년 연구에서는 1996년부터 2021년 사이에 해당 지역이 3.3조 톤의 얼음을 잃어 해수면이 9밀리미터 상승한 것으로 추정했다.

2. 1. 주요 만

남극해의 일부인 아문센해

  • '''파인아일랜드 만'''은 길이 약 약 64.37km, 폭 약 48.28km의 만으로, 파인아일랜드 빙하의 얼음이 아문센해의 남동쪽 끝으로 흘러 들어간다. 1946년 12월 미국 해군(USN) 하이점프 작전에 의해 촬영된 항공 사진을 바탕으로 윤곽이 정해졌으며, 이 지역을 탐사한 USN 하이점프 작전의 동부 기동 부대의 기함이자 수상 비행기 수송선인 USS ''파인아일랜드''를 기리기 위해 남극 지명 자문 위원회에 의해 명명되었다.[13]
  • '''러셀 만'''은 프랭크 섬에서 게이츠 곶까지 시플 섬, 게츠 빙붕 및 카니 섬 북쪽을 따라 뻗어 있는 남서부 아문센 해의 비교적 열린 만이다. 1959~1966년 미국 지질조사소에서 측량과 미국 해군 항공 사진을 통해 지도화했으며, 남극 지명 자문 위원회에서 1957~58년 IGY 기간 동안 해군 작전 부참모총장이었던 제임스 S. 러셀 제독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14]

3. 해양 환경 및 기후 변화



아문센해는 서남극에 있는 대륙 빙상에서 빙하 등을 통해 얼음이 공급되기 때문에 연중 넓은 범위에 걸쳐 유빙이 관찰된다.

3. 1. 빙하 감소 및 해수면 상승



아문센해로 흘러드는 빙상은 평균 두께가 약 3km이다. 이는 대략 텍사스 주 크기만 하며, 아문센해 만(ASE)으로 알려져 있다. 이 만은 서남극 빙상의 세 주요 빙상 유출 분지 중 하나로, 로스해 만, 웨델해 만과 함께한다.

일부 과학자들은 이 지역이 서남극 빙상의 취약한 부분일 수 있다고 제안한다. 파인 아일랜드와 스웨이츠 빙하는 모두 아문센해로 흘러들어가며, 남극 대륙에서 가장 큰 5개 빙하 중 두 곳이다. 연구자들은 2000년대 중반부터 이 빙하들의 유속이 증가했다고 보고했다. 만약 이들이 완전히 녹는다면, 전 세계 해수면이 약 0.9m에서 1.9m 정도 상승할 것이다. 다른 연구자들은 이 빙하들의 손실이 서남극 빙상 전체와 동남극 빙상의 일부 부분을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다고 제안했다.[2]

2004년 연구에 따르면, 아문센해의 얼음이 빠르게 녹고 균열이 생기면서 해안 얼음 선반이 "5년 이내에" 붕괴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아문센해의 모든 해빙이 녹을 경우 서남극 빙상에서 1.3m의 해수면 상승이 예상된다고 예측했다.[3]

영국 남극 조사소가 2005년에 측정한 결과에 따르면, 아문센해 만으로의 얼음 배출 속도는 연간 약 250 km3였다. 일정한 배출 속도를 가정할 때, 이것만으로도 전 세계 해수면을 연간 0.2 mm 상승시키기에 충분했다.[4]

허드슨 산맥 근처 파인 아일랜드 빙하 바로 북쪽에 지하 화산이 감지되었다. 이 화산은 약 2,200년 전에 마지막으로 분화했으며, 얼음 속에 널리 퍼진 화산재 퇴적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이전 1만 년 동안 남극 대륙에서 일어난 가장 큰 분화였다.[5][6] 화산 활동이 빙하의 유속 증가에 기여했을 수 있지만,[7] 가장 유력한 이론은 해양 온난화로 인해 유속이 증가했다는 것이다.[8][9] 이 물은 기압 시스템의 변화로 인한 심해수의 용승으로 인해 따뜻해졌으며, 이는 지구 온난화의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10]

2010년 1월, 모델링 연구에 따르면 파인 아일랜드 빙하의 "티핑 포인트"가 1996년에 통과했을 수 있으며, 2100년까지 200km의 후퇴가 가능하여, 이에 따라 24cm의 해수면 상승을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추정치는 보수적인 것으로 제안되었다.[11] 이 모델링 연구는 또한 "실제 파인 아일랜드 빙하의 복잡한 3차원적 특성을 고려할 때... [...] 모델은 현실을 매우 조잡하게 나타낸다는 것을 분명히 해야 한다"고 언급했다.[12]

2023년 연구에서는 1996년부터 2021년 사이에 해당 지역이 3.3조 톤의 얼음을 잃었고, 이로 인해 해수면이 9밀리미터 상승한 것으로 추정했다.

3. 2. 티핑 포인트

일부 과학자들은 아문센해 지역이 서남극 빙상의 취약한 부분일 수 있다고 제안한다. 파인 아일랜드와 스웨이츠 빙하는 모두 아문센해로 흘러들어가며, 남극 대륙에서 가장 큰 5개 빙하 중 두 곳이다. 연구자들은 2000년대 중반부터 이 빙하들의 유속이 증가했다고 보고했으며, 만약 이들이 완전히 녹는다면 전 세계 해수면이 약 0.9m에서 1.9m 정도 상승할 것으로 예측한다. 다른 연구자들은 이 빙하들의 손실이 서남극 빙상 전체와 동남극 빙상의 일부 부분을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다고 제안했다.[2]

2010년 1월, 모델링 연구에 따르면 파인 아일랜드 빙하의 "티핑 포인트"는 1996년에 이미 넘어섰을 수 있으며, 2100년까지 200km가 후퇴하여 24cm의 해수면 상승을 유발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다만, 이러한 추정치는 보수적인 예측값으로 제안되었다.[11] 또한 이 모델링 연구는 "실제 파인 아일랜드 빙하의 복잡한 3차원적 특성을 고려할 때, 모델은 현실을 매우 조잡하게 나타낸다는 것을 분명히 해야 한다"고 언급했다.[12]

3. 3. 화산 활동



허드슨 산맥 근처 파인 아일랜드 빙하 바로 북쪽에 지하 화산이 있다. 이 화산은 약 2,200년 전에 마지막으로 분화했는데, 얼음 속에 널리 퍼진 화산재 퇴적물로 확인되었다. 이는 이전 1만 년 동안 남극 대륙에서 일어난 가장 큰 분화였다.[5][6] 화산 활동이 빙하의 유속 증가에 영향을 주었을 수도 있지만,[7] 가장 유력한 이론은 해양 온난화로 인해 유속이 증가했다는 것이다.[8][9] 이 물은 기압 시스템의 변화로 인한 심해수의 용승으로 인해 따뜻해졌으며, 이는 지구 온난화의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10]

4. 기후 공학

참조

[1] 웹사이트 Amundsen Sea "{{gnis3|type=antari[...]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1-10-23
[2] 서적 With Speed and Violence: Why scientists fear tipping points in climate change https://archive.org/[...] Beacon Press Books
[3] 서적 The Weather Makers: How man is changing the climate and what it means for life on Earth https://archive.org/[...] HarperCollins
[4] 서적 Hot House: Global Climate Change and the Human Condition Coprenicus Books
[5] 뉴스 Ancient Antarctic eruption noted http://news.bbc.co.u[...] BBC 2011-10-22
[6] 간행물 A recent volcanic eruption beneath the West Antarctic ice sheet
[7] 웹사이트 Buried Volcano Discovered in Antarctica http://www.livescien[...] LiveScience.com 2009-04-11
[8] 간행물 Recent dramatic thinning of largest West Antarctic ice stream triggered by oceans
[9] 간행물 Warm ocean is eroding West Antarctic Ice Sheet http://discovery.ucl[...]
[10] 간행물 Modelling Circumpolar Deep Water intrusions on the Amundsen Sea continental shelf, Antarctica https://epic.awi.de/[...]
[11] 웹사이트 Major Antarctic glacier is 'past its tipping point'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10-01-17
[12] 간행물 Stability of ice sheet grounding lines
[13] 웹사이트 Pine Island Bay "{{gnis3|type=antari[...]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1-10-23
[14] 웹사이트 Russell Bay "{{gnis3|type=antari[...]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1-10-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