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알 아문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알 아문센은 노르웨이의 탐험가로, 1872년에 태어나 1928년에 사망했다. 그는 인류 최초로 남극점에 도달했으며, 북서항로를 최초로 횡단하는 데 성공했다. 1903년 북극 탐험을 시작해 1905년 알래스카 놈에 도착하여 북서항로를 개척했으며, 1911년 12월 14일에는 로버트 스콧과의 경쟁 끝에 남극점에 인류 최초로 도달했다. 이후 비행선을 이용한 북극 탐험 중 실종되었다. 그의 업적을 기려 아문센-스콧 남극 기지, 아문센 크레이터 등이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실종된 비행사 -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프랑스 작가이자 조종사였던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는 『어린 왕자』를 통해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공군 조종사이자 국제 항공 우편 업무 종사자, 제2차 세계 대전 중 자유 프랑스 공군 복귀 후 비행 임무 중 실종된 인물이다. - 실종된 비행사 - 어밀리아 에어하트
어밀리아 에어하트는 여성 비행의 선구자이자 작가로, 대서양 횡단 등 다양한 기록을 세웠으나 세계 일주 비행 중 실종되어 미스터리로 남아 있으며, 많은 여성들에게 영감을 준 페미니즘의 아이콘이다. - 실종된 탐험가 - 조지 배스
영국의 해군 군의관이자 탐험가인 조지 배스는 매슈 플린더스와 함께 오스트레일리아 남동부 해안을 탐험하고 태즈메이니아가 섬임을 확인했으며, 그의 이름을 딴 배스 해협이 생겨났으나 1803년 항해 중 실종되었다. - 실종된 탐험가 - 헨리 허드슨
헨리 허드슨은 잉글랜드 탐험가이자 항해사로, 북동항로와 북서항로 개척을 시도하며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를 위해 항해하던 중 허드슨 강을 발견하여 네덜란드 북미 식민지 건설에 기여했으나, 선원 반란으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 노르웨이의 탐험가 - 잉골프 아르나르손
잉골프 아르나르손은 874년경 아이슬란드에 정착하여 레이캬비크를 건설하고 이름을 지은 노르웨이 출신 인물로, 건국사에 따르면 피의 복수를 피해 신의 인도를 받아 정착했다는 전설이 있으며, 그의 아들은 아이슬란드 사회 발전에 기여했고 많은 아이슬란드인들이 그의 후손임을 자랑스러워한다. - 노르웨이의 탐험가 - 한스 에게데
한스 에게데는 노르웨이 출신의 루터교 선교사로, 그린란드 선교를 위해 덴마크-노르웨이의 지원을 받아 그린란드에 정착지를 건설하고 이누이트의 언어를 연구했으며, 그린란드 주교로 임명되어 선교 활동을 펼치다 사망했다.
로알 아문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로알 엥겔브렉트 그라브닝 아문센 |
출생일 | 1872년 7월 16일 |
출생지 | 노르웨이 외스트폴주 보르게 |
실종일 | 1928년 6월 18일 (향년 55세) |
실종 장소 | 바렌츠해 |
직업 | 탐험가 |
서명 | Roald Amundsen Signature.svg |
로마자 표기법 | Roal Engelbregt Gravning Amundsen |
IPA (노르웨이어) | /ˈrùːɑɫ ˈɑ̂mʉnsən/ |
주요 업적 | |
주요 업적 | 최초로 남극점과 북극점 도달 최초로 북서항로 항해 |
수상 | |
훈장 | 성 올라프 훈장 (1906년) |
메달 | 허바드 메달 (1907년) 프란츠 요제프 훈장 (1907년) 찰스 P. 데일리 메달 (1912년) 베가 메달 (1913년) 미국 의회 금메달 (1928년) |
관련 정보 | |
관련 인물 | 오스카르 비스팅 |
2. 생애
로알 아문센은 1872년 노르웨이 오슬로 근교 보르게에서 선주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바다를 동경했으며, 1888년 프리티오프 난센의 그린란드 횡단에 감명을 받아 탐험가가 되기로 결심했다. 어머니의 뜻에 따라 의학을 공부했지만, 1893년 어머니가 사망하자 대학을 중퇴하고 탐험가의 길을 선택했다.[46]
1897년 벨기에 남극 탐험대에 참여하면서 탐험가 생활을 시작했다. 탐험선 벨지카호가 유빙에 갇히자, 프레드릭 쿡과 함께 바다표범을 사냥하며 괴혈병을 예방하는 등 원정대가 남극에서 처음으로 월동하는 데 필요한 경험을 쌓았다.[47] 1899년 선장이 된 후 북서항로 탐험에 나섰다.
1903년 북극 탐험 중 자석상의 북극 위치를 확인하고, 1905년 알래스카 놈에 도착하여 서북 항로를 개척했다. 프람호를 이용해 북극점 정복을 시도했으나, 미국의 로버트 피어리가 먼저 북극점을 정복했다는 소식을 듣고[71] 1910년 남극점 정복으로 목표를 바꿨다. 로버트 스콧과의 경쟁 끝에 1911년 12월 14일 인류 최초로 남극점에 도달했다.[49]
이후 모드호를 이용해 북극 탐험을 재개했지만, 북동항로 발견에 기여했을 뿐 북극점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1926년 움베르토 노빌레 등과 함께 비행선 노르게호를 타고 북극해 탐험을 시도, 북극점 상공을 통과하여 알래스카에 착륙함으로써[72] 세계의 거리를 좁히는 데 기여했다.
1928년 이탈리아 탐험가 움베르토 노빌레의 조난 소식을 듣고 수상 비행기로 수색에 나섰으나, 자신도 행방불명되었다. 노빌레는 구조되었지만, 아문센은 비행기 잔해만 발견되어 사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15][16][17]
2. 1. 어린 시절

로알 아문센은 1872년 노르웨이 오슬로 근교 보르게에서 선주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바다를 동경했으며, 1888년 프리티오프 난센의 그린란드 횡단에 감명을 받아 탐험가가 되기로 결심했다. 어머니의 뜻에 따라 의학을 공부했지만, 1893년 어머니가 사망하자 대학을 중퇴하고 탐험가의 길을 선택했다.
아문센은 프레드릭스타와 사르프스보르 마을 사이의 보르게에서 태어났으며, 부모는 옌스 아문센과 한나 살퀴스트였다. 로알은 네 형제 중 막내였다. 어머니는 그가 가업인 해운업에 종사하는 것을 원치 않았고, 의사가 되도록 격려했다. 아문센은 21세에 어머니가 돌아가실 때까지 이 약속을 지켰고, 이후 대학을 그만두고 바다에서의 삶을 선택했다.[46]
아문센은 우라니엔보르 지역에 살았으며, 남극 탐험의 선구자 카르스텐 보르흐그레빙크와 어린 시절 가끔 함께 놀았다.[5][6]
15세 때 아문센은 존 프랭클린 경의 육로 북극 탐험에 대한 기록을 읽고 매료되었다. 아문센은 "나는 열정적인 매혹으로 그 글들을 읽었고, 그것은 내 삶의 전 과정을 형성했다"고 썼다.[7]
2. 2. 탐험가 생활
1897년 벨기에 남극 탐험대에 참여하면서 아문센의 탐험가 생활이 시작되었다. 탐험선 벨지카호가 유빙에 갇히자, 아문센은 프레드릭 쿡과 함께 바다표범을 사냥하며 괴혈병을 예방하는 등 원정대가 남극에서 처음으로 월동하는 데 필요한 경험을 쌓았다.[47] 1899년 선장이 된 아문센은 북서항로 탐험에 나섰다.1903년에는 북극 탐험 중 자석상의 북극 위치를 확인하고, 1905년 알래스카 놈에 도착하여 서북 항로를 개척했다. 프람호를 이용해 북극점 정복을 시도했으나, 미국의 로버트 피어리가 먼저 북극점을 정복했다는 소식을 듣고[71] 1910년 남극점 정복으로 목표를 바꿔 로버트 스콧과의 경쟁 끝에 1911년 12월 14일 인류 최초로 남극점에 도달했다.
이후 아문센은 모드호를 이용해 북극 탐험을 재개했지만, 북동항로 발견에 기여했을 뿐 북극점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1926년에는 움베르토 노빌레 등과 함께 비행선 노르게호를 타고 북극해 탐험을 시도, 북극점 상공을 통과하여 알래스카에 착륙함으로써[72] 세계의 거리를 좁히는 데 기여했다.
1928년, 아문센은 이탈리아 탐험가 움베르토 노빌레의 조난 소식을 듣고 수상 비행기로 수색에 나섰으나, 자신도 행방불명되었다. 노빌레는 구조되었지만, 아문센은 비행기 잔해만 발견되어 사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2. 2. 1. 북서항로 탐험
1903년, 아문센은 대서양과 태평양을 잇는 캐나다의 북서항로를 처음으로 횡단하는 탐험을 이끌었다. 그는 47톤급 어선 요아(Gjøa) 호를 이용하여 6명의 소규모 탐험대를 구성했다. 요아 호는 흘수가 얕아 해안선을 따라 항해하는 전략에 적합했으며, 13마력의 단축 프로펠러 파라핀(디젤) 엔진을 장착했다.[48]탐험대는 바핀만, 패리 해협을 지나 필 사운드, 제임스 로스 해협, 심슨 해협, 레이 해협을 통해 남쪽으로 항해했다. 킹 윌리엄 섬의 오늘날 그조아 헤이븐에서 두 번의 겨울을 보내며,[47][48] 현지 네트실릭 이누이트에게서 개썰매 사용법, 동물 가죽 옷 착용법 등 북극 생존 기술을 배웠다. 이는 이후 남극 탐험에 큰 도움이 되었다.
1905년 여름, 탐험대는 빅토리아 섬 남쪽을 항해하여 캐나다 북극 제도를 통과했다. 이후 알래스카 태평양 연안의 놈으로 가기 전 겨울을 나기 위해 잠시 멈춰야 했다. 아문센은 12월 5일 성공 소식을 알리기 위해 약 800km 떨어진 알래스카 이글까지 육로로 이동하여 전신을 보냈고, 1906년 놈으로 돌아왔다.[9]
이 탐험으로 아문센은 북서항로 횡단에 성공했으며, 노르웨이의 새 국왕 호콘 7세에게 이 업적을 알렸다.[10]
2. 2. 2. 남극점 탐험
프람호로 북극점 정복을 시도했던 로알 아문센은 미국의 로버트 피어리가 먼저 북극점을 정복했다는 소식을 듣고[71] 남극점 정복으로 목표를 변경하여 1910년 남극 탐험을 시작, 로버트 스콧과의 경쟁 끝에 1911년 12월 14일 인류 최초로 남극점에 도달했다.[49]
아문센은 1909년 미국의 로버트 피어리와 프레드릭 쿡이 북극점에 도달했다는 소식을 듣고[49] 남극으로 탐험 방향을 바꾸었다. 로버트 팔콘 스콧이 남극점 원정을 계획하고 있었기에, 아문센은 자신의 계획을 명확하게 밝히지 않았다.[49] 프리드쇼프 난센에게서 빌린 프람호를 이용하여, 아문센은 1910년 6월 3일 오슬로를 떠나 남쪽으로 향했다.[49][50] 마데이라 제도에서 아문센은 자신의 부하들에게 남극으로 향할 것이라고 알리고 스콧에게 "프람호가 남극으로 향하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아문센."이라는 전보를 보냈다.[49]
1911년 1월 14일, 원정대는 로스 해빙 동쪽 고래 만에 도착하여 프람하임이라는 기지캠프를 설치했다. 아문센은 이누이트식 털가죽 옷을 채택하고,[46] 스키와 개썰매를 이용하여 남위 80°, 81°, 82°에 보급 기지를 만들었다.[46] 또한, 이동 중 개를 도살하여 식량으로 사용했다.[11]
올라프 브얄란, 헬머 한센, 스베레 하셀, 오스카르 위스팅과 함께 아문센은 10월 19일 52마리의 개와 4대의 썰매를 가지고 기지캠프를 떠났다. 악셀 하이베르그 빙하를 따라 이동하여 11월 21일 남극 고원 가장자리에 도착했고, 1911년 12월 14일 스콧 팀보다 한 달 먼저 남극점에 도착했다.[49] 아문센은 남극점 캠프에 폴하임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남극 고원을 하콘 7세 국왕 고원으로 개명했다. 그들은 프람하임으로 돌아오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작은 텐트와 그들의 업적을 기록한 편지를 남겼다.
1912년 1월 25일, 11마리의 개와 함께 프람하임에 도착한 팀은 호바트로 가서 3월 7일 성공을 발표했다. 아문센의 원정은 신중한 준비와 우수한 장비, 개와 스키의 효과적인 사용으로 순조롭게 진행되었다.
아문센은 1909년 4월 6일 로버트 피어리의 북극점 도달 소식을 듣고, 남극점으로 목표를 변경했다. 그는 출자자나 대원들에게 알리지 않고 비밀리에 준비를 진행하여 1910년 8월 노르웨이를 출항했다.
마데이라 제도의 푼샬에 기항했을 때, 남극점이 목표라는 것이 승무원들에게 처음으로 밝혀졌다. 아문센은 반대하는 자는 하선해도 좋다고 말했지만, 승무원들은 찬성했고, 계획은 순조롭게 변경되었다.[63] 동시에 노르웨이에 전보를 보내고, 출자자들에게는 "남극점에 도달한 후 북극을 탐험한다"고 알렸다. 또한 로버트 스콧에게 "우리는 남극으로 향하고자 한다"는 전보를 보냈는데, 영국 측에서는 이를 무례하고 도발적이라고 받아들였다. 아문센은 사전 연락 없이 남극에서 만나는 것이 오히려 무례하다는 입장이었다.
1911년 1월 14일, 아문센 대는 고래 만에서 남극 대륙에 상륙하여 프람하임 기지를 건설했다. 스콧은 1월 2일 로스 섬에 기지를 건설했다. 두 대는 반년 이상 식량 보급 기지(데포)를 만들고 주변을 탐색하며 탐험을 준비했다. 아문센의 경로는 1500km로 스콧보다 약 100km 짧았고, 기지 주변에는 물개가 많았지만, 미탐사 지역을 진행해야 하는 위험이 있었다.
1911년 10월 20일 아문센은 4명의 대원과 함께 프람하임을 출발, 52마리의 개를 이용하여 남극 횡단을 시작했다.[65] 1911년 12월 14일, 인류 최초로 남극점에 도달하고, 1912년 1월 25일 희생자 없이 프람하임으로 귀환했다.
아문센이 먼저 도착한 것은 스콧 대가 학술 조사를 겸하여 긴 경로를 선택하고 설상차와 말을 이용한 반면, 아문센 대는 개를 이용하고 개썰매를 채용, 물개 모피옷을 채용한 것이 이유 중 하나로 꼽힌다. 남극점에 만든 텐트에는 조난 시를 대비하여 최초 도달 증명서를 가져가도록 부탁한 편지를 남겼다.
귀환 후 아문센은 강연 활동으로 탐험 비용 부채를 상환했다. 미국에서는 영웅으로 칭송받았고, 영국에서는 냉대를 받았다. 노르웨이에서는 국민적 영웅이 되었다.
2. 2. 3. 남극 탐험 이후
몇 년 후 아문센은 북극 탐험을 결심해 모드호를 타고 북극으로 갔으나, 모드호는 긴 시간 동안 표류했고 북극점에 도착하진 못했으나 북동항로 발견에 큰 기여를 했다. 아문센은 비행선을 타고 다시 북극으로 갔으나 실패했다. 1926년 움베르토 노빌레 등과 함께 비행선 노르게호를 타고 북극해 탐험을 시도하여, 북극점 상공을 통과하고 알래스카에 무사히 착륙하였다.[72] 이 탐험으로 서유럽과 아시아·북아메리카 대륙을 북극해와 연결함으로써 세계의 거리를 좁아지게 하였다.1928년 아문센은 친구이자 이탈리아 탐험가였던 움베르토 노빌레가 이탈리아호라는 비행선을 타고 탐험을 갔다가 북극해에서 조난당하자, 수상 비행기로 수색에 나섰으나 자신도 행방불명되었다. 노빌레는 다른 구조대를 통해 구조되었으나, 아문센은 비행기 부품이 발견됨으로써 사망한 것이 확인되었다.
1925년, 아문센은 링컨 엘스워스(Lincoln Ellsworth), 조종사 얄마르 리세르-라르센(Hjalmar Riiser-Larsen), 정비사 카를 포이히트(Karl Feucht) 그리고 다른 두 명의 팀원과 함께 두 대의 도르니어 Do J 수상비행기 N-24와 N-25를 가지고 북위 87° 44′까지 비행했다. 그것은 당시까지 비행기가 도달한 최북단 위도였다. 무전 연락 없이 비행기는 수 마일 떨어진 곳에 착륙했지만 승무원들은 재회하는 데 성공했다. N-24는 손상되었다. 아문센과 그의 승무원들은 얼음에서 이륙할 수 있는 활주로를 정리하기 위해 3주 이상 작업했다.[44] 그들은 하루에 약 0.45kg의 식량 배급만으로 600톤의 얼음을 퍼냈다. 결국 여섯 명의 승무원은 N-25에 겨우 탑승했다. 놀랍게도 리세르-라르센은 이륙했고, 그들은 금이 가는 얼음 위에서 간신히 이륙했다.
1926년, 아문센과 다른 15명(엘스워스, 리세르-라르센, 오스카 위스팅(Oscar Wisting), 그리고 우베르토 노빌레(Umberto Nobile)가 이끄는 이탈리아 항공 승무원 포함)은 노빌레가 설계한 비행선 노르게호를 이용하여 최초로 북극을 횡단했다.[45] 그들은 1926년 5월 11일에 스피츠베르겐(Spitsbergen)을 출발하여 5월 12일에 북극점 상공을 비행했고,[14] 다음 날 알래스카에 착륙했다.

아문센은 1928년 6월 18일 북극에서 구조 임무 중 실종되었다. 그의 팀에는 노르웨이 조종사 라이프 디트리히손, 프랑스 조종사 르네 기유보와 프랑스인 3명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들은 북극점에서 귀환하던 중 추락한 노빌레의 새로운 비행선 이탈리아호의 실종된 대원들을 수색하고 있었다. 아문센의 프랑스제 라탐 47 수상비행기는 결코 돌아오지 않았다.[15]
나중에, 비행기의 날개 부표와, 교체용 날개 부표로 개조된 바닥 가솔린 탱크가 트롬쇠 해안 근처에서 발견되었다. 비행기가 바렌츠해에 추락했고,[16] 아문센과 그의 승무원들이 추락 사고로 사망했거나, 그 직후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문센과 그의 팀에 대한 수색은 1928년 9월 노르웨이 정부에 의해 중단되었고, 시신은 결코 발견되지 않았다.[17]
2004년과 2009년 8월 말, 노르웨이 해군은 무인 잠수정 ''Hugin 1000''을 사용하여 아문센의 비행기 잔해를 수색했다. 수색은 해저 지역에 집중되었으며, 독일 제작사 ContextTV에 의해 기록되었다.[55][56] 그들은 아문센 비행기의 어떤 잔해도 찾지 못했다.
귀환 후에도 도르니에 발飛行정이나 비행선 노르게호를 이용하여 북극점 통과를 하는 등 활발하게 활동했다. 1927년에는 보지신문의 초청으로 일본을 방문하기도 했다.
신발명인 비행기와 비행정을 탐험에 사용하는 데 열심이었으며, 그 구입과 탐험 비용에 강연 수입을 모두 써버려 파산의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 1925년에는 자산 정리를 위해 극지 탐험에 사용했던 모드호를 매각했다.[66]
3. 유산
아문센의 극지 탐험 업적은 북극과 남극 모두에 그의 이름을 딴 많은 장소가 생겨나게 했다. 아문센-스콧 남극 기지는 미국 남극 프로그램이 운영하며, 아문센과 그의 영국 경쟁자 로버트 팔콘 스콧을 기리기 위해 공동으로 명명되었다.[35] 달에는 아문센 크레이터가 있는데, NASA는 아르테미스 3호 달 착륙선의 잠재적 착륙 지점으로 이 크레이터 가장자리를 고려하고 있다.[36]
시카고 레이븐스우드 지역에는 1929년 건설되어 1930년 개교한 아문센 고등학교가 있다.[37]
1969년 영화 ''붉은 천막''은 노빌 원정대와 아문센의 실종 이야기를 다루며, 숀 코너리가 아문센 역을 맡았다.[38] 롤런드 헌트퍼드의 저서 ''스콧과 아문센(Scott and Amundsen)''은 TV 시리즈 ''지구상의 마지막 장소(The Last Place on Earth)''로 각색되어 1985년에 방영되었고, 스베레 안케르 우스달이 아문센 역을 맡았다.[39] 2019년 2월 15일에는 에스펜 산드베르그 감독의 아문센을 다룬 노르웨이 전기 영화 ''아문센''이 개봉되었다.[40]
노르웨이에서는 아문센의 업적이 오늘날에도 전해지고 있으며, 국민적 영웅으로 대우받고 있다. 1917년 아스케르를 출항한 후 매각되었고 1930년 캐나다 연안에서 침몰한 모드호를 귀국시키기 위해 노르웨이 기업가가 자금을 제공하여 인양하고 아스케르까지 예항하여 전시하는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66]
2011년 12월 14일은 아문센의 남극점 도달 100주년으로, 남극점에서 기념식이 거행되었고, 많은 탐험가와 옌스 스톨텐베르그 노르웨이 총리 등이 참석했다.[67][68][69]
4. 논란
로알 아문센은 1926년 움베르토 노빌레 등과 함께 비행선 노르게호를 타고 북극점 상공을 통과하여 알래스카에 착륙하였다.[72] 그러나 이보다 앞서 프레드릭 쿡, 로버트 피어리, 리처드 이. 버드가 북극점에 도달했다는 주장은 정확성이 의심스럽거나 명백한 사기로 논란이 되고 있다.[53][54]
1903년부터 1905년까지 겨울 동안 킹윌리엄섬에 장기 체류했던 시기에, 유럽계 혈통을 가진 죠아 헤이븐의 이누이트 2명 이상이 아문센의 후손이라고 주장했다.[41]
4. 1. 북극점 최초 도달 논란
1926년 움베르토 노빌레 등과 함께 비행선 노르게호를 타고 북극점 상공을 통과하여 알래스카에 착륙하였다.[72] 그러나 이보다 앞서 프레드릭 쿡(1908년), 로버트 피어리(1909년), 리처드 이. 버드(1926년)가 북극점에 도달했다는 주장은 정확성이 의심스럽거나 명백한 사기로 논란이 되고 있다.[53][54] 이 때문에 일부에서는 아문센을 포함한 노르게호 승무원들이 북극점에 도달한 최초의 탐험가로 보기도 한다.[57][14] 만약 노르게호 탐험이 최초였다면, 아문센과 오스카르 위스팅은 육상 또는 공중으로 남극점과 북극점 모두에 도달한 최초의 인물이 된다.4. 2. 이누이트 혼혈 후손 주장
로알 아문센이 1903년부터 1905년까지 겨울 동안 킹윌리엄섬에 장기 체류했던 시기에, 유럽계 혈통을 가진 죠아 헤이븐의 이누이트 2명 이상이 아문센의 후손이라고 주장했다.[41] 탐험대원들의 기록에 따르면 이누이트 여성들과 관계를 맺었으며, 역사가들은 아문센이 파트너를 두었을 가능성도 추측하고 있다.[42] 비록 그가 이에 대해 경고하는 글을 남기긴 했지만.[43]특히, 이부형제인 밥 코노나와 폴 이쿠알락은 아버지 루크 이쿠알락이 임종 직전 자신이 아문센의 아들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코노나는 아버지 이쿠알락이 유럽계 혈통 때문에 이누이트 사회에서 사생아로 여겨져 태어난 후 얼음 위에 버려졌고, 이누이트 조부모가 그를 구해냈다고 말했다.
2012년 가족들의 허락 하에 진행된 Y-DNA 분석 결과, 이쿠알락은 아문센의 직계 남성 혈통과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43] 유럽계 혈통을 주장하는 모든 후손들이 아문센과의 유전자 일치 여부를 검사받은 것은 아니며, 이쿠알락의 DNA를 아문센 탐험대의 다른 유럽계 대원들의 DNA와 비교한 연구도 없었다.[43]
5. 수상 및 서훈
국가 | 훈장 및 메달 | 수여 날짜 |
---|---|---|
성 올라프 훈장 대십자장 | 1906년 11월 20일[2][23] | |
남극 탐험 기념 메달 | 1912년 8월 20일[24] | |
뛰어난 시민 봉사 메달 1등급(금) | 1925년 | |
프란츠 요제프 훈장 대십자장 | 1907년[25] | |
레오폴드 훈장 (민간 부문) 기사장[2] | ||
공로 훈장 금장과 왕관 | 1907년[2] | |
한스 에게데 메달 | 1925년[26] | |
레지옹 도뇌르 훈장 대장교[2] | ||
탐험과 발견 여정 대금메달 | 1913년[27] | |
이탈리아 왕관 훈장 대장교[2] | ||
왕관 훈장 1등급 기사장[2] | ||
알렉산더 폰 훔볼트 메달 | 1912년[29] | |
성 안나 훈장 1등급 기사장[2] | ||
북극성 훈장 대십자 훈장 | 1912년[30] | |
베가 메달 | 1913년[31] | |
리빙스턴 메달 | 1925년[32] | |
미국 | 허버드 메달 | 1907년 |
미국 | 찰스 P. 댈리 메달 | 1912년[33] |
미국 | 의회 금메달 | 1928년 5월 29일[34] |
1917년 10월 24일 독일의 무제한 잠수함 작전에 항의하여 프로이센 왕국에서 받은 훈장을 반환함.de
6. 저서
1986년
교육사(1986)
1994년
아사히문고(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