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연구네트워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아연구네트워크는 2003년 한양대학교와 이화학연구소의 공동 워크샵을 시작으로 설립된 연구 네트워크이다. 2005년 LOI 체결 후, 서울특별시의 후원을 받아 2008년 퓨전테크놀로지센터에 입주했다. 2009년 기준으로 한양대학교, 이화학연구소 등 6개의 연구 참여 조직과 삼성전자, 중국과학원 등 다양한 참여 기관, 그리고 대한민국 교육과학기술부와 서울특별시의 후원을 받고 있다. 아시아 전역으로 연구 조직을 확대하고 아시아-태평양 지역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나노공학 관련 심포지엄 및 워크샵을 개최하고, 참여 기관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인턴십을 제공하는 등 교육 활동도 진행한다. 융합형 학문 관련 18개 분야의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항공과대학교 - 백성기
백성기는 코넬 대학교에서 재료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한국과학기술연구소와 오크리지 국립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부총장, 포항가속기연구소 소장, 포스텍 총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재료공학자이다. - 포항공과대학교 - 포항가속기연구소
포항가속기연구소는 경상북도 포항시에 위치한 연구기관으로, 방사광가속기를 이용한 연구 지원, 대한민국 최초 방사광가속기 PLS-I 건설 및 운영, PLS-II와 PAL-XFEL 구축을 통해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연구소 - 한양대학교
한양대학교는 1939년 설립된 사립 종합대학교로, 서울캠퍼스와 ERICA캠퍼스를 운영하며, 15개의 단과대학과 8개의 단과대학을 통해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제공하고, 활발한 연구 활동과 사회 공헌 활동을 펼치며 국제적인 교육 환경을 조성한다. - 연구소 - 포항공과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는 포스코의 지원으로 1986년 설립되어 과학기술 분야 교육 및 연구에 집중하며 우수한 연구 시설을 보유한 대한민국의 연구중심대학이다. - 아시아연구네트워크 - 중국과학원
중국과학원은 1949년 설립된 중화인민공화국의 국립 과학 학술기관이자 세계 최대 규모의 연구 기관으로, 12개 분원, 100개 이상의 연구소, 3개의 대학교 등을 산하에 두고 자연과학 분야 연구와 기술 개발을 수행하며 중국 과학기술 발전을 주도하고 국가 정책에 자문하는 역할을 한다. - 아시아연구네트워크 -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1969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전자제품 제조 기업으로, 가전제품 생산에서 시작하여 반도체, 스마트폰 시장으로 사업을 확장하며 메모리 반도체 및 TV 시장에서 세계 1위를 유지하고 있다.
| 아시아연구네트워크 | |
|---|---|
| 아시아연구네트워크 | |
| 약칭 | ARN |
| 유형 | 연구 네트워크 |
| 설립 | 2001년 |
| 목표 | 아시아 연구의 발전 및 협력 증진 |
| 활동 | 연구 프로젝트 수행 학술회의 개최 연구 자료 공유 |
| 위치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 웹사이트 | 아시아연구네트워크 공식 웹사이트 |
2. 연혁
2003년 한양대학교와 이화학연구소의 공동 워크숍을 시작으로, 2005년 아시아연구네트워크에 대한 LOI 체결 및 추진 과정을 거쳐, 서울특별시의 후원을 받아 2008년 퓨전테크놀로지센터에 입주하였다.[3]
2. 1. 설립 과정
2003년 한양대학교와 이화학연구소가 공동 워크숍을 시작한 것을 기점으로, 2005년 아시아연구네트워크에 대한 LOI 체결 후 추진 과정을 거쳤다. 같은 해 서울특별시의 후원을 받아 2008년 준공된 퓨전테크놀로지센터에 입주하게 되었다.[3]2. 2. 향후 계획
아시아연구네트워크는 2단계 사업으로 아시아 전역으로 연구조직을 확대할 계획이며, 최종적으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4]3. 조직

3. 1. 연구 참여 조직 (2009년 기준)
2009년 현재 연구 참여조직은 한양대학교, 이화학연구소, 서울대학교, POSTECH,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총 6개 기관이다.[5]3. 2. 참여 기관
다음은 아시아연구네트워크의 참여 기관이다.[6]- 삼성전자
- 한국파스퇴르
- 중국과학원
- 북경대학교
- 인도국립화학연구원
- IISER(Indian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and Research) (영문위키)
- University of Pune
- 시바지대학 (인도) (영문위키)
- 싱가포르 국립 대학교
- University of Texas at Dallas
3. 3. 후원 기관
- 교육과학기술부
- 서울특별시
4. 활동
아시아연구네트워크는 나노공학과 관련한 심포지움 및 워크샵 등의 행사를 개최한다.[7]
4. 1. 주요 성과
- 이화학연구소는 노벨상 수상자인 유카와 히데키를 배출하였다.
- 한양대학교는 SCI 저널인 《Journal of Ceramic Processing Research》를 출판한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SCI 저널인 《ETRI Journal》을 출판한다.
- 나노공학과 관련한 심포지움 및 워크샵 등의 행사를 개최한다.
4. 2. 교육 활동
아시아연구네트워크에서는 참여 기관의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3~6개월간의 연구 기관 인턴십을 제공한다. 또한 정보통신, 생명공학, 나노공학을 접목시킨 융합 학문 글로벌 리더 교육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다.[7]4. 3. 연구 분야
아시아연구네트워크에서는 융합형 학문과 관련하여 총 18개 분야의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8]- 나노-생명공학 관련 5개 분야
- 나노-정보통신 관련 13개 분야
참조
[1]
웹인용
ARN Preamble(영문)
http://www.asianrn.o[...]
2009-10-05
[2]
뉴스
아소 日총리, 한양대서 韓.日 연구진 격려
http://media.daum.ne[...]
연합뉴스
2009-01-11
[3]
웹인용
ARN History
http://www.asianrn.o[...]
2009-10-05
[4]
웹인용
ARN Philosophy
http://www.asianrn.o[...]
2009-10-05
[5]
웹사이트
ARN Research members
http://www.asianrn.o[...]
2009-12-28
[6]
웹인용
ARN Participant Institutes
http://www.asianrn.o[...]
2009-10-05
[7]
웹인용
ARN Activities - Education
http://www.asianrn.o[...]
2009-10-06
[8]
웹인용
ARN Activities - Research
http://www.asianrn.o[...]
2009-1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