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안 게임 배드민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안 게임 배드민턴은 1958년 도쿄 아시안 게임에서 시범 종목으로 처음 도입되었고, 1962년 대회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남자 단식, 남자 복식, 남자 단체전, 여자 단식, 여자 복식, 여자 단체전, 혼합 복식 등 7개 세부 종목으로 구성되며,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된다. 초기에는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가 강세를 보였으나, 1974년 중국의 참여 이후 아시아 배드민턴 판도에 변화가 생겼다. 1990년대 이후 중국이 압도적인 강세를 보이는 가운데 대한민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이 경쟁하고 있으며,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안세영 선수가 여자 단식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대한민국 선수단도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다. 역대 대회 결과, 메달 집계, 역대 우승자 등의 정보가 제공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아의 배드민턴 - 배드민턴 아시아 연맹
배드민턴 아시아 연맹은 아시아 지역 배드민턴 발전을 위해 각 국가 배드민턴 협회를 회원으로 두고 서아시아,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5개 지역을 관할하는 기구이다. - 아시안 게임 배드민턴 - 2010년 아시안 게임 배드민턴
2010년 아시안 게임 배드민턴은 중국 광저우에서 17개국 190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7개 종목에서 경쟁했으며, 중국이 금메달 5개, 대한민국이 혼합 복식에서 금메달 1개를 획득하는 등 총 8개국이 메달을 획득했다. - 아시안 게임 배드민턴 - 2002년 아시안 게임 배드민턴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배드민턴은 9월 29일부터 10월 14일까지 강서체육관에서 남자 단식, 복식, 단체, 여자 단식, 복식, 단체, 혼합 복식으로 진행되었으며, 16개국 120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대한민국이 금메달 4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다. -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 아시안 게임 크리켓
아시안 게임 크리켓은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후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까지 개최되었으며, 2022년 대회에서는 인도 남녀 대표팀이 모두 우승하여 아시아 크리켓 판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나, 다른 국가들의 발전 저해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있다. -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 아시안 게임 유도
아시안 게임 유도는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남자 경기부터 시작, 이후 여자 유도 도입과 단체전 및 혼성 단체전 도입을 거쳐 2023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까지 이어져 왔으며 일본이 최우수 국가로 자리매김했다.
아시안 게임 배드민턴 | |
---|---|
기본 정보 | |
경기 단체 |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
단체 약자 | OCA |
세부 종목 | 7 |
남자 종목 | 3 |
여자 종목 | 3 |
혼합 종목 | 1 |
2. 역사
배드민턴은 1958년 도쿄 아시안 게임에서 시범 종목으로 처음 등장했으며, 1962년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1] 이후 아시안 게임 배드민턴의 역대 개최 정보는 다음과 같다.
연도 | 회차 | 개최 도시 | 개최국 |
---|---|---|---|
1994 | 12 | 히로시마 | 일본 |
1998 | 13 | 방콕 | 태국 |
2002 | 14 | 부산 | 대한민국 |
2006 | 15 | 도하 | 카타르 |
2010 | 16 | 광저우 | 중화인민공화국 |
2014 | 17 | 인천 | 대한민국 |
2018 | 18 | 자카르타 | 인도네시아 |
2022 | 19 | 항저우 | 중화인민공화국 |
2. 1. 초기 (1958년 ~ 1970년)
배드민턴은 1958년 도쿄 아시안 게임(도쿄, 일본)에서 시범 종목으로 아시안 게임에 처음 등장했으며, 1962년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1] 1962년 게임에서는 남자 단식, 남자 복식, 남자 단체전, 여자 단식, 여자 복식, 여자 단체전 등 6개 종목이 열렸다. 혼합 복식 종목은 1966년에 추가되었다. 1962년에는 두 준결승전 패자 간의 플레이오프를 통해 동메달 단독 수상자를 결정했지만, 1974년을 제외하고 1966년부터는 각 종목에서 2개의 동메달이 수여되었다.
2. 2. 발전기 (1974년 ~ 1990년)
1974년 테헤란 아시안 게임부터 중국이 참가하면서 아시아 배드민턴 판도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1] 대한민국은 1980년대부터 박주봉, 김문수, 정명희 등 뛰어난 선수들을 배출하며 배드민턴 강국으로 부상했다.1962년 게임에서는 남자 단식, 남자 복식, 남자 단체전, 여자 단식, 여자 복식, 여자 단체전 등 6개 종목이 열렸고, 1966년에 혼합 복식 종목이 추가되었다.[1] 1962년에는 두 준결승전 패자 간의 플레이오프를 통해 동메달 단독 수상자를 결정했지만, 1974년을 제외하고 1966년부터는 각 종목에서 2개의 동메달이 수여되었다.[1]
2. 3. 경쟁 심화 및 현재 (1994년 ~ 현재)
1990년대 이후 중국이 압도적인 강세를 보이는 가운데, 대한민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대한민국은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 4개, 은메달 2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하며 다시 한번 배드민턴 강국의 입지를 다졌다.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에서는 남자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홈 팬들에게 감동을 선사했다.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서는 안세영 선수가 여자 단식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새로운 스타 탄생을 알렸다.3. 경기 종목
아시안 게임 배드민턴은 1962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대회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세부 종목으로는 남자 단식, 남자 복식, 남자 단체전, 여자 단식, 여자 복식, 여자 단체전, 혼합 복식이 있다.
3. 1. 남자 종목
탄 예 칸탄 예 칸
펀치 구날란
요한 와유디
크리스티안 하디나타
크리스티안 하디나타
김문수
톈 빙이
리키 수바자
리키 수바자
유용성
탄 분 헹
헨드라 세티아완
헨드라 세티아완
케빈 산자야 수카물조
치라그 셰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