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오안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오안돈은 백 번째 이야기를 하려 할 때나 끝났을 때 나타난다고 전해지는 일본의 요괴이다. 토리야마 세키엔의 그림에서는 검은 긴 머리카락과 뿔을 가진 여자 귀신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에도 시대의 괴담집에는 백 이야기의 마지막에 거미 다리가 나타났다는 이야기가 있으며, 아오안돈은 요괴 자체보다는 백 이야기 후에 일어나는 괴이 현상을 가리킨다는 설도 있다. 구체적인 기록은 거의 남아있지 않으며,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 대중문화에서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요괴 - 구미호
구미호는 아홉 개의 꼬리를 가진 여우 요괴로, 동아시아 설화에 등장하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상서로운 존재, 인간을 유혹하는 존재, 악한 요괴 등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되고 대중문화 콘텐츠의 소재로 활용된다. - 일본의 요괴 - 텐구
텐구는 일본의 요괴로, 긴 코와 붉은 얼굴을 가진 인간형의 모습에 야마부시 복장을 하고 하늘을 나는 능력과 뛰어난 무술 실력을 지녔으며, 중국의 티앤거우나 힌두교의 가루다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산악 신앙과 결합되어 발전, 오만함의 상징이자 산의 신으로 숭배받기도 하며 대중문화에도 등장한다. - 도리야마 세키엔의 요괴 - 살생석
살생석은 일본 도치기현 나스 지역의 화산암으로, 구미호가 변한 것이라는 전설이 깃들어 있으며, 유독성 가스를 분출하여 주변 생물에게 해를 끼쳐 '살생석'이라 불리며, 승려 겐노의 퇴마 의식으로 원한이 달래졌다고 전해지고, 2022년 3월에는 두 조각으로 갈라져 화제가 되기도 했다. - 도리야마 세키엔의 요괴 - 텐구
텐구는 일본의 요괴로, 긴 코와 붉은 얼굴을 가진 인간형의 모습에 야마부시 복장을 하고 하늘을 나는 능력과 뛰어난 무술 실력을 지녔으며, 중국의 티앤거우나 힌두교의 가루다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산악 신앙과 결합되어 발전, 오만함의 상징이자 산의 신으로 숭배받기도 하며 대중문화에도 등장한다.
아오안돈 | |
---|---|
요괴 정보 | |
![]() | |
유형 | 요괴 |
유래 | 백물어 |
출현 장소 | 일본 어두운 방 |
특징 | 푸른 등불 아래 나타나는 창백한 모습의 여성 |
상세 정보 | |
외모 | 긴 머리를 늘어뜨린 창백한 여성 기모노 차림 |
능력 | 사람을 홀리는 능력 저주 |
퇴치법 | 백물어 놀이를 멈춤 새벽닭 울음소리 |
관련 설화 | 백물어 괴담을 100개 모으면 나타난다고 함 |
문화적 영향 | |
등장 작품 | 괴담 레스토랑 요괴워치 리그 오브 레전드 (스킨) |
관련 용어 | |
관련 요괴 | 유령 오니 |
2. 특징
아오안돈은 백 번째 이야기를 하려 할 때, 또는 백 번째 이야기가 끝났을 때 나타난다고 한다. 백 이야기(햐쿠모노가타리)를 할 때에는, 분위기를 내기 위해 등불에 푸른 종이를 붙였다고도 전해진다. 토리야마 세키엔의 『지금 옛날 백귀 밤의 묶음(今昔百鬼拾遺)』에는 검은 긴 머리카락과 뿔을 가지고, 이를 검게 칠한 흰 옷을 입은 여자 귀신의 모습으로 그려져 있다.
에도 시대의 괴담집 『숙직초(宿直草)』에 있는 이야기 중 하나인 「백 이야기를 하고 거미의 다리를 자른 일」에는, 백 이야기의 백 번째 이야기에서 천장에서 큰 손이 나타나 칼로 베었더니, 그것은 3치 정도의 거미의 다리였다고 기술되어 있다[3]。
『지금 옛날 백귀 밤의 묶음(今昔百鬼拾遺)』의 해설문에는 "귀신을 이야기하면 괴이함에 이른다"라고 적혀있는 것으로 보아, 아오안돈은 요괴 자체가 아니라 백 이야기 후에 일어난다고 하는 여러 괴이를 가리킨다는 설도 있다[4]。
백 이야기를 한 사람들은 괴이를 두려워하여 괴담을 99개째에서 멈췄다고 전해지기 때문에, 아오안돈이 나타났다는 구체적인 기록은 거의 남아있지 않다[5]。
곤도 미즈키는, 이 그림에 그려진 등불 앞의 재봉 도구, 빗, 편지 등은 등불 아래에서 남편이 다른 여자에게서 받은 연애 편지를 읽은 본처가 질투심에 사로잡힌 상황을 암시하며, 이 그림의 주제는 질투의 집착이라고 주장한다[6]。
2. 1. 외형 묘사
2. 2. 에도 시대 괴담집
2. 3. 괴이 현상
아오안돈은 백 번째 이야기를 하려 할 때, 또는 백 번째 이야기가 끝났을 때 나타난다고 한다. 백 이야기(百物語)를 할 때에는, 분위기를 내기 위해 등불에 푸른 종이를 붙였다고도 전해진다. 토리야마 세키엔의 『지금 옛날 백귀 밤의 묶음(今昔百鬼拾遺)』에는 검은 긴 머리카락과 뿔을 가지고, 이를 검게 칠한 흰 옷을 입은 여자 귀신의 모습으로 그려져 있다.에도 시대의 괴담집 『숙직초(宿直草)』에는 백 이야기의 백 번째 이야기에서 천장에서 큰 손이 나타나 칼로 베었더니, 그것은 3치 정도의 거미의 다리였다는 이야기가 있다.[3]
『지금 옛날 백귀 밤의 묶음(今昔百鬼拾遺)』의 해설문에는 "귀신을 이야기하면 괴이함에 이른다"라고 적혀있는 것으로 보아, 아오안돈은 요괴 자체가 아니라 백 이야기 후에 일어나는 여러 괴이를 가리킨다는 설도 있다.[4]
백 이야기를 한 사람들은 괴이를 두려워하여 괴담을 99개째에서 멈췄다고 전해지기 때문에, 아오안돈이 나타났다는 구체적인 기록은 거의 남아있지 않다.[5]
곤도 미즈키는, 이 그림에 그려진 등불 앞의 재봉 도구, 빗, 편지 등은 등불 아래에서 남편이 다른 여자에게서 받은 연애 편지를 읽은 본처가 질투심에 사로잡힌 상황을 암시하며, 이 그림의 주제는 질투의 집착이라고 주장한다.[6]
2. 4. 구체적인 기록 부족
백 이야기를 한 사람들은 괴이를 두려워하여 괴담을 99개째에서 멈췄다고 전해지기 때문에, 아오안돈이 나타났다는 구체적인 기록은 거의 남아있지 않다.[5]2. 5. 곤도 미즈키의 해석
3. 대중문화 속 아오안돈
만화 애니메이션 지옥선생 누베 제44화 '어린이는 보면 안돼!! 금단의 괴담, 햐쿠모노가타리'에 등장한다. 모습은 전승된 것과는 거리가 있지만, 햐쿠모노가타리로 모은 영기(靈氣)에 의해 귀문을 여는 요괴로 나타난다.
모바일 게임 《음양사》에서 아오안돈은 이야기를 좋아하는 식신이다. 생물 발광 해양 벌레인 ''Polycirrus aoandon''은 이 생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3. 1. 지옥선생 누베
만화 애니메이션 지옥선생 누베 제44화 '어린이는 보면 안돼!! 금단의 괴담, 햐쿠모노가타리'에 등장한다. 모습은 전승된 것과는 거리가 있지만, 햐쿠모노가타리로 모은 영기(靈氣)에 의해 귀문을 여는 요괴로 나타난다.3. 2. 음양사
모바일 게임 《음양사》에서 아오안돈은 이야기를 좋아하는 식신(式神)이다. 생물 발광 해양 벌레인 ''Polycirrus aoandon''은 이 생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3. 3. 생물 명칭
모바일 게임 《음양사》에서 아오안돈은 이야기를 좋아하는 식신이다. 생물 발광 해양 벌레인 ''Polycirrus aoandon''은 이 생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참조
[1]
웹사이트
Aoandon – The Blue Lantern Ghost
https://hyakumonogat[...]
2012-11-28
[2]
논문
Investigating the diversity of bioluminescent marine worm Polycirrus (Annelida), with description of three new species from the Western Pacific
2023-03
[3]
서적
江戸怪談集
岩波書店
[4]
서적
妖怪事典
毎日新聞社
[5]
서적
図説 地図とあらすじで読む 日本の妖怪伝説
青春出版社
[6]
서적
妖怪文化の伝統と創造
せりか書房
[7]
서적
요괴사전
마이니치 신문사
[8]
서적
도설(図説) 지도와 줄거리로 읽는 일본의 요괴전설
세이슌 출판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