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미호는 아홉 개의 꼬리를 가진 여우로, 주로 동아시아 설화에 등장하는 존재이다. 기원은 중국의 《산해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평화로운 시대의 상서로운 징조로 묘사되기도 하고, 사람을 잡아먹는 존재로 묘사되기도 한다. 중국에서는 여성으로 변신하여 인간을 유혹하는 존재로, 한국에서는 여우구슬을 통해 지식과 힘을 얻는 존재로 묘사된다. 일본에서는 악한 요괴로 등장하기도 하며, 긍정적인 이미지와 부정적인 이미지가 혼재되어 나타난다. 구미호는 다양한 대중문화 콘텐츠에서 소재로 활용되며, TV 드라마, 영화, 게임, 웹툰 등에서 널리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암컷 동물 - 해리엇 (거북)
해리엇은 갈라파고스 땅거북으로, 한때 다윈의 비글호 항해 표본으로 여겨졌으나 기원에 대한 논쟁이 있었고, 약 175세로 추정되며 브리즈번 시립 식물원에서 생활하다 호주 동물원에서 생을 마감했으며, 수컷으로 오인되어 불리던 이름과 긴 수명으로 대중 문화에 등장하기도 했다. - 베트남 신화 - 옥토끼
옥토끼는 동아시아를 포함한 여러 문화권에서 달에 산다고 전해지는 토끼로, 불교 설화에서는 희생의 상징, 중국 신화에서는 영약을 찧는 존재로 나타나며, 달을 기념하는 명절 및 현대 문화의 모티브로 활용된다. - 이나리 신앙 - 유부
유부는 콩으로 만든 두부를 얇게 썰어 기름에 튀긴 음식으로, 다양한 질감과 맛을 내어 한국과 일본 등 여러 나라에서 요리에 활용되며, 특히 일본에서는 여우의 주식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 이나리 신앙 - 이나리노카미
이나리노카미는 일본 신도에서 쌀을 비롯한 곡물을 주관하는 신으로, 풍요, 상업 번창, 가정 번영을 관장하며 여우를 사자로 삼고 붉은 도리이 등으로 상징되는 존재이다.
구미호 | |
---|---|
개요 | |
명칭 | 구미호 (九尾狐) |
로마자 표기 | Gumiho |
영어 | Nine-tailed fox |
중국어 | (jiǔwěihú) |
일본어 | 九尾の狐(kyūbi no kitsune) |
한자 | 九尾狐 |
추가 명칭 | (húli jīng) |
チュハン | 𤞺𠃩𡳪 |
특징 | |
유형 | 요괴 |
능력 | 둔갑 요술 현혹 |
문화적 의미 | |
설명 | 여우 신령은 특히 다산적인 둔갑술사로, 중국에서는 (húli jīng), 일본에서는 키츠네(kitsune), 한국에서는 구미호(nine-tailed fox)로 다양하게 알려져 있다. 이야기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르지만, 이 여우 신령들은 보통 둔갑할 수 있으며, 종종 단순한 장난이나 몸 또는 영혼을 섭취하기 위해 남성을 유혹하려는 아름다운 젊은 여성의 모습으로 변신한다. |
관련 문서 | |
관련 문서 | 구미호 (동음이의) |
2. 기원 및 역사
구미호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중국의 고대 지리서인 산해경에서 찾을 수 있다.[2] 『산해경』에는 구미호가 청구국에 살며, 사람을 잡아먹기도 하지만, 이것을 먹으면 사기(邪氣)를 물리칠 수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2] 곽박은 『산해경』에 주석을 달아 구미호가 평화로운 시대에 나타나는 상서로운 징조라고 설명했다.[2]
우(禹)는 흰 구미호를 자신이 녹교(Nüjiao)와 결혼할 상서로운 징조로 해석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2] 한나라 시대에는 구미호가 서왕모와 함께 묘사되거나 자손 번영의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했다.[2] 1세기 『백호통(Baihutong)』에는 여우의 아홉 꼬리가 풍족한 자손을 상징한다고 기록되어 있다.[2]
진나라 시대의 《현중기(玄中記)》에는 여우가 100년 동안 수련하면 아름다운 여자나 남자로 변신할 수 있고, 1000년을 수련하면 하늘과 통해 천호(天狐)가 된다고 기록되어 있다. 명나라 시대 소설 《봉신연의》에서는 은나라 주왕을 홀린 달기가 구미호로 묘사된다.
2. 1. 중국의 구미호
중국에서 구미호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전국 시대부터 전한 시대에 걸쳐 편찬된 『산해경』에서 찾아볼 수 있다.[29] 이 책에는 청구국에 구미호가 살고 있으며, 사람을 잡아먹지만, 이것을 먹으면 사기(邪氣)를 물리칠 수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2]진나라 시대의 《현중기(玄中記)》에는 여우가 100년 동안 수련하면 아리따운 여인이나 남자로 변신할 수 있고, 1000년을 수련하면 하늘과 통해 천호(天狐)가 된다고 기록되어 있다. 천호는 신통한 무당과 같이 천리 밖의 일을 내다볼 수 있는 능력을 가진다고 한다.[30]
한나라 동안에는 구미호가 자손 번영의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했다.[31] 1세기의 『백호통(白虎通)』에 따르면, 여우의 아홉 개의 꼬리는 풍족한 자손을 상징한다고 한다.[2]
명나라 시대 소설 《봉신연의》에서는 은나라 주왕을 홀린 달기가 구미호로 묘사된다.[14] 달기는 주왕을 홀려 무고한 사람들을 죽이고 나랏일을 농단하는 등 사악한 짓을 일삼게 하다가 주나라 무왕에게 죽임을 당한다. 이러한 묘사는 중국에서 구미호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강화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2. 2. 한국의 구미호
《산해경》에 따르면, 청구(淸秋)라는 나라에서 동쪽으로 300리 떨어진 곳에 아홉 꼬리가 달린 여우가 산다고 기록되어 있다.[24] 청구는 삼국시대부터 역사적으로 한국 지역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다.[25][26][27]구미호에 관한 신화와 민속은 여우 혼령이 오랜 세월 동안 쌓인 정력이나 장수의 결과이며, 천 년을 산 여우가 여성의 모습으로 변신하는 힘을 가진다는 공통적인 설정을 공유한다. 그러나 중국의 "훌리징"이나 일본의 "키츠네"는 종종 도덕적으로 모호하게 묘사되는 반면, 한국의 구미호는 거의 항상 인간의 살을 먹는 악의적인 존재로 여겨진다.
후대 문학에서 구미호는 밤에 무덤에서 인간의 심장을 파내는 반인반여우의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그러나 1675년에 쓰여진 《규원사화》에는 구미호가 책을 입에 물고 있는 상서로운 존재로 묘사되어 있어, 구미호에 대한 폭력적인 이미지가 일제강점기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고려시대에는 여우가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기도 했지만 (신돈이 늙은 여우 혼령으로 묘사됨), 신라에서는 여우를 신성시했다는 기록도 있다.
한국 구미호의 가장 큰 특징은 "여우구슬"의 존재이다. 한국 신화에 따르면, 여우구슬은 지식을 담고 있으며, 구미호는 이를 통해 사람의 정기를 흡수하고, 사람은 여우구슬을 훔쳐 삼키면 구미호처럼 지식과 지혜를 얻을 수 있다고 한다. 구미호는 여우구슬을 사람의 입에 넣었다가 혀로 다시 빼앗는 방식으로 정기를 흡수한다. 사람이 여우구슬을 삼킨 후 "하늘, 땅, 사람"을 관찰하면 자연의 지식을 얻지만, 대부분 "하늘"을 보지 못해 가장 중요한 능력은 얻지 못한다.
대부분의 전설에서 구미호는 외모를 바꿀 수 있지만, 여우 같은 특징(여우 얼굴, 귀, 아홉 개의 꼬리 등)이 남거나 본성은 변하지 않는다고 한다. 구미호가 천일 동안 인간을 해치지 않으면 인간이 될 수 있다는 전설도 있다.
구미호는 충분한 의지로 요괴 상태에서 벗어나 영원히 인간이 되고 사악한 성격을 버릴 수 있다는 이야기도 있다. 천일 동안 살생을 금하거나, 여우구슬이 매달 보름달을 보게 하는 등의 방법이 제시되지만, 구미호는 여의주를 가진 용과 달리 전지전능하거나 마음대로 창조하는 능력을 가진 존재는 아니었다.
한국에서도 구미호는 미소녀로 변장하여 남자를 유혹하고 목숨을 빼앗는 악의적인 존재로 묘사된다. 구미호가 인간이 되기 위해 1000명의 심장이나 간을 먹는다는 이야기도 있다.
조선시대 도사이자 학자인 '''전우치'''(田禹治, 14?? - 15?? )는 구미호에게 사랑받았다는 전설이 있다. 구미호는 죽기 직전 그에게 특별한 구슬('''호주'''(狐珠))을 선물했고, 전우치는 그 효과로 "이 세상의 이치에 도달한 도인"이 되었다고 전해진다.[20]
2. 3. 일본의 구미호

일본의 구미호도 중국과 비슷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에도 시대 동화책인 《회본삼국요부전(繪本三國妖婦傳)》에는 주나라 유왕을 유혹하여 나라를 멸망시킨 구미호가 등장한다. 또한 천축으로 가 마가다 왕국 반족태자(कल्माषपाद|칼마샤파다sa)의 아내 화양부인(華陽夫人)으로 둔갑, 악행을 저지르고 도망친 구미호가 일본으로 건너가 도바 상황을 유혹하다 아베노 야스나리라는 음양사에게 정체를 들켜 살해된 뒤 살생석(殺生石)이라는 바위로 변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일본에서도 아홉 꼬리 여우는 길조의 동물로 여겨졌다. 『연희식』에는 아홉 꼬리 여우가 “신수이며, 그 모습은 붉은색이거나 흰색이며, 소리는 아기의 울음소리 같다”라고 기록되어 있다.[16]
반면 일본에서는 악한 아홉 꼬리 여우 요괴로서 옥조전이 등장하는 이야기가 유명하다. 헤이안 시대에 도바 상황을 섬겼던 옥조전이라는 미녀의 정체가 여우였다는 이야기는 14세기에 성립된 『신명경』에 이미 나타난다. 그러나 무로마치 시대 『옥조 이야기』 등에서는 꼬리가 두 개 달린 여우로 묘사되어[17] 아홉 꼬리 여우라고 명시적으로 언급되어 있지는 않다. “옥조전=아홉 꼬리 여우”가 된 것은, 달기가 아홉 꼬리 여우라는 개념을 옥조전 이야기에 도입한 에도 시대 이후라고 생각된다.[18] 옥조전의 정체가 아홉 꼬리 여우라는 설정을 일본에 정착시킨 것은 독본 작가 다카이 란잔이 저술한 독본 『그림책 삼국요부전』(1803년~1805년)이나 오카다 규잔 『그림책 옥조담』(1805년) 등의 작품이다.
한편, 같은 독본 작가였던 쿄쿠테이 바킨은 『난소 사토미 하치켄덴』에서 선한 아홉 꼬리 여우인 “마사키 여우”를 등장시키고 있다. 바킨은 옥조전에 대표되는 악한 이미지는 『봉신연의』 등의 이야기에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일축하고, 아홉 꼬리 여우는 원래 길조의 동물이라는 주장을 펼쳤다. 바킨처럼, 원래는 신수였던 아홉 꼬리 여우가 나쁜 여우로 정의되는 것은 속설이라는 주장은 이전부터 여러 학자나 문필가들이 자주 지적해 왔다.[16]
2. 4. 베트남의 구미호
베트남의 건국 신화에도 구미호가 등장한다.[32] 베트남에도 중국 고전 작품의 영향이 있으며, 구미호(Cửu vĩ hồ)라고 불리는 요괴가 알려져 있다. 이 구미호는 하노이의 서호(타이호)에 살았지만, 현천진무(현천진무신)에 의해 퇴치되었다. 현천진무는 국내 각지의 진무묘에 봉안되어 있다. 가장 오래된 진무묘는 하노이의 진무관(Den Quan Thanh)으로, 북송 시대에 건립되었다고 한다. 1472년에 서호(타이호) 남쪽 기슭으로 이전되었다.3. 특징
구미호는 일반적으로 아홉 개의 꼬리를 가진 여우의 모습을 하고 있다. 산해경에 따르면, 청추(淸秋)라는 나라에서 동쪽으로 300마일 떨어진 곳에 아홉 개의 꼬리를 가진 여우가 살고 있었다고 한다.[24]
구미호는 인간, 특히 여성으로 변신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중국의 여우 요괴 "훌리징"과 일본의 여우 요괴 "키츠네"는 종종 애매한 도덕적 나침반을 가진 것으로 묘사되는 반면, 구미호는 거의 항상 인간의 살을 먹고 즐기는 악의적인 요괴로 묘사된다. 그러나 많은 고대 문헌에서는 인간을 돕는 자애로운 구미호를 언급하며, 사악한 인간들이 친절하지만 천진난만한 구미호를 속이는 내용도 나온다.[5]
규원사화에 따르면, 구미호는 책을 입에 물고 상서로운 여우 혼령으로 묘사된다. 태평광지는 신라가 여우를 신성한 존재로 숭배했다고 주장한다.
구미호가 일본의 키츠네, 중국의 훌리징과 구분되는 가장 큰 특징은 여우구슬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한국 신화에 따르면, 여우구슬은 사람들이 하나를 훔치고 삼키면 구미호와 지식(그리고 지성)이 강해지며, 구미호는 그것으로 인간의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고 한다.
대부분의 전설에서 구미호는 외모를 바꿀 수 있었지만, 여전히 여우 같은 부분(여우 같은 얼굴, 귀, 또는 아홉 개의 꼬리)이 남는 경우도 있다.
구미호가 천일 동안 인간을 죽이거나 먹지 않으면 인간이 될 수 있다는 설화도 있다.
구미호도 두려워하는 것이 있는데, 그것은 사냥꾼과 사냥개, 늑대라고 한다. 이는 오랜 세월 동안 쌓여온 천적에 대한 공포가 아직도 남아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구미호는 개에게 물려 죽기도 하며 늑대에게 잡아먹히기도 한다.
4. 대중문화 속 구미호
대중문화에서 구미호는 다양한 모습으로 등장한다. 한국에서는 주로 남자를 홀려 목숨을 빼앗는 악녀 이미지로 그려지지만, 다른 나라에서는 선과 악의 양면성을 가진 존재로 묘사되기도 한다.
유유백서의 곤(1990), 나루토의 구미호(1999), 디지몬 테이머즈의 구미몬(2001) 등 여러 작품에서 구미호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들이 등장했다. 특히 포켓몬스터의 나인테일(1996)과 리그 오브 레전드의 아리(2009)는 게임 속 구미호 캐릭터로 인기를 끌었다.
오카미의 구미호 보스(2006), 요괴워치의 큐비(2013), 원신의 야에 미코(2020) 등 구미호는 게임에서 꾸준히 활용되는 소재이다. 갓 오브 하이스쿨의 구미호 수호자(2011), 도움되는 여우 선코씨(2017) 등 만화에서도 구미호 캐릭터를 찾아볼 수 있다.
화피(2008)와 속편(2012), 봉신연의(2016), 강자야(2020) 등 중국 영화에서 구미호가 등장한다. 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2021)에서는 타 로에 서식하는 생물 중 하나로 구미호가 등장하기도 한다.
《나타전기》(2003), 《봉신연의》(2014), 《삼생삼세십리도화》(2017), 《구미호전설》(2016) 등 중국 드라마에서 구미호를 소재로 한 작품들이 제작되었다. 러브, 데스 & 로봇 8화(2019), 라브크래프트 컨트리 6화 "대구에서 만나자"(2020) 등 해외 드라마에서도 구미호가 등장한다. 가면라이더 기어즈(2022)의 주인공은 구미호를 모티브로 하며, 최종 형태 또한 구미호의 모습을 취한다. 소닉 프라임(2022)의 나인은 다른 차원의 테일즈가 기계 꼬리를 추가해 구미호가 된 캐릭터이다.
4. 1. 한국
한국에서 구미호는 중국 고전의 영향을 받아 구미호(九尾狐)로 불리며 널리 알려져 있다. 구미호는 주로 미소녀로 변신해 남자를 유혹하고 목숨을 빼앗는 악의적인 존재로 묘사된다. 이들은 인간이 되기를 갈망하며, 이를 위해 1000명의 심장이나 간을 먹어야 한다고 전해진다.구미호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산해경》에서 찾을 수 있는데, 여기에는 청추(淸秋)라는 나라에서 동쪽으로 300마일 떨어진 곳에 아홉 꼬리 여우가 산다고 기록되어 있다.[24] 청추는 역사적으로 한국 지역을 가리키는 데 사용된 용어이다.[25][26][27]
구미호는 중국의 훌리징, 일본의 키츠네와 유사한 점이 많지만, 대개 인간의 살을 먹는 악의적인 존재로 묘사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나 오래된 문헌에는 인간을 돕는 착한 구미호도 등장하며, 나쁜 인간에게 속는 순진한 구미호 이야기도 있다. 후대의 문학에서는 구미호가 무덤에서 인간의 심장을 파내는 등 잔혹한 모습으로 그려지기도 한다. 규원사화에는 구미호가 책을 입에 문 상서로운 존재로 묘사되어 있어, 구미호에 대한 인식이 시대에 따라 변화했음을 알 수 있다.
구미호의 가장 큰 특징은 지식의 원천인 "여우구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 신화에 따르면, 구미호는 여우구슬을 이용해 사람의 정기를 흡수하고, 사람은 여우구슬을 훔쳐 삼킴으로써 지식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구미호는 외모를 바꿀 수 있지만, 여우 같은 특징(여우 얼굴, 귀, 아홉 개의 꼬리 등)이 남는 경우가 있으며, 본성은 변하지 않는다고 한다. 구미호의 정체는 숨겨져 있지만, 사냥개에 의해 발각되기도 한다. 구미호가 천일 동안 인간을 해치지 않으면 인간이 될 수 있다는 전설도 있다.
구미호는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서 다뤄지고 있다.
연도 | 작품 | 캐릭터 | 장르 |
---|---|---|---|
2009 | SCP 재단 | SCP-953, SCP-1953-ko | 인터넷 소설 |
2010 |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 | 신민아, 이승기 | TV 드라마 |
2010 | 구미호: 여우누이뎐 | 김유정, 한다감, 서신애 | TV 드라마 |
2013~ | 쿠키런 | 구미호맛 쿠키 | 비디오 게임 |
2018~2019 | 신비아파트 | 희원 | 애니메이션 |
2019~ | 여우자매 | 류월, 류화, 류석주, 온화 | 웹툰 |
2020~ | 호랑이 들어와요 | 설화 | 웹툰 |
리그 오브 레전드 | 아리(Ahri) | 비디오 게임 | |
2020 | 구미호뎐 | TV 드라마 | |
2021 | 구미호 레시피 | 여희(하윤주), 승환(주종혁), 선영(김나니) | 뮤지컬 드라마 |
간 떨어지는 동거 | TV 드라마 | ||
2022 | 여우애담 | 웹툰 |
- KBS 드라마 《전설의 고향》에서는 매 기수마다 구미호를 소재로 한 에피소드를 방영했다.
이 외에도, 유유백서의 곤(Kurama) (1990), 나루토의 구미호(Kurama) (1999), 디지몬 테이머즈의 구미몬(Kyubimon) (2001) 등 다양한 작품에서 구미호가 등장한다.
실존 인물인 도사이자 학자 전우치는 구미호에게 사랑받아 특별한 구슬(호주(狐珠))을 받았다는 전설이 있다.[20] 이 전설은 1994년 영화 《구미호 (영화)》와 2010년 드라마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의 모티브가 되었다.
4. 2. 그 외 국가
중국에서는 민속, 문학, 신화에서 구미호가 이야기에 따라 좋거나 나쁜 징조가 될 수 있다고 전해진다.[30] 일본의 구미호도 중국과 비슷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그 외 여러 국가의 게임, 문학/만화, 영화, TV 시리즈에서 구미호는 다음과 같이 등장한다.
장르 | 작품 | 캐릭터 | 비고 |
---|---|---|---|
게임 | 리그 오브 레전드 | 아리 | |
게임 | 포켓몬스터 | 나인테일 | |
게임 | 오카미 | 구미호 보스 | |
게임 | 요괴워치 | 큐비 | |
게임 | 원신 | 야에 미코 | |
문학/만화 | 유유백서 | 곤 | |
문학/만화 | 나루토 | 구미호 | |
문학/만화 | 디지몬 테이머즈 | 구미몬 | |
문학/만화 | 갓 오브 하이스쿨 | 구미호 수호자 | |
문학/만화 | 푸른 엑소시스트 | 구비 | |
문학/만화 | 도움되는 여우 선코씨 | ||
영화 | 화피 | ||
영화 | 봉신연의 | ||
영화 | 강자야 | ||
영화 | 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 | 타 로에 서식하는 생물 중 하나 | |
TV 시리즈 | 《나타전기》 | ||
TV 시리즈 | 《봉신연의》 | ||
TV 시리즈 | 《삼생삼세십리도화》 | ||
TV 시리즈 | 《구미호전설》 | ||
TV 시리즈 | 러브, 데스 & 로봇 | 8화 | |
TV 시리즈 | 라브크래프트 컨트리 | 6화 "대구에서 만나자" | |
TV 시리즈 | 가면라이더 기어즈 | 주인공 모티프, 최종 형태 | |
TV 시리즈 | 소닉 프라임 | 나인 | 다른 차원의 테일즈의 다른 버전 |
5. 비판적 시각
한국에서 구미호는 중국 고전 작품의 영향을 받아 미소녀로 변장하여 남자를 유혹하고 목숨을 빼앗는 악의적인 존재로 묘사된다. 구미호는 인간이 되기 위해 1,000명의 심장이나 간을 먹어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20]
참조
[1]
백과사전
Shapeshifter
https://archive.org/[...]
Ashgate Publishing
[2]
harvp
[3]
harvp
[4]
저널
Confucian Order and Religious Doctrines: Rhetorical Characterizations of Illustrations in the Fiction "Quanxiang Pinghua" in the Yuan Dynasty
2023-07-00
[5]
저널
Fox Spirits
https://open.muhlenb[...]
2022-08-19
[6]
harvp
[7]
문서
中国における表記のひとつ。中国語で「狐狸」は「きつね」の意。
[8]
웹사이트
南山經
https://archive.is/v[...]
2020-06-01
[9]
서적
怪奇鳥獣図巻
工作舎
2001-01-25
[10]
웹사이트
白虎通徳論巻第五 封禅
https://archive.is/h[...]
2020-04-19
[11]
웹사이트
白虎通徳論巻第五 封禅
https://archive.is/h[...]
2020-04-19
[12]
서적
図説・日本未確認生物事典
柏書房
[13]
웹사이트
全相平話「武王伐紂書」
https://archive.is/e[...]
独立行政法人国立公文書館
2020-04-19
[14]
서적
封神演義の世界 中国の戦う神々
大修館書店
[15]
서적
狐狸縁全伝
翠琥出版
[16]
서적
怪異・きつね百物語
雄山閣
[17]
서적
国文東方仏教叢書 第2輯第7巻 文藝部
東方書院
[18]
서적
昔語質屋庫
忠雅堂
[19]
서적
本朝神社考
改造社
[20]
서적
韓国の民話伝説
東方出版
2008-09-27
[21]
서적
Fox
https://archive.org/[...]
Reaktion Books
2006
[22]
웹사이트
Korean Mythology
http://www.unsolvedm[...]
2007-03-15
[23]
서적
The Ashgate Encyclopedia of Literary and Cinematic Monsters
[24]
harvp
[25]
저널
Son Chint’ae and the Foundations of Modern Korean Folklore Studies
[26]
서적
Classic of Mountains and Seas
[27]
서적
Classic of Mountains and Seas
[28]
서적
Classic of Mountains and Seas
[29]
웹사이트
구미호
https://terms.naver.[...]
[30]
harvp
[31]
harvp
[32]
웹사이트
베트남 건국신화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