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모 카얀데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이모 카얀데르는 핀란드의 식물학자이자 정치인으로, 세 차례 핀란드 총리를 역임했다. 투르쿠의 핀란드 고전학원에서 수학하고 식물학을 전공했으며, 시베리아 답사를 통해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헬싱키 대학교 농림학부 교수를 거쳐 임산기업 메채할리투스의 임원장을 지냈다. 1922년과 1923년에는 핀란드 과학한림원 원장, 1935년과 1936년에는 핀란드 과학학회 원장을 역임했다. 1922년과 1924년 두 차례 선거관리내각을 이끌었으며, 1937년에는 사회민주당, 농업동맹과의 연정을 통해 세 번째 총리가 되었다. 그러나 겨울전쟁 발발 전 외교 실패로 비판받았으며, 전쟁 발발 후 사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핀란드의 방위장관 - 루돌프 발덴
루돌프 발덴은 핀란드의 군인이자 정치인, 사업가로서 핀란드 내전에서 백군 승리에 기여하고 핀란드 제지 산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전쟁 장관과 국방 장관을 지내며 전시 내각에서 활동하고 핀란드 제지 협동조합 초대 총재를 역임했다. - 핀란드의 방위장관 - 빌헬름 테슬레프
- 국민진보당의 정치인 - 리스토 뤼티
리스토 뤼티는 핀란드의 정치인으로, 총리와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과의 협력으로 인해 징역형을 선고받았지만 사면되었고, 핀란드 국립은행 총재를 지내다 사망했다. - 국민진보당의 정치인 - 카를로 유호 스톨베리
카를로 유호 스톨베리는 핀란드의 법학자이자 정치인으로, 핀란드 초대 대통령을 역임하며 핀란드 공화국 정부 형태를 설계하고 사회 통합과 온건한 개혁을 추진했다.
아이모 카얀데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아이모 카를로 카얀데르 |
![]() | |
정치 경력 | |
직책 | 핀란드 공화국 총리 |
임기 (1) | 1922년 6월 2일 - 1922년 11월 14일 |
대통령 (1) | 카를로 유호 스톨베리 |
전임 (1) | 유호 벤놀라 |
후임 (1) | 퀴외스티 칼리오 |
임기 (2) | 1924년 1월 18일 - 1924년 5월 31일 |
대통령 (2) | 카를로 유호 스톨베리 |
전임 (2) | 퀴외스티 칼리오 |
후임 (2) | 라우리 잉그만 |
임기 (3) | 1937년 3월 12일 - 1939년 12월 1일 |
대통령 (3) | 퀴외스티 칼리오 |
전임 (3) | 퀴외스티 칼리오 |
후임 (3) | 리스토 뤼티 |
직책 (4) | 국방장관 |
임기 (4) | 1928년 12월 22일 - 1929년 8월 16일 |
전임 (4) | 얄로 라흐덴수오 |
후임 (4) | 유호 니우카넨 |
직책 (5) | 농무장관보 |
임기 (5) | 1922년 6월 2일 - 1922년 11월 14일 |
전임 (5) | 유호 니우카넨 |
후임 (5) | 유호 니우카넨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879년 4월 4일 |
출생지 | 우시카우풍키 |
사망일 | 1943년 1월 21일 |
사망지 | 헬싱키 |
국적 | 핀란드 |
소속 정당 | 국민진보당 |
2. 어린 시절
초급학교 교장 카를 알렉산데르 카얀데르와 뮈내매키 지방관의 딸 안나 마틸다 알레니우스의 아들로 우시카우풍키에서 태어났다.[8] 1906년 라이나 엘리사베트 케데르베리(Laina Elizabeth Cederberg)와 결혼했고,[9] 슬하에 삼림관 카를로 에르키, 식물학자 아르노, 임학자 에르키를 낳았다.
카얀데르는 투르쿠의 핀란드 고전학원(suomalaisen klassillisen lyseon)에서 배우고 1896년 졸업했다. 대학에 진학한 뒤 식물학을 공부했고, 시베리아로 답사를 가서 그 내용으로 1903년 박사논문을 썼다. 또한 에보 임학전문대학에서 임학을 배워 강사 자격을 얻었다. 1908년 헬싱키 대학교에 농림학부가 신설되자 강사로 임용되었고 1911년 교수가 되었다.
카얀데르는 이전까지 정치 경력이 거의 없었으나, 1922년 6월 카를로 유호 스톨베리 대통령의 제안으로 총리직을 맡게 되었다. 당시 국민연합당 소속이었지만, 정치적으로는 스톨베리 대통령의 국민진보당에 더 가까웠다. 그는 사회민주주의 성향을 보이며 핀란드 중도파에 영향을 미쳤다.[1] 166일간 지속된 제1차 카얀데르 내각은 핀란드 최초의 선거관리내각이었으며, 카얀데르는 총리 겸 농무장관보를 맡았다.[1]
3. 학자 경력
1922년부터 1923년까지 핀란드 과학한림원 원장을, 1935년부터 1936년까지 핀란드 과학학회 원장을 역임했다.
학계 활동과 병행하여 임업 분야에서도 경력을 쌓았다. 1918년 임산기업 메채할리투스의 임원장 대행이 되었고, 1927년 정식 임원장이 되었다. 1934년 다시 임원장에 유임되면서 교수직을 그만두었다. 1930년대에는 국유기업 베이칠루오토 제지소와 엔소-구트차이트의 중역회의를 주재하면서 임산계에 영향력을 발휘했다.
4. 정치 경력
1924년 1월, 다시 선거관리내각인 제2차 카얀데르 내각을 이끌었으며(135일간 지속), 재임 중 장교위기가 발생했으나 큰 문제 없이 관리되었다.[1] 1927년 국민진보당으로 당적을 옮겼고, 비푸리 선거구에서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1] 이듬해 오스카리 만테레 총리의 만테레 내각에서 방위장관으로 임명되어 1929년까지 재임했다.[1] 1933년 국민진보당 당주석으로 선출되어 사망 시까지 그 직을 유지했다.[1] 1930년대에는 당내 좌파의 지도자로 여겨졌으며, 당시 당내 우파 지도자는 토이보 미카엘 키비매키였다.[1]
1937년 봄, 국민진보당 소속 정치인으로서 세 번째 총리직을 맡아 사회민주당, 농업동맹과 연립한 제3차 카얀데르 내각(석간주 연정)을 이끌었다.[1] 그는 사회민주당의 배이뇌 탄네르와 농업동맹의 유호 니우카넨 사이에서 중재 역할을 했다.[1]
그러나 제3차 카얀데르 내각과 카얀데르 자신은 겨울전쟁 발발을 막지 못한 책임으로 핀란드 정치사에 기록되었다.[1] 카얀데르 총리와 외무장관 루돌프 홀스트, 그리고 후임 엘랴스 에르코는 1938년 봄의 "야르체프 협상" 기회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1] 전쟁 발발 후 내각은 의회의 신임을 유지했으나 결국 총사퇴했고, 카얀데르의 정치 경력은 급격히 내리막길을 걸었다.[1]
전쟁 기간 동안 카얀데르는 수오멘 후오토와 메채할리투스(Metsähallitus, 핀란드 산림청)의 임원직을 맡으며 공직에 남아 있었다.[1] 1943년 1월, 지병으로 의회의사당에서 사망했다.[1]
4. 1. 제3차 카얀데르 내각의 주요 정책
1937년 봄, 카얀데르는 국민진보당 소속 정치인으로서 세 번째 총리직을 맡아 제3차 카얀데르 내각을 이끌었다. 이 내각은 사회민주당과 농업동맹이 참여한 핀란드 최초의 석간주 연정이었다. 카얀데르는 거대 정당인 사회민주당의 배이뇌 탄네르와 농업동맹의 유호 니우카넨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수행했다.
제3차 카얀데르 내각의 주요 성과로는 국민연금법 통과, 대학 내 오랜 언어 분쟁 해결, 그리고 논란 끝에 군비 증강 결정 등이 꼽힌다. 외교적으로는 소비에트 연방과의 관계 정상화를 추구하며 무조건적인 평화를 정책 기조로 삼았으나, 동시에 소련에 대항하기 위해 독일의 영향력에 의존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모든 정책이 성공한 것은 아니었다. 파시즘 정당인 IKL을 해산시키려는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고, 올란드 제도 요새화 문제 역시 해결하지 못했다. 이러한 미해결 과제와 외교 정책의 한계는 이후 겨울전쟁 발발을 막지 못한 원인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5. 제2차 세계 대전과 총사퇴
1939년 3월, 헬싱키에서 소련-핀란드 협상이 시작되었다. 소련은 핀란드만 내의 수르사리, 라반사리, 대·소 튜텔사리 섬의 소련으로의 조차 또는 할양을 요구하고, 그 대가로 동카렐리야의 분쟁 지역 일부를 핀란드에 할양할 것을 제안했다. 그러나 핀란드 정부는 이에 응하지 않았고, 1939년 4월 핀란드 측의 발의로 협상은 중단되었다.
1939년 5월, 카얀데르는 핀란드가 국제 연맹이 침략국에 부과하는 제재의 이행에서 해방될 것이라고 표명하고, 만약 독일의 침략이 있을 경우 열강의 보증을 거부하겠다고 영국에 통고했다. 7월 20일에는 독일의 침략이 있을 경우 소련과의 협력을 거부하고, 어느 나라의 군사 행동도 침략으로 간주하겠다고 소련에 통고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인 1939년 9월 3일, 카얀데르 정권은 핀란드의 중립을 표명했다. 같은 해 10월, 다시 소련-핀란드 협상이 진행되었지만, 11월에는 협상이 결렬되었다. 10월 6일, 정부는 카렐리야 지협에 부대 집결을 결정했고, 같은 날 정부에 비상 대권을 부여하는 공화국 방위법을 채택했다.
1939년 11월 30일, 소련군이 침공하여 겨울 전쟁이 시작되었다. 전쟁이 시작된 당일, 연립 정부를 구성하던 사회민주당 당수 바이노 탄네르로부터 퇴진 요구를 받았다. 결국 12월 1일, 카얀데르 정권은 총사퇴하고 리스토 뤼티가 후임 총리가 되었다[7]. 이전까지 승승장구하던 카얀데르의 정치 경력은 이 사건으로 인해 하루아침에 몰락했다.
6. 수상 내역
7. 관련 내각
- 카얀데르 1차 내각
- 카얀데르 2차 내각
- 카얀데르 3차 내각
참조
[1]
웹사이트
Governments in chronological order
http://valtioneuvost[...]
Finnish government (Valtioneuvosto)
2017-03-27
[2]
웹사이트
Ministerikortisto
http://www.valtioneu[...]
Valtioneuvosto
[3]
간행물
Cajander's Theory of Forest Types
http://www.esajourna[...]
2018-10
[4]
웹사이트
Council of State - Ministers of Defence
http://valtioneuvost[...]
Valtioneuvosto.fi
2017-12-30
[5]
뉴스
Ar Triju zvaigžņu ordeni apbalvoto 22. saraksts
http://periodika.lv/[...]
1937-05-14
[6]
뉴스
Pyhän Karitsan suurristi min. Kukkoselle ja pääjoht. Cajanderille.
https://nakoislehti.[...]
1941-01-12
[7]
서적
A FROZEN HELL - The Russo-Finnish Winter War of 1939-1940
Algonquin Books of Chapel Hill
2000
[8]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bratieto.[...]
2020-03-14
[9]
서적
'Cajander, Aimo Kaarlo'
Suomen Metsänhoitajaliitto
194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