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이신기오로 호오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이신기오로 호오거는 홍타이지와 오랍나랍씨의 장남으로, 청나라의 숙친왕이었다. 그는 무용이 뛰어나 군사적 활동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며, 홍타이지 사후 황위 계승 경쟁에 참여했으나 도르곤과의 대립으로 인해 순치제의 섭정을 받게 되었다. 이후 도르곤의 모함으로 작위를 박탈당하고 옥사했으며, 순치제 사후 명예가 회복되었다. 호오거의 가계는 11대손 대에서 남계가 단절되었으며, 10대손의 딸인 카와시마 요시코가 1948년에 사망하면서 완전히 단절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숙친왕 - 산치
    청나라 말기의 황족 산치는 광서제와 서태후의 시안 피난을 수행하고 근대화 개혁을 추진했으나, 신해혁명 이후 청조 복벽 운동을 주도하며 일본 제국주의 세력과 결탁한 인물이다.
  • 숭덕제의 황자 - 순치제
    청나라의 제3대 황제인 순치제는 6세에 즉위하여 도르곤의 섭정을 받다가 친정 후 명나라 잔존 세력을 평정했으나, 24세에 천연두로 사망했다.
  • 청나라의 공신 - 혁흔
    혁흔은 청나라 황족이자 정치가로, 도광제의 아들이자 함풍제의 이복 동생이며, 서구 열강과의 외교에서 활약하고 양무운동을 주도했으나 서태후와의 갈등으로 실각과 복귀를 반복하다가 청불전쟁과 청일전쟁에서 외교와 군사를 총괄하고 1898년에 사망했다.
  • 청나라의 공신 - 보르지기트 셍게린첸
    보르지기트 셍게린첸은 청나라 말기 몽골족 장군이자 귀족으로, 태평천국의 난, 애로 전쟁, 념군 토벌 등 여러 전쟁에서 활약했고, 사후 충친왕 시호를 받았으며, 현대 중국에서는 청나라에 대한 그의 충성이 애국심으로 평가받는다.
아이신기오로 호오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이신기오로 호오거
이름아이신기오로 호오거
만주어 이름Aisin Gioro Hooge
출생일1609년
사망일1648년
사망지청나라 북경
작위숙친왕
재위1636년 ~ 1644년, 1644년 ~ 1646년
시호숙무친왕
아버지숭덕제
친인척순치제(이복 동생)

2. 생애

1609년 홍타이지와 오랍나랍씨 사이에서 태어난 장남으로, 무용이 뛰어나 몽골족 및 명나라와의 전쟁에 아버지 홍타이지를 따라 출정하여 종종 무공을 세웠다. 1636년 숙친왕(肅親王)에 봉해졌다.

1643년 홍타이지가 급사하자 황위 계승 유력 후보로 정황기, 양황기, 정홍기, 양홍기의 지지를 받았으나, 숙부인 도르곤 옹립 세력과 대립했다. 당시 종친의 수장이자 홍타이지의 이복 형인 예친왕 다이샨은 호격과 도르곤 모두 황위에 올리지 않고, 호격의 이복동생인 6세의 복림을 순치제로 즉위시켰다. 호격은 도르곤과 함께 순치제의 후견인이 되었으나, 섭정왕 도르곤은 정적 호격을 실각시키기 위해 무고하여 작위를 박탈하고 유금했다. 1648년 호격은 옥중에서 사망했다.

1651년 순치제는 도르곤 사후 호격의 원죄를 풀어 명예를 회복시키고, 아들 부수에게 숙친왕을 잇게 하는 한편 도르곤의 작위를 박탈했다.[1] 호격의 시호는 무(武)로, 정식 칭호는 숙무친왕(肅武親王)이다.

2. 1. 초기 생애와 군사적 활약

1609년 홍타이지와 오랍나랍씨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무용이 뛰어나 몽골족 및 명나라와의 전쟁에 아버지 홍타이지를 따라 출정하여 종종 무공을 세웠다. 1636년 숙친왕(肅親王)에 봉해졌다.[1]

2. 2. 황위 계승 분쟁과 죽음

1643년 홍타이지가 갑작스럽게 사망하자, 호오거는 정황기, 양황기, 정홍기, 양홍기의 지지를 받으며 황위 계승의 유력한 후보로 떠올랐다.[1] 그러나 숙부인 도르곤을 옹립하려는 세력과 대립하게 되었다.[1] 당시 종친의 수장이자 홍타이지의 이복 형이었던 예친왕 다이샨은 호오거와 도르곤 양측 모두를 황위에 올리는 대신, 호오거의 이복동생인 6세의 복림을 순치제로 즉위시켰다.[1] 이로써 호오거는 도르곤과 함께 순치제의 후견인 중 한 사람이 되었다.[1] 그러나 섭정왕으로서 막강한 권세를 누리던 도르곤은 정적인 호오거를 제거하기 위해 무고를 하였고, 결국 호오거는 작위를 박탈당하고 유금되었다.[1] 이후 1648년 옥중에서 사망하였다.[1]

2. 3. 사후 복권과 가계 단절

1651년 순치제 친정 이후 호오거는 복권되었으나, 도르곤의 작위는 박탈되었다. 호오거의 아들 부수는 숙친왕 작위를 계승하였다. 호오거는 시호 '무(武)'를 받았고, 정식 칭호는 '숙무친왕(肅武親王)'이 되었다. 다섯째 아들 맹권(猛瓘)은 온량군왕(温良郡王) 작위를 받았다.

호오거의 가계는 11대손 헌장(憲章)이 1947년 후사 없이 사망하여 남계가 단절되었다. 10대손 선기(善耆, 아이신기오로 산치)에게는 딸 셴위(顯玗)가 있었는데, 셴위는 후에 '카와시마 요시코'로 개명하였다. 카와시마 요시코는 일본 제국에 협력하여 간첩 활동을 하는 등 친일 행위를 하였으며, 이로 인해 한국에서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셴위(카와시마 요시코)는 1948년에 사망함으로써 호오거의 가계는 완전히 단절되었다.

3. 기타

호오거는 청 제국의 황족이었다. 그의 아버지 현친왕과 아들 맹권(온량군왕)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다. 호오거의 11대손 헌장이 1947년 후사 없이 사망하여 남계가 단절되었고, 10대손 선기의 딸 카와시마 요시코가 1948년 사망하면서 가계가 완전히 단절되었다.

3. 1. 가족 관계

호오거의 가족 관계
이름설명
부수현친왕
맹권(猛瓘)온량군왕
헌장(憲章)11대손, 1947년 후사 없이 사망하여 남계 단절
선기(善耆, 아이신기오로 산치)10대손, 헌장의 동생
셴위(顯玗)선기의 딸, 카와시마 요시코로 개명, 1948년 사망으로 가계 완전 단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