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혁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혁흔은 청나라 황족이자 정치가로, 도광제의 여섯째 아들이자 함풍제의 이복 동생이다. 그는 공친왕으로 봉해졌으며, 서구 열강과의 외교에서 활약하여 '귀자6'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혁흔은 어려서부터 학문과 무예에 뛰어났으며, 함풍제 시대에는 군기처에 임명되어 정치를 시작했다. 제2차 아편 전쟁 중에는 흠차대신으로 베이징 조약을 체결했으며, 총리각국사무아문을 설치하여 외교를 주도했다. 동치제 시대에는 신유정변을 통해 권력을 장악하고 양무운동을 주도했으나, 서태후와의 갈등으로 실각과 복귀를 반복했다. 청불전쟁과 청일전쟁에서 외교와 군사를 총괄했지만, 청나라의 패배를 막지 못했다. 1898년 사망했으며, 광서제는 그에게 충성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그의 사후, 무술변법이 일어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친왕 - 푸웨이
    푸웨이는 청나라 부흥을 시도하고 황위 계승 자격을 가졌으나 정치적 좌절을 겪었으며 1936년에 사망했다.
  • 공친왕 - 상녕
    상녕은 순치제의 아들이자 강희제의 이복동생으로, 청나라 황족 종실로서 대장군을 지냈으나 오란포통 전투 과실로 의정 참여권이 박탈되었고 고륜순희공주를 포함한 자녀를 두었으며, 그의 후손들은 청나라 귀족 작위를 상속받았고, 2011년 드라마에서 상녕 역을 맡은 배우도 있다.
  • 도광제의 황자 - 함풍제
    함풍제는 도광제의 아들이자 청나라의 제9대 황제로, 재위 기간 동안 태평천국의 난과 제2차 아편 전쟁 등의 혼란을 겪으며 러시아와 영국에 영토를 할양하는 불평등 조약을 체결했고, 붕어 후에는 서태후의 수렴청정이 시작되었다.
  • 도광제의 황자 - 혁현
    이혁현은 도광제의 아들이자 함풍제의 동생으로, 서태후의 매부로서 신유정변과 광서제 즉위에 관여하며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으나 서태후의 영향력 아래 놓였고, 해군 아문 대신으로 북양함대 육성에는 소홀했다는 비판을 받지만 보수파와 혁신파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수행한 청나라 황족이다.
  • 청나라의 제독 - 정여창 (청나라)
    정여창은 태평천국의 난에 가담 후 청군에 투항하여 공을 세우고 이홍장 휘하에서 북양 함대 창설에 기여한 청나라 해군 제독으로, 청일 전쟁 황해 해전 패배 후 웨이하이웨이에서 자결했으며 사후 관직이 박탈되었다가 명예가 회복되었다.
  • 청나라의 제독 - 섭지초
    섭지초는 영문 서적과 S.C.M. 페인, J.D. 슈미트의 저작으로 구성된 관련 서적 목록을 제공한다.
혁흔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칭호화석 공충친왕
혁흔
만주어|Aisin gioro I Hin}}
존칭공충친왕
귀자육
공저
1860년 11월 2일, 베이징에서 정장을 입은 공친왕 혁흔
1860년 11월 2일, 베이징에서 정장을 입은 공친왕 혁흔
신분
작위공친왕
화석 공충친왕
봉호락도당주인
생애
출생도광제 12년 11월 21일
사망광서제 24년 4월 10일
출생지순천부
사망지순천부 (현재 베이징시창핑구 최촌진)
가족 관계
아버지도광제(애신각라 민녕)
어머니효정성황후
배우자과이가씨
자녀장남: 재징
차남: 재잉
삼남: 재준
사남: 재황
장녀: 영수고륜공주
차녀: (요절)
삼녀: (요절)
사녀: (요절)
오녀: (요절)
관직
재임 기간1853년 ~ 1855년
직책군기대신
이전기준조
이후문경
재임 기간1861년 ~ 1884년
이전목인
이후시탁
재임 기간1894년 ~ 1898년
이전시탁
이후시탁
기타
종교불교
정당무소속

2. 이름

이신(奕訢)은 만주어 이름 '이힌(I-hin)'의 표준중국어 발음 병음 로마자 표기이다. 아호는 '악도당 주인'(樂道堂主人)이다. '공친왕'(恭親王)은 그의 작위로, '공'(恭)은 시호 '충'(忠)과 함께 '공충친왕'(恭忠親王)으로도 불린다. 서구 열강과의 외교에서 활약하여 '귀자 6'(鬼子六)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다. 이는 '양귀자'(洋鬼子, 서양 귀신)와 어울리는 여섯째 아들이라는 뜻으로,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는 이신이 서구 열강과 타협적인 외교 노선을 취한 것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이 담긴 별명으로 해석될 수 있다.

3. 생애

1850년 도광제가 사망하고 함풍제가 즉위하면서 혁흔은 공친왕에 봉해졌다. 함풍제 치세인 1853년에 군기대신이 되었으나, 1855년 모친상을 당했을 때 황태후 칭호를 요구하여 함풍제의 분노를 사 군기대신에서 파면되었다. 1857년에 복귀했지만, 함풍제가 살아있는 동안에는 중용되지 못했다.[11]

1860년 애로우 전쟁 중, 영국군이 베이징에 육박하자 열하로 피난한 함풍제는 혁흔에게 전후 처리를 명령했다. 혁흔은 베이징 조약 조인과 총리아문 설립에 관여했다. 혁흔은 배외주의자였지만, 굴욕적인 불평등 조약 체결 당사자가 되면서 "귀자륙"(외국과 결탁한 여섯째 아들)이라는 별명으로 비난받았다.[14]

1861년 함풍제가 사망한 후, 혁흔은 서태후, 동태후, 동생 혁환과 결탁하여 신유정변을 일으켜 숙순 등을 제거하고 권력을 장악했다. 의정왕 겸 군기대신으로 복귀한 혁흔은 동치제를 섭정하며, 증국번, 이홍장한족 관료를 기용하여 양무운동을 주도했다. 이러한 노력으로 청나라는 일시적인 부흥을 이루었는데, 이를 동치중흥이라 부른다.

그러나 혁흔의 입지는 자주 위협받았다. 1865년 참언으로 서태후의 분노를 사 의정왕 지위를 박탈당했다가 복귀했으며, 1873년 원명원 수복 공사에 반대하여 1874년 서태후의 뜻에 따라 작위가 강등될 뻔했다. 1875년 광서제 즉위 후에도 정권에 남았지만, 1884년 청불 전쟁에서 패전 책임을 지고 군기대신과 총리아문 대신에서 파면되었다.

1894년 청일 전쟁이 발발하자 혁흔은 총리아문과 총리 해군을 맡아 외교와 군무를 통괄하며 군기대신으로 복직하여 국난에 임했지만, 패전을 막지 못했다. 1898년 67세(만 65세)로 병사할 때까지, 혁흔은 변법 운동에 기울고 있던 광서제를 간언하며 보수파와 혁신파 조정을 위해 노력했다. 그의 죽음은 양 파의 대립을 표면화시켜 무술정변을 야기했다.[26]

3. 1. 초기 생애

혁흔은 청나라 도광제의 여섯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효경성황후였다.[2][3][4] 그는 황실 도서관에서 공부하며 넷째 형 이주와 함께 무술을 연마했다. 창술과 검술에 능하여 아버지 도광제로부터 칭찬과 함께 백홍도(白虹刀)를 선물받기도 했다.[5]

혁흔은 탁병념과 가진에게서 학문을 배웠는데, 이들은 과거 시험에 합격한 저명한 문관들이었다.[6][7]

1850년, 도광제가 위독해지자 원명원에서 비밀 조서를 공개하여 넷째 아들 이주를 황제로, 혁흔을 친왕으로 임명했다.[8] 그러나 일각에서는 혁흔이 실제 황위 계승자였으나 조서가 조작되었다는 소문도 있었다. 어려서부터 칼, 창, 시, 문예 등 다방면에 재능을 보이며 황위 계승 후보로도 거론되었으나, 도광제는 인품을 중요하게 생각하여 넷째 아들인 이주(함풍제)를 후계자로 선택했다.

3. 2. 함풍제 시대

함풍제도광제의 뒤를 이어 1850년에 즉위했고, 같은 해 이신에게 공친왕 작위를 내렸다.[9] 1853년, 공친왕은 군사 업무를 담당하는 군기처에 임명되었다.[10] 그러나 1855년, 공친왕의 어머니가 사망했을 때 함풍제는 공친왕이 조정 의례를 제대로 따르지 않았다고 질책하며 군기대신 직에서 해임했다.[11]

제2차 아편 전쟁 중인 1860년, 영국과 프랑스 군대가 베이징으로 접근해오자 함풍제는 공친왕을 흠차대신으로 임명하여 협상을 맡겼다.[12] 공친왕은 영국, 프랑스, 러시아와 협상을 마무리하고 베이징 조약을 체결했다.[14] 1861년, 공친왕은 청나라의 외교를 담당하는 총리각국사무아문을 설치했다.[15]

함풍제 치세인 1853년에 군기대신이 되었으나, 1855년에 모친이 위독하여 황태후의 칭호를 요구했기 때문에 함풍제의 분노를 사 군기대신에서 파면되었다. 1857년에 복귀했지만, 함풍제가 살아있는 동안에는 중용되지 못했다.

애로우 전쟁 중 1860년, 영국군이 베이징에 육박하자 베이징에서 열하로 피난한 함풍제의 명령으로 베이징 조약 조인, 총리아문 설립에 관여했다. 혁흔은 배외주의자였지만, 불평등 조약의 체결 당사자가 되었기 때문에, "'''귀자륙'''"(외국과 결탁한 여섯째 아들)이라는 별명으로 비난받았다.

3. 3. 동치제 시대: 신유정변과 양무운동

함풍제가 1861년 8월 청더 산장에서 사망한 후, 그의 아들 재순이 황위를 계승했다. 함풍제는 사망 전 재순을 보좌할 재원, 단화, 숙순 등 8명의 섭정단을 임명했는데, 이들은 서방에 대해 유화적인 태도를 보인 이혁신과 정치적으로 대립했다.[16] 이혁신은 자안 황후, 서태후와 함께 8명의 섭정단이 권력을 독점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1861년 11월, 이들은 쿠데타를 일으켜 섭정단을 권좌에서 몰아냈는데, 이를 신유정변이라 한다.[17]

이혁신은 섭정왕(議政王)에 임명되었고, "철모자" 지위를 포함한 특별한 특권을 받았다. 그는 "철모자" 특권은 거부했지만, 종인부의 수장인 ''종령''(宗令)을 겸임하고 신기영을 맡았다.[18]

이혁신은 총리아문의 오랜 지도자로서, 양무운동의 초기 개혁을 주도했다. 1862년에는 동문관을 설립하여 중국 학자들이 기술과 외국어를 배울 수 있도록 했다.

1865년 4월, 관리 차이서우치(蔡壽祺)는 이혁신이 국권을 독점하고 뇌물을 받는 등 비리를 저질렀다고 비난했다. 서태후는 이혁신을 공개적으로 비판하고 섭정왕 지위에서 해임했다. 그러나 서태후는 이혁신을 완전히 내치지는 않고, 내정에서 활동하고 총리 각국 사무 아문을 계속 운영하도록 허락했다. 이혁신은 서태후에게 개인적으로 사과하며 눈물을 흘렸다.[20]

1874년 8월, 이혁신은 궁정 의례를 준수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다시 처벌을 받았다. 그는 친왕(1계 친왕)에서 군왕(2계 친왕)으로 강등되었으나, 다음 날 두 태후는 이혁신을 복권시켰다.[23]

3. 4. 광서제 시대: 청불전쟁과 청일전쟁

1875년 광서제 즉위 후에도 공친왕은 황제 앞에서 삼배구고두를 하지 않고, 상소문에 이름을 쓰지 않아도 되는 특권을 계속 누렸다. 또한 종실부의 수장인 ''종령''(宗令)에 임명되었다.[23]

1884년 청불 전쟁 당시, 프랑스의 베트남 침략에 대해 군기처의 공친왕과 구성원들은 개입 여부를 결정하지 못하고 우유부단한 태도를 보였다. 서태후는 이러한 태도를 질책하며 공친왕과 그의 동료들을 해임했다. 공친왕은 봉급을 받지 못하고 은퇴해야 했으나, 1886년부터 다시 봉급을 받게 되었고 의례 행사 참여도 허락받았다.[24] 그는 주로 베이징 서쪽의 계태사에 머물렀다. 공친왕의 일곱째 형제인 순현친왕 이훤이 군기처 수장직을 대신하게 되었고, 보윤, 이홍조, 경렴, 옹동화 등 공친왕의 행정부에서 일했던 일부 관료들도 해임되었다. 이 사건은 "갑신역추"(甲申易樞) 또는 "갑신조국지변"(甲申朝局之變)으로 알려져 있다.

1894년 청일 전쟁 발발로 상황이 위급해지자, 서태후는 공친왕을 다시 불러 총리아문을 맡기고, 베이양 해군(청나라 해군)과 군사를 감독하게 했다. 공친왕은 정치에 복귀했지만, 서태후는 그가 아직 병에서 회복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조정 회의에 계속 참석할 필요는 없다고 명령했다.[25] 공친왕은 국난에 대처하기 위해 군기대신으로 복직했지만, 전쟁 패배를 막지 못했다.

3. 5. 사망

은 1898년에 67세(동아시아식 나이)(만 6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6] 광서제는 그의 장례식에 직접 참석하고, 애도의 표시로 5일 동안 조정 회의를 취소하고 15일 동안 상복을 입도록 명했다.[27] 또한 황제는 공친왕에게 '충(忠)'이라는 시호를 내리고 태묘에 배향했으며, 모든 청나라 신하들이 본받아야 할 충성의 모범으로 그를 기리는 조칙을 발표했다.[27]

4. 가족

부인자녀
정실 부인
과이걸씨(1834년 ~ 1880년 6월 29일)
측실 부인
측복진 설가씨
측실 부인
측복진 류가씨
측실 부인
측복진 류가씨
측실 부인
측복진 장가씨(1858년 ~ 1883년 10월 4일)


5. 유산

공친왕부


공친왕부는 베이징시 시청구에 있는 저택으로, 현재는 박물관과 정원 공원으로 일반에 공개되어 있다. 원래 청나라 건륭제 시기 권신이었던 화신의 저택이었으나, 이후 공친왕 이신이 사용하게 되었다. 이신은 청나라 말기 양무운동을 주도하며 근대화를 이끌었던 주요 인물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그의 개혁은 서태후를 비롯한 보수 세력의 반발과 여러 제약으로 인해 한계에 부딪혔고, 결국 청나라의 몰락을 막지는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참조

[1] 웹사이트 'Official site' https://web.archive.[...] Prince Kung's Palace Museum 2017-11-08
[2] 서적 Qing Shi Gao
[3] 서적 Qing Shi Gao
[4] 간행물 I-hsin
[5] 서적 Qing Shi Gao
[6] 서적 Qing Shi Liezhuan
[7] 서적 Qing Shi Gao
[8] 서적 Qing Shi Gao
[9] 서적 Qing Shi Gao
[10] 서적 Qing Shi Gao
[11] 서적 Qing Shi Gao
[12] 서적 Qing Shi Gao
[13] 서적 Qing Shi Gao
[14] 서적 Qing Shi Gao
[15] 서적 Qing Shi Gao
[16] 서적 Political Leaders of Modern China: A Biographical Dictionary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2
[17] 서적 Qing Shi Gao
[18] 서적 Qing Shi Gao
[19] 서적 Qing Shi Gao
[20] 서적 Qing Shi Gao
[21] 서적 Qing Shi Gao
[22] 서적 Qing Shi Gao
[23] 서적 Qing Shi Gao
[24] 서적 Qing Shi Gao
[25] 서적 Qing Shi Gao
[26] 서적 Qing Shi Gao
[27] 서적 Qing Shi Ga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