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지랑이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지랑이좌는 이즈미 쿄카의 단편 소설과 1981년 스즈키 세이준 감독의 일본 영화를 가리킨다. 영화는 신파극 작가가 수수께끼의 여자와 후원자에게 휘둘리며 생과 사의 경계를 헤매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스즈키 세이준 감독의 대표작 중 하나로 "필름 가부키"라고 불린다. 1981년 키네마 준보 베스트 10 3위, 일본 아카데미상 최우수 남우조연상 등을 수상했으며, 낭만 3부작 중 하나로 꼽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즈키 세이준 감독 영화 - 살인의 낙인
살인의 낙인은 1967년 개봉한 일본 영화로, 암흑가 킬러 하나다 고로가 임무 수행 중 킬러들과 대결하고 여성과의 사랑을 통해 비극적인 최후를 맞는 이야기를 다룬다. - 스즈키 세이준 감독 영화 - 동경 방랑자
1966년 스즈키 세이준 감독이 연출한 영화 동경 방랑자는 야쿠자의 의리와 배신, 기업 부패를 다루면서 독특한 영상미와 초현실주의적 연출로 기존 야쿠자 영화의 틀을 깬 아방가르드 스타일의 작품으로, 2016년 영화 《라라랜드》에 오마주되기도 했다. - 다이쇼 시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 - 박열 (영화)
이준익 감독의 2017년 영화 "박열"은 1923년 간토 대지진 직후 박열과 그의 연인 가네코 후미코의 삶을 그린 영화로, 이제훈과 최희서가 주연을 맡아 일제강점기 아나키스트 단체 '불령사'를 조직하여 히로히토 황태자 암살을 시도했던 박열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다. - 다이쇼 시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 -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
고토게 코요하루의 만화 《귀멸의 칼날》을 원작으로 하는 2020년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은 카마도 탄지로와 동료들이 렌고쿠 쿄쥬로와 함께 무한열차에서 하현 엔무 및 상현 아카자와 맞서는 이야기를 ufotable에서 제작하고 소토자키 하루오가 감독하여 전 세계적으로 흥행했다. - 일본의 독립 영화 작품 - 자살 클럽
자살 클럽은 2002년 일본에서 개봉한 영화로, 집단 자살 사건을 시작으로 연쇄 자살 사건이 발생하는 내용을 다루며, 현대 사회의 문제점을 묘사하고 컬트 영화 팬들에게 인기를 얻었다. - 일본의 독립 영화 작품 - 노리코의 식탁
소노 시온 감독의 2005년 일본 영화인 노리코의 식탁은 가출한 여고생 노리코가 렌탈 가족 서비스를 통해 가족의 의미와 현대 사회의 소외 문제를 탐구하는 영화로, 비선형적 플롯과 독특한 영상미로 국제 영화제에서 수상했다.
아지랑이좌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제목 | 아지랑이좌 |
원제 | 陽炎座 (Kagerō-za) |
감독 | 스즈키 세이준 |
제작 | 아라토 겐지로 |
원작 | 이즈미 교카 (소설) |
각본 | 다나카 요조 |
주연 | 마츠다 유사쿠 오쿠스 미치요 나카무라 카츠오 구스다 에리코 |
음악 | 가와치 가나메 |
촬영 | 나가츠카 가즈에 |
편집 | 스즈키 아키라 |
배급사 | 시네마 플라세 겐지로 아마토 픽처스 |
개봉일 | 1981년 7월 31일 |
상영 시간 | 139분 |
국가 | 일본 |
언어 | 일본어 |
스태프 | |
프로듀서 | 아라토 겐지로 |
영화 정보 | |
장르 | 드라마 멜로/로맨스 |
2. 원작 소설
이즈미 쿄카가 1913년에 발표한 단편 소설이다. 일본어로 쓰여졌으며, 1913년 5월 슌요도 서점의 『신소설』에 처음 발표되었고, 1917년 4월 헤이와 출판사에서 출간된 『야요이첩』에 수록되었다.
2. 1. 개요
이즈미 쿄카의 단편 소설 '아지랑이좌'는 1913년 5월 슌요도 서점의 '신소설'에 처음 발표되었고, 1917년 4월 헤이와 출판사에서 출간된 '야요이첩'에 수록되었다.2. 2. 집필 배경
이즈미 쿄카가 1913년 5월 슌요도 서점의 신소설에 발표한 단편 소설이다. 1917년 4월 헤이와 출판사에서 출간한 『야요이첩』에 수록되었다.2. 3. 줄거리
이 섹션은 현재 내용이 비어 있어 내용 추가가 필요하다. 이즈미 쿄카의 단편 소설 아지랑이좌는 1913년 5월 신소설에 처음 게재되었으며, 1917년 4월 헤이와 출판사에서 출간된 『야요이첩』에 수록되었다.[1]2. 4. 등장인물
이 절은 내용이 비어있어 가필이 필요하다.2. 5. 평가 및 영향
아지랑이좌일본어는 발표 당시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으나, 스즈키 세이준의 영화를 통해 재조명되었다.3. 영화
1981년 일본 영화로, 스즈키 세이준이 감독했다. 신파 극작가가 수수께끼의 여자와 후원자들에게 휘둘리며 생과 사의 경계를 헤매는 내용이다. 마쓰다 유사쿠가 주연을, 오오쿠스 미치요가 상대역을 맡았다. 나카무라 가츠오는 조연으로 출연, 일본 아카데미상 최우수 남우조연상을 받았다.
3. 1. 개요
《'''아지랑이좌'''》(陽炎座|가게로자일본어)는 1981년에 개봉한 일본 영화이다. 스즈키 세이준이 감독을 맡았으며, 이즈미 교카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다. 전작 《지고이네르바이젠》의 성공에 힘입어 제작되었다.[1] 신파 극작가가 수수께끼의 여자와 후원자들에게 휘둘리며 생과 사의 경계를 헤매는 내용을 담고 있다.[1]독특한 영상미와 난해한 스토리 전개는 전작과 동일하다.[1] 스즈키 세이준 감독의 대표작 중 하나로, "필름 가부키"라고 불린다.[1] 1981년 키네마 준보 베스트 10 3위, 일본 아카데미상 최우수 남우조연상 (나카무라 가츠오), 우수 각본상, 우수 촬영상, 우수 조명상 등을 수상했다.[1]
당시 액션 배우로 명성을 떨치던 마쓰다 유사쿠에게 감독이 지름 1m의 원을 그리고 "이 안에서 벗어나지 않는 연기를 해 주십시오"라고 지도하여 그의 새로운 경지를 열어준 작품이기도 하다.[1]
《지고이네르바이젠》 (1980년), 《유메지》 (1991년)와 함께 "(다이쇼) 낭만 3부작"이라고 불린다.[1] 2012년 1월 14일부터 "낭만 3부작"이 뉴 프린트로 리바이벌 상영되었다.[1]
2023년 11월 11일, 스즈키 세이준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낭만 3부작이 4K 리마스터링되어, 『SEIJUN RETURNS in 4K』라는 제목으로 전국 극장에서 특별 상영되었다.[1]
3. 2. 제작 배경
전년도 작품인 『지고이네르바이젠』의 성공에 힘입어 제작되었으며, 독특한 영상미와 난해한 스토리 전개로 보는 이들을 당혹하게 만드는 작품 스타일은 전작과 동일하다. 스즈키 세이준 감독의 대표작 중 하나로, "필름 가부키"라고 불리는 걸작이다. 이즈미 교카의 원작 소설을 각색했다.3. 3. 줄거리
1926년 도쿄, 신파극 작가인 마쓰자키(마쓰다 유사쿠)는 우연히 아름다운 유부녀와 만난다. 이후 두 번 더 우연히 만나 하룻밤을 보내지만, 그 방이 자신의 후원자인 다마와키 남작 (나카무라 가츠오)의 아내 시나코(오오쿠스 미치요)의 방이라는 사실에 놀란다.다마와키에게는 두 명의 아내가 있었다. 첫 번째 아내는 유학 중 만난 독일 여성 일레네(쿠스다 에리코)로, 다마와키는 그녀의 금발을 검게 염색시키고 일본인 이네라는 이름으로 함께 귀국했다. 그러나 이후 다마와키가 아내로 맞이한 것은 백작 영애 시나코였다. 마쓰자키는 병원 앞 계단에서 이네와 만나지만, 그 시간에 이네는 이미 병실에서 숨을 거둔 뒤였다.
시나코는 마쓰자키에게 "가나자와에서 기다린다"는 편지를 보낸다. 네 번째 만남은 목숨을 건 것이라며, 마쓰자키는 지정된 여관으로 향한다. 다마와키 역시 가나자와로 와 시나코와 함께 마쓰자키에게 동반 자살을 강요한다. 마쓰자키는 도망쳐 아지랑이좌라는 기묘한 연극 극장에 도착하고, 시나코와 다마와키도 그를 뒤쫓아 온다.
아지랑이좌에서는 아이들이 요괴 연극을 하고 있었는데, 어느새 연극은 일레네의 이야기로 바뀐다. 시나코는 무대에 올라 자신이 후처가 된 원한과 복수를 위해 마쓰자키와 불륜을 저질렀음을 밝힌다.
아지랑이좌가 무너지고, 연못에서 다마와키와 시나코가 동반 자살한 채 발견된다. 하지만 시나코는 죽지 않았다고 믿는 마쓰자키는 그녀를 찾아 헤맨다. 축제 음악이 울려 퍼지는 가운데, 마쓰자키는 이상한 방에서 시나코를 발견하고 현실 세계의 자신에게 인사한 뒤, 시나코와 등을 맞대고 앉는다.
3. 4. 등장인물
마츠다 유사쿠, 오오쿠스 미치요, 나카무라 카츠오, 하라다 요시오, 카가 마리코, 오오토모 류타로를 비롯한 여러 배우들이 출연하였다.3. 4. 1. 주요 등장인물
역할 | 배우 |
---|---|
마츠자키 슌코 | 마츠다 유사쿠[1] |
시나코 | 오오쿠스 미치요[1] |
미오 | 카가 마리코[1] |
이네 | 쿠스다 에리코[1] |
스승 | 오오토모 류타로[1] |
거지 | 마로 아카지[1] |
와다 | 하라다 요시오[1] |
타마와키 | 나카무라 카츠오[1] |
집사 | 에즈미 에이[1] |
노파 | 히가시 에미코[1] |
번두 | 타마가와 이사오[1] |
원장 | 사노 아사오[1] |
역무원 | 사토 B사쿠[1] |
저격수 | 토비 몬구치[1] |
쓰레기를 줍는 남자 | 에노키 헤에[1] |
기타 | 나이토 타카시, 나카자와 세이로쿠, 타카스기 텟페이, 이우라 히데토모 외[1] |
3. 4. 2. 조연
- 마츠자키 슌코: 마쓰다 유사쿠
- 시나코: 오오쿠스 미치요
- 미오: 카가 마리코
- 이네: 쿠스다 에리코
- 스승: 오오토모 류타로
- 거지: 마로 아카지
- 와다: 하라다 요시오
- 타마와키: 나카무라 가츠오
- 집사: 에즈미 에이
- 노파: 히가시 에미코
- 번두: 타마가와 이사오
- 원장: 사노 아사오
- 역무원: 사토 B사쿠
- 저격수: 토비 몬구치
- 쓰레기를 줍는 남자: 에노키 헤에
- 기타: 나이토 타카시, 나카자와 세이로쿠, 타카스기 텟페이, 이우라 히데토모
3. 5. 제작진
역할 | 담당자 |
---|---|
원작자 | 이즈미 교카 |
제작 | 아라토 겐지로 |
감독 | 스즈키 세이준 |
각본 | 다나카 요조 |
촬영 | 나가쓰카 가즈에 |
미술 | 이케가야 센코 |
음악 | 고치 오사무 |
철포 지도 | 토비 문구치 |
현상 | 도요 현상소 |
MA | 닛카쓰 스튜디오 센터 |
스튜디오 | 다이에이 영화 촬영소 |
프로듀서 | 하나다 요시치 |
3. 6. 평가
스즈키 세이준 감독의 대표작 중 하나로, "필름 가부키"라고 불리는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독특한 영상미와 난해한 스토리 전개로 호불호가 갈리지만, 1981년 키네마 준보 베스트 10 3위, 일본 아카데미상 최우수 남우조연상 (나카무라 가츠오), 우수 각본상, 우수 촬영상, 우수 조명상 등을 수상했다.마쓰다 유사쿠가 감독에게 지름 1m의 원 안에서 벗어나지 않는 연기를 지도받아 새로운 연기 경지를 열어준 작품으로도 평가받는다.
3. 7. 수상 및 후보
4. 영향
1980년 작품인 『지고이네르바이젠』, 1991년 작품인 『유메지』와 함께 "다이쇼 로망 3부작"으로 불린다. 2012년과 2023년에 리마스터링되어 재개봉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陽炎座
http://www.kinenote.[...]
2021-08-17
[2]
웹사이트
ja:陽炎座とは
https://kotobank.jp/[...]
kotobank
2021-0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