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소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소설은 갑오개혁 이후 개화·계몽기를 배경으로 등장한 근대 문학 양식으로, 이인직의 《혈의 누》에서 처음 명칭이 사용되었다. 1906년부터 1916년까지 약 300여 종이 출판되었으며, 봉건주의 타파, 자주독립, 애국사상 계몽 등 신사상에 기반한 주제를 다루었다. 언문일치 문장과 장면 묘사를 시도했지만, 권선징악, 우연성 남발 등 고전 소설의 한계를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다. 이광수의 《무정》 등장 이후 1920년대에 현대 소설로 대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 소설 - 은세계
《은세계》는 이해조가 1908년에 발표한 신소설로, 부패한 관리로 인해 몰락한 농부의 자녀들이 의병 활동에 참여하는 이야기이며, 조선 말기 사회 비판과 일제 식민 지배 정당화라는 상반된 주제 의식을 나타내고 당대 현실을 반영했다는 문학적 의의를 가진다. - 한국 소설 - 영웅소설
영웅소설은 특별한 탄생과 고귀한 혈통, 뛰어난 능력을 지닌 주인공이 시련과 위기를 극복하고 승리하는 영웅의 일대기를 다루는 고전 소설의 한 종류로, 사회 정의와 공동체 의식을 강조하며 발전해왔다. - 한국 문학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문학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문학은 주체사상을 기반으로 당성, 노동계급성, 인민성을 강조하며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특징으로 하고, 김일성, 김정일 찬양, 사회주의적 가치, 통일 염원 등을 주요 주제로 다룬다. - 한국 문학 - 기상도
《기상도》는 김기림이 쓴 시로, 태풍의 진행 과정을 묘사하며 현대 사회와 1930년대 파시즘, 제국주의를 비판하고 T. S. 엘리엇의 《황무지》의 영향을 받아 문명의 흥망성쇠를 재해석한다.
신소설 | |
---|---|
신소설 | |
![]() | |
명칭 | |
한글 | 신소설 |
한자 | 新小說 |
로마자 표기 | sinsoseol |
일본어 | しんしょうせつ |
개요 | |
장르 | 한국 문학 |
시대적 배경 | 개화기 |
2. 개념
신소설은 갑오개혁 이후 개화·계몽기를 배경으로 등장한 근대적인 신문학을 대표하는 문학 양식이다. '신소설'이라는 명칭은 이인직의 《혈(血)의 누(淚)》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고전 소설과 이광수의 무정 이후 현대 소설 사이의 과도기적 소설을 가리킨다.
신소설은 개화·계몽기라는 과도기적인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만큼 계몽소설이었다. 공통된 주제는 개화의 선구적 의식을 계몽하고, 그 실천을 강조하는 면에서 취재되었고, 구소설에서 완전히 탈피한 근대적 소설이라기보다 봉건적 요소와 근대적 요소를 함께 지니고 있다. 즉 신소설은 그 주제에서 정치소설이라는 부제가 붙을 정도로 서구적인 새로운 국가관에 의한 자주독립, 신교육의 필요성, 계급타파와 평등사상, 여권(女權) 존중 및 자유결혼 그리고 자아각성에 의한 새로운 문화에 대한 동경과 현실 고발 등이 다루어졌다. 그 소재 및 배경은 거의 개화기로서 현실 속에서 취재했고, 등장인물의 대부분은 당시의 현실적인 인물 또는 새시대가 요구하는 이상형의 인물을 설정하여, 그 시대상과 시대의식을 반영했다. 서구의 근대의식이 지니는 중요한 특징으로는 인간의 존엄성과 인권, 자유와 평등이 핵심을 이루는 만큼, 개화사조 또한 이러한 시대의식을 나타내어 신소설은 필연적으로 계몽성을 수반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앞에 든 신소설의 주제 중 신교육은 개화기 시대의식의 핵심을 이루어 신소설에 있어서 각 작품에 거의 공통적인 주제로 다루어졌는데, 특히 이인직의 《혈의 누》, 《치악산》, 《은세계》, 이해조의 《춘외춘》, 최찬식의 《안의 성》, 《추월색》 등 많은 작품에 나타나 있다. 자주독립의 사상은 《혈의 누》, 이해조의 《자유종》 등에 강하게 나타났고, 계급타파는 봉건적인 천민계급인 비복(婢僕)의 속량(贖良)을 비롯하여 반상(班常)의 철폐 등으로 다루어져 《귀의 성》, 《치악산》, 《자유종》 등에 나타났다. 《자유종》에 반영된 여권 존중 사상을 비롯하여, 《혈의 누》, 《추월색》, 《안의 성》, 《춘외춘》, 《홍도화》 등에는 남녀의 자유의사에 의한 애정문제·조혼폐지·과부의 재혼 등 자유결혼의 사상이 반영되었다. 평민의식과 자아각성에 의한 현실고발은 《은세계》, 《귀의 성》, 《자유종》 등에 나타났고, 《치악산》, 《구마검》 등에서는 민간의 기존 폐습인 미신타파를 주장했다. 그러나 신소설은 어떤 하나의 주제를 일관성 있게 처리한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관념적인 개화기의 시대의식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것이 그 특색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소설의 내용은 계몽이나 근대화를 강조한다. 교육 장려, 구습과 미신 타파, 부패한 관리 비판 등이 신소설의 공통적인 주제이다.
갑오경장 이후 개화기에는 신구의 대립 관념이 소설뿐 아니라 각 분야에 파급되었다. 시조·신체시, 구파(舊派)·구극(舊劇) 등 재래의 연극에 대한 신파(新派)·신극(新劇) 등으로 대조되었는데, 신소설의 명칭도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의해 불린 것으로 보인다. 즉, 신문학 초창기에 오래된 것에 대하여 새롭다는 뜻으로 사용된 신소설이란 개념은 어떤 뚜렷한 정의를 내포했다기보다는 막연히 신구의 대립 관념이 선행된 명칭이었다.
신소설은 1906년 즈음부터 1916년 무렵까지 총작품 무려 3백여 종이 출판되었다. 1917년 《무정》이 나온 이후에도 계속 출판되어 그 배경의 폭을 넓힌다면 갑오경장부터 3·1 운동까지 약 20년 내외에 해당하며, 그 속에는 구소설을 개작한 것도 있고, 일본 작품을 번안한 것도 포함된다.
개화기(gaehwagi)는 한국인의 사상에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백성을 계몽하고자 했던 작가들도 등장했다. 새로운 소설은 봉건주의 타파와 자주독립, 애국사상 계몽 등, 소재가 신사상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또한, 언문일치의 문장을 산문체로 쓰는 등 고대소설에는 없던 기법을 사용했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권선징악을 기조로 한 단조로운 스토리이며, 등장인물 또한 유형화되어 있다는 점을 볼 때 고대소설의 형태를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조선적인 것은 무엇이든 낡은 것으로, 일본적, 서양적인 것은 무엇이든 새로운 것으로 묘사하는 경향을 부정할 수 없다.
이러한 신소설은 이광수의 무정 등장으로 점차 사라지고, 1920년대 무렵에는 현대소설로 대체된다.
3. 주제와 특색
3. 1. 소재 및 등장인물
신소설은 개화기라는 시대적 배경 속에서 현실적인 소재와 인물을 통해 시대상과 시대의식을 반영했다. 서구적인 새로운 국가관에 의한 자주독립, 신교육의 필요성, 계급 타파와 평등 사상, 여권 존중 및 자유 결혼, 그리고 자아 각성에 의한 새로운 문화에 대한 동경과 현실 고발 등이 주요 주제로 다루어졌다. 인간의 존엄성과 인권, 자유와 평등을 중시하는 서구의 근대 의식은 개화 사조에도 영향을 미쳐 신소설의 계몽성을 강화했다.
신교육은 개화기 시대 의식의 핵심으로, 이인직의 《혈의 누》, 《치악산》, 《은세계》, 이해조의 《춘외춘》, 최찬식의 《안의 성》, 《추월색》 등 많은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다루어졌다. 자주독립 사상은 《혈의 누》, 이해조의 《자유종》 등에 강하게 나타났으며, 계급 타파는 《귀의 성》, 《치악산》, 《자유종》 등에서 봉건적인 천민 계급의 속량과 반상 철폐 등의 내용으로 다루어졌다.
《자유종》에 반영된 여권 존중 사상을 비롯하여, 《혈의 누》, 《추월색》, 《안의 성》, 《춘외춘》, 《홍도화》 등에서는 남녀의 자유 의사에 의한 애정 문제, 조혼 폐지, 과부의 재혼 등 자유 결혼 사상이 나타났다. 평민 의식과 자아 각성에 의한 현실 고발은 《은세계》, 《귀의 성》, 《자유종》 등에 나타났고, 《치악산》, 《구마검》 등에서는 민간의 기존 폐습인 미신 타파를 주장했다. 이처럼 신소설은 다양한 관념적인 개화기 시대 의식을 종합적으로 반영했다. 일반적으로 신소설은 교육 장려, 구습과 미신 타파, 부패한 관리 비판 등을 통해 계몽과 근대화를 강조한다.
3. 2. 서구 근대 의식의 영향
서구의 근대 의식이 인간의 존엄성, 인권, 자유와 평등을 핵심으로 하는 만큼, 개화 사조 또한 이러한 시대 의식을 나타내어 신소설은 필연적으로 계몽성을 수반하게 되었다. 신교육은 개화기 시대 의식의 핵심을 이루어 신소설에 있어서 각 작품에 거의 공통적인 주제로 다루어졌는데, 특히 이인직의 《혈의 누》, 《치악산》, 《은세계》, 이해조의 《춘외춘》, 최찬식의 《안(雁)의 성(聲)》, 《추월색》 등 많은 작품에 나타나 있다. 자주독립 사상은 《혈의 누》, 이해조의 《자유종》 등에 강하게 나타났고, 계급 타파는 봉건적인 천민 계급인 비복(婢僕)의 속량(贖良)을 비롯하여 반상(班常)의 철폐 등으로 다루어져 《귀(鬼)의 성(聲)》, 《치악산》, 《자유종》 등에 나타났다. 《자유종》에 반영된 여권 존중 사상을 비롯하여, 《혈의 누》, 《추월색》, 《안의 성》, 《춘외춘》, 《홍도화(紅桃花)》 등에는 남녀의 자유 의사에 의한 애정 문제, 조혼 폐지, 과부의 재혼 등 자유 결혼의 사상이 반영되었다. 평민 의식과 자아 각성에 의한 현실 고발은 《은세계》, 《귀의 성》, 《자유종》 등에 나타났고, 《치악산》, 《구마검》 등에서는 민간의 기존 폐습인 미신 타파를 주장했다. 그러나 신소설은 어떤 하나의 주제를 일관성 있게 처리한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관념적인 개화기의 시대 의식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것이 그 특색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소설의 내용은 계몽이나 근대화를 강조하며, 교육 장려, 구습과 미신 타파, 부패한 관리 비판 등이 신소설의 공통적인 주제이다.
4. 표현 형식
신소설은 고전소설에 비하여 언문일치에 접근했고, 장면이나 사건의 세밀한 묘사 형식을 채택했다. 하지만, 여전히 권선징악적 구성, 우연성의 남발, 평면적인 인물 묘사 등 고전 소설의 한계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다. 특히 문장 면에서는 설명에 치중하고, 어휘 선택이나 설득력이 미숙하며, 종결어미에 있어서 '-더라·이라·러라' 등 고전소설의 타성이 그대로 남아있는 등 과도기적인 모습을 보인다.
작품의 첫머리에 ‘화설·대명년간’식의 천편일률적인 유형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그 서두를 시작, 작품을 이끌어 나갔다는 점은 문장 면에서 일대 개혁이었다. 구소설과 신소설의 서두를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 (1) 구소설(완판본 《춘향전》) ― 숙종대왕 즉위 초에 성덕이 너부시사 성자성손은 계계 승승하고 금고옥적은 요순 시절이요, 의관문물은 우탕의 버금이라. 좌우보필은 주석지신이요, 용왕 호위난 간성지장이라.
- (2) 신소설(《혈의 누》) ― 청일 전쟁의 총소리난 평양 일경이 떠나가난 듯하더니 그 총소리가 끝이매 사람의 자취난 끊어지고 산과 들에 비린 티끌뿐이라.
이 《춘향전》과 《혈의 누》의 서두를 비교해 볼 때, 신소설이 보여주는 묘사의 참신성, 구소설의 한문투에서 벗어난 자유로운 일상 용어, 언문일치의 문장은 일대 우리 소설의 혁신이요 진보였다.
4. 1. 문체의 혁신
신소설은 대부분의 구소설이 '대명년간(大明年間)'이나 '화설 중고'식으로 시작하여 중국을 배경으로 설정하거나 막연한 과거 시대에서 취재하고, 가공의 인물을 등장시켜 비현실적인 사건을 진행시킨 데 비하면, 주제의 현대화와 등장인물의 현실성으로 획기적인 진전을 보였다. 그러나 작품의 허구적 구성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권선징악을 내세우고 있다는 점, 우연성이 남발되고, 성격과 심리가 거세되었으며, 묘사의 추상성으로 인하여 구소설의 결함을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다.하지만 표현 형식 면에서 볼 때 신소설은 고전소설에 비하여 언문일치에 접근했고, 장면이나 사건의 세밀한 묘사 형식을 채택했다. 특히 작품의 첫머리에 '화설·대명년간'식의 천편일률적인 유형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그 서두를 시작, 작품을 이끌어 나갔다는 점은 문장 면에서 일대 개혁이었다.
(1) 구소설(완판본 《춘향전》) ― 숙종대왕 즉위 초에 성덕이 너부시사 성자성손은 계계 승승하고 금고옥적은 요순 시절이요, 의관문물은 우탕의 버금이라. 좌우보필은 주석지신이요, 용왕 호위난 간성지장이라.
(2) 신소설(《혈의 누》) ― 청일 전쟁의 총소리난 평양 일경이 떠나가난 듯하더니 그 총소리가 끝이매 사람의 자취난 끊어지고 산과 들에 비린 티끌뿐이라.
이 《춘향전》과 《혈의 누》의 서두를 비교해 볼 때, 신소설이 보여주는 묘사의 참신성, 구소설의 한문투에서 벗어난 자유로운 일상 용어, 언문일치의 문장은 일대 우리 소설의 혁신이요 진보였다. 그러나 신소설의 문장은 아직도 현대소설에 비해 묘사보다 설명에 치중했고, 어휘 선택이나 설득력이 미숙하며, 특히 종결어미에 있어 '-더라·이라·러라' 등 고전소설의 타성이 그대로 남아 있고, 내용 면에서도 우연성과 권선징악의 목적의식과 더불어 신소설을 봉건적 요소와 근대적 요소를 함께 지닌 과도기적인 문학 양식으로 그 존재성을 규정짓게 했다.
5. 작가와 작품
이인직은 《혈의 누》(1906년), 《귀의 성》, 《치악산》, 《은세계》, 《모란봉》 등을 발표하였다. 대표적인 신소설 작가이나, 친일 행적이 뚜렷하여 비판의 대상이 된다.
이해조는 《빈상설》, 《구마검》, 《자유종》 등을 발표했다.
안국선은 1908년 《금수회의록》을 발표했다.
최찬식은 《추월색》 등을 발표했다.
김교제(金敎濟, 생몰연대 미상)는 이인직이 상권만 쓴 《치악산》의 하권을 1911년에 써서 완성했다. 그 밖에 《모란화》, 《지장보살(地藏菩薩)》, 《현미경(顯微鏡)》, 《비행선(飛行船)》, 《경중화》 등의 작품을 발표했다.
1915년에 간행된 한국 최초의 근대적 단편집이다. 《공진회》는 하나의 작품명이 아니고 단편집의 명칭이며, 그 속에 〈인력거꾼〉, 〈기생〉, 〈시골노인 이야기〉 등 3편의 단편이 수록되어 있다. 〈기생〉에서는 여성의 순정과 절개가 강조되어 있고, 〈인력거꾼〉에서는 하층계급의 생활 속에서 근로와 금주 치부설(禁酒致富說)을 주장했고, 〈시골노인 이야기〉는 동학 농민 운동을 전후한 시기의 부패정치를 그린 작품이다. 이 세 작품의 공통적인 특징은 교훈적인 목적의식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단재 신채호 선생은 민족주의 사학자이자 독립운동가로, 을지문덕 등을 발표하여 민족의식 고취에 크게 기여했다.
5. 1. 이인직
이인직은 《혈의 누》(1906년), 《귀의 성》, 《치악산》, 《은세계》, 《모란봉》 등을 발표하였다. 대표적인 신소설 작가이나, 친일 행적이 뚜렷하여 비판의 대상이 된다.5. 2. 이해조
이해조는 《빈상설》, 《구마검》, 《자유종》 등을 발표했다.5. 3. 최찬식
최찬식은 《추월색》 등을 발표했다.5. 4. 안국선
안국선은 1908년 《금수회의록》을 발표했다.5. 5. 구연학
이인직은 《혈의 누》, 《귀의 성》, 《은세계》를 발표하였고, 이해조는 《자유종》을, 안국선은 《금수회의록》을 발표하였다.5. 6. 신채호
단재 신채호 선생은 민족주의 사학자이자 독립운동가로, 을지문덕 등을 발표하여 민족의식 고취에 크게 기여했다.5. 7. 김교제
김교제(金敎濟, 생몰연대 미상)는 이인직이 상권만 쓴 《치악산》의 하권을 1911년에 써서 완성했다. 그 밖에 《모란화》, 《지장보살(地藏菩薩)》, 《현미경(顯微鏡)》, 《비행선(飛行船)》, 《경중화》 등의 작품을 발표했다.5. 8. 공진회(共進會)
1915년에 간행된 한국 최초의 근대적 단편집이다. 《공진회》는 하나의 작품명이 아니고 단편집의 명칭이며, 그 속에 〈인력거꾼〉, 〈기생〉, 〈시골노인 이야기〉 등 3편의 단편이 수록되어 있다. 〈기생〉에서는 여성의 순정과 절개가 강조되어 있고, 〈인력거꾼〉에서는 하층계급의 생활 속에서 근로와 금주 치부설(禁酒致富說)을 주장했고, 〈시골노인 이야기〉는 동학 농민 운동을 전후한 시기의 부패정치를 그린 작품이다. 이 세 작품의 공통적인 특징은 교훈적인 목적의식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6. 쇠퇴와 현대 소설로의 이행
신소설은 이광수(李光洙)의 『무정』 등장으로 점차 사라지고, 1920년대 무렵에는 근대소설로 대체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