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직기는 《일본서기》와 《고사기》에 등장하는 백제의 인물이다. 일본서기에 따르면, 백제 왕이 보낸 말을 길렀고, 태자 우지노와키이라쓰코의 스승이 되었으며, 왕인을 추천하여 일본에 초빙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고사기》에서는 백제 국주가 아치기사에게 말 두 필을 헌상했다는 기록이 있다. KBS 드라마 《근초고왕》에서 배우 이인이 아직기 역을 연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세기 일본 사람 - 이와노히메노미코토
이와노히메노미코토는 닌토쿠 천황의 황후로서 《고사기》, 《일본서기》, 《만엽집》에 등장하며, 질투심이 강했다는 이야기와 함께 만엽집에 애정을 나타내는 시가 수록되어 현대에 여성주의적 관점으로 재해석되는 등 다양한 평가를 받는다. - 일본의 유학자 - 사쿠마 쇼잔
에도 막부 말기의 무사이자 사상가인 사쿠마 쇼잔은 서양 학문 수용을 통한 국력 강화, 화혼양재 사상의 기틀 마련, 그리고 요시다 쇼인, 가쓰 가이슈, 사카모토 료마 등 메이지 유신에 영향을 준 인물들을 양성했으나 존황양이파에 의해 암살당했다. - 일본의 유학자 - 왕인
왕인은 일본에 《논어》와 《천자문》을 전하고 학문을 가르친 백제의 학자로, 실존 여부와 출신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한국에서는 일본에 문물을 전파한 인물로 숭상받는다. - 고훈 시대 사람 - 유랴쿠 천황
유랴쿠 천황은 456년 즉위한 제21대 일본 천황으로, 권력 투쟁 후 강력한 군사력을 기반으로 왕권을 확립하고 주변 소왕국들을 복속시키려 했으며, 유송과의 외교, 양잠업 장려 등의 정책을 펼쳤으나 잦은 처형으로 비판받았고, 능묘는 다니비 타카와시하라릉이며, 그의 기록은 《일본서기》와 《고사기》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지만 신화와 전설을 포함하고 있어 신뢰성 논쟁이 있으며, '왜왕 무(武)'와 동일인물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 고훈 시대 사람 - 한제이 천황
한제이 천황은 5세기 초에 즉위하여 5년간 통치했으며, 닌토쿠 천황의 아들이자 리추 천황 사후 즉위한 천황으로, 후계자를 지명하지 않고 사망하여 인교 천황이 뒤를 이었다.
| 아직기 | |
|---|---|
| 인물 정보 | |
| 이름 | 아직기 (阿直岐) |
| 성별 | 남성 |
| 국적 | 미상 |
| 출신 | 왜국 |
| 직업 | 학자 말 사육사 |
| 주요 활동 | 근초고왕의 태자 근구수의 스승 |
| 가족 | 아들 왕인 |
| 관련 인물 | 응신 |
| 생애 | |
| 주요 사건 | 백제에 건너옴 말 사육 및 태자 교육 담당 |
| 역할 | 백제에 한자를 전래한 인물 중 하나로 추정 일본어 학습에 기여 |
| 기타 | 일본에 건너가 문필을 가르쳤다는 설이 존재 |
| 기타 정보 | |
| 등장 작품 | 근초고왕 |
2. 일본 문헌 기록
일본서기와 고사기에 아직기에 대한 기록이 전해진다. 일본서기에는 아직기(阿直岐)로, 고사기에는 아지키시(阿知吉師)로 표기되어 있다.
두 문헌에 따르면 아직기는 백제에서 말을 নিয়ে 일본으로 건너왔다. 일본서기에는 응신 천황 15년에 백제왕이 좋은 말 두 필을 보냈고, 아직기는 야마토에서 말을 사육했다는 기록이 있다. 고사기에는 오진 천황 시대에 백제의 근초고왕이 수말과 암말 각 한 필을 보냈다고 한다.
2. 1. 일본서기
『일본서기』에 따르면, 응신 천황 15년에 백제왕이 좋은 말 두 필을 보냈고, 아직기는 야마토의 가루사카노우마야에서 말을 사육했다고 한다. 이 공납은 닌토쿠 56년경 조정이 백제의 요청에 응하여 최초로 조선에 출병한 것에 대한 답례라는 지적이 있다。『일본서기』는 백제왕의 이름을 기록하지 않았지만, 아신왕 시대로 추정된다. 우지노와키이라쓰코의 스승이 되었고, 자신보다 뛰어난 학자로 왕인을 추천하여 왕인이 백제에서 오게 되었다고 하지만, 이러한 사료적 사실성은 확인하기 어렵다。[1][2]
2. 2. 고사기
阿知吉師일본어로 표기하며, 오진 천황 시대에 백제의 조고왕이 수말과 암말 각 한 필과 함께 공납하였다고 한다.아지키 신사의 제신이며, 자손이 시조를 모셨다고도 생각된다.
3. 아직기가 등장한 작품
- 드라마
KBS의 드라마 근초고왕(2010년~2011년)에서 배우 이인이 아직기 역을 연기했다.
3. 1. 드라마
2010년부터 2011년까지 KBS에서 방영된 드라마 근초고왕에서 이인이 아직기 역을 연기했다.4. 평가 및 의의
아직기는 『일본서기』와 『고사기』에 등장하는 인물로, 백제에서 일본으로 건너가 말을 기르고 학문을 전파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서기』에는 응신 천황 15년에 백제왕이 좋은 말 두 필과 함께 아직기를 보냈으며, 야마토의 가루사카노우마야에서 말을 사육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는 닌토쿠 56년경 일본 조정이 백제의 요청으로 군사를 파견한 것에 대한 답례로 여겨진다.
『일본서기』에는 백제왕의 이름이 명시되지 않았지만, 아신왕 시대로 추정된다. 아직기는 우지노와키이라쓰코의 스승이 되었고, 왕인을 추천하여 일본으로 오게 했다고 전해지지만, 이러한 기록의 사실성은 확인하기 어렵다.
『고사기』에는 아직기가 아지키시(阿知吉師)로 표기되어 있으며, 응신 천황 시대에 백제의 근초고왕(조고왕)이 수말과 암말 각 한 필과 함께 보냈다고 한다. 아지키 신사에서는 아직기를 제신으로 모시고 있으며, 그의 자손들이 시조를 모셨다고 전해진다.
4. 1. 학계 평가
『일본서기』에 따르면, 응신 천황 15년에 백제왕으로부터 좋은 말 두 필과 함께 공납되었다고 하며, 스스로 야마토의 가루사카노우마야에서 사육했다. 좋은 말의 공납은 닌토쿠 56년경에 조정이 백제의 요청에 응하여, 최초의 조선 대출병을 행한 것에 대한 답례라는 지적이 있다。『일본서기』에서는 백제왕의 이름을 기록하지 않았지만, 아신왕(아화왕) 시대로 추정된다. 우지노와키이라쓰코의 스승이 되었고, 자신보다 뛰어난 학자로서 왕인을 추천하여 왕인을 백제에서 도래시켰다고 하지만, 이상의 사료적 사실성은 확인할 수 없다。
한편, 『고사기』에서는 아지키시(阿知吉師)로 표기하며, 응신 천황 시대에 백제의 근초고왕(조고왕)으로부터 수말과 암말 각 한 필과 함께 공납되었다고 한다.
4. 2. 중도진보적 관점
『일본서기』에 따르면, 아신왕으로 추정되는 백제왕이 응신 천황 15년에 좋은 말 두 필과 함께 아직기를 공납했다고 한다. 아직기는 야마토의 가루사카노우마야에서 말을 사육했다. 이는 닌토쿠 56년경에 조정이 백제의 요청에 응하여, 최초의 조선 대출병을 행한 것에 대한 답례라는 지적이 있다.아직기는 우지노와키이라쓰코의 스승이 되었고, 자신보다 뛰어난 학자로서 왕인을 추천하여 왕인이 백제에서 도래하게 했다고 하지만, 이러한 사료의 사실성은 확인하기 어렵다.
한편, 『고사기』에는 아직기가 아지키시(阿知吉師)로 표기되어 있으며, 근초고왕으로 추정되는 백제의 조고왕이 수말과 암말 각 한 필과 함께 공납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아지키 신사에서는 아직기를 제신으로 모시고 있으며, 그의 자손이 시조를 모셨다고 전해진다.
참조
[1]
서적
国語学史―日本人の言語研究の歴史
笠間書院
1999-01-01
[2]
서적
道教の伝播と古代国家
雄山閣
1996-12-05
[3]
서적
日本と中国の二千年〈上〉―人物・文化交流ものがたり
東邦出版社
1972-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