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신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신왕은 백제의 제17대 왕으로, 침류왕의 아들이며, 진사왕 사후 392년에 즉위하여 405년까지 재위했다. 그는 즉위 직후 고구려와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굴욕적인 상황을 겪었으며, 왜와의 동맹을 통해 고구려에 대항하려 했다. 397년에는 태자 전지를 왜에 볼모로 보내는 등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으나, 신라 공격에 실패하고 왜와 가야의 도움으로 고구려 대방 지역을 공격했으나 패배했다. 아신왕은 405년에 사망했으며, 그가 죽은 후에는 왜에 볼모로 가 있던 태자 전지가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05년 사망 - 모용덕
    모용덕은 전연의 모용황의 아들로, 후연을 거쳐 남연을 건국하고 연왕을 자칭했으며, 400년에 황제에 즉위하여 건평으로 개원했다.
  • 405년 사망 - 리추 천황
    리추 천황은 닌토쿠 천황의 장남으로, 스미노에노 나카츠 황자의 반란을 진압 후 왕위에 올라 국가 시스템 정비와 왕권 강화에 힘쓴 일본 제17대 천황이다.
  • 백제의 불교도 - 법왕
    법왕은 백제의 제29대 왕으로, 혜왕 또는 위덕왕의 아들이며, 재위 기간 동안 불교를 숭상하고 미륵사 건립을 추진했으며 백성들에게 고기잡이와 사냥을 금지하는 정책을 펼쳤다.
  • 백제의 불교도 - 전지왕
    전지왕은 백제의 제18대 국왕으로, 아신왕의 장남이었으나 왕위 계승 과정에서 내분을 겪고 왜의 지원을 받아 즉위하여 해씨 세력을 견제하고 왕권 강화에 힘썼으며 왜와의 외교 관계를 유지했다.
  • 4세기 한국의 군주 - 침류왕
    침류왕은 근구수왕의 장남으로 384년 백제의 왕이 되었으며, 동진과의 외교를 통해 고구려에 대항하고, 마라난타를 통해 불교를 수용하여 백제에 불교를 처음 전파하고 사찰을 건립했으나, 재위 2년 만에 사망했다.
  • 4세기 한국의 군주 - 분서왕
    분서왕은 백제의 제11대 왕으로 낙랑군과의 전쟁을 지휘하다 자객에게 피살되었으며, 그의 죽음은 백제 정치 상황에 큰 변화를 가져왔고 초기 왕권 계승의 불안정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아신왕
기본 정보
이름아신
칭호어라하
계승백제 국왕
재위392년 11월 - 405년 9월
대관식392년 11월
이전 군주진사
다음 군주전지
출생 이름부여아신
출생일미상
출생지위례성, 비여곡
사망일405년 9월
자녀부여신지
부여양
부여신
시호아신 어라하, 아방 어라하, 아화 어라하, 아미 어라하
부왕침류
모후진씨 부인
직업국왕
종교불교
왕비해씨 부인
왕가부여
왕조백제
한국어 이름
한글아신왕, 아방왕, 아화왕
한자阿莘王, 阿芳王, 阿花王
로마자 표기Asin-wang, Abang-wang, Ahwa-wang
추가 정보
다른 이름아방(阿芳), 아화(阿花), 아미(阿美)
매장지미상
묘호미상
연호미상
호칭어라하
목록제17대 백제 국왕
백제 왕들 (14대 - 20대)
백제 왕들 (14대 - 20대)

2. 생애

아신왕은 침류왕의 아들로, 392년 진사왕이 죽은 뒤 왕위에 올랐다.

아신왕은 즉위 초부터 고구려에게 빼앗긴 영토를 회복하고자 노력했다. 393년 장군 진무를 보내 관미성을 공격했으나 실패했고, 이후에도 여러 차례 고구려와 전투를 벌였지만 패배했다. 398년에는 고구려 정벌을 시도했으나 천문이 불길하다는 이유로 중지했고, 계속되는 군역으로 백성들이 고구려, 신라 등 주변 국가로 망명하여 인구가 감소하기도 했다.

397년에는 와 우호 관계를 맺고 태자 전지를 볼모로 보냈으며,[4] 이후에도 왜, 가야와 연합하여 신라고구려를 공격했으나 번번이 패배했다. 이러한 왜와의 관계는 고구려를 공격하기 위한 목적이었다.[5]

405년 아신왕은 사망했다.

2. 1. 즉위 과정

《일본서기》에 따르면 아신왕이 태어난 날 밤 기이한 광채가 사방을 뒤덮었다고 한다. 침류왕이 죽었을 때 아신왕은 나이가 어려 숙부인 진사왕이 대신 즉위하였으나, 392년 진사왕이 죽자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삼국사기삼국유사에서는 아버지 침류왕이 죽을 때 아신왕의 나이가 어렸으므로 숙부인 진사왕이 왕위를 계승했다고 한다. 그러나 《일본서기》에서는 아신왕이 군사를 일으켜 진사왕을 제거하고 즉위했다고 한다.

2. 2. 고구려와의 전쟁

392년 진사왕이 죽자 아신왕이 왕위에 올랐다. 즉위 직후인 393년, 아신왕은 고구려에게 빼앗긴 영토를 회복하기 위해 장군 진무를 좌장으로 삼고 군사를 맡겼다. 진무는 1만의 병력으로 관미성을 공격하였으나 고구려군이 굳게 지키고 보급이 여의치 않아 퇴각하였다.[2] 394년395년에도 고구려군과 싸웠으나 번번이 패배하였다. 396년에는 광개토대왕에게 한산성(경기도광주시)까지 침입당해 대패하였고, 아신왕은 고구려에 복속을 맹세하였다.

398년 고구려 정벌을 시도하였으나 천문이 불길하다는 이유로 중지하였고, 이듬해에도 정벌을 위해 군사를 징발하여 백성들이 고구려, 신라 등으로 망명하는 경우가 많아 인구가 감소하였다. 399년에는 고구려 토벌을 위한 징발이 심하여 백제에서 신라로 도망치는 사람들도 많았다.

400년에는 백제가 가야, 와 연합하여 신라를 공격했지만, 신라를 구원하러 온 광개토대왕에게 참패했다. 404년에는 왜, 가야와 연합해 고구려의 대방 지역을 공격하였으나 패배하였다.

2. 3. 왜와의 관계

397년 5월, 아신왕은 와 우호 관계를 맺고 태자 전지를 볼모로 보냈다.[4] 402년에도 사신을 보내고 이듬해 답사를 받는 등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였다. 403년에는 왜와 가야를 끌여들여 신라를 공격하였으나 패배하였고, 404년에는 왜, 가야와 연합해 고구려대방 지역을 공격하였으나, 그 때마다 패해 달아났다. 왜, 가야와 우호적인 관계를 맺은 것은 고구려를 공격하기 위한 청병사와 비슷한 것이었다.[5]

아신왕은 고구려에 맞서 백제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397년 아들 전지왕을 에 인질로 보내 백제와 일본의 동맹을 강화하려 했다.

광개토대왕릉비문』에 따르면 399년부터 왜의 신라 침공이 일어났고, 왜는 신라 국경에 가득 차 성을 무너뜨렸으며, 이듬해인 400년에는 왜군이 신라의 수도를 포위하는 상황에 이르렀는데, 이 399년에 백제는 고구려와의 맹세를 어기고 왜와 통했다.

402년 5월에도 사신을 파견하였고(목적은 보주를 얻는 것이라고 설명되지만 자세히 알 수 없음)[3], 403년 2월에는 에서 온 사신을 맞이하여 특히 후하게 대접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사신의 왕래에 대한 기록은 일본 측 자료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일본서기』에 기록된 "백제에서 헌상된 아직기왕인"은 아화왕(아신왕) 시대에 해당하지만, 아직기왕인에 비정될 수 있는 인물은 한반도 측 자료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2. 4. 죽음

阿莘일본어405년에 사망하였으며, 그의 강력했던 왕국이 북쪽의 강력한 이웃 고구려에 서서히 멸망해 가는 것을 절망적으로 지켜보았다. 그의 세 형제는 왕위를 두고 싸웠고, 결국 모두 죽고 아신의 아들이 왕위에 올랐다.[5] 405년 9월, 14년의 재위 기간을 마치고 사망하였다. 이때, 태자는 에 인질로 보낸 상태였기 때문에, 태자가 전지왕으로 즉위할 때까지 형제 간의 내란이 발생하였다.

3. 진서에 나오는 왕태자 여휘

진서 9권, 효무제본기, 태원 11년(386년) 여름 4월조에는 백제왕세자(百濟王世子) 여휘(餘暉, 여는 백제왕의 성)가 나타난다. 이 여휘는 시대상 진사왕으로 비정하는 설이 있으나, 세자라는 호칭이 있어서 아신왕에 해당한다고 보는 설도 있다. 《삼국사기》에는 휘(暉)라는 이름을 가진 백제왕의 기록이 없다.[1]

일본서기속일본기에 등장하는 여휘(餘暉)는 아신왕의 맏동생 부여훈해의 이름을 따온 것으로 추정된다.[1]

4. 가계


  • 아버지: 백제의 침류왕
  • 어머니: 진씨(眞氏) 왕후
  • 형: 부여훈해(扶餘訓解, ?–405) - 인질로 일본에 갔으며, 그의 자녀들은 일본에 남아 앙고씨(雁高氏)를 창시하였다. 동생 설례에게 왕위를 찬탈하려다 살해당함.
  • 형: 부여설례(扶餘碟禮, ?–405) - 인질로 일본에 갔었다. 왕위를 찬탈하려다 동생 훈해를 죽였으나, 조카이자 재상에게 살해당함.
  • 이복형제: 부여홍(扶餘洪, ?–407) - 394년 내신좌평(内臣佐平)에 임명됨.
  • 후궁 및 자녀:

왕후자녀
해씨(解氏) 왕후
출처 불명의 후궁


5. 아신왕이 등장하는 작품

阿莘王|아신왕중국어이 등장하는 작품은 다음과 같다.


참조

[1] 서적 日本書紀 応神天皇三年 # 출판사 정보 없음 272-01-01 # 272년과 392년 중 어느 것을 선택할 지 모르겠으므로 임의로 272년 1월 1일로 설정했습니다. 추가 정보가 필요합니다.
[2] 서적 好太王碑文 # 출판사 정보 없음
[3] 서적 삼국사기 백제본기 아신왕 11년 5월 # 출판사 정보 없음
[4] 서적 삼국사기 백제본기 제3 # 출판사 정보 없음
[5] 서적 삼국사기 백제본기 제3 # 출판사 정보 없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