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제이 천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제이 천황은 5세기 초에 재위한 일본의 천황이다. 닌토쿠 천황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형인 리추 천황 사후 황태자가 되어 406년에 즉위했다. 그의 통치 기간은 5년으로, 가와치 국의 시바가키노미야에서 통치했으며, 평화로운 시기를 보냈다. 한제이 천황은 후계자를 지명하지 않고 410년에 사망했으며, 닌토쿠 천황의 막내아들인 인교 천황이 뒤를 이었다. 현재 묘소는 오사카부 사카이시에 있는 모즈노미미하라키타 능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제이 천황 - 왜5왕
    왜5왕은 5세기 남조 시대에 남조 왕조들과 교류하며 정치적 영향력 확대 및 왜의 위상 강화를 꾀했던 찬, 진, 제, 흥, 무, 다섯 왜왕을 지칭하며, 이들의 활동은 중국 역사서에 기록되어 있고 관련 학설과 논쟁이 존재한다.
  • 닌토쿠 천황의 자녀 - 인교 천황
    인교 천황은 5세기 전반에 실재했다고 여겨지는 일본의 제19대 천황으로, 씨성 제도 개혁, 고구려 사신 파견 등의 외교 활동, 그리고 황실 내부의 여러 사건들을 겪었으며, 그의 존재는 중국 역사서 왜의 오왕 중 제(濟)로 기록되어 당시 왜의 외교 관계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 닌토쿠 천황의 자녀 - 리추 천황
    리추 천황은 닌토쿠 천황의 장남으로, 스미노에노 나카츠 황자의 반란을 진압 후 왕위에 올라 국가 시스템 정비와 왕권 강화에 힘쓴 일본 제17대 천황이다.
  • 410년 사망 - 모용초
    모용초는 남연의 마지막 황제로, 재위 기간 동안 측근 중용과 잦은 전쟁으로 국력을 소진시키다 동진에 패하여 처형당했다.
  • 410년 사망 - 알라리쿠스 1세
    알라리크 1세는 4세기 후반 서고트족의 왕으로 로마 제국을 공격하고 로마를 약탈했으며, 이후 시칠리아와 북아프리카 정복을 시도하다가 사망했다.
한제이 천황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 "
이름한제이 천황
일본어反正天皇 (Hanzei-tennō)
다른 이름다지히 미즈하와케노 미코토 (多遅比瑞歯別尊)
미즈하와케노 미코토 (水歯別命)
로마자 표기Hanzei-tennō
칸지 표기反正天皇
통치
직위일본 천황
재위 기간 (전통적)406년 – 410년
즉위406년
퇴위410년
선대리추 천황
후대인교 천황
생애
출생352년
사망410년 (향년 58세)
아버지닌토쿠 천황
어머니이와노히메
자녀가이히메 공주
쓰부라히메 공주
다카라히메 공주
다카베 왕자
시호
한풍 시호한제이 천황 (反正天皇)
화풍 시호미즈하와케노 스메라미코토 (瑞歯別天皇)
무덤
능묘모즈노 미미하라노 기타노 미사사기 (百舌鳥耳原北陵)
위치오사카

2. 생애

아와지궁에서 태어났으며, 용모가 아름다웠다고 전해진다. 선천적으로 예쁜 치아를 가지고 있어 미즈하와케(瑞歯別일본어)라는 이름이 있었다. 닌토쿠 천황 사후, 친형인 스미요시에나카 황자가 반란을 일으켰으나, 미즈하와케는 그의 측근을 매수하여 진압했다. 401년 황태자가 되었고, 405년 리추 천황이 사망하면서 406년 1월에 즉위하였다. 재위 5년 간은 별다른 사건 없이 평화로웠으며, 410년 1월에 사망하였다.

일본인들은 전통적으로 한제이 천황의 역사적 존재를 인정해 왔으며, 현재 한제이 천황의 (미사사기)이 관리되고 있다. 고지키일본서기에 따르면, 한제이 천황은 닌토쿠 천황의 셋째 아들이자 리추 천황의 동생이었다.

즉위 직후 쓰노히메|津野媛일본어를 황실 후궁으로, 오토히메|弟媛일본어를 비로 맞이하여 2남 2녀를 두었다.[10] 가와치 국(현재의 오사카부 마쓰바라시)의 타지히에 있는 시바가키노미야 궁에서 통치했다.[10]

학자들은 한제이 천황을 5세기 초의 실존 통치자로 인정한다.[12] 그의 짧은 재위 기간은 중국의 관습이 일본 궁정에 채택되기 시작했다는 간접적인 증거로 여겨진다.[11] 국사대사전의 저자 마에노소노 료이치 등은 한제이 천황을 왜왕 친과 동일인물로 보기도 한다.[13]

한제이 천황의 실제 무덤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오사카부 사카이시에 있는 고분형 황실 묘에서 숭배받고 있다.[7] 궁내청은 이 장소를 한제이 천황의 으로 지정했으며, 공식적으로 모즈노 미미하라노 키타노 미사사기|百舌鳥耳原北陵일본어로 명명되었다.

2. 1. 출생과 성장

아와지궁에서 태어났고 용모가 아름다웠다. 선천적으로 예쁜 치아를 가지고 있어 미즈하와케(瑞歯別일본어)라는 이름이 있었다고 한다.[5][2] '미즈하와케'의 '미즈 하'는 '아름다운 이'로 번역되는데, 크기가 모두 같고 "유난히 큰" "뼈 하나 같은" 아름다운 이를 가졌다고 전해진다.[5]

고지키에 따르면 한제이 천황의 키는 약 2.74m였다고 하나, 이는 과장된 표현으로 보인다.[6][9] 신찬성씨록에 따르면, 닌토쿠 천황 시대에 아와지노미야에서 미즈하와케노미코토가 탄생했을 때, 시키나리노스쿠네가 아와지 미즈이 물에서 미즈하와케노미코토를 씻었는데, 호장근 꽃이 물 속에 뛰어들었기 때문에 미즈하와케노미코토를 타지히 미즈하와케노미코토라고 하였다고 한다.[20]

2. 2. 형제 간 권력 투쟁

닌토쿠 천황이 사망한 후, 그의 아들인 스미요시에나카 황자가 리추 천황을 암살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미즈하와케는 스미요시에나카 황자의 측근인 소바카리(하야토)를 매수하여 그를 주살하였다.[5][9] 이 사건으로 미즈하와케는 리추 천황의 즉위를 도왔다.

소바카리는 스미요시노 나카 황자의 측근이자 하야토였는데, 미즈하와케는 그에게 대신의 지위를 미끼로 암살을 사주했다. 소바카리는 변소에 있는 스미요시에나카 황자를 창으로 찔러 죽였다. 그러나 미즈하와케는 소바카리가 의리에 어긋나는 행위를 했다고 판단하여, 그와 술을 마시다가 그의 머리가 큰 잔으로 가려진 틈을 타 칼로 목을 베어 죽였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은 왕위 계승을 둘러싼 형제 간의 치열한 권력 투쟁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이는 고국천황 사후 왕위 계승 분쟁이나, 근초고왕 사후 왕위 계승 혼란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

2. 3. 즉위와 통치

401년, 리추 천황에 의해 황태자로 책봉되었다.[5][9] 405년에 리추 천황이 사망하자 이듬해(406년) 1월에 즉위하였다.[5] 즉위 직후 한제이 천황은 津野媛|쓰노히메일본어를 황실 후궁으로, 弟媛|오토히메일본어를 비로 맞이했다.[5]

재위 기간 5년 동안 특별한 사건 없이 비교적 평화로운 시기를 보냈다.[5] 가와치 국(현재의 오사카부 마쓰바라시)의 타지히에 있는 시바가키노미야 궁에서 통치했다.[10]

2. 4. 사망

410년 1월, 한제이 천황은 후계자를 지명하지 않은 채 사망하였다.[5] 이후 황실 대신들이 닌토쿠 천황의 막내아들인 인교 천황을 다음 천황으로 추대하였다.[9][11]

3. 가족 관계

지위이름아버지자녀
황부인쓰노히메|津野媛일본어오야케노 오미 코고토|大宅臣木事일본어가이히메 황녀|香火姫皇女일본어
쓰부라히메 황녀|円皇女일본어
비(妃)오토히메|弟媛일본어다카라히메 황녀|財皇女일본어
다카베 친왕|高部皇子일본어


4. 역사적 평가

한제이 천황은 5세기 초에 실존했던 통치자로 여겨진다.[12] 그의 재위 기간은 중국의 관습이 일본 궁정에 도입되기 시작한 시기였다.[11] 일본 서기에는 세 등급의 후궁이 언급되었는데, 이는 당시 중국에서 유래된 제도였다.[5]

일부 학자들은 한제이 천황을 왜의 오왕 중 '진(彌)'으로 비정하기도 한다.[13] 중국 기록에 따르면 진은 438년에 유송에 조공을 바쳤다.

한제이 천황의 실제 무덤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오사카부 사카이시에 있는 고분형 황실 묘에서 숭배받고 있다.[7] 궁내청은 이 장소를 한제이 천황의 으로 지정했으며, 공식적으로 百舌鳥耳原北陵|모즈노 미미하라노 키타노 미사사기일본어로 명명했다.

한제이 천황을 기리는 신토 신사 및 능묘

4. 1. 한반도와의 관계

한제이 천황의 재위 기간은 한반도삼국 시대와 겹치며, 이 시기 한반도와 일본 열도 간에는 활발한 교류가 있었다. 특히 백제는 일본에 불교, 유교, 한자 등 선진 문물을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한제이 천황 시기 백제와의 교류는 일본 고대 국가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서기』와 『고사기』에는 중국과의 외교 기록이 없지만, 『송서』『양서』에 기록된 「왜의 오왕」 중 '''진(彌)'''을 한제이 천황으로 비정하는 설이 유력하다.[13]

5. 연표


  • 닌토쿠 천황 39년?
  • * 탄생[21]
  • 닌토쿠 천황 87년
  • * 부황 붕어, 스미요시노 나카노미코의 반란[21]
  • 리추 천황 2년
  • * 1월, 50세로 립태자[21]
  • 한제이 천황 원년
  • * 1월, 즉위[21]
  • * 8월, 쓰노히메(오야케노 오미의 조상인 와니노 키코토의 딸)를 황후로 삼다[21]
  • * 10월, 단비 시바가키 궁으로 천도[21]
  • 한제이 천황 5년
  • * 1월 23일, 붕어[21]
  • 잉교 천황 5년
  • * 11월, 모즈노 미미하라 능에 장사지내다[21]

6. 전설

효고현 미나미아와지시의 산노미야 신사에는 한제이 천황 탄생 전설이 있다.

7. 능묘

궁내청은 오사카부 사카이시에 있는 고분형 황실 묘를 한제이 천황의 으로 지정했으며, 공식적으로 모즈노 미미하라노 키타노 미사사기|百舌鳥耳原北陵일본어로 명명했다.[7] 사카이구 기타미쿠니가오카초 2초에 있는 유적명 "타데이산 고분"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궁내청 상의 형식은 전방후원분이다. 분구 길이는 148m이다.

반정 천황 모즈노미미하라키타 능
(오사카부 사카이시)


또한 궁내청에서 오사카부 사카이시 키타구 모즈니시노초에 있는 유적명 "하지 니산자이 고분"을 '''히가시모즈 릉묘 참고지'''(東百舌鳥陵墓参考地)로서 반정 천황의 묘로 지정하고 있다.[22]

황거에서는 황령전(궁중삼전 중 하나)에서 다른 역대 천황·황족과 함께 천황의 영이 제사 지내지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Genealogy of the Emperors of Japan http://www.kunaicho.[...] 2023-02-12
[2] 서적 Table of Emperors Mothers https://books.google[...] Ponsonby Memorial Society
[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Japan to 1945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4] 서적 List of Emperors: II. The Dawn of History and The great Reformers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5] 웹사이트 Boox XII - The Emperor Midzuhawake: (Hanzei Tenno or Hansho tenno) https://books.google[...] London: Kegan Paul, Trench, Trubner
[6] 웹사이트 Sect. CXXXV — Emperor Han–zei https://www.sacred-t[...] R. Meiklejohn and Co.
[7] 웹사이트 反正天皇 (18) http://www.kunaicho.[...] 2023-02-12
[8]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books.google[...] Royal Asiatic Society, Oriental Translation Fund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9] 서적 Hansho (406–410) https://books.google[...] Ponsonby Memorial Society
[10] 서적 (19) Emperor Hansho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1] 서적 Chapter XII: The Protohistoric Sovereigns https://books.google[...] Encyclopædia Britannica
[12] 웹사이트 Kofun Culture http://www.t-net.ne.[...] 2023-01-24
[13] 서적 Emperor Hanzei Yoshikawa Kobunkan
[14] 서적 'A History of the Japanese People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end of the Meiji Era' https://archive.org/[...] Encyclopaedia Britannica Company
[15] 서적 Nihongi: Chronicles of Japan from the Earliest Times to A.D. 697, Volume 2 https://books.google[...] The Japan Society London 1896
[16] 서적 A Translation and Study of the Gukanshō, an Interpretative History of Japan Written in 1219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7] 서적 'Japanese Politics: Fixed and Floating Worlds' https://books.google[...] Prentice Hall
[18] 웹사이트 Genealogy https://reichsarchiv[...] 2010-04-30
[19] 웹사이트 itadori.htm http://www.atomigunp[...]
[20] 문서 新撰姓氏録
[21] 서적 日本書紀(二) 岩波書店
[22] 서적 事典陵墓参考地 もうひとつの天皇陵 吉川弘文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