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케스트로린쿠스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케스트로린쿠스속은 카라신목에 속하는 물고기 속의 하나이다. 현재 14종이 유효하며, 이 속은 아케스트로린쿠스과에 속한다. 카라신목은 키타리누스아목과 카라신아목으로 분류되며, 아케스트로린쿠스속을 포함하는 카라신아목은 다양한 과와 상과로 세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아케스트로린쿠스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속 정보 | |
![]() | |
학명 | Acestrorhynchus |
명명자 | C. H. 아이겐만 & C. H. 케네디, 1903 |
상위 분류군 | C. H. 아이겐만, 1912 |
종 | 본문 참조 |
크기 | |
길이 | 35 ~ 400mm |
2. 하위 종
- 아케스트로린쿠스 아브레비아투스 (코프, 1878)
- 아케스트로린쿠스 알투스 (메네제스, 1969)
- 아케스트로린쿠스 브리츠키 (메네제스, 1969)
- 아케스트로린쿠스 팔카투스 (블로흐, 1794) (담수 바라쿠다, 점박이 카초로)
- 아케스트로린쿠스 팔키로스트리스 (G. 퀴비에, 1819) (가늘고 긴 담수 바라쿠다, 큰 눈의 카초로)
- 아케스트로린쿠스 그란도쿨리스 (메네제스 & 게리, 1983)
- 아케스트로린쿠스 헤테롤레피스 (코프, 1878)
- 아케스트로린쿠스 이살리네아이 (메네제스 & 게리, 1983)
- 아케스트로린쿠스 라쿠스트리스 (뤼트켄, 1875)
- 아케스트로린쿠스 마쿨리피나 (메네제스 & 게리, 1983)
- 아케스트로린쿠스 마이크로레피스 (자딘, 1841) (파이크 카라신)
- 아케스트로린쿠스 미니무스 (메네제스, 1969)
- 아케스트로린쿠스 나수투스 (C. H. 아이겐만, 1912)
- 아케스트로린쿠스 판타네이로 (메네제스, 1992)
3. 계통 분류
올리베이라(Oliveira) 등의 연구에 따르면, 아케스트로린쿠스과는 카라신목에 속한다.[3] 현재까지 알려진 아케스트로린쿠스속 어류는 14종이다.[1]
- ''아케스트로린쿠스 아브레비아투스'' (코프, 1878)
- ''아케스트로린쿠스 알투스'' 메네제스, 1969
- ''아케스트로린쿠스 브리츠키'' 메네제스, 1969
- ''아케스트로린쿠스 팔카투스'' (블로흐, 1794) (담수 바라쿠다, 점박이 카초로)
- ''아케스트로린쿠스 팔키로스트리스'' (G. 퀴비에, 1819) (가늘고 긴 담수 바라쿠다, 큰 눈의 카초로)
- ''아케스트로린쿠스 그란도쿨리스'' 메네제스 & 게리, 1983
- ''아케스트로린쿠스 헤테롤레피스'' (코프, 1878)
- ''아케스트로린쿠스 이살리네아이'' 메네제스 & 게리, 1983
- ''아케스트로린쿠스 라쿠스트리스'' (뤼트켄, 1875)
- ''아케스트로린쿠스 마쿨리피나'' 메네제스 & 게리, 1983
- ''아케스트로린쿠스 마이크로레피스'' (자딘, 1841) (파이크 카라신)
- ''아케스트로린쿠스 미니무스'' 메네제스, 1969
- ''아케스트로린쿠스 나수투스'' C. H. 아이겐만, 1912
- ''아케스트로린쿠스 판타네이로'' 메네제스, 1992
3. 1. 카라신목 내 계통 분류
다음은 올리베이라(Oliveira) 등의 연구에 기초한 카라신목의 계통 분류이다.[3]{| class="wikitable"
|-
! 카라신목
|-
|
{| class="wikitable"
|-
! 키타리누스아목
|-
|
|}
|-
! 카라신아목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크레누쿠스과
|-
|
{| class="wikitable"
|-
|
알레스테스과 |
헵세투스과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에리트리누스과
|-
|
{| class="wikitable"
|-
| 파로돈과
|-
|
{| class="wikitable"
|-
| 키노돈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 아노스토무스상과
|-
|
{| class="wikitable"
|-
| 아노스토무스과
|-
|
|}
|}
|}
|}
|}
|}
|}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칼케우스과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트리포르테우스과
|-
|
|}
|-
| 카라신과
|}
|}
|}
|}
|}
|}
|}
|}
3. 2. 아케스트로린쿠스과의 계통
다음은 올리베이라(Oliveira) 등의 연구에 기초한 카라신목의 계통 분류이다.[3]{| class="wikitable"
|-
! 카라신목
|-
|
{| class="wikitable"
|-
! 키타리누스아목
|-
|
|}
|-
! 카라신아목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크레누쿠스과
|-
|
{| class="wikitable"
|-
|
알레스테스과 |
헵세투스과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에리트리누스과
|-
|
{| class="wikitable"
|-
| 파로돈과
|-
|
{| class="wikitable"
|-
| 키노돈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
! 아노스토무스상과
|-
|
{| class="wikitable"
|-
| 아노스토무스과
|-
|
|}
|}
|}
|}
|}
|}
|}
|}
|-
|
{| class="wikitable"
|-
|
|}
|-
|
{| class="wikitable"
|-
| 칼케우스과
|-
|
{| class="wikitable"
|-
|
|}
|-
|
{| class="wikitable"
|-
| 트리포르테우스과
|-
|
|}
|-
| 카라신과
|}
|}
|}
|}
|}
|}
|}
|}
|}
참조
[1]
FishBase
[2]
FishBase 과
[3]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the speciose family Characidae (Teleostei: Ostariophysi: Characiformes) based on multilocus analysis and extensive ingroup sampl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