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키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키국(安芸国)은 옛 일본의 행정 구역으로, 현재의 히로시마현 대부분에 해당한다. 7세기에 아키노쿠니가 설치되었으며, 이후 쇼무 천황 시대에 국분사가 세워지고 헤이안 시대에는 이쓰쿠시마 신사가 번성하며 다이라노 기요모리의 후원을 받았다. 센고쿠 시대에는 모리 씨가 이 지역을 지배하며 세력을 확장했고,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아사노 가문이 히로시마 번을 다스렸다. 1871년 폐번치현으로 히로시마 현에 통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요도 - 빈고국
    빈고국은 7세기 후반 기비국에서 분할되어 설치된 일본의 옛 국으로, 현재의 히로시마현, 오카야마현, 시마네현 일부 지역에 해당하며, 에도 시대에는 여러 번이 존재했고 메이지 유신 이후 히로시마현에 편입되었으며, 국분사, 신사 등의 시설과 안나군, 후카쓰군 등 여러 군으로 구성되었다.
  • 산요도 - 비젠국
    비젠국은 7세기 후반 기비국에서 분할되어 성립된 오카야마현에 해당하는 일본의 옛 행정 구역으로, 농업, 철 생산, 해상 교통이 발달하고 일본도 제작이 활발했으며, 센고쿠 시대에는 우키타 나오이에가 다이묘로 군림하다가 메이지 유신 이후 오카야마현에 편입되었다.
  • 아키국 - 이쓰쿠시마 신사
    이쓰쿠시마 신사는 히로시마현 미야지마에 위치한 신사로, 바다 위에 떠 있는 듯한 도리이와 독특한 건축 양식, 다수의 국보급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이자 유명 관광 명소이다.
  • 아키국 - 히로시마성
    히로시마성은 1589년 축성되어 전략적 요충지에 자리 잡았으나 원폭으로 파괴된 후 복원되었고, 현재는 평화를 기원하는 상징이자 '잉어성'이라는 별칭으로 시민들의 사랑을 받는 히로시마의 평지성이다.
  • 히로시마현의 역사 - 빈고국
    빈고국은 7세기 후반 기비국에서 분할되어 설치된 일본의 옛 국으로, 현재의 히로시마현, 오카야마현, 시마네현 일부 지역에 해당하며, 에도 시대에는 여러 번이 존재했고 메이지 유신 이후 히로시마현에 편입되었으며, 국분사, 신사 등의 시설과 안나군, 후카쓰군 등 여러 군으로 구성되었다.
  • 히로시마현의 역사 - 무라카미 수군
    무라카미 수군은 세토 내해에서 활동한 일본 해상 세력으로, 인노시마, 구루시마, 노지마의 세 가문이 주축을 이루며 남북조시대부터 제해권을 장악하고 해상 경호와 통행세 징수 등으로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해적 정지령 이후 쇠퇴하였다.
아키국
지도
일본의 행정 구역 지도 (1868)에 아키 지방이 강조 표시됨
일본의 행정 구역 지도 (1868)에 아키 지방이 강조 표시됨
기본 정보
이름아키국
일본어 표기ja: 안예국(安藝國)
ja: 안예국(安芸国)
별칭예주(芸州/藝州)
로마자 표기Aki no kuni
가나 표기あきのくに
げいしゅう
한자 표기안예국(安藝國)
안예국(安芸国)
예주(藝州)
예주(芸州)
한글 표기아키국
한국 한자음 표기안예국
소속산요도
위치히로시마현 서부
국력상국
거리원국
8군 63향
국부히로시마현 아키군후추정
국분사히로시마현 히가시히로시마시(아키 국분사터)
국분니사(추정) 히로시마현 히가시히로시마시
이치노미야이쓰쿠시마 신사(히로시마현 하쓰카이치시)
역사
기타

2. 명칭

초기에는 '아키(阿岐)'로 표기되었으며, 이후 '아키(安芸)'로 바뀌었다. 《고사기(古事記)》에는 '아키 국(阿岐国)'으로 기록되어 있다.[1] 스사노오노미코토의 거점은 이즈모국 안라이(현; 산인, 시마네현) 지방으로, 역사적으로 혼동되는 경우가 많았다.[1]

3. 영역

메이지 유신 직전의 영역은 히로시마현히로시마시, 구레시, 다케하라시, 오타케시, 하쓰카이치시, 아키타카타시, 에타지마시, 아키 군, 도요타군 전역 및 미하라시의 일부(대략 와다하마 정, 와다, 소고, 신쿠라, 신쿠라마치, 누마다마치, 고사카마치쿄잔, 구이정 도토리, 구이정 야마노야, 구이정 고바야시, 야마토정 오쿠사, 야마토정 오구, 야마토정 무쿠리, 야마토정 시모쿠사이 이서), 오노미치시의 일부(세토다정 각 정·이노시마 스에정·이노시마하라정), 미요시시의 일부(아키마치·아와야마치), 히가시히로시마시의 대부분(도요사카정 이이다·도요사카정 요시하라 제외), 야마가타군의 대부분(기타히로시마정 니시야하타하라 일부 제외)에 해당한다.

4. 연혁

아키는 옛날에는 아키('''阿岐''')라고 썼다.[1] 7세기경 아키 국(安芸国)이 설치되었다.[1] 헤이안 시대 후기(12세기)에 이쓰쿠시마 신사가 번성하여 다이라노 기요모리의 후원을 받았다. 이쓰쿠시마는 좋은 항구를 가지고 있어 전략적으로 중요한 위치였다.

센고쿠 시대에는 모리 모토나리이쓰쿠시마 전투에서 스에 하루타카를 격파하고 주고쿠 지방의 패권을 장악했다.[2] 모리 가문은 1600년까지 이 지역의 본거지였다. 세키가하라 전투 이전에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그의 아들 도요토미 히데요리를 위해 임명한 오봉 중 한 명인 모리 데루모토이시다 미쓰나리 편에 섰고, 아키와 다른 많은 영지를 잃었다.

후쿠시마 마사노리의 짧은 통치 후, 1619년 아사노 나가아키라가 히로시마 번 다이묘로 임명되어 메이지 유신까지 아사노 가문이 아키 국을 통치했다.[4] 1871년, 폐번치현으로 아키 국은 히로시마 현이 되었다.[1] 이후 몇 차례의 합병을 거쳐 현재의 히로시마 현 영역이 확립되었다.[1]

4. 1. 고대

7세기경, 아키 국조(阿岐国造)의 영역에 아키 국(安芸国)이 설치되었다.[1]고사기(古事記)》에는 아키 국(阿岐国)이라고 기재되어 있다.[1] 쇼무 천황이 각 성(province)마다 국분사(国分寺)와 국분니사(国分尼寺)를 건립하도록 명령했을 때, 아키 국에도 건립되었다. 국분사는 현재의 히가시히로시마시 사이조 정(Saijō)에 건립되었다.[1]

4. 2. 중세

헤이안 시대 후기(12세기)에 이쓰쿠시마 신사가 번성하여 다이라노 기요모리의 후원을 받았다. 이쓰쿠시마는 좋은 항구를 가지고 있어 전략적으로 중요한 위치였다.

센고쿠 시대에는 모리 모토나리이쓰쿠시마 전투에서 스에 하루타카를 격파하고 주고쿠 지방의 패권을 장악했다.[2]

4. 3. 근세

江戸時代일본어에는 아난 군이 아키 군으로, 사사이 군이 사에키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모리 가문은 영지를 잃었고, 후쿠시마 마사노리가 아키 국을 통치했다.[4] 1619년, 아사노 나가아키라가 히로시마 번의 다이묘로 임명되어 메이지 유신까지 아사노 가문이 아키 국을 통치했다.[4]

4. 4. 근대

1871년, 폐번치현(일본어: 廃藩置県, はいはんちけん)으로 아키 국은 히로시마 현이 되었다.[1] 이후 몇 차례의 합병을 거쳐 현재의 히로시마 현 영역이 확립되었다.[1]

5. 주요 시설

아키국의 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


  • 국부(国府): 헤이안 시대에 편찬된 일본명류집초에 따르면 국청은 아키군(安芸郡)에 있었으나,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다. 현재의 아키군 후추정으로 추정되며, 사이조에 있었다는 설도 있다.
  • 국분사(国分寺) 및 국분니사(国分尼寺): 쇼무 천황의 명으로 아키국에 건립된 관영 사찰이다. 국분사는 현재의 히로시마현 사이조시(西条町)에 건립되었다.
  • 신사(神社): 이쓰쿠시마 신사는 아키 국의 일궁(一宮)이자 총본산이었다. 속곡신사는 이궁(二宮), 다케 신사는 총사(総社)였다.



5. 1. 국부(国府)

구 안키국청 터의 다도코로묘진 신사 (히로시마현 후추정)


헤이안 시대에 편찬된 일본명류집초에 따르면 국청은 아키군(安芸郡)에 있었다. 유적은 발견되지 않았고, 정확한 위치는 불명이다. 현재의 아키군 후추정으로 추정된다. 또한, 국분사가 세워진 히로시마시 사이조에 있었다는 설도 있다.[7]

5. 2. 국분사(国分寺) 및 국분니사(国分尼寺)

쇼무 천황이 각 국(国)마다 남성 불교 승려를 위한 사찰과 비구니를 위한 사찰, 두 개의 관영 사찰을 건립하도록 명령함에 따라 아키국에도 두 개의 사찰이 세워졌다. 이 중 국분사는 현재의 히로시마현 사이조시(西条町)에 건립되었다.[1]

  • 안예 국분사(安芸国分寺)


: 히로시마현 히가시히로시마시 사이조정 요시유키.[2]

5. 3. 신사(神社)

이쓰쿠시마 신사는 아키 국의 일궁(一宮)이자 총본산이었다.[6] 속곡신사는 이궁(二宮), 다케 신사는 총사(総社)였다.


6. 지역 구분

아키국에는 다음과 같은 군(郡)이 있었다.

군(郡) 이름
{{lang
{{lang
아키 군
佐伯郡|사에키 군일본어
야마가타군
高宮郡|다카미야 군일본어
高田郡|다카타 군일본어
도요타군 (沙田郡|사타 군일본어)



아키 군은 가마쿠라 시대 이전에 안보쿠군과 아난군으로 분할되었다. 에도 시대에 아난 군을 다시 아키 군으로 고쳤다.

사에키 군은 가마쿠라 시대 이전에 사토군과 사사이군으로 분할되었다. 에도 시대에 사사이 군을 다시 사에키 군으로 고쳤다.

다카미야 군은 가마쿠라 시대 이전에 다카타 군에 합병되어 사라졌다. 에도 시대에 안보쿠 군(安北郡)을 다카미야 군(高宮郡)으로 고쳤으나, 이는 가마쿠라 시대 이전의 다카미야 군과는 다른 지역이다.

6. 1. 군(郡)

沼田郡|누타 군|한국어 발음표기일본어

賀茂郡 (広島県)|가모 군 (히로시마 현)|한국어 발음표기일본어

아키 군

佐伯郡|사에키 군|한국어 발음표기일본어

  • : 가마쿠라 시대 이전에 사토 군과 사사이 군으로 분할. 에도 시대에 사사이 군을 재개칭.


야마가타군

高宮郡|다카미야 군|한국어 발음표기일본어

  • : 가마쿠라 시대 이전에 다카타 군에 합병 소멸. 에도 시대에 안보쿠 군(安北郡)을 개칭한 근세 高宮郡|다카미야 군|일본어과는 영역이 다르다.


高田郡|다카타 군|한국어 발음표기일본어

도요타군 → 沙田郡|사타 군|한국어 발음표기일본어

7. 인물

아키국의 고쿠시로는 닌카이닌세이(忍海人成), 사카가미노 가리타마로(坂上苅田麻呂), 후지와라노 소닌(藤原園人) 등 여러 인물들이 있었다.

가마쿠라 막부무로마치 막부 시대에는 슈고직인 守護|수호일본어가 설치되었다. 가마쿠라 막부 시기에는 다케다 노부미쓰 등이, 무로마치 막부 시기에는 다케다 노부타케 등이 임명되었다.

센고쿠 시대에는 아키 다케다 씨, 모리씨, 요시카와씨, 코바야카와씨 등이 센고쿠 다이묘로서 아키국을 다스렸다.

7. 1. 국사(国司)

이름임관 연도
닌카이닌세이(忍海人成)양로 4년
사카가미노 가리타마로(坂上苅田麻呂)보규 2년[1]
후지와라노 소닌(藤原園人)연력 4년[2]
후지와라노 이세히토(藤原伊勢人)다이도 원년[3]
부젠노오(豊前王)죠와 14년[4]
기노 쓰나오(紀綱雄)카쇼 원년[5]
다치바나노 마나오(橘真直)카쇼 2년[6]
다치바나노 사다네(橘貞根)카쇼 3년[7]
기요하라노 다키오(清原瀧雄)세이헤이 3년
구다라노 야스무네(百済安宗)텐안 2년
야마토노 요시나오(大和吉直)텐안 2년
후지와라노 세키슈(藤原関主)죠간 3년
모토에노오(基兄王)죠간 7년
후지와라노 고세이(藤原興世)죠간 11년
다치바나노 미네모리(橘岑守)죠간 11년
아베노 후미누시(安倍肱主)닌나 2년
반노 다다유키(伴忠行)쇼타이 2년
기노 노부아키(紀宣明)
미나모토노 요리키요(源頼清)쵸겐 4년
미나모토노 아리아키라(源有光)코헤이 5년
다이라노 기요모리(平清盛)큐안 2년
다이라노 쓰네모리(平経盛)호겐 원년
다이라노 요리모리(平頼盛)호겐 원년
미나모토노 스에토(源季遠)
사에키 가게히로(佐伯景弘)주에이 원년


7. 2. 수호(守護)

守護|수호일본어가마쿠라 막부무로마치 막부 시대에 설치된 슈고직이다.

가마쿠라 막부 시기에는 다케다 노부미쓰(1189년 - ?), 소우코우 신(1196년 - 1221년), 다케다 노부미쓰(1231년 - ?), 후지와라 치카자네(1235년 - ?), 다케다 노부토키(1270년 - 1276년), 나고에 소우쵸(1293년 - ?) 등이 임명되었다.

무로마치 막부 시기에는 다케다 노부타케(1335년 ~ 1345년), 다케다 우지노부(1345년 ~ 1368년), 이마가와 사다요시(1371년 ~ 1390년), 호소카와 요리모토(1392년 ~ 1394년), 시부카와 미츠요리(1394년 ~ 1400년), 야마나 미츠우지(1404년 ~ 1406년), 야마나 히로시게(1406년 ~ 1411년), 야마나 노리타카(1418년 ~ 1419년), 야마나 토키히로(1429년 ~ 1433년), 야마나 모치토요(1433년 ~ 1454년), 야마나 노리토요(1454년 ~ ?), 야마나 요리토요(1462년 ~ 1475년), 야마나 마사토요(1475년 ~ ?) 등이 임명되었다.

7. 2. 1. 가마쿠라 막부(鎌倉幕府)


  • 1189년 - ? : 다케다 노부미쓰[1]
  • 1196년[1] - 1221년 : 소우코우 신
  • 1231년 - ? : 다케다 노부미쓰
  • 1235년[2] - ? : 후지와라 치카자네
  • 1270년 - 1276년 : 다케다 노부토키
  • 1293년 - ? : 나고에 소우쵸

7. 2. 2. 무로마치 막부(室町幕府)

재임 기간이름
1335년 ~ 1345년다케다 노부타케(武田信武)
1345년 ~ 1368년다케다 우지노부(武田氏信)
1371년 ~ 1390년이마가와 사다요시(今川貞世)
1392년 ~ 1394년호소카와 요리모토(細川頼元)
1394년 ~ 1400년시부카와 미츠요리(渋川満頼)
1404년 ~ 1406년야마나 미츠우지(山名満氏)
1406년 ~ 1411년야마나 히로시게(山名熙重)
1418년 ~ 1419년야마나 노리타카(山名教孝)
1429년 ~ 1433년야마나 토키히로(山名時熙)
1433년 ~ 1454년야마나 모치토요(山名持豊)
1454년 ~ ?야마나 노리토요(山名教豊)
1462년 ~ 1475년야마나 요리토요(山名是豊)
1475년 ~ ?야마나 마사토요(山名政豊)


7. 3. 센고쿠 다이묘(戦国大名)


  • 아키 다케다 씨
  • 모리씨
  • 요시카와씨
  • 코바야카와씨

8. 전투


  • 1517년: 유다나카이데 전투 - 모리 모토나리 × 다케다 모토시게
  • 1523년: 가가미야마성 전투 - 아마고 쓰네히사·모리 모토나리 × 오우치씨
  • 1540년 - 1541년: 요시다구리야마성 전투 - 모리·오우치 연합군(모리 모토나리, 스에 하루타카) × 아마고 아키히사
  • 1554년: 오시키바타 전투 - 모리 모토나리 × 스에 하루타카(미야가와 후사나가)
  • 1555년: 잇쿠시마 전투 - 모리 모토나리 × 스에 하루타카
  • 1866년: 아키지구치 전투(정주정벌) - 정주번 × 에도막부

참조

[1] 문서 null null
[2] 문서 null null
[3] 문서 null null
[4] 문서 null null
[5] 서적 ''Jap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null 2005
[6] 웹사이트 Nationwide List of Ichinomiya http://eos.kokugakui[...] 2012-11-20
[7] 서적 広島県の歴史 山川出版社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