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토스산의 아타나시오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토스산의 아타나시오스는 10세기 비잔틴 제국의 수도승으로, 본래 이름은 아브라함이었다.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교육받고 설교가로 활동하다가 수도 생활의 느슨함에 실망하여 아토스산으로 이주했다. 그곳에서 그는 대 라브라 수도원을 설립하고, 기존 수도 단지들을 통합하려 했으나 은수자들의 반대에 부딪혔다. 니키포로스 2세 황제 사후, 반대파의 영향으로 키프로스로 피신했지만, 요안니스 1세 치미스키스 황제의 지원을 받아 아토스로 돌아와 수도원장으로 활동했다. 그는 사고로 사망했으며, 사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그의 축일은 7월 5일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세기 기독교 신학자 - 성 시메온 신 신학자
- 중세의 신학자 - 요하네스 페캄
요하네스 페캄은 13세기 영국의 프란체스코회 수도사이자 철학자, 신학자, 캔터베리 대주교로서, 파리 및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교수로 활동하며 교회 개혁을 추진하고 에드워드 1세의 외교 사절로도 활동했으며, 철학과 성경 주석 외에도 시각 연구와 시에 재능을 보였다. - 중세의 신학자 - 안셀무스 칸투아리엔시스
안셀무스 칸투아리엔시스는 '이해하기 위하여 나는 믿는다'는 신념으로 신앙과 이성의 조화를 추구한 중세 스콜라 철학의 선구자이자 신학자, 철학자로서, 르 벡 수도원 원장과 캔터베리 대주교를 역임하며 주요 저서를 남겼고 잉글랜드 국왕과의 서임권 투쟁에서 교회의 독립을 옹호했다. - 폰토스의 역사 - 폰토스 왕국
흑해 연안 아나톨리아 북부에 위치한 폰토스 왕국은 미트리다테스 1세 크티스테스에 의해 건국되어 그리스와 페르시아 문화가 혼합된 문화를 이루었으나, 미트리다테스 6세 시대 이후 로마와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쇠퇴하였다. - 폰토스의 역사 - 마르키온
마르키온은 2세기 초 기독교 사상가로, 구약과 신약의 신을 구분하고 예수의 가현설을 주장하며 최초로 성경 정경을 편찬하려 했으나 이단으로 배척받았고, 초기 기독교 정경 형성에 영향을 주었으며 현대 신학에서 재조명되고 있다.
아토스산의 아타나시오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접두사 | 성인 |
이름 | 아토스의 아타나시오스 |
출생일 | 920년경 |
사망일 | 1003년경 |
기념일 | 7월 5일 |
공경하는 교회 | 동방 정교회 가톨릭교회 |
출생지 | 트라브존, 비잔티움 제국 (현재의 트라브존, 튀르키예) |
사망지 | 아토스산, 그리스 |
주요 성지 | 메기스티스 라브라 수도원, 아토스산 |
다른 이름 | 아토스의 아파나시 |
정보 | |
직업 | 비잔틴 수도사 |
2. 생애
트라페준타에서 태어나 미하일 말레이노스에 의해 후원받은, 그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공부했으며 거기서 미하일의 조카 니키포로스 포카스와 함께 대단한 영향력을 지닌 열렬한 설교가 아브라함으로 유명해졌다.[4] 니키포로스 포카스가 제국의 왕좌에 오를 때 즈음에, 아브라함은 수도에서 수사의 삶의 느슨한 도덕관에 불편함을 느꼈고, 그의 이름을 아타나시오스로 바꾸고 비티니아의 키미나스산의 수사로 들어갔다. 958년에, 그는 아토스산으로 이동했다.[4]
거기서 그는 사라센에 대항하여 은수자들이나 수도 단지들의 방어를 도왔고, 또한 이미 있던 수도 단지들을 니키포로스의 재정적인 원조로 건설될, 대 라브라로 알려지게 될 수도원으로의 통합을 시작했다. 그 수도원은 963년에 봉헌되었다.[4] 그 곳은 지금도 여전히 사용되며, 그 지역 사람들에게는 종종 간단히 "라브라" 또는 "수도원" 지역으로 언급된다. 수도원이 건립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곧이어 세 곳의 다른 수도원들의 건립이 뒤따랐다. 그 세 곳의 수도원들은 현재까지 남아있다. 아타나시오스는 그의 수도원 설립에 있어서 이미 있던 은수자들의 적지 않은 반대에 부딪혔다. 그들은 그의 침범과 먼저 있던 은수자들의 삶에 규칙과 규율을 들여오는 그의 시도에 분개했다.
니키포로스가 서거함으로, 아타나시오스의 적들이 우세하게 되었고, 그는 아토스를 떠나, 키프로스로 가야 했고, 거기서 새로운 황제가 등극할 때까지 살았다. 황제 요안니스 치미스키스는, 대 라브라의 후원을 재개했고, 971년에 그 수도원에 첫 번째 헌장을 수여했다. 오늘날 카리에스의 프로타톤에 보관되어 있는 이 헌장은 염소 가죽 양피지에 쓰여졌기 때문에 '트라고스'(염소)라고도 불린다.[2] 아타나시오스는 영적인 통찰로 감명을 받아, 한 때 아토스로 돌아와서 헤구멘(수도원장)이 되었고, 데오도레 스투디테와 성 대 바실리오스에 의해 편찬된 저서들의 기반이 된 케노비테들을 위한 티피콘을 소개했다.
그는 사고로 사망했는데, 성당 큐폴라가 붕괴될 때, 떨어진 석조물에 깔려 죽었다.[4] 아타나시오스가 죽자마자, 그는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그의 축일은 7월 5일이다.[4]
2. 1. 초기 생애와 교육
트라페준타에서 태어난 아타나시오스는 수도사가 되기 전 이름은 아브라암(Αβραάμel[4])이었다. 미하일 말레이노스의 후원을 받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교육을 받았고, 그곳에서 미하일의 조카 니키포로스 포카스와 함께 대단한 영향력을 지닌 열렬한 설교가로 명성을 얻었다.[2] 포카스가 제위에 오를 무렵, 아브라함은 수도 생활의 느슨한 도덕관에 불편함을 느껴 이름을 아타나시오스로 바꾸고 비티니아의 키미나스 산의 수도승들과 합류했다. 958년에는 아토스산으로 거처를 옮겼다.[2]2. 2. 수도 생활
트라페준타에서 태어나 미하일 말레이노스의 후원을 받은 아타나시오스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공부했으며, 미하일의 조카 니키포로스 포카스와 함께 대단한 영향력을 지닌 열렬한 설교가 아브라함으로 유명해졌다.[4] 니키포로스 포카스가 제위에 오를 때 즈음에, 아브라함은 수도 생활의 느슨한 도덕관에 불편함을 느껴, 그의 이름을 아타나시오스로 바꾸고 비티니아의 키미나스산의 수사로 들어갔다. 958년에, 그는 아토스산으로 이동했다.[4]아타나시오스는 그곳에서 은수자들이나 수도 단지들을 사라센으로부터 방어하는 것을 도왔고, 니키포로스 2세의 재정적 원조를 받아 대 라브라를 건설하고 이미 있던 수도 단지들을 통합하기 시작했다.[4] 이 수도원은 963년에 봉헌되었으며[4]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되며, 그 지역 사람들에게는 종종 간단히 "라브라" 또는 "수도원" 지역으로 언급된다. 수도원이 건립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곧이어 세 곳의 다른 수도원들의 건립이 뒤따랐으며 이 세 곳의 수도원들은 현재까지 남아있다. 그러나 아타나시오스는 그의 수도원 설립에 있어서 이미 있던 은수자들의 적지 않은 반대에 부딪혔다. 그들은 그의 침범과 먼저 있던 은수자들의 삶에 규칙과 규율을 들여오는 그의 시도에 분개했다.
니키포로스 2세가 죽자, 아타나시오스의 적들이 우세하게 되었고, 그는 아토스를 떠나 키프로스로 가야 했다. 그는 새로운 황제 요안니스 치미스키스가 대 라브라의 후원을 재개하고 971년에 그 수도원에 첫 번째 헌장을 수여할 때까지 그곳에서 살았다. 아타나시오스는 영적인 통찰로 감명을 받아, 한 때 아토스로 돌아와서 헤구멘(수도원장)이 되었고, 데오도레 스투디테와 성 대 바실리오스에 의해 편찬된 저서들의 기반이 된 케노비테들을 위한 티피콘을 소개했다.
그는 사고로 사망했는데, 성당 큐폴라가 붕괴될 때, 떨어진 석조물에 깔려 죽었다.[4] 아타나시오스가 죽자마자, 그는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그의 축일은 7월 5일이다.[4]
2. 3. 대 라브라 수도원 설립
트라페준타에서 태어난 아타나시오스는 미하일 말레이노스의 후원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공부했으며, 미하일의 조카 니키포로스 포카스와 함께 영향력 있는 설교가로 명성을 얻었다.[4] 수도 생활의 느슨함에 불편함을 느낀 그는 이름을 아타나시오스로 바꾸고 비티니아의 키미나스산의 수사로 들어갔다가 958년에 아토스산으로 이동했다.[4]그는 사라센에 대항하여 은수자들이나 수도 단지들의 방어를 도왔고, 니키포로스 2세의 재정적 원조로 기존 수도 단지들을 대 라브라로 통합하기 시작했다.[4] 963년에 봉헌된 대 라브라는 현재도 사용되며, 지역 사람들에게는 종종 "라브라" 또는 "수도원"으로 불린다. 이후 세 곳의 다른 수도원들이 건립되어 현재까지 남아있다. 그러나 아타나시오스는 이미 있던 은수자들의 반대에 부딪혔는데, 그들은 그의 침범과 규칙, 규율 도입 시도에 분개했다.
니키포로스가 서거하자 아타나시오스의 적들이 우세하게 되었고, 그는 아토스를 떠나 키프로스로 갔다. 요안니스 치미스키스 황제는 대 라브라의 후원을 재개했고, 971년에 수도원에 첫 번째 헌장을 수여했다. 이 헌장은 염소 가죽 양피지에 쓰여졌기 때문에 '트라고스'(염소)라고도 불린다.[2] 아타나시오스는 영적인 통찰로 감명을 받아 아토스로 돌아와서 헤구멘(수도원장)이 되었고, 데오도레 스투디테와 성 대 바실리오스에 의해 편찬된 저서들의 기반이 된 케노비테들을 위한 티피콘을 소개했다.
2. 4. 은수자들의 반발과 극복
트라페준타에서 태어난 아타나시오스는 미하일 말레이노스의 후원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공부했으며, 아브라함이라는 이름으로 유력한 설교가가 되었다.[4] 니키포로스 포카스가 황제가 되자, 수도 생활의 느슨함에 불편함을 느낀 그는 아타나시오스로 개명하고 비티니아 키미나스산의 수사가 되었다가 958년에 아토스산으로 이동했다.그는 사라센에 대항하여 은수자들의 방어를 도왔고, 니키포로스 2세의 재정적 원조로 대 라브라를 건설하여 기존 수도 단지들을 통합하기 시작했다. 963년 봉헌된 이 수도원은 현재도 사용되며, 지역 주민들은 "라브라" 또는 "수도원"으로 부른다. 이후 세 곳의 수도원들이 추가로 건립되어 현재까지 남아있다. 그러나 기존 은수자들은 아타나시오스의 침범과 규칙 도입에 분개하며 반발했다.
니키포로스 2세가 사망하자 아타나시오스의 반대파들이 우세해졌고, 그는 키프로스로 피신했다. 요안니스 1세 치미스키스는 대 라브라 후원을 재개하고 971년(972년[2])에 수도원 헌장을 수여했다. 아타나시오스는 헤구멘(수도원장)으로 아토스에 돌아와 데오도레 스투디테와 성 대 바실리오스의 저서를 기반으로 케노비테들을 위한 티피콘을 소개했다.
그는 성당 큐폴라 붕괴 사고로 사망했으며, 사후 곧바로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그의 축일은 7월 5일이다.
2. 5. 요안니스 1세의 지원과 티피콘 제정
트라페준타에서 태어난 아타나시오스는 미하일 말레이노스의 후원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공부했으며, 미하일의 조카 니키포로스 포카스와 함께 영향력 있는 설교가로 명성을 얻었다. 수도사가 되기 전 그의 이름은 아브라함(Αβραάμel[4])이었다. 니키포로스 2세가 제위에 오를 무렵, 아브라함은 수도 생활의 느슨함에 불편함을 느껴 아타나시오스로 개명하고 비티니아의 키미나스산의 수도사로 들어갔으며, 958년에는 아토스산으로 이동했다.아타나시오스는 아토스산에서 은수자들과 수도 단지들을 사라센으로부터 방어하는 것을 도왔고, 니키포로스 2세의 재정적 지원을 받아 기존의 수도 단지들을 대 라브라로 통합하기 시작했다. 963년에 봉헌된 대 라브라는 현재까지도 사용되며, 지역 주민들에게는 "라브라" 또는 "수도원"으로 불린다. 대 라브라 외에도 세 곳의 다른 수도원들이 건립되어 현재까지 남아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도원 설립은 기존 은수자들의 반대에 부딪혔는데, 그들은 아타나시오스의 개입과 수도 생활에 규칙과 규율을 도입하려는 시도에 분개했다.
니키포로스 2세가 사망하자 아타나시오스의 적들이 우세해졌고, 그는 아토스를 떠나 키프로스로 갔다. 요안니스 1세 치미스키스는 대 라브라에 대한 후원을 재개하고 971년에 수도원에 첫 번째 헌장을 수여했다. 오늘날 카리에스의 프로타톤에 보관되어 있는 이 헌장은 염소 가죽 양피지에 쓰여졌기 때문에 '트라고스'(염소)라고도 불린다.[2] 아타나시오스는 영적인 통찰로 감명을 받아 아토스로 돌아와 헤구멘(수도원장)이 되었고, 데오도레 스투디테와 성 대 바실리오스의 저서를 기반으로 케노비테들을 위한 티피콘을 소개했다.
2. 6. 죽음과 시성
그는 사고로 사망했는데, 성당 큐폴라가 붕괴될 때, 떨어진 석조물에 깔려 죽었다.[4] 아타나시오스가 죽자마자, 그는 성인으로 시성되었다.[2] 그의 축일은 7월 5일이다.3. 유적
성 아타나시오스 다리/Светиатанасов мостbg ()는 대 라브라 수도원의 주요 건물에서 약 5~6km 떨어진 역사적인 다리이다. 이 다리의 건설은 전통적으로 아토스산의 아타나시오스에게 귀속된다.
4. 성인전
참조
[1]
서적
Βιογραφικό Λεξικό της Βυζαντινής Αυτοκρατορίας
Ελληνική Ευρωεκοδοτική
1993
[2]
서적
Mount Athos: renewal in paradise
Denise Harvey
2014
[3]
서적
Holy Men of Mount Athos
Harvard University Press
2016
[4]
문서
アヴラアム…アブラハムの現代ギリシャ語表記・転写。古典ギリシャ語再構 (言語学)|再建音ではアブラア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