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틀란테 FC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틀란테 FC는 1916년 창단된 멕시코의 축구 클럽으로, 1946-47 시즌에 첫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1983년에는 CONCACAF 챔피언스컵에서 우승했으며, 1992-93 시즌에는 두 번째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2007년 칸쿤으로 연고지를 이전한 후 세 번째 리그 우승을 차지했고, 2008-09 시즌에는 CONCACAF 챔피언스 리그에서 우승하여 FIFA 클럽 월드컵에 참가하여 4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캉쿤의 스포츠 - 티그레스 데 킨타나로오
    티그레스 데 킨타나로오는 1955년 창단되어 멕시칸 리그에서 활동하며, 12번의 리그 우승을 기록하고 마티아스 카리요 등 명예의 전당 헌액자를 배출한 멕시코 프로 야구팀이다.
  • 리가 데 엑스판시온 MX 구단 - 도라도 데 시날로아
    도라도스 데 시날로아는 2003년 창단되어 리가 MX로 승격한 적도 있으나 현재는 멕시코 2부 리그에 속해 있으며, 디에고 마라도나가 감독을 맡았던 팀이자 클루브 레온과 라이벌 관계인 멕시코 축구 클럽이다.
  • 리가 데 엑스판시온 MX 구단 - 아틀레티코 모렐리아
    아틀레티코 모렐리아는 1924년 창단되어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1996년 TV 아즈테카에 인수된 후 2000년 인비에르노 리그에서 우승했으며, 2020년 연고지 이전 후 재창단되었다.
  • 1916년 설립된 축구단 - 클루브 아메리카
    클루브 아메리카는 1916년에 창단된 멕시코의 프로 축구 클럽으로, 멕시코시티를 연고지로 에스타디오 아스테카를 홈 구장으로 사용하며, 멕시코 축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팀이다.
  • 1916년 설립된 축구단 - RCD 마요르카
    RCD 마요르카는 발레아레스 제도 팔마데마요르카를 연고로 하는 스페인 프로 축구 클럽으로, 코파 델 레이와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에서 각 1회 우승했으며 UEFA 컵 위너스 컵 준우승을 기록했고, 비지트 마요르카 스타디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아틀란테 FC
기본 정보
아틀란테 FC 2022 로고
아틀란테 FC 2022 로고
풀네임Atlante Fútbol Club S.A. de C.V.
별칭Los Potros de Hierro (철 망아지)
Los Azulgranas (파란색과 석류색)
El Equipo del Pueblo (국민의 팀)
los Prietitos
창단일1916년 4월 18일 (Sinaloa)
홈 경기장에스타디오 아구스틴 "코루코" 디아스, 사카테페크, 멕시코
수용 인원24,313명
구단주에밀리오 에스칼란테
회장호르헤 산티야나
감독미겔 데 헤수스 푸엔테스
리그리가 데 익스판시온 MX
시즌아페르투라 2024
최종 순위정규 시즌: 1위
플레이오프: 준결승 진출
웹사이트아틀란테 푸트볼 공식 웹사이트
유니폼 정보
홈 유니폼 색상파란색
원정 유니폼 색상흰색, 빨간색
세 번째 유니폼 색상검은색

2. 역사

1946-47 시즌에 리그 첫 우승을 차지했다. 1983년에는 CONCACAF 챔피언스컵에서 우승하며 첫 국제 타이틀을 획득했다. 1992-93 시즌에는 리카르도 라 볼페 감독의 지휘 아래 몬테레이를 꺾고 두 번째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2007년 5월 14일, 관중 감소로 인해 멕시코 시티에서 카리브해 연안의 휴양지 칸쿤으로 연고지를 이전했다. 2007 전기 리그에서는 예선 라운드를 2위로 통과했고, 결승 라운드에서는 크루스 아술, CD 과달라하라, UNAM 푸마스를 꺾고 세 번째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2008-09 시즌에 CONCACAF 챔피언스 리그에서 우승했고, 2009년 12월의 FIFA 클럽 월드컵에 출전했다. 첫 경기인 8강전에서 오세아니아 대표 오클랜드 시티 FC에 3-0으로 승리했지만, 준결승에서 FC 바르셀로나에 1-3으로 패했다.

2. 1. 창단 초기 (1916-1940년대)

아틀란테는 1916년 4월 18일, 레푸히오 "엘 바케로" 마르티네스를 필두로 한 젊은 멕시코 축구 열성가 그룹에 의해 시날로아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었다. 멕시코 시티의 ''라 콘데사'' 지역에서 경기를 시작한 아틀란테는 이후 루시타니아와 U-53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레푸히오 마르티네스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대서양에서 벌어진 전투를 따서 아틀란테라는 이름을 제안했다.

1920년대에는 마누엘 "차케타스" 로사스, 펠리페 "디엔테" 로사스, 후안 "엘 트롬포" 카레뇨 등의 선수들이 활약하며 노동 계층을 중심으로 인기를 얻었고, "엘 에키포 델 푸에블로" (국민의 팀)라는 별명을 얻었다. 후안 카레뇨는 1928년 암스테르담 올림픽에서 멕시코의 올림픽 첫 골을 기록했고, 1930년 우루과이 월드컵 개막전에서 프랑스를 상대로 멕시코의 FIFA 월드컵 첫 골을 기록했다.

멕시코 축구 연맹은 아틀란테의 인기가 높았음에도 리가 마요르 참가를 허용하지 않았다. 아틀란테는 톨루카아메리카를 상대로 각각 7-2, 2-1로 승리하며 리그에 합류했다. 아틀란테는 네칵사와 라이벌 관계를 형성했고, 두 팀의 경기는 멕시코 축구 역사상 최초의 클래식이 되었다. 1931-32 시즌에는 승점까지 동률을 이루는 접전을 펼쳤다.

1929년 아틀란테는 헝가리의 사바리아를 3-1로 꺾었고, 1930년에는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스포르티보를 2-1, 3-2로 두 번 꺾었다. 1931년에는 우루과이의 벨라 비스타를 3-2로 꺾었는데, 벨라 비스타에는 1930년 월드컵 우승 멤버 3명이 포함되어 있었다.

1940년대에 아틀란테의 오라시오 카사린은 뛰어난 기량으로 멕시코 국가대표팀의 주요 선수로 자리 잡았다. 아틀란테는 멕시코 영화 황금기에 여러 영화에 묘사되며 인기가 더욱 높아졌고, 오라시오 카사린과 마르티 벤트롤라는 이 영화들에 출연하기도 했다.

2. 2. 프로 리그 참가와 첫 우승 (1940년대-1970년대)

1943년, 멕시코 연맹은 멕시코 시티의 프리메라 푸에르사 소속 6개 클럽, 리가 오시덴탈(서부 리그) 소속 2개 클럽, 리가 베라크루사나(베라크루스 리그) 소속 2개 클럽과 함께 프로 리그를 창설했으며, 아틀란테는 멕시코 시티의 6개 클럽 중 하나였다. 이들은 모두 오늘날 멕시코 프리메라 디비시온으로 알려진 리그를 구성했다.

4번의 토너먼트 이후, 구단주 호세 마누엘 누녜스 장군(전 대통령 라사로 카르데나스가 직접 팀을 관리하도록 요청한 퇴역 군인)과 뛰어난 선수 오라시오 카사린의 도움을 받아, 팀은 1946–47 시즌에 첫 번째 챔피언십을 획득했다. 레온과의 결승전에는 48,622명의 관중이 참석했으며, 현 대통령 미겔 알레만 발데스도 포함되었다. 그 전에 1945년 팀은 30경기에서 121골을 기록하며 한 시즌 최다 골에 대한 라틴 아메리카 기록을 세웠다(경기당 4골 이상). 아틀란테는 또한 1941–42 시즌에 챔피언 오브 챔피언스 컵(''수퍼컵'' 방식의 챔피언십)에서 우승한 최초의 멕시코 팀이 되었다.

첫 번째 타이틀 이후, 다른 여러 팀들이 챔피언십을 지배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틀란테는 강력한 라이벌이자 여전히 노동자 계급에게 인기 있는 팀으로 남아 있었으며, 1950년대 초에는 준우승, 멕시코 컵, 챔피언 오브 챔피언스 타이틀을 획득했다. 1966년, 호세 마누엘 누녜스 장군은 페르난도 곤잘레스, "페르난돈"에게 팀을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팀 매각 이후 형편없는 경기력과 불안정한 시즌이 이어졌고, 결국 아틀란테는 1976년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강등되었다.

2. 3. IMSS 시대와 부활 (1970년대-1990년대 초)

아틀란테 FC는 1977-78 시즌에 프리메라 디비시온으로 복귀했다. 1978년 10월, 멕시코 사회 보장 연구소(IMSS)는 팀을 인수하여 전국적인 축구 클럽으로 만들고자 했다. 정부 기관의 지원을 받아, 카비뇨등 스타 선수들을 영입하며, 카비뇨는 1980년부터 1982년까지 아틀란테에서 세번이나 챔피언 스트라이커가 되었다. 1981-82 시즌 결승전에서 티그레스 UANL에게 승부차기 끝에 준우승을 하였다. 1983년에는 CONCACAF 챔피언스컵에서 수리남의 ''로빈후드''를 꺾고 첫 대륙 타이틀을 획득했다.

정부 기관인 멕시코 연방구(DDF)가 팀 관리를 맡았지만,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에스타디오 아스테카를 떠나 에스타디오 아술로 홈 구장을 이전해야 했다.

1989년, DDF는 팀을 스포츠 용품 회사 Garcis의 소유주인 호세 안토니오 가르시아에게 매각했다. 케레타로의 에스타디오 코레히도라에서 실패한 캠페인 이후, 팀은 다시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강등되었다.

2. 4. 두 번째 우승과 침체기 (1990년대-2000년대 초)

1991년, 아틀란테는 파추카와의 세군다 디비시온 챔피언십 결승전에서 연장전, 승부차기, 서든데스까지 가는 접전 끝에 골키퍼 펠릭스 페르난데스의 활약으로 9-8로 승리하며 프리메라 디비시온으로 복귀했다.

리카르도 라 볼페 감독이 이끈 1992-93 시즌, 아틀란테는 몬테레이를 꺾고 45년 만에 두 번째 멕시코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을 차지했다. 이 우승으로 CONCACAF 챔피언스컵에 진출했지만, 결승전에서 코스타리카의 카르타지네스에 패했다. 우승 주역으로는 펠릭스 페르난데스, 미겔 에레라, 호세 과달루페 크루스, 레네 이시도로 가르시아, 윌슨 그라네올라티, 기예르모 칸투, 루이스 미겔 살바도르 등이 있었다.

이후 그룹 텔레비사에 인수된 아틀란테는 에스타디오 아스테카로 연고지를 옮기고, 우고 산체스, 호르헤 캄포스, 루이스 가르시아 등 스타 선수들을 영입했다. 미겔 메히아 바론 감독 부임 후, 1996년 인비에르노 시즌에는 리그 1위를 기록하기도 했지만, 베라노 1997 플레이오프에서 토로스 네자에 2-9로 대패하는 등 잦은 감독 교체와 부진으로 침체기를 겪었다.

2001년, 마누엘 라푸엔테 감독의 지휘 아래 강등 위기에서 벗어났고, 멕시코 축구 연맹의 리그 확장 정책 덕분에 베라크루스와의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프리메라 디비전에 잔류했다. 하지만, 팬들의 외면으로 홈 경기 관중은 계속 감소했다.

2. 5. 칸쿤 이전과 세 번째 우승 (2007-2010)

2007년 5월 14일, 아틀란테는 홈 경기 관중 부족으로 인해 에스타디오 아즈테카를 떠나 킨타나로오 주 칸쿤의 에스타디오 안드레스 킨타나로오로 연고지를 이전했다. 칸쿤 이전 후 첫 시즌인 2007년 아페르투라에서 크루스 아술, 과달라하라와의 플레이오프를 거쳐 결승에서 푸마스 UNAM을 꺾고 세 번째 멕시코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을 차지했다. 이 때, 골키퍼 페데리코 빌라르, 잔카를로 말도나도, 가브리엘 페레이라, 하비에르 무뇨스, 호세 호엘 "엘 치차로" 곤잘레스, 클레멘테 오발레 등이 활약했다.

아페르투라 2007 우승으로 2008 CONCACAF 챔피언스컵에 진출했으나 8강에서 코스타리카의 데포르티보 사프리사에게 패했다. 2008 슈퍼리가에서는 준결승에서 뉴잉글랜드 레볼루션에 패했다. 2008-09 시즌에는 CONCACAF 챔피언스리그 결승에서 크루스 아술을 2-0으로 꺾고 우승하여,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서 열린 2009 FIFA 클럽 월드컵 출전 자격을 얻었다.

2. 6. 국제 무대 활약 (2009-2010)

아틀란테 FC는 2009년 FIFA 클럽 월드컵에서 4위를 기록했다. 8강에서 오클랜드 시티를 3-0으로 꺾었으나, 준결승에서 바르셀로나에 1-3으로 패했다. 이 경기에는 라파엘 마르케스 알바레스(바르셀로나)와 라파엘 마르케스 루고(아틀란테) 두 명의 멕시코 선수와 유니폼 색깔이 같은 두 팀이 참여하여 흥미를 끌었다. FIFA는 바르셀로나가 파란색과 빨간색 줄무늬 유니폼을 입도록 결정했다. 3위 결정전에서는 포항 스틸러스에게 승부차기에서 패하며 최종 4위로 대회를 마감했다.

FIFA 클럽 월드컵과 함께 아틀란테는 셀틱을 대신하여 스페인 안달루시아에서 열린 피스컵에 초청받아 말라가애스턴 빌라를 상대했다. 아틀란테는 결국 우승팀인 애스턴 빌라에 단 한 골 차로 패해 조기에 탈락했다.

아틀란테는 팀을 강화하기 위해 산티아고 솔라리를 영입했다. 그는 1995년 우고 산체스 영입 이후 마지막 주요 선수였으며, 그제고시 라토, 루벤 "라톤" 아얄라, 리카르도 라볼페, 카빈요, 미오드라그 벨로데디치, 일리에 둠이트레스쿠, 파우스티노 아스프리야와 같은 클럽에서 활약한 주요 국제 선수들의 그룹에 합류했다.

2. 7. 멕시코시티 복귀와 현재 (2020-현재)

3. 경기장

4. 우승 기록

4. 1. 국내 대회

아틀란테 FC는 국내 대회에서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했다. 멕시코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는 1946-47, 1992-93, 그리고 2007 아페르투라에서 우승을 차지하였고, 준우승은 4회 (1945-1946, 1949-1950, 1950-1951, 1981-1982) 기록했다. 리가 데 엑스판시온 MX에서는 2021 아페르투라, 2022 아페르투라, 2024 클라우수라에서 우승했다. 멕시코 세군다 디비시온에서는 1976-77, 1990-91 시즌에 우승했다.

코파 멕시코에서는 1941-42, 1950-51, 1951-52 시즌에 우승컵을 들어 올렸고, 준우승은 4회 (1943-1944, 1945-1946, 1948-1949, 1962-1963) 기록했다. 캄페온 데 캄페오네스에서는 1941-42, 1951-52 시즌에 우승했고, 준우승은 2회 (1946-1947, 1950-1951) 기록했다. 멕시코 국립 아마추어 리그에서는 1931-32, 1940-41 시즌에 우승했다.

4. 2. 국제 대회

아틀란테 FC는 CONCACAF 챔피언스리그에서 1983년, 2008-09 시즌에 우승을 차지했다. 1994년 대회에서는 결승에 진출했으나 카르타히네스에 패하며 준우승을 기록했다.

시즌대회라운드클럽원정합계
1983CONCACAF 챔피언스컵1라운드 코무니카시오네스2–02–24–2
2라운드 뉴욕 판키프리안-프리덤스3–21–14–3
3라운드 수치테페케스6–02–28–2
결승 로빈후드5–01–16–1
1994CONCACAF 챔피언스컵1라운드 피르포2–14–16–2
2라운드 에레디아노3–13–36–4
준결승 알리안자2–1
결승 카르타히네스2–3
2008CONCACAF 챔피언스컵8강 사프리사2–10–32–4
슈퍼리가A조 휴스턴 다이너모0–42위
D.C. 유나이티드3–2
과달라하라2–0
준결승 뉴잉글랜드 레볼루션0–1
2009CONCACAF 챔피언스 리그C조 올림피아1–01–11위
몬트리올 임팩트2–10–0
조 퍼블릭2–00–1
8강 휴스턴 다이너모3–01–14–1
준결승 산토스 라구나3–11–24–3
결승 크루스 아술0–02–02–0
2009년 FIFA 클럽 월드컵8강 오클랜드 시티3–0
준결승 바르셀로나1–3
3위 결정전 포항 스틸러스1–1 (3–4 )



2009년 FIFA 클럽 월드컵에서는 8강에서 오클랜드 시티를 3-0으로 꺾었으나, 준결승에서 바르셀로나에 1-3으로 패했다. 3위 결정전에서는 포항 스틸러스와 1-1로 비긴 뒤 승부차기에서 3-4로 패하며 4위를 기록했다.

5. 선수

5.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7월 26일 기준)

참고: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소속된 국가대표팀 국기를 표시합니다. 선수는 복수의 FIFA 비회원국 국적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번호포지션이름국적
28DF엘비스브라질
31GK니콜라스 알레한드로 포라스티에로아르헨티나
35MF아드리안 산체스미국
2DF프란시스코 레예스멕시코
3DF디에고 크루스멕시코
4DF카를로스 비야누에바멕시코
5MF하디 메사멕시코
6MF파울 갈반멕시코
7MF에드손 파르티다멕시코
8MF호날두 곤살레스멕시코
9FW블라디미르 모라그레가멕시코
10MF페르난도 나바로멕시코
11FW안헬 사야고아르헨티나
13MF막시밀리아노 가르시아멕시코
14FW카를로스 안드라데멕시코
15MF에릭 칸투멕시코
16MF데이본 마가냐멕시코
17MF레오나르도 메히아멕시코
18MF크리스티안 베르무데스멕시코
19DF페드로 마르티네스 (파추카에서 임대)멕시코
20GK움베르토 에르난데스멕시코
21MF하비에르 이바라멕시코
22FW아르투로 산체스멕시코
23MF카를로 안드라데멕시코
24DF호르헤 산티야나멕시코
25DF호사파트 폰세카멕시코
26GK벨트란 에르난데스멕시코
27DF아르만도 에스코바르멕시코
29MF로드리고 데 디오스멕시코
30DF에밀리아노 에스피노사멕시코
32GK알프레도 카바냐스멕시코
33MF파벨 가르시아멕시코
34MF에드가르 히메네스멕시코
36DF악셀 산체스멕시코
37DF베네딧 벨로멕시코
38MF제퍼슨 테노리오콜롬비아



2024년 7월 26일 갱신[5]

5. 2. 역대 주요 선수

펠릭스 페르난데스는 1989년부터 1998년, 1999년부터 2001년, 그리고 2002년부터 2003년까지 아틀란테 FC에서 골키퍼로 활약했다. 12번은 펠릭스 페르난데스의 영구 결번이다.

디오니시오 "니초" 메히아(Dionisio Mejía)1927–28
후안 카레뇨(Juan Carreño)1931–32
알베르토 "카바요" 멘도사(Alberto "Caballo" Mendoza)1939–40
마르티 벤톨라(Martí Ventolrà)1941–42
베르나르도 "마놀레테" 에르난데스(Bernardo "Manolete" Hernández)1967–68
카비뇨(Evanivaldo Castro)1979–80
카비뇨(Evanivaldo Castro)1980–81
카비뇨(Evanivaldo Castro)1981–82
루이스 가르시아(Luis García)1997 인비에르노
루이스 가브리엘 레이(Luis Gabriel Rey)2003 아페르투라
요한 파노(Johan Fano)2010 비센테나리오
에스테반 파레데스(Esteban Paredes)2012 아페르투라
잔카를로 말도나도(Giancarlo Maldonado)2014 아페르투라
카를로스 가르세스(Carlos Garcés)2015 아페르투라



루이스 가르시아 포스티고는 1997년에 아틀란테 FC에서 뛰었다. 루이스 가브리엘 레이는 2003년부터 2004년, 2008년부터 2009년까지 아틀란테 FC 소속이었다. 그레고리오 블라스코는 1946년부터 1947년까지, 호르헤 캄포스는 1995년부터 1996년까지 아틀란테 FC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페데리코 비야르는 2003년부터 2010년까지, 하비에르 아기레는 1984년부터 1986년까지 아틀란테 FC 선수였다. 자지송은 2005년에, 파비안 에스타이는 2001년부터 2003년까지 아틀란테 FC에서 활동했다. 산티아고 솔라리는 2009년부터 2010년까지, 레이먼드 만코는 2011년에 아틀란테 FC 소속이었다. 호안 카레뇨는 1927년부터 1933년, 1934년부터 1940년까지 아틀란테 FC에서 뛰었다. 루벤 아얄라는 1980년부터 1984년까지, 우고 산체스는 1994년부터 1995년까지 아틀란테 FC 선수였다. 알베르토 루이스 데 소우자는 1997년에, 안토니오 카를로스 산토스는 1999년에 아틀란테 FC에서 활동했다. 파우스티노 아스프리야는 2001년부터 2002년까지 아틀란테 FC 소속이었다.

6. 역대 감독

감독임기
리카르도 라 볼페/리카르도 라볼페es1988 ~ 1989
리카르도 라 볼페/리카르도 라볼페es1991 ~ 1996
하비에르 아기레/하비에르 아기레es1995 ~ 1996
미겔 에레라/미겔 에레라es2002 ~ 2004
미겔 에레라/미겔 에레라es2010 ~ 2011
리카르도 라 볼페/리카르도 라볼페es2012 ~ 2013
호세 과달루페 크루스/호세 과달루페 크루스es2004년 7월 1일–2005년 9월 18일
호세 과달루페 크루스/호세 과달루페 크루스es2007년 1월 1일–2010년 6월 30일
아르파드 페케테hu1978–79
오라시오 카사린/오라시오 카사린es1981–84
후안 카를로스 로렌소/후안 카를로스 로렌소es1982, 1983
이그나시오 트렐레스/이그나시오 트렐레스es1983–85
호세 안토니오 로카/호세 안토니오 로카es1985–87
라파엘 푸엔테/라파엘 푸엔테es1989–90
미겔 메히아 바론/미겔 메히아 바론es1996–98
후안 안드레스 사룰리테/후안 안드레스 사룰리테es1998–99
앙헬 카파/앙헬 카파es1999년 1월 1일–1999년 6월 30일
에두아르도 레르기스/에두아르도 레르기스es2000
로베르토 사포리티/로베르토 사포리티es2000년 9월 21일–2000년 12월 31일
마누엘 라푸엔테/마누엘 라푸엔테es2001년 1월 1일–2001년 6월 30일
카를로스 레이노소/카를로스 레이노소es2001–02
페드로 몬존/페드로 몬존es2005년 1월 1일–2005년 6월 30일
세르히오 부에노/세르히오 부에노es2005년 9월 24일–2005년 12월 31일
르네 이시도로 가르시아/르네 이시도로 가르시아es2006년 1월 1일–2006년 12월 31일
르네 이시도로 가르시아/르네 이시도로 가르시아es2010년 7월 1일–2010년 9월 13일
에두아르도 바카스/에두아르도 바카스es2010년 9월 13일–2010년 12월 31일
마리오 가르시아/마리오 가르시아 코발레스es2012년 1월 1일–2012년 4월 17일
{{llang|es|호세 루이스 곤잘레스 차이나|호세 루이스 곤잘레스]] (임시) || 2012년 4월 17일–2012년 5월 7일
다니엘 구스만/다니엘 구스만es2013년 1월 30일–2013년 6월 30일
윌슨 그라니올라티/윌슨 그라니올라티es2013년 7월 1일–2013년 9월 2일
{{llang|es|안드레스 카레빅|안드레스 카레빅]] (임시) || 2013년 9월 3일–2013년 9월 8일
루벤 이스라엘/루벤 이스라엘es2013년 9월 9일–2014년 1월 12일
파블로 마리니/파블로 마리니es2014년 1월 13일
{{llang|es|가브리엘 페레이라|가브리엘 페레이라]] / 가스톤 오벨레도/가스톤 오벨레도es || 2014–2015
윌슨 그라니올라티/윌슨 그라니올라티es2015
에두아르도 펜타네스/에두아르도 펜타네스es2015–2017
라울 구티에레스/라울 구티에레스es2017
{{llang|es|에두아르도 레르기스|에두아르도 레르기스]] (임시) || 2017
세르히오 부에노/세르히오 부에노es2017–2018
가브리엘 페레이라/가브리엘 페레이라es2018–2019
알렉스 디에고/알렉스 디에고es2019–2020
마리오 가르시아/마리오 가르시아 코발레스es2020–2023
다니엘 알칸타르/다니엘 알칸타르es2023–2024
미겔 데 헤수스 푸엔테스]]/미겔 데 헤수스 푸엔테스es || 2025–
루이스 그로츠/루이스 그로츠hu1946–47


7. 엠블럼 및 유니폼

7. 1. 엠블럼

7. 2. 유니폼

아틀란테 FC는 1988년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유니폼 제조사와 셔츠 스폰서를 거쳐왔다. 다음은 그 목록이다.

기간유니폼 제조사셔츠 스폰서
1988–90Garcis, Tok's
1990–96Garcis, Peñafiel
1996–97GarcisDeWalt/Serfin/Herdez
1997–98GarcisPegaso/Serfin/Herdez
1998–99GarcisAerolíneas Internacionales/Pegaso/Herdez
1999–00GarcisPepsi/Pegaso/3 Hermanos
2000–02GarcisPegaso/Corona/Peñafiel
2002–03GarcisCoca-Cola/Pegaso/Corona/PriceShoes
2003–04GarcisCoca-Cola/Movistar/Corona/PriceShoes
2004–05GarcisPegaso/Coca-Cola/Corona
2005–06GarcisPegaso/Miami Life/Coca-Cola/Toyota/Corona
2006–07GarcisPegaso/Vavito/DuPont/Corona/AztraZéneca
2007–08GarcisPegaso/Garcis/ADO/SARE/Mexicana/Carrier/Meridian/Corona/Losec-A
2008–09AtleticaPegaso/ADO/SARE/Cancún/Mexicana/Corona/Coca-Cola
2009–10GarcisPegaso/Cancún/Riviera Maya/Corona
2010–11KelmePegaso/ADO/SARE/Cancún/Riviera Maya/Corona
2011–12GarcisPegaso/ADO/OfficeMax/Cancún/Riviera Maya/Volaris/Corona
2013–20KappaPegaso/ADO/Cancún/Riviera Maya/Hard-Rock Hotel/Volaris/Corona/Coca-Cola/OMPP WOFP/Caliente/Mediotiempo.com
2020–22UlnBetcris/Pinturas Acuario/Electrolit
2022–23KeukaBetcris/Kosako/Pinturas Acuario/Electrolit/Megacable/Carl's Jr./Mediotiempo.com
2023–현재JomaBetcris/Kosako/Jack Links/Electrolit/Megacable/Carls Jr./Krispy Kreme/Sportsworld/Passline/Heroes NFT Club/Mediotiempo.com/MCA/Waterloo Coyame


참조

[1] 웹사이트 '#954 – Atlante FC : los Potros de Hierro' https://footnickname[...] Footnickname 2023-02-23
[2] 웹사이트 '#449 – Atlante FC : Prietitos' https://footnickname[...] Footnickname 2021-03-19
[3] 웹사이트 Atlante, el equipo con dos cumpleaños https://www.mediotie[...] 2020-04-18
[4] 웹사이트 Atlante anuncia mudanza a Zacatepec: "Nos obligaron a salir de CDMX" https://www.record.c[...] 2024-12-06
[5] 웹사이트 Atlante F.C. http://www.ligabbvae[...]
[6] 웹사이트 Atlante, el equipo con dos cumpleaños https://www.mediotie[...] 2020-04-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