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악마의 문 동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악마의 문 동굴은 러시아 연해주에 위치한 고고학 유적으로, 석기, 뼈, 조개껍데기, 도자기 파편, 동물 뼈, 옥벽, 직물 조각 등 다양한 유물이 발견되었다. 특히 동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직물 조각이 발견되었으며, 7구의 인골이 출토되어 고대 동북아시아인(ANA)의 유전적 특징을 밝히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 유전자 분석 결과, 이들은 퉁구스계 민족인 울치족과 가장 유사하며, 한국인, 일본인과도 유전적 연관성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악마의 문 동굴
기본 정보
체르토비 보로타 동굴
체르토비 보로타 동굴
위치프리모르스키 지방, 러시아
지역시호테알린 산맥
고도660m
유형카르스트 동굴
길이132m
너비10m
면적730m2
부피2950m3
높이16m
고고학
건축 시기기원전 9,400년경
폐기 시기기원전 7,200년경
시대신석기 시대
문화루드닌스카야 (루드나야) 문화
발굴1973년
고고학자잔나 바실리예브나 안드레예바

2. 지리적 위치 및 환경

동굴은 길이 약 45m의 주된 공간과 그 뒤에 여러 개의 작은 갤러리로 구성되어 있다. 이 유적은 1973년에 첫 번째 고고학 발굴이 수행되기 전에 여러 차례 약탈당했다. 약 600점의 석기, 골학적 유물, 조개 껍질 유물, 700점의 도기 조각, 700개 이상의 동물 뼈가 이 유적에서 발견되었다.[1] 직경이 5.2cm이며 두께가 0.6cm인 갈색-녹색 옥으로 만든 옥 디스크 또한 체르토비 보로타에서 발견되었다.[2]

너구리, 불곰, 반달가슴곰, 멧돼지, 오소리, 붉은사슴, 물고기, 연체동물 껍질의 유해가 동굴 안에서 발견되었다.[3][4]

3. 발굴 역사

참조할 원문 소스가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이전 결과물을 수정할 수 없습니다. 이전 단계에서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발굴 역사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고 답변드렸습니다.

4. 유물

악마의 문 동굴에서는 1973년 첫 발굴 이후 여러 차례의 조사를 통해 다양한 유물이 발견되었다. 이 유물들은 크게 석기 및 골각기, 토기, 동물 뼈, 직물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동위 원소 분석에 따르면 이곳에 살던 사람들은 육지와 물 양쪽에서 식량을 얻었다. 육지에서는 포유류를 사냥하거나 채집했고, 강에서는 연어 등을 잡았다.[5]

동굴 안에서는 7구의 인골이 발견되었는데, 이 중 2구의 두개골을 이용한 직접 연대 측정 결과 기원전 5726년~기원전 5622년 사이로 밝혀졌다. 처음에는 3구는 성인 남성, 2구는 성인 여성, 1구는 12~13세의 미성년자, 1구는 6~7세의 소아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DNA 분석 결과, 남성으로 추정되었던 3구 중 2구가 실제로는 여성이었고, 소아 1구도 여아였다. 즉, 발견된 7구 중 5구가 여성, 1구가 남성, 나머지 1구는 DNA 분석 결과가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3]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결과, 성인 남성 1구, 남성으로 오인된 성인 여성 1구, 원래 성인 여성으로 추정되었던 1구는 해플로그룹 D4m에 속한다.[3] 해플로그룹 D4m은 현재 사할린 섬의 니브흐에서 많이 발견되며, 일본인, 울치인 등에게서도 발견된다. 나머지 여아 1구, 남성으로 오인된 성인 여성 1구, 원래 성인 여성으로 추정되었던 1구는 해플로그룹 D4에 속한다.[3] 해플로그룹 D4는 현재 중앙아시아, 북동아시아, 아메리카 대륙 원주민에게 널리 발견되며, 특히 일본인과 한국인에게서 높은 빈도로 관찰된다.

성인 남성 1구의 Y 염색체 해플로그룹은 해플로그룹 C2-M217에 속하며, 현재 카자흐, 몽골, 시베리아 원주민, 북아메리카 원주민에게 많은 C2b-F6273/Y6704/Y6708이라는 하위 그룹에 속한다.[3]

핵 DNA 분석 결과, 2구의 인골은 울치인의 DNA와 가장 유사했다. 나나이인, 오로치인과도 유사하지만, 가나산인, 한국인, 일본인과도 비슷한 정도의 유전적 근접성을 보였다.[4]

4. 1. 석기 및 골각기

이 유적에서는 약 600점의 석기, 골각기, 조개껍데기 유물이 발견되었다.[1] 직경 5.2cm, 두께 0.6cm인 갈색-녹색 옥으로 만든 옥 디스크도 체르토비 보로타에서 발견되었다.[2]

4. 2. 동물 뼈

너구리, 불곰, 반달가슴곰, 멧돼지, 오소리, 붉은사슴, 물고기, 연체동물의 껍질 유해가 동굴 안에서 발견되었다.[5]

4. 3. 옥기

1973년 첫 고고학 탐사에서 두께 0.6cm, 직경 5.2cm의 녹갈색 옥벽이 발견되었다.[5]

4. 4. 직물

불에 타서 무너진 목재 구조물 잔해에서 탄화된 줄, 그물, 직물 등의 조각이 발견되었다.[6] 섬유는 사초과에 속하는 사초의 일종인 ''Carex sordida''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다.[6] 연대는 9400-8400 BP로 측정되었으며, 이는 동아시아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직물의 흔적이다.[6] 실을 뽑는 가락바퀴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학자들은 손으로 직접 짰거나 혹은 추 달린 날실 직조기(warp-weighted loom)를 썼을 가능성을 추측한다.[6]

5. 고대인의 생활상

1973년 첫 고고학 탐사가 이루어졌으나 이미 여러 차례 훼손된 이후였다. 약 600점의 석기, 뼈, 조개껍데기 유물과 700개의 도자기 파편, 700개 이상의 동물 뼈가 발견되었다. 두께 0.6cm, 직경 5.2cm의 녹갈색 옥벽 하나도 발견되었다.[5]

동위 원소 분석에 따르면 이곳에 살던 사람들은 육지와 물 양쪽으로부터 영양 공급원을 얻었을 것이다. 즉 음식을 얻기 위해 육상에서는 포유류를 사냥하거나 채집하는 한편 강에서도 연어 따위를 잡았을 것이다.[5]

불에 타서 무너진 목재 구조물 잔해에서 탄화된 줄, 그물, 직물 등의 조각이 발견되었다. 연대는 9400-8400 BP로 결정되었으며 이는 동아시아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직물의 흔적이다. 실을 뽑는 가락바퀴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학자들은 손으로 직접 짰거나 혹은 추 달린 날실 베틀(warp-weighted loom)을 썼을 가능성을 추측한다.[6]

동굴 거주민들은 수렵 채집인이었을 것으로 생각되며, 농업의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 동위원소 분석 결과, 체르토비 보로타의 사람들은 육상과 해양 자원을 혼합하여 단백질을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단 단백질의 약 25%는 해양 자원, 특히 회귀성 어류인 연어에서 얻었을 가능성이 높다. 체르토비 보로타 사람들은 육상 포유류를 사냥하고, 견과류를 채집하고, 연어를 잡아 식량 문제를 해결했을 가능성이 높다.

6. 유해

악마의 문 동굴에서는 7구의 인골이 발견되었으며, 이들은 고대 동북아시아인(ANA) 유전자 풀을 가진 것으로 확인된 최초의 개체였다.[1] 이 중 ''DevilsGate1''과 ''DevilsGate2'' 두개골은 기원전 5726년에서 5622년 사이로 연대가 측정되었다.[7]

7구의 인골 중 6구에 대한 유전자 분석이 이루어졌다.[8] 유전자 분석 결과, 이들은 아무르강 하류 유역의 현대인인 울치족과 유전적으로 가장 가까운 것으로 밝혀졌다.[4] 또한, 나나이족, 오로첸족과 같은 퉁구스계 민족, 그리고 한국인, 일본인과도 유전적 유사성을 보였다.[4]

6. 1. 인골 개요

악마의 문 동굴 유적에서는 총 7구의 인골이 발견되었다.[7] 이 중 6구에 대한 유전자 분석이 완료되었다.[8] 초기에는 골격 형태로 보아 성인 남성 3구, 성인 여성 2구, 12~13세 정도의 청소년 1구, 6~7세 어린이 1구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유전자 분석 결과, 성인 남성으로 추정되었던 2구(NEO236/Skull B/DevilsGate2, NEO235/Skull G)는 실제 여성으로 밝혀졌고, 어린이 유해도 여성으로 판명되었다.[5]

유전자 분석 결과, 확인된 유일한 성인 남성은 Y-DNA 하플로그룹 C2b-F6273/Y6704/Y6708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하플로그룹 C2의 북쪽 분파에 해당한다.[5] 여성 3명(유일한 성인 남성, NEO235/Skull G, NEO235/Skull G의 1촌 친척인 NEO240/Skull E)은 mtDNA 하플로그룹 D4m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나머지 3명(여자 어린이, DevilsGate2 유해, 또 다른 성인 여성)은 mtDNA 하플로그룹 D4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여자 어린이와 DevilsGate2는 서로 2촌 친척이며, 둘 다 또 다른 성인 여성의 1촌 친척이다.[5]

DevilsGate1, DevilsGate2 두 유해의 두개골은 기원전 5726-5622년으로 연대가 측정되었다.[7]

6. 2. 유전자 분석

악마의 문 동굴에서 발견된 7명의 유해 중 6명의 유해에 대한 유전자 분석이 완료되었다.[8] 초기에는 골격 형태로 보아 3명은 성인 남성, 2명은 성인 여성, 1명은 12~13세 청소년, 1명은 6~7세 어린이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유전자 분석 결과, 성인 남성으로 추정되었던 NEO236(Skull B, DevilsGate2)와 NEO235(Skull G)는 실제 여성으로 밝혀졌고, 어린이 유해도 여성으로 확인되었다.[5]

유전자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 3명(유일한 성인 남성, NEO235/Skull G, NEO235/Skull G의 1촌 친척인 NEO240/Skull E)은 mtDNA 하플로그룹 D4m에 속한다.
  • 다른 3명(여자 어린이, DevilsGate2 유해, 또 다른 성인 여성)은 mtDNA 하플로그룹 D4로 확인되었다. 이 중 여자 어린이와 DevilsGate2는 서로 2촌 친척이며, 둘 다 또 다른 성인 여성의 1촌 친척이다.[5]
  • 동굴에서 유일하게 남성으로 확인된 표본은 Y-DNA 하플로그룹 C2b-F6273/Y6704/Y6708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하플로그룹 C2의 북쪽 분파에 해당한다.[5]


이들의 유전적 계통은 고고유전학에서 "고대 동북아시아인(ANA)" 또는 "아무르 혈통"이라 불리며, 판석묘 문화 등 고대 몽골 인구 형성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9]

고대 동북아시아인(ANA, 노란색 영역)은 알타이 산맥에서 태평양 연안의 악마의 문 동굴까지의 신석기 시대 집단으로 정의된다.


악마의 문 동굴인들은 현대 울치족과 유전적으로 가장 가깝고, 그 다음으로 나나이족, 오로첸족, 한국인, 일본인, 응가나산인과도 유전적 근접성을 보인다.[4]

6. 3. 표현형 분석

DevilsGate1은 밝은 피부색과 관련된 SLC45A2 또는 SLC24A5 변이 대립 유전자, 파란 눈과 관련된 HERC2 변이 대립 유전자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유당 내성과 관련된 LT 변이 대립 유전자, 또는 알코올 반응과 관련된 ALDH2 변이 대립 유전자도 없었다.[7] 그러나 이 개체는 현대 동아시아 집단에서 흔히 발견되는 EDAR 변이 대립 유전자, 건조한 귀지 및 체취 감소와 관련된 ABCC11 변이 대립 유전자, 그리고 고혈압 위험 증가와 관련된 ADD1 변이 대립 유전자를 가지고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7]

7. 한국과의 관계

악마의 문 동굴에서 발견된 유해 중 유일하게 남성으로 확인된 표본은 Y-DNA 하플로그룹 C2b-F6273/Y6704/Y6708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하플로그룹 C2의 북쪽 분파에 해당한다.[5]

6명의 유골에 대한 유전자 분석 결과, 3명(유일한 성인 남성 표본, NEO235/Skull G, NEO235/Skull G의 1차 친척인 NEO240/Skull E)은 mtDNA 하플로그룹 D4m으로 판명되었다. 다른 3명(여자 어린이, DevilsGate2 유해, 또 다른 성인 여성)은 mtDNA 하플로그룹 D4로 확인되었다. 이 중 여자 어린이와 DevilsGate2는 서로 2차 친척 관계이며, 둘 다 또 다른 성인 여성의 1차 친척으로 확인되었다.[5]

이러한 유전적 특징은 고대 동북아시아인(ANA) 또는 "아무르 혈통"이라고 불리며, 판석묘 문화 등 고대 몽골 인구 형성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9]

참조

[1] 논문 Middle Holocene Siberian genomes reveal highly connected gene pools throughout North Asia https://www.research[...] 2023
[2] 논문 A Dynamic 6,000-Year Genetic History of Eurasia’s Eastern Steppe 2020
[3] 논문 The population history of northeastern Siberia since the Pleistocene https://backend.orbi[...]
[4] 논문 Genome-wide data from two early Neolithic East Asian individuals dating to 7700 years ago
[5] 논문 Palaeodietary Patterning and Radiocarbon Dating of Neolithic Populations in the Primorye Province, Russian Far East
[6] 논문 The earliest surviving textiles in East Asia from Chertovy Vorota Cave, Primorye Province, Russian Far East
[7] 논문 Genome-wide data from two early Neolithic East Asian individuals dating to 7700 years ago
[8] 논문 The population history of northeastern Siberia since the Pleistocene https://backend.orbi[...]
[9] 논문 A Dynamic 6,000-Year Genetic History of Eurasia’s Eastern Steppe https://doi.org/10.1[...] 2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