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경토끼왈라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경토끼왈라비는 캥거루과에 속하는 작은 유대류로,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의 열대 기후 지역에서 발견된다. 회색빛 갈색 털과 눈 주위의 오렌지색 고리가 특징이며, 야행성 초식 동물로, 튼튼한 식물 속에 보금자리를 만들고 지그재그로 도망가는 습성을 지닌다. 존 굴드가 처음 학명 ''Lagorchestes conspicillata''로 분류했으며, 아종으로 'L. c. conspicillatus'와 'L. c. leichardti'가 있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이 종을 관심대상종으로 평가했으나, 도입된 포식 동물과 서식지 감소로 인해 아종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퀸즐랜드 주에서 11,000년 전의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서부 아넘랜드의 비닝족은 이 동물을 '울라라'라고 부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캥거루과 - 왈라비
왈라비는 캥거루과에 속하며 몸무게 25kg 미만의 유대류를 통칭하는 용어로, 오스트레일리아와 뉴기니에 주로 서식하며 다양한 환경에 적응했고 일부 종은 다른 지역에 도입되어 번성하기도 하며 문화적으로도 활용된다. - 캥거루과 - 붉은캥거루
붉은캥거루는 캥거루과에 속하는 유대류로, 수컷은 붉은 갈색, 암컷은 푸른 회색 털을 가지며 호주 건조 지역에 서식하며 초본을 먹고 딩고와 맹금류에게 포식되며, 개체 수가 많아 상업적으로 이용된다. - 1842년 기재된 포유류 - 작은넓적코박쥐
작은넓적코박쥐는 덥고 건조한 지역에 서식하며 좁고 짧은 코와 넓은 주둥이를 가진 호주 박쥐로, 곤충을 먹고 야행성 생활을 하며 동면을 통해 건조한 환경에 적응하지만 개체 수 감소로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1842년 기재된 포유류 - 흰노랑마모셋
안경토끼왈라비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상태 | 최소 관심종 |
상태 기준 | IUCN3.1 |
속 | 토끼왈라비속 |
종 | 안경토끼왈라비 (L. conspicillatus) |
학명 | Lagorchestes conspicillatus |
학명 명명자 | Gould, 1842 |
아종 | Lagorchestes conspicillatus conspicillatus Lagorchestes conspicillatus leichardti |
![]() |
2. 특징
캥거루과 토끼왈라비속에 속하는 2종의 토끼왈라비 중 하나로, 작은 유대류이다.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열대 기후 지역의 터석 초원 또는 스피니펙스속 풀 서식지에서 발견된다. 퀸즐랜드주부터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까지, 그리고 1997년 파푸아뉴기니 남서쪽 사바나 지역에서도 발견되었다.[14]
이 토끼왈라비는 존 굴드가 ''Lagorchestes conspicillata''라는 학명으로 처음 기술했고, ''오스트레일리아의 포유류''(The Mammals of Australia) 권2에 도판 59라는 그림을 포함하여 수록했다.[17] 같은 책 도판 58에는 ''Lagorchestes leichardti''를 별도의 종으로 기술했는데,[18] 이는 현재 안경토끼왈라비의 아종으로 간주한다. 칼 럼홀츠는 이 동물을 캥거루 쥐라고 언급했지만,[8] 이 용어는 현재 북미 설치류 속의 종에 대한 일반적인 이름이다.
야행성 초식동물로 무리를 짓지 않고 홀로 생활하며, 근연종들보다 비교적 크다. 털은 회색빛 갈색을 띠며 털 끝단은 황금색이고, 눈 둘레에 안경 모양의 오렌지색 고리가 있어 '안경토끼왈라비'라는 이름이 붙었다.[15] 질기고 튼튼한 식물 속에 보금자리를 만들며, 흩어질 때는 지그재그 모양으로 깡충 뛰어 도망간다. 연중 한 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새끼는 약 1년이 지나면 성적으로 성숙해진다.[16]
3. 분류
3. 1. 아종
4. 생태
캥거루과에 속하는 작은 유대류이다.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지역을 가로질러 열대 기후 지역의 터석 초원 또는 스피니펙스속 풀 서식지에서 발견된다. 퀸즐랜드주부터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까지 지역에서 발견할 수 있으며, 1997년 파푸아뉴기니 남서쪽 사바나 지역에서도 발견되었다.[14] 무리를 짓지 않고 홀로 생활하며, 야행성 초식동물이다. 근연종들보다 비교적 크다. 털은 회색빛 갈색을 띠며 털 끝단은 황금색이고, 통용명처럼 눈 둘레에 안경 모양의 오렌지색 고리가 있다.[15] 질기고 튼튼한 식물 속에 보금자리를 만든다. 흩어질 때는 지그재그 모양으로 깡충 뛰어 도망간다. 연중 때를 가리지 않고 한 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태어난 지 약 1년이 지나면 성적으로 성숙해진다.[16]
5. 보존 상태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2008년 IUCN 적색 목록에서 안경토끼왈라비를 관심대상종(LC, least concern species)으로 평가했다.[13][19] 아종 ''L. conspicillatus conspicillatus''은 오스트레일리아 배로우 섬에 제한적으로 분포하지만, 한때 몬테벨로 제도 전역에서 발견되었다. 도입된 포식 동물과 섬 개발때문에 멸종 취약종 상태가 되어가고 있다. 대륙 본토의 아종 ''L. conspicillatus leichardti''은 한때 취약근접종(NT, near-threatened species) 상태로 간주되었다. 토지 개간 등의 서식지 감소때문에 개체수가 크게 감소하고 있다. 북부 분포 지역의 건조 지대에서 이 종이 사라지는 것에 대한 관심도 존재한다. 이전 서식지에 재도입이 제안되었고, 이어서 관련 프로젝트 "웨스턴 실드"(Western Shield)가 시작되었다.[2][9]
6. 화석 기록
안경토끼왈라비 화석은 퀸즐랜드에서 발견되었는데, 충적세 초기인 11,000년 전의 화석이다.[20] 홀로세 초기 화석도 발견되었다.[10]
7. 문화
서부 아넘랜드의 비닝족은 이 동물을 쿤윈쿠어로 '''울라라'''라고 부른다.[11]
참조
[1]
간행물
MSW3 Groves
[2]
간행물
Lagorchestes conspicillatus
2016
[3]
논문
First record of the Spectacled Hare-wallaby Lagorchestes conspicillatus (Marsupialia: Macropodidae) in New Guinea
1997
[4]
서적
A Field Guide to the Mammals of Australia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The Simon & Schuster Encyclopedia of Animals
Marshall Editions Development Limited
[6]
웹사이트
Lagorchestes leichardti
http://museumvictori[...]
Museum Victoria
2016-03-04
[7]
웹사이트
Lagorchestes conspicillata
http://museumvictori[...]
Museum Australia (archived)
2007-07-06
[8]
서적
Among cannibals; an account of four years' travels in Australia and of camp life with the aborigines of Queensland
https://archive.org/[...]
1889
[9]
서적
Threatened animals of Western Australia
Department of Conservation and Land Management
[10]
웹사이트
The Paleobiology Database
https://paleobiodb.o[...]
[11]
웹사이트
wularla
https://www.njamed.c[...]
Bininj Kunwok Regional Language Centre
2021-10-30
[12]
간행물
MSW3 Groves
[13]
간행물
Lagorchestes conspicillatus
[14]
논문
First record of the Spectacled Hare-wallaby Lagorchestes conspicillatus (Marsupialia: Macropodidae) in New Guinea
1997
[15]
서적
A Field Guide to the Mammals of Australia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6]
서적
The Simon & Schuster Encyclopedia of Animals
Marshall Editions Development Limited
[17]
웹인용
Lagorchestes leichardti
http://museumvictori[...]
Museum Victoria
2008-11-01
[18]
웹인용
Lagorchestes conspicillata
http://museumvictori[...]
Museum Australia
2008-11-01
[19]
서적
Threatened animals of Western Australia
Department of Conservation and Land Management
[20]
웹인용
The Paleobiology Database
http://paleodb.org/c[...]
2016-06-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