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의공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의공주는 조선의 추존왕 익조와 정숙왕후 최씨의 딸로, 전주 이씨이다. 1901년 고종 연간에 안의라는 작호를 받고 공주로 추봉되었으며, 《선원보략》에 등재되었다. 안의공주는 첨의부사 주인환의 아들 주단에게 하가하였으며, 주단의 후손들은 함경도 금야군 지역에 거주하다가 6.25 전쟁 발발 전에 서울로 이주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익조의 자녀 - 함릉대군
함릉대군은 조선 추존왕 익조대왕의 아들이며 정숙왕후 등주 최씨의 소생이다. - 조선 익조의 자녀 - 함성대군
함성대군은 조선 추존왕 익조대왕과 정숙왕후 등주 최씨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로, 함녕대군을 비롯한 여러 형제들과 안의공주가 있으며, 청주 한씨 부인과의 사이에서 영원군 이필산을 두었다. - 고려의 귀족 - 최응
최응은 고려 초 문신으로, 궁예 휘하에서 문한을 담당하고 고려 건국 후 왕건의 참모로 활동하며 내봉경에 이르렀으나 요절하여 태조의 사당에 배향되었고, 시호는 희개이다. - 고려의 귀족 - 심종
심종은 고려 말, 조선 초의 인물로, 태조 이성계의 사위가 되어 청원군에 봉해지고, 제1차 왕자의 난 때 공신에 책록되었으나, 회안군 이방간과 내통한 죄로 폐서인되어 사망했다. - 조선의 옹주 - 덕혜옹주
덕혜옹주는 고종과 귀인 양씨 사이에서 태어나 불행한 삶을 살았던 대한제국의 옹주로, 일본 유학 후 결혼 생활 중 조현병 증세를 보였으며 해방 후 귀국하여 창덕궁에서 생을 마감했고, 그녀의 삶은 여러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조선의 옹주 - 영온옹주
영온옹주는 조선 순조와 숙의 박씨의 외동딸이자 효명세자의 이복 여동생으로, 11세에 옹주로 책봉되었으나 병약하여 13세에 요절하였으며 효명세자의 깊은 슬픔을 자아냈다.
안의공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레이디 이 |
작위 | 조선의 공주 (추증) |
출생명 | (알 수 없음) |
출생일 | 1269년 |
출생지 | 고려 강원도 원산 |
사망일 | (알 수 없음) |
사망지 | (알 수 없음) |
묻힌 곳 | (알 수 없음) |
배우자 | 주단 (1292년 결혼) |
자녀 | 주후 |
추증된 시호 | 안의공주 (안의공주, 安懿公主; 1901년 고종 황제에 의해 추증됨) |
왕가 | 전주 이씨 (출생) |
혼인 가문 | 능성 주씨 |
아버지 | 이행리 |
어머니 | 동주 최씨 최씨 부인 |
종교 | (알 수 없음) |
한국어 이름 | |
한글 | 안의공주 |
한자 | 安懿公主 |
로마자 표기 | Anui Gongju |
매큔-라이샤워 표기 | Anŭi Kongju |
2. 생애
생년은 명확하지 않으며, 조선의 추존왕인 익조와 정숙왕후 최씨의 유일한 딸이다. 성은 이(李),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도조와는 친남매 간이다.
안의공주는 첨의부사를 지낸 주인환의 아들 주단에게 시집갔다. 주인환은 원래 호남 지역에서 살다가 목조를 따라 북방으로 들어간 인물로, 훗날 좌군도통제가 추증되었다. 이들에 대한 기록은 세계보책 등 옛 사적에는 제대로 기록이 되어 있었으나, 무슨 일인지 《선원보략》에는 빠져있었다. 이러한 사실을 1901년 4월 14일 완순군이 발견하여 고종에게 상소하였고, 고종의 명에 따라 정식으로 등재되었다.
1392년(태조 원년) 조선 왕조가 건국되고 태조가 자신의 4대조를 추존하면서, 공주의 아버지이자 태조에게는 증조부가 되는 이행리에게는 익왕의 시호를, 그 부인 최씨에게는 정비의 시호를 올렸다.[8] 1411년(태종 11년) 익왕은 익조의 묘호를 받고, 정비 최씨는 정숙왕후의 시호를 받았다.[9]
이에 따라 왕의 적녀가 된 그녀에게는 고종 연간인 1901년(고종 38년, 광무 5년) 4월 15일 안의(安懿)의 작호가 올려지고 공주에 추봉되어 '''안의공주'''(安懿公主)가 되었으며, 《선원보략》에도 정식으로 등재되었다.[10] 공주의 자세한 생애나 생몰년, 매장지 등에 대해서는 남아있는 기록이 없어 자세히 알 수 없다.
3. 가족 관계
주단의 후손들은 계속해서 함경도 영흥(지금의 함경남도 금야군[11]) 지역에 살았다[12]. 이후 후손들은 줄곧 함경도에서 살다가 민주주의를 지지하며 6.25 전쟁 발발 전 남하하여 서울에 정착하였다. 30대손 주증권을 주축으로 몇촌에 걸친 주씨 후손들과 몇몇 사돈 친척들이 한번에 이주했으므로 주단의 후손들은 대부분 남한에 거주한다고 보는 것이 옳다. 주증권은 6.25 전쟁 때 남한군에 입대하였고 사후에 훈장을 수여받았다.친정 시가
3. 1. 친정
3. 2. 시가
참조
[1]
서적
https://books.google[...]
National Culture Promotion Association
2021-06-22
[2]
서적
宗事輯要
https://books.google[...]
讓寧大君第五子長平副正公派宗會
2021-06-22
[3]
간행물
조선왕조실록 태조 1권, 1년(1392 임신 / 명 홍무(洪武) 25년) 7월 28일(정미) 2번째기사
[4]
간행물
조선왕조실록 태종 21권, 11년(1411 신묘 / 명 영락(永樂) 9년) 4월 22일(임자) 1번째기사
[5]
웹사이트
http://sillok.histor[...]
2021-06-22
[6]
웹사이트
http://sillok.histor[...]
2021-06-22
[7]
문서
Seonwon-Gyebo-Giryak
[8]
간행물
조선왕조실록 태조 1권, 1년(1392 임신 / 명 홍무(洪武) 25년) 7월 28일(정미) 2번째기사
[9]
간행물
조선왕조실록 태종 21권, 11년(1411 신묘 / 명 영락(永樂) 9년) 4월 22일(임자) 1번째기사
[10]
간행물
조선왕조실록 고종 41권, 38년(1901 신축 / 대한 광무(光武) 5년) 4월 15일(양력) 2번째기사
[11]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영흥군〉
https://terms.naver.[...]
[12]
간행물
조선왕조실록 고종 41권, 38년(1901 신축 / 대한 광무(光武) 5년) 4월 14일(양력) 2번째기사
[13]
문서
선원계보기략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