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제이 모스토프스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제이 모스토프스키는 1913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르비우에서 태어나, 폴란드의 수학자이자 논리학자였다. 바르샤바 대학교에서 카지미에시 쿠라토프스키, 알프레트 타르스키 등에게 수학을 배웠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지하 학교에서 연구를 지속했다. 전후 수리논리학, 집합론, 모델 이론, 계산 가능성 이론 등을 연구했으며, 1946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바르샤바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1975년 캐나다 밴쿠버에서 61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타데우시 모스토프스키 역시 수학자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나다에 거주한 폴란드인 - 엠마누엘 엑스
    엠마누엘 엑스는 우크라이나 출신의 폴란드계 유대인 피아니스트로, 1974년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국제 피아노 마스터 콩쿠르 우승 이후 에이버리 피셔 상, 그래미상 등을 수상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 캐나다에 거주한 폴란드인 - 다미앙 페르키
    다미앙 페르키는 프랑스 출신의 수비수로, 트루아, 생-테티엔, 소쇼 등에서 활약하다가 레알 베티스로 이적하여 스페인 무대에 진출했으며, 폴란드 국가대표팀으로 유로 2012에 참가했고 현재는 가젤레크 아작시오 2군 수석 코치로 활동한다.
  • 집합론자 - 버트런드 러셀
    버트런드 러셀은 20세기 분석철학의 기초를 다지고 수학의 논리적 환원을 시도한 영국의 철학자, 논리학자, 수학자, 역사가, 사회 비평가, 정치 운동가로, 평화 운동에 참여했으며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여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집합론자 - 존 폰 노이만
    헝가리 출신의 존 폰 노이만은 수학, 물리학, 컴퓨터 과학,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에 혁신적인 업적을 남겼으며, 특히 폰 노이만 아키텍처는 현대 컴퓨터 설계의 기초가 되었고 게임 이론의 창시자로도 알려진 20세기 과학기술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 폴란드의 수학자 - 스타니스와프 울람
    폴란드계 미국인 수학자이자 핵무기 개발자인 스타니스와프 울람은 르비우 수학파의 일원으로서 맨해튼 계획에 참여하여 수소 폭탄 개발에 기여했으며 몬테카를로 방법 개발, 텔러-울람 설계 고안 등 현대 과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폴란드의 수학자 - 브누아 망델브로
    브누아 망델브로는 프랙탈 기하학의 창시자로서 자연 현상의 불규칙성과 자기 유사성을 설명하는 '프랙탈' 개념을 도입하고 금융 시장 변동성 분석에 프랙탈 이론을 적용한 폴란드 태생의 프랑스-미국 수학자이자 과학자이다.
안제이 모스토프스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73년 모스토프스키
이름안제이 모스토프스키
원어 이름Andrzej Stanisław Mostowski (폴란드어)
출생1913년 11월 1일
출생지오스트리아-헝가리 렘베르크 (현재 우크라이나 리비우)
사망1975년 8월 22일
사망지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밴쿠버
국적폴란드
학문 분야
분야수학, 논리학
직장바르샤바 대학교, 컬럼비아 대학교
모교바르샤바 대학교
박사 지도 교수카지미에시 쿠라토프스키, 알프레트 타르스키
박사 제자안제이 에렌포이히트(Andrzej Ehrenfeucht), 모셰 마초버(Moshé Machover), 헬레나 라시오바, 로만 시코르스키, 빅토르 마레크(Victor W. Marek), 파웰 지비에르스키(Pawel Zbierski)
주요 업적클레이니-모스토프스키 위계, 모스토프스키 붕괴 정리, 모스토프스키 모형

2. 생애

모스토프스키는 1913년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령이었던 르비우(당시 명칭은 렘베르크)에서 태어났다.[1]

그의 아들 타데우시 모스토프스키도 미분 기하학을 연구하는 수학자이다.[2] 타데우시는 크지슈토프 쿠르디카, 아담 파루신스키와 함께 2000년에 르네 톰의 기울기 추측을 해결했다.

2. 1. 교육

모스토프스키는 1931년 바르샤바 대학교에 입학하여 카지미에시 쿠라토프스키, 아돌프 린덴바움, 알프레트 타르스키 등 저명한 수학자들의 가르침을 받았다.[1] 1939년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공식 지도 교수는 쿠라토프스키였으나 실제로는 타르스키의 지도를 주로 받았다.[1]

2. 2.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폴란드 침공으로 모스토프스키는 회계사로 일하면서도 지하 바르샤바 대학교에서 연구를 계속했다.[1] 1944년 바르샤바 봉기 이후 독일군이 그를 강제 수용소로 끌고 가려 했으나, 간호사들의 도움으로 탈출했다. 이때 연구 노트 대신 빵을 챙겨 많은 연구 자료가 소실되었다.[1]

2. 3. 전후 활동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모스토프스키는 1946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바르샤바 대학교 교수로 재직했다.[1] 그는 수리논리학, 집합론, 모델 이론을 연구하였으며, 이후 계산 가능성 이론에 특히 치중하였다.[1] 그는 1952년 폴란드 과학 아카데미에 편입된 국립 수학 연구소에서도 일했다.[1]

1954년 폴란드 재건 훈장 기사 십자 훈장을 받았고,[1] 1963년 폴란드 과학 아카데미 정회원으로 선출되었다.[1]

1975년 캐나다 밴쿠버에서 6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

3. 연구 업적

안제이 모스토프스키는 주로 재귀 이론과 결정 불가능성에 관한 연구를 했다.[1] 그는 1946년부터 캐나다 밴쿠버에서 사망할 때까지 바르샤바 대학교에서 연구를 계속했으며, 1차 논리모형 이론에 대한 연구도 수행했다.[1]

3. 1. 재귀 이론 및 결정 불가능성

모스토프스키는 재귀 이론과 결정 불가능성에 관한 연구를 주로 했다.[1] 1946년부터 캐나다 밴쿠버에서 사망할 때까지 바르샤바 대학교에서 연구를 계속했으며, 1차 논리모형 이론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1]

3. 2. 모델 이론

모스토프스키는 공리적 시스템의 모델, 이론의 직접 곱, 한정사(quantifier)의 일반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1]

4. 가족

그의 아들 타데우시 모스토프스키 또한 미분 기하학을 연구하는 수학자이다.[2] 그는 크지슈토프 쿠르디카, 아담 파루신스키와 함께 2000년에 르네 톰의 기울기 추측을 해결했다.[3]

5. 저서 및 논문

안제이 모스토프스키는 카지미에시 쿠라토프스키와 함께 《집합론. 기술적 집합론 입문 포함》[1]을 저술했고, 《형식화된 산술에서 결정 불가능한 문장: 쿠르트 괴델의 이론 해설》[2], 《응용을 위한 구성 가능한 집합》[3] 등을 저술했다.

주요 논문은 다음과 같다.

연도제목저널기타
1939"Über die Unabhängigkeit des Wohlordnungssatzes vom Ordnungsprinzip."Fundamenta Mathematicae Vol. 32, No.1, ss. 201-252[http://pldml.icm.edu.pl/pldml/element/bwmeta1.element.bwnjournal-article-fmv32i1p18bwm?q=bwmeta1.element.bwnjournal-number-fm-1939-32-1&qt=CHILDREN-STATELESS]
1947"On definable sets of positive integers"Fundamenta Mathematicae Vol. 34, No. 1, ss. 81-112[http://pldml.icm.edu.pl/pldml/element/bwmeta1.element.bwnjournal-article-fmv34i1p14?q=bwmeta1.element.bwnjournal-number-fm-1947-34-1&qt=CHILDREN-STATELESS]
1948"Un théorème sur les nombres cos 2πk/n"Colloquium Mathematicae Vol. 1, No. 3, ss. 195-196[http://pldml.icm.edu.pl/pldml/element/bwmeta1.element.bwnjournal-article-cmv1i3p195bwm?q=fad71736-d6ff-4073-afc1-98ac72cfc2bd$12&qt=IN_PAGE]
1951"Sur un problème de la théorie des groupes et son rapport à la topologie"Colloquium Mathematicae Vol. 2, No. 3-4, ss. 212-215카지미에시 쿠라토프스키 공저. [http://pldml.icm.edu.pl/pldml/element/bwmeta1.element.bwnjournal-article-cmv2i1p212bwm?q=fad71736-d6ff-4073-afc1-98ac72cfc2bd$16&qt=IN_PAGE]
1951"Groups connected with Boolean algebras. (Partial solution of the problem P92)"Colloquium Mathematicae Vol. 2, No. 3-4, ss. 216-219[http://pldml.icm.edu.pl/pldml/element/bwmeta1.element.bwnjournal-article-cmv2i1p216bwm?q=fad71736-d6ff-4073-afc1-98ac72cfc2bd$13&qt=IN_PAGE]
1952"On direct products of theories"Journal of Symbolic Logic, Vol. 17, No. 1, ss. 1-31[https://www.jstor.org/stable/2267454]
1952"Models of axiomatic systems"Fundamenta Mathematicae Vol. 39, No. 1, ss. 133-158[http://pldml.icm.edu.pl/pldml/element/bwmeta1.element.bwnjournal-article-fmv39i1p12?q=fad71736-d6ff-4073-afc1-98ac72cfc2bd$9&qt=IN_PAGE]
1953"On a system of axioms which has no recursively enumerable arithmetic model"Fundamenta Mathematicae Vol. 40, No. 1, ss. 56-61[http://pldml.icm.edu.pl/pldml/element/bwmeta1.element.bwnjournal-article-fmv40i1p7?q=fad71736-d6ff-4073-afc1-98ac72cfc2bd$10&qt=IN_PAGE]
1955"A formula with no recursively enumerable model"Fundamenta Mathematicae Vol. 42, No. 1, ss. 125-140[http://pldml.icm.edu.pl/pldml/element/bwmeta1.element.bwnjournal-article-fmv42i1p125bwm?q=fad71736-d6ff-4073-afc1-98ac72cfc2bd$6&qt=IN_PAGE]
1955"Examples of sets definable by means of two and three quantifiers"Fundamenta Mathematicae Vol. 42, No. 2, ss. 259-270[http://pldml.icm.edu.pl/pldml/element/bwmeta1.element.bwnjournal-article-fmv42i2p259bwm?q=fad71736-d6ff-4073-afc1-98ac72cfc2bd$1&qt=IN_PAGE]
1955"Contributions to the theory of definable sets and functions"Fundamenta Mathematicae Vol. 42, No. 2, ss. 271-275[http://pldml.icm.edu.pl/pldml/element/bwmeta1.element.bwnjournal-article-fmv42i2p271bwm?q=fad71736-d6ff-4073-afc1-98ac72cfc2bd$3&qt=IN_PAGE]
1956"Models of Axiomatic Theories Admitting Automorphisms"Fundamenta Mathematicae, Vol. 43, No. 1, ss. 50-68안제이 에렌포이흐트 공저. [http://pldml.icm.edu.pl/pldml/element/bwmeta1.element.bwnjournal-article-fmv43i1p50bwm?q=031167bd-ae87-4d23-96c0-fbc43899f4d4$3&qt=IN_PAGE]
1957"L'oeuvre scientifique de Jan Łukasiewicz dans le domaine de la logique mathématique"Fundamenta Mathematicae Vol. 44, No. 1, ss. 1-11[http://pldml.icm.edu.pl/pldml/element/bwmeta1.element.bwnjournal-article-fmv44i1p1bwm?q=fad71736-d6ff-4073-afc1-98ac72cfc2bd$4&qt=IN_PAGE]
1957"On a generalization of quantifiers"Fundamenta Mathematicae Vol. 44, No. 1, ss. 12-36[http://pldml.icm.edu.pl/pldml/element/bwmeta1.element.bwnjournal-article-fmv44i1p12bwm?q=fad71736-d6ff-4073-afc1-98ac72cfc2bd$5&qt=IN_PAGE]
1957"On computable sequences"Fundamenta Mathematicae Vol. 44, No. 1, ss. 37-51[http://pldml.icm.edu.pl/pldml/element/bwmeta1.element.bwnjournal-article-fmv44i1p37bwm?q=fad71736-d6ff-4073-afc1-98ac72cfc2bd$8&qt=IN_PAGE]
1958"The classical and ω-complete arithmetic"Journal of Symbolic Logic Vol. 23, No. 2, ss. 188-206안제이 그제고르치크, 체스와프 릴-나르제프스키 공저. [https://www.jstor.org/stable/2964398]
1958"On a problem of W. Kinna and K. Wagner"Colloquium Mathematicae Vol. 6, No. 1, ss. 207-208[http://pldml.icm.edu.pl/pldml/element/bwmeta1.element.bwnjournal-article-cmv6i1p207bwm?q=fad71736-d6ff-4073-afc1-98ac72cfc2bd$11&qt=IN_PAGE]
1961"A generalization of the incompleteness theorem"Fundamenta Mathematicae Vol. 49, No. 2, ss. 205-232[http://pldml.icm.edu.pl/pldml/element/bwmeta1.element.bwnjournal-article-fmv49i2p205bwm?q=fad71736-d6ff-4073-afc1-98ac72cfc2bd$7&qt=IN_PAGE]
1961"Axiomatizability of some many valued predicate calculi"Fundamenta Mathematicae Vol. 50, No. 2, ss. 165-190[http://pldml.icm.edu.pl/pldml/element/bwmeta1.element.bwnjournal-article-fmv50i2p165bwm?q=fad71736-d6ff-4073-afc1-98ac72cfc2bd$2&qt=IN_PAGE]
1969"On ω-models which are not β-models"Fundamenta Mathematicae Vol. 65, No. 1, ss. 83-93요신도 스즈키 공저. [http://pldml.icm.edu.pl/pldml/element/bwmeta1.element.bwnjournal-article-fmv65i1p9bwm?q=fad71736-d6ff-4073-afc1-98ac72cfc2bd$15&qt=IN_PAGE]


5. 1. 저서


  • 카지미에시 쿠라토프스키와 함께 저술, 《집합론. 기술적 집합론 입문 포함》, 논리학 및 수학 기초 연구 #86, 노스홀랜드, 1968 & 1976.
  • 《형식화된 산술에서 결정 불가능한 문장: 쿠르트 괴델의 이론 해설》, 노스홀랜드, 암스테르담, 1952.
  • 《응용을 위한 구성 가능한 집합》, 노스홀랜드, 암스테르담, 1969.

5. 2. 주요 논문

연도제목저널기타
1939"Über die Unabhängigkeit des Wohlordnungssatzes vom Ordnungsprinzip."Fundamenta Mathematicae Vol. 32, No.1, ss. 201-252[http://pldml.icm.edu.pl/pldml/element/bwmeta1.element.bwnjournal-article-fmv32i1p18bwm?q=bwmeta1.element.bwnjournal-number-fm-1939-32-1&qt=CHILDREN-STATELESS]
1947"On definable sets of positive integers"Fundamenta Mathematicae Vol. 34, No. 1, ss. 81-112[http://pldml.icm.edu.pl/pldml/element/bwmeta1.element.bwnjournal-article-fmv34i1p14?q=bwmeta1.element.bwnjournal-number-fm-1947-34-1&qt=CHILDREN-STATELESS]
1948"Un théorème sur les nombres cos 2πk/n"Colloquium Mathematicae Vol. 1, No. 3, ss. 195-196[http://pldml.icm.edu.pl/pldml/element/bwmeta1.element.bwnjournal-article-cmv1i3p195bwm?q=fad71736-d6ff-4073-afc1-98ac72cfc2bd$12&qt=IN_PAGE]
1951"Sur un problème de la théorie des groupes et son rapport à la topologie"Colloquium Mathematicae Vol. 2, No. 3-4, ss. 212-215카지미에시 쿠라토프스키 공저. [http://pldml.icm.edu.pl/pldml/element/bwmeta1.element.bwnjournal-article-cmv2i1p212bwm?q=fad71736-d6ff-4073-afc1-98ac72cfc2bd$16&qt=IN_PAGE]
1951"Groups connected with Boolean algebras. (Partial solution of the problem P92)"Colloquium Mathematicae Vol. 2, No. 3-4, ss. 216-219[http://pldml.icm.edu.pl/pldml/element/bwmeta1.element.bwnjournal-article-cmv2i1p216bwm?q=fad71736-d6ff-4073-afc1-98ac72cfc2bd$13&qt=IN_PAGE]
1952"On direct products of theories"Journal of Symbolic Logic, Vol. 17, No. 1, ss. 1-31[https://www.jstor.org/stable/2267454]
1952"Models of axiomatic systems"Fundamenta Mathematicae Vol. 39, No. 1, ss. 133-158[http://pldml.icm.edu.pl/pldml/element/bwmeta1.element.bwnjournal-article-fmv39i1p12?q=fad71736-d6ff-4073-afc1-98ac72cfc2bd$9&qt=IN_PAGE]
1953"On a system of axioms which has no recursively enumerable arithmetic model"Fundamenta Mathematicae Vol. 40, No. 1, ss. 56-61[http://pldml.icm.edu.pl/pldml/element/bwmeta1.element.bwnjournal-article-fmv40i1p7?q=fad71736-d6ff-4073-afc1-98ac72cfc2bd$10&qt=IN_PAGE]
1955"A formula with no recursively enumerable model"Fundamenta Mathematicae Vol. 42, No. 1, ss. 125-140[http://pldml.icm.edu.pl/pldml/element/bwmeta1.element.bwnjournal-article-fmv42i1p125bwm?q=fad71736-d6ff-4073-afc1-98ac72cfc2bd$6&qt=IN_PAGE]
1955"Examples of sets definable by means of two and three quantifiers"Fundamenta Mathematicae Vol. 42, No. 2, ss. 259-270[http://pldml.icm.edu.pl/pldml/element/bwmeta1.element.bwnjournal-article-fmv42i2p259bwm?q=fad71736-d6ff-4073-afc1-98ac72cfc2bd$1&qt=IN_PAGE]
1955"Contributions to the theory of definable sets and functions"Fundamenta Mathematicae Vol. 42, No. 2, ss. 271-275[http://pldml.icm.edu.pl/pldml/element/bwmeta1.element.bwnjournal-article-fmv42i2p271bwm?q=fad71736-d6ff-4073-afc1-98ac72cfc2bd$3&qt=IN_PAGE]
1956"Models of Axiomatic Theories Admitting Automorphisms"Fundamenta Mathematicae, Vol. 43, No. 1, ss. 50-68안제이 에렌포이흐트 공저. [http://pldml.icm.edu.pl/pldml/element/bwmeta1.element.bwnjournal-article-fmv43i1p50bwm?q=031167bd-ae87-4d23-96c0-fbc43899f4d4$3&qt=IN_PAGE]
1957"L'oeuvre scientifique de Jan Łukasiewicz dans le domaine de la logique mathématique"Fundamenta Mathematicae Vol. 44, No. 1, ss. 1-11[http://pldml.icm.edu.pl/pldml/element/bwmeta1.element.bwnjournal-article-fmv44i1p1bwm?q=fad71736-d6ff-4073-afc1-98ac72cfc2bd$4&qt=IN_PAGE]
1957"On a generalization of quantifiers"Fundamenta Mathematicae Vol. 44, No. 1, ss. 12-36[http://pldml.icm.edu.pl/pldml/element/bwmeta1.element.bwnjournal-article-fmv44i1p12bwm?q=fad71736-d6ff-4073-afc1-98ac72cfc2bd$5&qt=IN_PAGE]
1957"On computable sequences"Fundamenta Mathematicae Vol. 44, No. 1, ss. 37-51[http://pldml.icm.edu.pl/pldml/element/bwmeta1.element.bwnjournal-article-fmv44i1p37bwm?q=fad71736-d6ff-4073-afc1-98ac72cfc2bd$8&qt=IN_PAGE]
1958"The classical and ω-complete arithmetic"Journal of Symbolic Logic Vol. 23, No. 2, ss. 188-206안제이 그제고르치크, 체스와프 릴-나르제프스키 공저. [https://www.jstor.org/stable/2964398]
1958"On a problem of W. Kinna and K. Wagner"Colloquium Mathematicae Vol. 6, No. 1, ss. 207-208[http://pldml.icm.edu.pl/pldml/element/bwmeta1.element.bwnjournal-article-cmv6i1p207bwm?q=fad71736-d6ff-4073-afc1-98ac72cfc2bd$11&qt=IN_PAGE]
1961"A generalization of the incompleteness theorem"Fundamenta Mathematicae Vol. 49, No. 2, ss. 205-232[http://pldml.icm.edu.pl/pldml/element/bwmeta1.element.bwnjournal-article-fmv49i2p205bwm?q=fad71736-d6ff-4073-afc1-98ac72cfc2bd$7&qt=IN_PAGE]
1961"Axiomatizability of some many valued predicate calculi"Fundamenta Mathematicae Vol. 50, No. 2, ss. 165-190[http://pldml.icm.edu.pl/pldml/element/bwmeta1.element.bwnjournal-article-fmv50i2p165bwm?q=fad71736-d6ff-4073-afc1-98ac72cfc2bd$2&qt=IN_PAGE]
1969"On ω-models which are not β-models"Fundamenta Mathematicae Vol. 65, No. 1, ss. 83-93요신도 스즈키 공저. [http://pldml.icm.edu.pl/pldml/element/bwmeta1.element.bwnjournal-article-fmv65i1p9bwm?q=fad71736-d6ff-4073-afc1-98ac72cfc2bd$15&qt=IN_PAGE]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https://www.impan.pl[...] 2024-12-07
[2] 웹사이트 Wydział MIM UW - prof. Tadeusz Mostowski http://www.mimuw.edu[...] 2010-02-23
[3] 웹사이트 http://www.mimuw.ed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