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타이오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타이오스는 그리스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거인으로, 바다의 신 포세이돈과 대지의 여신 가이아의 아들이다. 그는 리비아 사막에 살았으며, 지나가는 나그네에게 레슬링 시합을 걸어 죽이고 해골로 신전을 장식했다. 안타이오스는 땅에 닿으면 힘이 강해지는 능력을 가지고 있었으나, 헤라클레스와의 대결에서 공중으로 들어 올려져 목 졸려 죽었다. 안타이오스 신화는 폭력적인 행위의 종말과 베르베르족과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해석이 존재하며, 헤라클레스와 안타이오스의 대결은 예술 작품의 소재로도 널리 사용되었다.
안타이오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거인으로, 바다의 신 포세이돈과 대지의 여신 가이아 사이에서 태어났다. 아내는 여신 팅게이다. 그는 엄청난 힘을 가진 장사였으며, 리비아를 지나가는 여행자들에게 레슬링 시합을 강요하여 이들을 죽이고 그들의 해골로 아버지 포세이돈의 신전을 장식했다.[32]
그리스 로마 신화에 나오는 거인 안타이오스는 카리브디스와 남매지간이며, 아내는 여신 팅게이다. 그는 힘이 매우 강해서 지나가는 나그네들에게 힘겨루기를 강요하고, 지는 사람들을 죽여 포세이돈이나 가이아 신전에 제물로 바치거나 해골을 아버지 궁전 장식용으로 사용했다. 안타이오스는 땅에 발이 닿을 때마다 더욱 강해지는 특성이 있어서 누구도 그를 이길 수 없었다.
2. 신화 속 안타이오스
안타이오스는 땅에 발이 닿으면 어머니 가이아로부터 힘을 얻어 더욱 강해지는 특성이 있었다. 이 때문에 그를 상대하기는 매우 어려웠다.
헤라클레스는 게리온의 소나 황금 사과를 찾기 위한 여행 도중 안타이오스와 싸우게 되었다.[29][33] 헤라클레스는 안타이오스를 땅에서 떼어놓고 목을 졸라 죽였다.[29] 안타이오스가 죽은 후, 그의 아버지 포세이돈은 매우 분노하였다고 전해진다.
2. 1. 가족 관계
포세이돈과 가이아의 아들이다.[2][3][4] 아내는 틴게이며,[6] 모로코의 탕헤르 시는 그녀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6] 딸로는 알케이스 또는 바르케,[7] 이피노에가 있다.[26] 이피노에는 헤라클레스와 관계를 맺었다.[26]
2. 2. 헤라클레스와의 대결
안타이오스는 리비아를 지나가는 여행자들에게 레슬링 시합을 강요하여 이들을 죽이고, 그 두개골로 아버지 포세이돈의 신전을 장식했다.[32] 그는 땅에 발이 닿으면 어머니 가이아로부터 힘을 얻어 무적이 되었기 때문에, 웬만해서는 그를 이길 수 없었다.
헤라클레스는 11번째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 헤스페리데스 정원으로 가는 길에,[29] 혹은 게리온의 소를 찾아 여행하던 중에 리비아에서 안타이오스에게 도전받았다.[33] 헤라클레스는 안타이오스를 던지거나 넘어뜨려서는 이길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대신 안타이오스의 약점을 간파하고 그를 땅에서 들어 올려 곰 포옹으로 목을 졸라 죽였다.[29]
헤라클레스와 안타이오스의 대결은 그리스 조각과 르네상스 조각에서 선호되는 주제였다.
2. 3. 안타이오스의 무덤
퀸투스 세르토리우스가 히스파니아에서 북아프리카로 건너갔을 때, 팅기스(탕헤르) 주민들로부터 안타이오스의 거대한 유해가 특정 고분 내에서 발견될 것이라는 말을 들었다. 그곳을 파내자 그의 군인들은 거대한 뼈들을 발견했고, 세르토리우스는 그 장소를 닫고 화해 제물을 바치며 "무덤의 명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21] 이 기념물은 탕헤르에서 50km 떨어진 무소라 석회석 원형으로 추정된다.[22]
로마 시대의 기록에 따르면, 리비아의 링쿠스 시 근교에 안타이오스의 무덤과 27m나 되는 거대한 안타이오스의 유골이 있었다고 한다.[34]
3. 예술 작품 속 안타이오스
4. 안타이오스 신화에 대한 해석
헤라클레스는 안타이오스의 특징을 파악하고 그를 땅에서 떼어놓아 목을 졸라 죽였다. 이 사건으로 인해 포세이돈이 크게 분노했다고 전해진다.
4. 1. 안타이오스, 폭력에 의존하는 자의 최후
안타이오스는 그리스 로마 신화에 나오는 거인으로, 지나가는 나그네들에게 힘겨루기를 강요하고, 지는 사람들을 죽여 아버지 포세이돈이나 어머니 가이아의 신전에 제물로 바치거나 해골을 아버지 궁전 장식용으로 사용했다.[32] 그는 땅에 발이 닿을 때마다 강해지는 특성이 있어 누구도 상대할 수 없을 만큼 강력했다.
헤라클레스는 황금 사과나 게리온의 소를 찾기 위해 여행하던 중 리비아를 지나가다 안타이오스의 도전을 받았다.[29][33] 헤라클레스는 안타이오스가 무한히 부활하고 강해지는 힘 때문에 고전했지만, 땅에 발이 붙어 있지 않으면 힘이 발휘되지 않는 약점을 간파했다. 결국 안타이오스는 헤라클레스에게 들어 올려져 목이 졸려 죽었다.[29]
안타이오스는 힘에만 의존하여 폭력을 일삼았지만, 결국 헤라클레스에게 패배하여 최후를 맞이했다. 이는 힘만으로는 모든 것을 이룰 수 없으며, 폭력은 정당화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로마의 역사가 가비니우스에 따르면, 리비아의 린쿠스 시 근교에는 안타이오스의 무덤과 27m 크기의 거대한 안타이오스의 유골이 있었다고 한다.[34]
4. 2. 베르베르족과의 연관성
안타이오스는 고대 리비아 내륙 사막에 위치했다고 전해진다.[20] 그는 기원전 7세기 중반 키레나이카에 대한 그리스의 식민지화 이후 그리스 신화에 편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1]
안타이오스의 위치는 베르베르 세계 내부의 먼 곳으로, 경도에 따라 꽤 유동적일 수 있다. 로마 사령관 퀸투스 세르토리우스는 히스파니아에서 북아프리카로 건너갔을 때, 팅기스 (탕헤르) 주민들로부터 안타이오스의 거대한 유해가 특정 고분 내에서 발견될 것이라는 말을 들었다. 그곳을 파내자 그의 군인들은 거대한 뼈들을 발견했고, 세르토리우스는 그 장소를 닫고 화해 제물을 바치며 "무덤의 명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21] 이 기념물은 탕헤르에서 50km 떨어진 무소라 석회석 원형으로 추정된다.[22]
마르쿠스 안나이우스 루카누스의 서사시 ''파르살리아''(c. AD 65-61) 제4권에서, 헤라클레스가 안타이오스를 물리치는 이야기가 이름 없는 리비아 시민에 의해 로마의 쿠리오에게 전해진다. 안토니우스와 클레오파트라의 딸의 남편인 학식 있는 속국 왕 유바 2세(기원전 23년 사망)는 헤라클레스와 안타이오스의 배우자인 팅가와의 관계에서 자신의 혈통을 주장했다.[23][24]
플루타르코스는 그의 ''세르토리우스의 생애''에서 지역 신화를 이야기하는데, 헤라클레스는 안타이오스가 죽은 후 팅가와 관계를 맺고 그녀와의 사이에서 소팍스라는 아들을 낳았으며, 그는 어머니의 이름을 따서 도시 팅기스를 명명했다. 소팍스는 다시 그의 차례로 헤라클레스가 리비아로 데려온 올비아인과 미케네인 군대로 많은 리비아 민족을 정복한 디오도루스의 아버지였다.[25] 게다가, 일부는 헤라클레스가 안타이오스와 (아마도) 팅가의 딸인 이피노에와의 사이에서 팔라이몬이라는 아들을 두었다고 말했다.[26]
핀다르의 피티아 경기 찬가 9에 대한 석사들은 또한 안타이오스를 리비아의 도시 이라사의 왕이자 알케이스 또는 바르케라는 이름의 딸의 아버지로 묘사하는 이야기를 기록했다. 안타이오스는 다나오스가 자신의 딸들의 남편을 찾기 위해 했던 것처럼 경주에서 우승자에게 딸의 손을 약속했다. 알렉시다무스는 경주에서 다른 모든 구혼자들을 이기고 안타이오스의 딸과 결혼했다. 이 이야기의 세 가지 버전은 약간의 변형을 가진 석사들에 의해 수집되었다. 그 버전 중 하나는 이라사의 왕인 안타이오스를 헤라클레스에게 죽임을 당한 안타이오스와는 다른 인물로 만들었으며, 다른 하나는 그들이 동일 인물이라고 제안했다.[27]
바르카의 고대 도시(아마도 리비아 마르지에 위치)는 안타이오스를 따라 안타폴리스라고도 불렸다.[28]
참조
[1]
서적
A Travel Guide to Homer: On the Trail of Odysseus Through Turkey and the Mediterranean, by John Freely, page 151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14-03-30
[2]
문서
Apollodorus
https://www.perseus.[...]
[3]
문서
Hyginus, Fabulae
https://topostext.or[...]
[4]
문서
Statius, Thebaid
[5]
문서
Lucan, Pharsalia
[6]
서적
في تاريخ المغرب
https://archive.org/[...]
[7]
문서
Scholiasts on Pindar, Pythian Ode
[8]
문서
Plato, Laws
[9]
문서
Pausanias
[10]
문서
Quintus Smyrnaeus
[11]
문서
Tzetzes, Chiliades
[12]
문서
Diodorus Siculus
[13]
문서
Philostratus of Lemnos, Eikones
[14]
문서
Pindar, Isthmian Odes
https://www.perseus.[...]
[15]
문서
Flavius Josephus, Antiquities of the Jews
[16]
문서
Hyginus, Fabulae
https://topostext.or[...]
[17]
문서
Apollodorus
[18]
문서
Diodorus Siculus
[19]
서적
Gardner's Art Through the Ages: V. 2: A Global History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EMEA
2008-02-01
[20]
간행물
I. Malkin, Myth and Territory in the Spartan Mediterranean
[21]
간행물
Fox 2008:182, noting Plutarch, Sertorius
[22]
웹사이트
Tertre de M'zora
http://www.mincultur[...]
2004-06-24
[23]
간행물
Strabo
[24]
문서
Pliny the Elder, Naturalis Historia
[25]
문서
Plutarch, Life of Sertorius
https://www.perseus.[...]
[26]
문서
Tzetzes on Lycophron
[27]
문서
Scholia on Pindar, Pythian Odes
[28]
서적
The Works of Ibn Wāḍiḥ al-Yaʿqūbī (Volume 1): An English Translation
https://books.google[...]
Brill
2017-01-01
[29]
문서
アポロドーロス、2巻5・11。
[30]
문서
ヒュギーヌス、31話。
[31]
문서
カメイロスのペイサンドロス断片。
[32]
문서
ピンダロス『イストミア祝勝歌』第4歌54b。
[33]
문서
シケリアのディオドロス、4巻17・4。
[34]
문서
ストラボン、17巻3・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