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렉산드르 블로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드르 블로크는 1880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난 러시아의 시인이다. 그는 귀족 인텔리겐치아 집안 출신으로, 1903년 시인이자 비평가로 등단하여 러시아 상징주의를 대표하는 시인으로 자리 잡았다. 1905년 러시아 혁명을 열정적으로 환영했으나, 혁명 이후 환멸을 느껴 1921년 사망했다. 블로크는 자신의 작품을 단일한 예술적 총체로 간주했으며, 그의 시는 20세기 러시아 시와 러시아인의 삶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1년 사망 - 엥겔베르트 훔퍼딩크
    독일의 후기 낭만주의 작곡가인 엥겔베르트 훔퍼딩크는 바그너의 영향을 받아 《헨젤과 그레텔》과 같은 동화 오페라를 작곡했으며, 쾰른 음악원과 뮌헨 음악원에서 공부하고 여러 음악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을 양성했다.
  • 1921년 사망 - 율리우스 리하르트 페트리
    독일의 세균학자 율리우스 리하르트 페트리는 로베르트 코흐의 조수로서 미생물 배양에 널리 사용되는 페트리 접시를 발명하고 단백질 화학, 산업 위생, 살균법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 1880년 출생 - 한상룡
    이완용의 외조카이자 친일파 집안 출신인 한상룡은 한성은행을 기반으로 성장하여 조선총독부의 지원하에 각종 친일 단체에서 활동하며 일제의 침략 전쟁에 적극 협력한 인물이다.
  • 1880년 출생 - 신규식
    신규식은 충청북도 청주 출신의 독립운동가로, 만민공동회에서 활동하고 신해혁명에 기여했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법무총장 등을 역임하다가 단식 투쟁으로 사망했다.
알렉산드르 블로크
기본 정보
1903년의 블로크
1903년의 블로크
본명알렉산드르 알렉산드로비치 블로크
출생일1880년 11월 28일 (구력 11월 16일)
출생지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제국
사망일1921년 8월 7일
사망지페트로그라드, 러시아 SFSR
국적러시아
직업시인
작가
평론가
극작가
번역가
문학 비평가
언어러시아어
사조러시아 상징주의
대표작열두 명
개인 정보

2. 생애

알렉산드르 블로크는 러시아 상징주의를 대표하는 시인으로, 그의 생애는 창작 활동과 혁명에 대한 관점 변화로 요약될 수 있다.

1903년 잡지 《새로운 길》을 통해 등단한 후, 1904년 첫 시집 《아름다운 여인에 관한 시》를 출간하며 러시아 상징주의 시인들의 주목을 받았다.[1] 1905년부터 1910년 사이에는 창작 활동의 절정기를 맞아 여러 권의 시집과 희곡집을 발표했다. 특히 1911년부터 1912년 사이에는 다섯 권의 시집을 세 권의 《시 모음집》으로 엮어 '서정적 3부작'이라는 독특한 형식의 '시 소설'을 선보였다.

1910년대는 블로크에게 새로운 정신적 토대를 모색하고 시의 운명을 전환하는 시기였다. 1916년에는 19세기 낭만주의 시인 아폴론 그리고리예프의 시집을 펴내기도 했다. 그러나 1915년에서 1916년에 이르러 창작 활동이 쇠퇴하고,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으로 정신적 공허를 겪었다.

러시아 혁명 초기에는 혁명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였으나, 점차 환멸을 느꼈다.[1] 10월 혁명 이후에는 혁명의 정화 능력에 대한 믿음으로 다시 창작열을 불태워 대표작 《열둘》, 《스키타이》, 에세이 《인텔리겐치아와 혁명》 등을 발표했다. 그러나 혁명 정부의 관료주의에 실망하고, 1921년에는 다시 창작 활동을 중단했다.

말년에 블로크는 혁명 정부 산하 문화 기구에서 활동하며 문화 보존에 힘썼지만, 심장병과 정신 착란으로 고통받다가 1921년 8월 7일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사망했다. 그의 유해는 볼코보 묘지의 리테라토르스키 모스트키로 이장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알렉산드르 블로크는 1880년 11월 16일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났다. 그는 러시아 문화 전통이 살아 숨 쉬는 귀족 인텔리겐치아 집안 출신이다. 부친과 조부는 대학 교수였고, 외조부는 유명한 생물학자이자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 총장을 역임한 안드레이 베케토프이다. 시인의 부모는 그가 태어나기 전 사실상 결별했고, 블로크는 외가에서 자라며 인문적인 가풍 속에서 일찍이 시에 눈을 떴다. 상트페테르부르크 출신으로 바르샤바에서 법학을 가르치는 아버지와 친척 중에는 지식인이 많았다.

블로크는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를 졸업했다. 학생 시절에는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의 철학과 당시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던 19세기 시인 표도르 튜체프아파나시 페트의 시를 접하게 되었다. 이러한 영향은 그의 초기 출판물에 영향을 미쳤다.

2. 2. 문학 활동과 결혼

1903년 잡지 《새로운 길(Новый путь)》을 통해 시인이자 비평가로 등단했다.[1] 같은 해, 그는 유명한 화학자 드미트리 멘델레예프의 딸인 배우 류보프(류바) 드미트리예브나 멘델레예바와 결혼했다.[1] 1904년에는 류바에게 헌정하는 첫 시집 《아름다운 여인에 관한 시(Стихи о Прекрасной Даме)》를 출간하여 러시아 상징주의 시인들에게 열렬히 환영받았다.[1] 그러나 류바는 이후 블로크의 동료 상징주의자 안드레이 벨리와 복잡한 애증 관계에 연루되었다.[1]

2. 3. 혁명과 그 이후

1905년 러시아 혁명을 열정적으로 환영했던[1] 블로크는 2월 혁명 이후 페테르부르크(당시에는 페트로그라드)로 돌아와 부르주아 임시정부의 조사위원회에 관여했다.[3][4] 올랜도 파이지스에 따르면 그는 심문에만 참석했다.[5] 1917년에는 단 한 편의 시도 쓸 수 없었지만, 10월 혁명 이후 ‘혁명이 지닌 정화의 힘’에 대한 믿음으로 고양되어 정신적 소생을 맞이한다. 1918년 1월, 마지막으로 찾아온 짧고 격렬한 창조적 열기 속에서 블로크는 그를 불멸의 존재로 만든 서사시 <열둘>과 시 <스키타이>, 에세이 <인텔리겐치아와 혁명>을 썼다.

1917년 11월, 10월 혁명 며칠 후, 인민 교육 위원 아나톨리 루나차르스키는 120명의 주요 작가 및 문화 인사를 회의에 초대했으나, 거의 모두가 보이콧했다. 블로크는 블라디미르 마야코프스키, 세볼로트 메이에르홀드 외 두 명과 함께 참석한 다섯 명 중 한 명이었다.[6] 1918년 사회과학 사회주의 아카데미가 설립되었을 때, 블로크는 참여자가 되었다.[7]

이러한 초기 지지 표명 때문에, 블로크는 혁명 이전의 종교적 이미지와 이후의 환멸에도 불구하고 볼셰비키에 의해 계속 존경받았다. 1923년, 레온 트로츠키는 저서 ''문학과 혁명''에서 블로크에게 한 장을 할애하며 "블로크는 10월 이전의 문학에 속했지만, 이것을 극복하고, '열두 명'을 썼을 때 10월의 영역으로 들어갔다. 그렇기 때문에 그는 러시아 문학사에서 특별한 자리를 차지할 것이다."라고 말했다.[9] 소비에트 작가 제1차 회의에 대한 시 공식 보고에서, 니콜라이 부하린은 블로크를 "엄청난 힘을 가진 시인 (그의) 시는 조각된 기념비를 달성한다..."라고 칭찬했지만, "그는 십자가의 표식으로 펼쳐지는 혁명의 이미지를 축복하고 동시에 몰아낼 수 있다고 생각했고, 마지막 말을 하지 못한 채 죽었다"라고 덧붙였다.[10]

1921년에 이르러 시를 쓸 수 없는 시간이 다시 찾아오자, 블로크는 창작 대신 혁명정부 산하 문화 기구들에서 일하며 문화 보존에 전력을 기울이는 한편, 문화철학 강연에 몰두한다. 블로크의 문화 계몽 활동은 민중에 대한 인텔리겐치아의 책임 의식에서 비롯되었으나, ‘정화의 불길로서의 혁명’ 이상과 전체주의적인 소비에트 관료 정권의 실상 사이 괴리에 대한 뼈아픈 인식은 그를 깊은 환멸과 새로운 정신적 지향 추구로 이끌었다. 말년의 에세이와 수기를 관류하는 ‘문화의 카타콤’ 모티프가 그렇게 대두된다.

2. 4. 죽음

1921년이 되자 블로크는 러시아 혁명에 환멸을 느꼈다. 그는 3년 동안 시를 쓰지 않았다. 그는 막심 고리키에게 "인류의 지혜에 대한 믿음"이 끝났다고 불평했고, 친구 코르네이 추콥스키에게 더 이상 시를 쓸 수 없는 이유를 "모든 소리가 멈췄어요. 더 이상 소리가 들리지 않는 거 못 느끼겠어요?"라고 설명했다.[11] 며칠 안에 블로크는 천식으로 앓게 되었고, 앞서 괴혈병도 앓았다. 그의 의사들은 그를 치료를 위해 해외로 보내달라고 요청했지만, 그는 국외로 나가는 것이 허락되지 않았다.

고리키는 블로크를 위해 비자를 간청했다. 1921년 5월 29일, 그는 아나톨리 루나차르스키에게 "블로크는 러시아 최고의 시인입니다. 그가 해외로 가는 것을 금지하고 그가 죽는다면, 당신과 당신의 동료들은 그의 죽음에 대해 죄를 짓는 것입니다."라고 썼다. 블로크의 출국에 대한 결의안은 1921년 7월 23일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들에 의해 서명되었다. 그러나 7월 29일 고리키는 블로크의 건강이 급격히 악화되었기에 블로크의 아내가 그를 동반하도록 허가를 요청했다. 류보프 드미트리예브나 블로크의 러시아 출국 허가는 1921년 8월 1일 몰로토프에 의해 서명되었지만 고리키는 8월 6일에야 통보를 받았다. 허가는 8월 10일에 전달되었지만 블로크는 이미 8월 7일에 사망했다.[11]

몇 달 전, 블로크는 알렉산드르 푸시킨에 대한 유명한 강연을 했는데, 그는 푸시킨의 기억이 백군과 소비에트 러시아 파벌을 통합할 수 있다고 믿었다.[11]

3. 작품 세계와 특징

안나 아흐마토바는 블로크를 ‘시대의 비극적 테너’라 칭하며, 그를 20세기 첫 사반세기의 위대한 시인이자 시대의 대변자라고 평가했다.[12] 블로크의 시는 진정성과 날카로움을 바탕으로 많은 독자를 확보했으며, 러시아 예술의 시민적 애국정신과 윤리적 절대주의를 생생하게 보여준다.

블로크는 자신의 삶을 '길'의 형상으로, 창작을 그 길의 반영으로 보았다. 그는 자신의 모든 작품을 '강림의 3부작(трилогия вочеловечения)'이라는 단일한 예술적 총체로 간주했다. 개별 시들은 장(사이클)을 이루고, 여러 장들이 모여 책을 이루며, 각 권은 3부작의 일부가 된다. 블로크는 이 3부작 전체를 '시 소설(роман в стихах)'이라 불렀는데, 이는 시인의 운명이 투영된 독특한 서정적 일기이다.

블로크, 1917년, 겨울 궁전


콘스탄틴 소모프의 초상화, 1907


블로크는 시집 ''도시''(1904-1908)에서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인상적이면서도 기묘하게 묘사했다. 이후 시집 ''파이나''와 ''눈의 가면''은 그의 명성을 더욱 높였다. 그는 알렉산드르 푸시킨과 비교되며 러시아 시의 백은 시대의 가장 중요한 시인으로 여겨진다. 1910년대에 블로크는 안나 아흐마토바, 마리나 츠베타예바,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등 젊은 시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3. 1. 상징주의와 도시 민속의 결합

블로크의 첫 시집에 나타난 이상화된 신비로운 이미지는 그를 러시아 상징주의의 주요 시인으로 만들었다. 초기 시는 음악적이었지만, 나중에는 대담한 리듬 패턴과 불규칙한 박자를 도입하려 했다. 시적 영감은 그에게 자연스러웠고, 평범한 환경과 사소한 사건에서 잊을 수 없는 초현실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냈다(''파브리카'', 1903). 그의 성숙한 시는 이상적인 아름다움에 대한 플라톤 이론과 불쾌한 산업주의의 현실 사이의 갈등에 기반을 둔 경우가 많았다(''인형극'', 1906).

블로크는 현대적인 언어와 새로운 이미지를 찾기 위해 상징주의 시에 도시 민속, 발라드(감상적인 노래), 짤막한 노래("차스투슈카")와 같은 특이한 자료를 사용했다. 1915년부터 1920년까지 블로크가 자주 방문했던 콘서트에서 영감을 얻은 인기 샹소니에 미하일 사보야로프에게서 영감을 받았다.[13] 학자 빅토르 시클로프스키는 이 시가 사보야로프의 쿠플레와 유사한 범죄 언어와 아이러니한 스타일로 쓰였으며, 블로크가 1918년 페트로그라드의 속어를 모방했다고 언급했다.[14]

3. 2. <열둘>과 혁명에 대한 양가적 태도

블로크는 혁명에 대한 자신의 양가적 태도를 수수께끼 같은 시 "열두 명"(1918)을 통해 표현했다. 이 시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소리, 다성적인 리듬, 거친 속어"(''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표현)를 보여준다. 열두 명은 혁명적인 페트로그라드의 거리를 행진하는 열두 명의 볼셰비키 병사(예수의 열두 제자에 비유)를 묘사하며, 그들을 둘러싸고 맹렬한 겨울 폭풍이 몰아친다. 이 작품으로 인해 블로크는 많은 지적인 독자들(그에게 예술성이 부족하다고 비난)과 소원하게 되었고, 볼셰비키는 그의 이전 신비주의와 금욕주의를 경멸했다.[12]

블로크는 현대적인 언어와 새로운 이미지를 찾기 위해 상징주의 시에 도시 민속, 발라드(감상적인 성격의 노래), 짤막한 노래("차스투슈카")와 같은 특이한 자료를 사용했다. 그는 1915년부터 1920년까지 블로크가 자주 방문했던 콘서트에서 영감을 얻은 인기 샹소니에 미하일 사보야로프에게 영감을 받았다.[13] 학자 빅토르 시클로프스키는 이 시가 사보야로프의 쿠플레와 유사한 범죄 언어와 아이러니컬한 스타일로 쓰여졌으며, 블로크가 1918년 페트로그라드의 속어를 모방했다고 언급했다.[14]

특히 혁명기의 상트페테르부르크를 배경으로 12명의 적군 병사를 십이 사도에 비유하여 성과 속을 독특한 운율로 연결한 장편 시 "열두 명"이 유명하다. 마지막에 등장하는 인물은 예수 그리스도로도 해석될 수 있어 물의를 빚었다.

3. 3. 주요 작품

그의 첫 시집에 제시된 이상화된 신비로운 이미지는 블로크를 러시아 상징주의 스타일의 주요 시인으로 자리 잡게 했다. 블로크의 초기 시는 음악적이었지만, 그는 나중에 대담한 리듬 패턴과 불규칙한 박자를 시에 도입하려고 했다. 시적 영감은 그에게 자연스러운 것이었고, 가장 평범한 환경과 사소한 사건에서 잊을 수 없는, 초현실적인 이미지를 자주 만들어냈다(''파브리카'', 1903). 결과적으로 그의 성숙한 시는 종종 이상적인 아름다움에 대한 플라톤 이론과 불쾌한 산업주의의 실망스러운 현실 사이의 갈등에 기반을 둔다(''인형극'', 1906).[12]

그가 다음 시집인 ''도시'' (1904–08)를 위해 묘사한 상트페테르부르크는 인상적이면서도 기묘했다. 이후 시집인 ''파이나''와 ''눈의 가면''은 블로크의 명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그는 종종 알렉산드르 푸시킨과 비교되었으며, 러시아 시의 백은 시대의 가장 중요한 시인으로 여겨진다. 1910년대에 블로크는 문학 동료들에게 큰 존경을 받았고, 젊은 시인들에게 미치는 그의 영향력은 거의 타의 추종을 불허했다. 안나 아흐마토바, 마리나 츠베타예바,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블라디미르 나보코프는 블로크에게 중요한 헌사를 바치는 시를 썼다.[12]

블로크는 수수께끼 같은 시 "열두 명"(1918)을 통해 혁명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표현했다. 이 긴 시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소리, 다성적인 리듬, 거친 속어"를 보여준다(''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표현). 이 시는 혁명적인 페트로그라드의 거리를 행진하는 열두 명의 볼셰비키 병사(예수의 열두 제자에 비유)를 묘사하며, 그들을 둘러싸고 맹렬한 겨울 폭풍이 몰아친다. "열두 명"은 블로크를 많은 지적인 독자들(그에게 예술성이 부족하다고 비난)과 소원하게 만들었고, 볼셰비키는 그의 이전 신비주의와 금욕주의를 경멸했다.[12]

현대적인 언어와 새로운 이미지를 찾기 위해 블로크는 상징주의 시에 도시 민속, 발라드(감상적인 성격의 노래), 짤막한 노래("차스투슈카")와 같은 특이한 자료를 사용했다. 그는 1915년부터 1920년까지 블로크가 자주 방문했던 콘서트에서 영감을 얻은 인기 샹소니에 미하일 사보야로프에게 영감을 받았다.[13] 학자 빅토르 시클로프스키는 이 시가 사보야로프의 쿠플레와 유사한 범죄 언어와 아이러니컬한 스타일로 쓰여졌으며, 블로크가 1918년 페트로그라드의 속어를 모방했다고 언급했다.[14]

혁명기의 상트페테르부르크를 둘러싼 12명의 적군 병사를 십이 사도에 비유하여, 성과 속을 독특한 운율로 연결한 장편 시 "열두 명"이 특히 유명하다. 마지막에 등장하는 인물은 예수 그리스도로도 해석될 수 있어 물의를 빚었다.

4. 평가와 영향

안나 아흐마토바는 블로크를 ‘시대의 비극적 테너’라고 부르며, 그를 20세기 첫 사반세기의 위대한 시인이자 시대적 인간, 가장 선명한 시대의 대변자라고 평가했다. 블로크의 시적 체험은 진정성과 날카로움을 바탕으로 수많은 독자를 확보했으며, 20세기 러시아 시와 러시아인의 삶에 폭넓은 문학적·정신적 반향을 낳았다. 그의 시는 러시아 예술을 관류해 온 시민적 애국정신과 윤리적 절대주의의 생생한 증거로 평가받는다.

블로크는 자신의 삶의 의미를 항상 '길'의 형상 속에서 찾았으며, 창작은 그가 걸어온 길의 반영이라고 생각했다.[1] 그는 시와 서사시들을 독립적인 작품으로 간주하지 않고, 모든 작품을 단일한 예술적 총체로 보았다.[1] 이러한 시인의 예술적 이상을 구현한 것이 '강림의 3부작(трилогия вочеловечения)'이다.[1] 블로크는 개별적인 시들은 장(사이클)을 형성하고, 여러 장들이 모여 책을 이루며, 각 권은 3부작의 부분이 된다고 보았으며, 3부작 전체를 '시 소설(роман в стихах)'이라고 불렀다. 이는 시인의 운명의 이정표들이 투영된 독특한 서정적 일기이다.[1]

참조

[1] 간행물 Blok's Nechaiannaia Radosť 1991
[2] 간행물 The Broken Music of the Revolution: Trotsky and Blok http://research.gold[...] 2017
[3] 웹사이트 The Rasputin File by Edvard Radzinsky http://www.randomhou[...]
[4] 웹사이트 Archived item http://www.rulit.net[...] 2014-04-22
[5] 웹사이트 Interpreting the Russian Revolution: The Language and Symbols of 1917 http://www.worldcat.[...]
[6] 서적 Fear and the Muse Kept Watch, the Russian Masters - from Akhmatova and Pasternak to Shostakovich and Eisenstein - Under Stalin The New Press 2015
[7] 웹사이트 Alexander Bogdanov and the suppression of "Collectivism" https://www.academia[...] 2021-01
[8] 웹사이트 The Twelve https://ruverses.com[...] 1918-01
[9] 서적 Literature and Revolution https://www.marxists[...] 1923
[10] 서적 Soviet Writers' Congress 1934, The Debate on Socialist Realism and Modernism Lawrence and Wishart 1977
[11] 서적 A People's Tragedy: The Russian Revolution 1891-1924 1996
[12] 서적 Blok without gloss Amphora
[13] 서적 Encyclopedia of Russian Variety Art, XX century «Rospen»
[14] 서적 The Writing Table https://books.google[...] Sovetsky Pisate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