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콜라이 부하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콜라이 부하린은 러시아 혁명에 참여한 볼셰비키 혁명가이자, 소련의 정치인이자 경제학자이다. 1906년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에 입당하여 볼셰비키에 가담했으며, 1917년 2월 혁명 이후 소련의 유력 지도자가 되었다. 레닌 사후 스탈린과 연합하여 트로츠키의 좌익 반대파에 맞서 신경제정책을 옹호했으나, 스탈린의 노선 변화로 인해 권력 투쟁에서 밀려났다. 1938년 모스크바 재판에서 유죄를 선고받고 처형되었으며, 1988년 명예가 회복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좌파공산주의자 - 조지 오웰
조지 오웰은 전체주의와 사회 불평등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으로 유명한 영국의 소설가, 에세이스트, 저널리스트이자 사회 비평가로, 『동물농장』과 『1984년』 같은 디스토피아 소설로 이름을 알렸다. - 러시아의 반자본주의자 - 일리야 포노마료프
일리야 포노마료프는 러시아의 정치인이자 기업인으로, 국가 두마 의원을 역임하고 푸틴 반대 활동으로 망명 생활을 하며, 크림반도 합병 반대와 우크라이나 침공 후 우크라이나군 합류, 그리고 다리야 두기나 암살 사건 연루 등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 - 러시아의 반자본주의자 - 미하일 바쿠닌
미하일 바쿠닌은 러시아 귀족 출신 혁명가이자 아나키즘의 선구자로, 혁명 운동 참여, 국가와 권위에 반대하는 무정부주의 주창, 분권화된 집산주의와 개인의 자유 강조 등의 사상으로 20세기 아나키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민족주의적 견해와 반유대주의적 발언 등 논란의 여지도 있다. - 코민테른 집행위원회 - 팔미로 톨리아티
팔미로 톨리아티는 이탈리아 공산당의 장기간 서기장으로, 안토니오 그람시와 함께 이탈리아 공산당 창당에 기여하고 무솔리니 정권 하 망명 생활과 스페인 내전 참전, 제2차 세계 대전 후 이탈리아 공산당 재건, 그리고 "이탈리아식 사회주의" 노선 추구 등의 활동을 펼친 이탈리아의 공산주의 정치인이다. - 코민테른 집행위원회 - 클라라 체트킨
클라라 체트킨은 독일의 사회주의자, 여성 해방 운동가, 정치인으로서, 제1차 세계 대전 반대 운동과 독일 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세계 여성의 날' 제정에 기여했으며, 여성 참정권 확보 투쟁, 부르주아 페미니즘 비판, 소비에트 연방과의 협력 등 여성 해방 운동을 전개했다.
니콜라이 부하린 | |
---|---|
기본 정보 | |
이름 | 니콜라이 부하린 |
로마자 표기 | Nikolai Ivanovich Bukharin |
출생일 | 1888년 10월 9일 |
출생지 | 러시아 제국, 모스크바 |
사망일 | 1938년 3월 15일 |
사망지 |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소비에트 연방, 모스크바 |
사망 원인 | 총살형 |
안장 장소 | 콤무나르카 사격장 |
정치 경력 | |
직책 1 | 코민테른 집행위원회 서기장 |
임기 시작 1 | 1926년 11월 |
임기 종료 1 | 1929년 4월 |
이전 서기장 1 | 그리고리 지노비예프 |
다음 서기장 1 |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
직책 2 | 프라우다 편집장 |
임기 시작 2 | 1918년 11월 |
임기 종료 2 | 1929년 4월 |
이전 편집장 2 | 이오시프 스탈린 |
다음 편집장 2 | 미하일 올민스키 |
직책 3 | 전연방 공산당 (볼셰비키) 중앙위원회 정치국 정회원 |
임기 시작 3 | 1924년 6월 2일 |
임기 종료 3 | 1929년 11월 17일 |
직책 4 | 러시아 공산당 (볼셰비키) 중앙위원회 정치국 후보 위원 |
임기 시작 4 | 1919년 3월 8일 |
임기 종료 4 | 1924년 6월 2일 |
개인 정보 | |
출생 이름 | 니콜라이 이바노비치 부하린 |
배우자 | 나데즈다 루킨 에스피르 구르비치 안나 라리나 |
자녀 | 2명 |
학력 및 직업 | |
모교 | 모스크바 제국대학교 (1911년) |
소속 정당 |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볼셰비키) (1906–1918)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1918–1937) |
서명 | |
기타 | |
분야 | 마르크스주의 제국주의 연구 |
2. 1917년 이전
니콜라이 부하린은 1888년 10월 9일(율리우스력 9월 27일) 러시아 제국 모스크바에서 초등학교 교사인 아버지와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1] 16세부터 친구 일리야 예렌부르크와 함께 혁명운동을 시작했으며, 모스크바 대학에서 1905년 러시아 혁명과 연관된 활동을 벌였다. 1906년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에 입당하여 당내 분파인 볼셰비키에 가담하였다. 1907년 모스크바에서 그리고리 소콜리니코프와 함께 전국 청년 연합을 개최하였는데, 이것은 후에 콤소몰의 기원이 되었다.
1917년 2월 혁명이 일어나 제정이 무너지자, 부하린은 일본을 거쳐 모스크바로 돌아와 볼셰비키의 유력 지도자가 되었다. 그는 볼셰비키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4] 10월 혁명 당시 부하린은 모스크바 방면의 혁명을 지도하였고, 당 기관지인 프라우다의 편집인이 되었다.[3][4]
1924년 레닌 사망 이후, 부하린은 당 정치국 정식 국원이 되었다.[7] 스탈린과 연합하여 레온 트로츠키가 이끈 "좌익 반대파"의 급진적인 산업화, 쿨라크(부농)에 대한 계급 투쟁 심화 등의 주장에 맞서 네프(NEP)를 옹호하였다. 일국사회주의론을 주창하여 영구혁명론과 대립하였다.
부하린이 주장한 네프(NEP)의 지속은 당내에서 큰 인기를 얻지 못했다. 그의 부농 옹호와 온건한 산업화 정책은 지노비예프와 스탈린에게 비판받았다. 스탈린은 부하린의 주장을 자본주의적 일탈로 규정하고, 급격한 산업화와 강경한 정책 없이는 혁명이 위기에 처한다고 주장했다.[7]
스탈린의 농업 집단화는 부하린이 예상했던 것처럼 재앙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1934년 세르게이 키로프 암살 사건이 발생했다. 1934년부터 1936년까지 부하린은 당내에서 복권되었고, 이즈베스티야의 편집장이 되었다. 그는 1936년 소련 헌법의 기초자가 되었다.[25]
1936년 그리고리 지노비예프와 레프 카메네프가 재판을 받고 처형되었다.[25] 1937년 1월, 부하린과 알렉세이 리코프는 국가전복혐의로 체포되었다.[25] 부하린은 1938년 3월 2일부터 3월 18일까지 열린 21인의 재판에 피고인으로 법정에 섰다.[25] 이 재판에서 16명은 "우익 및 트로츠키주의자"로 유죄 판결을 받고 사형 선고를 받았다.[25]
1938년 3월 15일 부하린은 처형되었는데, 이는 나치 독일이 오스트리아를 병합한 사건에 가려 큰 이슈가 되지 못했다. 부하린은 처형 직전에 스탈린에게 "코바(스탈린의 혁명활동시 별명), 왜 나의 죽음이 필요하지?"라는 편지를 보냈다.[64]
레닌은 부하린을 당내 '''차세대 지도자'''로 일컬을 정도였다.[47] 부하린은 마르크스-레닌주의에 대한 많은 기여를 했을 뿐만 아니라, 식물학에도 조예가 깊어 소련 학술원의 창립 회원이기도 하였다.
[1]
서적
The House of Government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7-08-07
20살에 당 모스크바 위원회의 회원이 되었으며, 차르의 비밀경찰인 오흐라나의 요주의 인물이 되었다. 1911년 유형 생활에서 돌아온 직후 나데즈다 루키나와 결혼하였다.
1911년 아르한겔스크로 이송되던 중 탈출하여 하노버로 망명하였다. 1912년 크라쿠프로 가서 레닌을 처음으로 만났다. 망명 생활 중에도 계속 교육을 받은 부하린은 20대에 볼셰비키 이론가라는 명성을 얻게 한 몇 권의 책을 저술했다. 레닌과 이론 문제로 자주 논쟁하기도 하였다. 1913년 빈에서 레닌의 부탁으로 조지아의 볼셰비키였던 스탈린의 《마르크스주의와 민족문제》 저술을 도왔다.
1916년 10월 뉴욕으로 거처를 옮긴 부하린은 레온 트로츠키, 알렉산드라 콜론타이와 함께 신문 "노비 미르"의 편집자가 되었다.
3. 1917년 혁명에서부터 1928년까지
부하린은 세계 혁명에 대해 열정적으로 동조했다.[5] 제1차 세계 대전 막바지의 곤경 속에서 부하린은 전쟁을 계속하길 주장했으며,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을 추진한 레닌에 대항하는 강경한 반대파를 이끌었다.[6] 조약 비준 후 부하린은 당무에 복귀하였다. 1919년 3월, 그는 코민테른 집행위원회 위원이 되었고, 당 정치국 후보위원이 되었다. 러시아 내전 시기 동안 부하린은 여러 공산주의 이론에 관한 저술을 발표했다. 1921년 부하린은 의견을 바꾸어 소련의 공산주의 건설이 미래의 세계 혁명을 위한 기초라는 레닌의 견해를 받아들였고, 신경제정책(NEP)의 열렬한 지지자가 되었다.
4. 권력 투쟁
1926년부터 스탈린-부하린 연합이 그리고리 지노비예프, 레프 카메네프를 권력 투쟁에서 이기고, 부하린은 1926년 ~ 1928년 동안 소련 권력의 정점에 이르게 되었다.[9] 그는 코민테른 집행위원회 의장을 맡았다.
1928년 곡물생산량 부족에 직면한 스탈린은 네프(NEP)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고 입장을 바꾸어 급진적 산업화와 강제적인 농업 집단화를 주장하게 되었다.[10] 부하린은 스탈린의 주장을 우려하고, 강제 집단화가 빈농에 대한 "군사적, 봉건적인 착취"로 이어질 수 있음을 예상하였다.[11]
5. 몰락
결국 부하린과 스탈린 간의 권력 투쟁이 시작되었고, 부하린은 패배했다. 1929년 4월, 부하린은 코민테른 의장직에서 해임되었고, 편집장을 맡고 있던 프라우다에서도 물러났다. 같은 해 11월에는 당 정치국에서도 쫓겨났고, 강요로 당내에서 자아비판을 해야 했다.[13]
6. 대숙청
키로프 암살 이후, 스탈린과 NKVD는 암살자를 색출한다는 명분으로 광범위한 체포와 수사를 진행했다. 그리하여 과거의 스탈린 반대파들은 모두 반역, 테러, 사보타주, 간첩 행위 등의 혐의를 받게 되었다.[25]
7. 재판
이들의 혐의는 "레닌과 스탈린을 암살하려 했고, 막심 고리키를 독살했으며, 소련 영토를 제국주의 국가에 넘기려 했다"는 것이었다.[25] 부하린의 혐의에 대해 세계적으로 재판의 공정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고, 서방의 저명한 공산주의자들은 이 재판을 보고 스탈린의 야만성에 충격을 받아 반공주의자로 돌아서는 계기가 되었다.[25]
당시 스탈린의 측근이었던 몰로토프는 부하린이 고문을 받지 않고 스스로 혐의를 자백했다고 회고록에 썼다.[25] 그러나 나중에 밝혀진 바에 따르면, 부하린은 부인과 아들에 대한 위협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허위로 작성된 "진술서"에 서명했다고 한다.[25]
부하린은 옥중에서 몇 편의 저작을 남겼다.[25] 이 저작들은 스탈린이 남긴 문서에서 발견되어 1990년대에 출판되었다.[25]
8. 처형
아내와 아들에 대한 안전보장의 약속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부하린 사후 강제수용소에 보내졌고, 스탈린 사후에야 풀려날 수 있었다. 부하린의 아내는 흐루쇼프 시절 소련공산당 중앙위원회에 출석하여 당시에는 문서로 남길 수 없어서 암기하도록 시킨 부하린의 유언을 말했으며, 1988년 미하일 고르바초프에 의해 공식적으로 복권되었다.
프랑스 작가이자 노벨상 수상자인 로맹 롤랑은 스탈린에게 편지를 보내 부하린에 대한 관용을 호소하며 "부하린과 같은 지성은 그의 조국을 위한 보물"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부하린의 상황을 프랑스 혁명 당시 단두대에서 처형당한 위대한 화학자 앙투안 라부아지에의 상황에 비유하며, "프랑스의 우리, 가장 열렬한 혁명가들조차… 여전히 우리가 저지른 일에 대해 깊이 슬퍼하고 후회하고 있습니다. … 저는 당신께 관용을 베풀어 주시기를 간청합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1937년에도 스탈린에게 편지를 써서 "고르키를 위해서라도, 그가 무엇인가 잘못을 저질렀다 하더라도 자비를 베풀어 달라고 요청합니다."라고 했고, 스탈린은 "우리는 응답해서는 안 된다."라고 적었다. 부하린은 콤무나르카 총살터에서 처형되었지만, 그의 사망 발표는 나치의 오스트리아 합병 소식에 가려졌다.
조레스 메드베데프와 로이 메드베데프가 쓴 "알려지지 않은 스탈린"(The Unknown Stalin, 2006)에 따르면, 부하린이 스탈린에게 보낸 마지막 메시지는 "코바, 당신은 왜 내가 죽어야만 하는 겁니까?"였는데, 이것은 그가 처형되기 직전 스탈린에게 쓴 쪽지에 적힌 내용이었다. "코바"는 스탈린의 가명이었고, 부하린이 이를 사용한 것은 두 사람이 얼마나 가까웠었는지를 보여주는 표시였다. 이 쪽지는 1953년 스탈린의 죽음 후에도 그의 책상에 그대로 남아 있었다고 한다.
가족을 살려주겠다는 약속에도 불구하고, 부하린의 아내 안나 라리나는 강제 수용소로 보내졌지만, 남편은 1988년 미하일 고르바초프 정권 하에서 소비에트 국가에 의해 공식적으로 재활되는 것을 보았다.
9. 정치적 명망과 업적
만화에도 소질이 있어서, 당시 스탈린과 레닌을 비롯한 소련 공산당의 주요 인물들에 대한 커리커쳐를 남기기도 했다.[57][58] 1929년부터 코민테른의 주요 구성원으로 활약하였으며, 이 시기 한국 공산주의 운동에 관여하였다. 그는 한국 공산주의 운동의 가장 큰 해악을 종파주의라고 보았으며, 일국일당원칙을 견지하라고 조언하였다.
참조
[2]
서적
Imperialism and the World Economy
Lenin Collected Works
[3]
서적
The Prophet Armed: Trotsky 1879–1921
Vintage Books
1965
[4]
서적
The Communist Party of the Soviet Union
Vintage Books
1971
[5]
서적
The Bolsheviks: The Intellectual and Political History of the Triumph of Communism in Russi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1-01-26
[6]
서적
The Bolsheviks in power: the first year of Soviet rule in Petrograd
Indiana University Press
2007
[7]
서적
Bukharin and the Bolshevik Revolution: A Political Biography, 1888–1938
1980
[8]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Soviet Un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5-08-17
[9]
뉴스
RUSSIA: Humble Pie
https://web.archive.[...]
Time
1926-10-25
[10]
서적
1980
[11]
서적
Politics, Murder, and Love in Stalin's Kremlin: The Story of Nikolai Bukharin and Anna Larina
2010
[12]
서적
De Lénine à Staline: Dix ans au service de l'Internationale communiste, 1921–1931
1971
[13]
서적
Politics, Murder, and Love in Stalin's Kremlin: The Story of Nikolai Bukharin and Anna Larina
2010
[14]
서적
Stalin: A Biography
2005
[15]
서적
Power and the Soviet Elite
[16]
서적
Comrade X
[17]
서적
Fear and the Muse Kept Watc, the Russian Masters – from Akhmatova and Pasternak to Shostakovich and Eisenstein – Under Stalin
New Press
2015
[18]
서적
Hope Against Hope, a Memoir
Collins & Harvill
1971
[19]
서적
Hope Against Hope
[20]
서적
Soviet Writers' Congress 1934, the Debate on Socialist Realism and Modernism
Lawrence & Wishart
1977
[21]
서적
Nikolai Bukharin, The Last Years
W. W. Norton
1980
[22]
서적
Nikolai Bukharin
[23]
간행물
The Kirov Assassination, The New Leader
1941-08-23
[24]
서적
Stalin and the Kirov Murder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25]
간행물
O dekabr'skoi tragedii 1934
Pravda
1991-01-28
[26]
서적
Power and the Soviet Elite
1965
[27]
서적
Stalin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011-01-28
[28]
서적
The Stalin Phenomenon
https://books.google[...]
Weidenfeld & Nicolson
1993
[29]
서적
Breaking with Communism
[30]
편지
Bukharin's Letter to Stalin
1937-12-10
[31]
서적
The Road to Terror "Stalin and the Self-Destruction of the Bolsheviks, 1932–1939"
[32]
서적
Revolutionary Russia, 1891–1991
Pelican Books
2014
[33]
서적
The Great Terror: A Reassessment
[34]
서적
Joseph Stalin: A Biographical Companion
1999
[35]
서적
Stalin and the Soviet Union
2005
[36]
간행물
Report by Viscount Chilston (British ambassador) to Viscount Halifax, No.141, Moscow, 21 March 1938.
1938-03-21
[37]
서적
Report of Court Proceedings in the Case of the Anti-Soviet "Block of Rights and Trotskyites"
[38]
서적
[39]
웹사이트
Репрессии Членов Академии Наук
http://www.ihst.ru/p[...]
2014-12-29
[40]
서적
The Unknown Stalin
I.B. Tauris
[41]
웹사이트
50 Years After His Execution, Soviet Panel Clears Bukharin
https://www.nytimes.[...]
1988-02-06
[42]
웹사이트
Widow of Bukharin Fulfills Her Mission 50 Years Later
https://www.nytimes.[...]
1988-02-08
[43]
웹사이트
Anna Larina, 82, the Widow Of Bukharin, Dies in Moscow
https://www.nytimes.[...]
1996-02-26
[44]
웹사이트
The Victory of Bukharin's Widow
https://www.washingt[...]
1988-12-06
[45]
학술지
The Move to Rehabilitate Bukharin
1979-04
[46]
서적
The Victims Return: Survivors of the Gulag After Stalin
Bloomsbury
[47]
웹사이트
A Bolshevik Love Story
https://mises.org/da[...]
2011-03-30
[48]
서적
Monthly Review Press
[49]
서적
A Biographical Dictionary of Dissenting Economists
[50]
서적
Marxism and the Philosophy of Science: A Critical History
https://books.google[...]
Verso Books
2018-01-23
[51]
서적
The Rise and Fall of Communism in Russia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08-10-01
[52]
학술지
The Blackmail of the Single Alternative: Bukharin, Trotsky and Perestrojka
https://www.jstor.or[...]
1990
[53]
서적
Deng Xiaoping: A Revolutionary Lif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54]
학술지
Chinese Studies of Bukharin
1991
[55]
서적
Koba the Dread: Laughter and the Twenty Million
Hyperion
[56]
서적
How It All Began
https://cup.columbia[...]
Columbia University Press
[57]
웹사이트
Russkiy Mir, "Love for a woman determines a lot in life" – Interview with Yuri Larin, 7 August 2008
http://russkiymir.or[...]
2008-08-07
[58]
웹사이트
KP.RU // «Не надо вешать всех собак на Сталина»
http://www.kp.ru/dai[...]
[59]
뉴스
コミンテルン第六回大会開く
東京朝日新聞
1933-07-19
[60]
서적
The Unknown Stalin
I.B. Tauris
[61]
서적
夫ブハーリンの想い出(下)
岩波書店
[62]
웹사이트
Заявление А.М. Лариной (Бухариной) в Президиум ЦК КПСС. 29 марта 1961 года
https://istmat.org/f[...]
1961-03-29
[63]
뉴스
発売禁止に現れた出版界の傾向(一)
東京朝日新聞
1932-12-28
[64]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