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룩스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룩스네는 라트비아 북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알룩스네 호수 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 1284년 프스코프 연대기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숲 속의 샘을 의미하는 라트갈어 단어에서 이름이 유래했다. 1224년 리보니아 기사단에 정복되었고, 이후 스웨덴, 러시아 제국,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지배를 받았다. 1903년 협궤 철도 개통으로 발전을 이루었으며, 라트비아 독립 전쟁 이후 도시 지위를 얻었다. 2009년부터 알룩스네 자치시의 행정 중심지이며, 다양한 문화 유산과 인물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트비아의 도시 - 리가
리가는 라트비아의 수도이자 발트 3국 최대 도시 중 하나로, 한자 동맹의 주요 상업 도시로 번영하다가 라트비아 독립 후 수도가 되었으며, 발트해 주요 항구와 국제공항을 갖춘 경제, 문화, 교통의 중심지이다. - 라트비아의 도시 - 발카
발카는 라트비아와 에스토니아 국경에 위치한 도시로, 1286년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1920년 분할되었고, 1917년 독립 라트비아 공화국을 선포했으며, 2004년 유럽 연합 가입으로 양국 간 왕래가 자유로워졌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알룩스네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 |
![]() | |
| 별칭 | 해당 사항 없음 |
| 위치 | 라트비아 |
| 좌표 | 57°25′ N 27°3′ E |
| 소속 국가 | 라트비아 |
| 행정 구역 | 알룩스네 자치시 |
| 도시 지위 획득 | 1920년 |
| 시장 | 진타르스 아들러스 |
| 면적 | 14.255 제곱킬로미터 |
| 육지 면적 | 8.356 제곱킬로미터 |
| 해발 고도 | 217 미터 |
| 인구 | 6,743 명 (2023년) |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 시간대 | EET |
| UTC 오프셋 | +2 |
| 여름 시간대 | EEST |
| 여름 UTC 오프셋 | +3 |
| 우편 번호 | LV-430(1-2) |
| 지역 번호 | +371 643 |
| 웹사이트 | 알룩스네 공식 웹사이트 |
| 공식 명칭 | 해당 사항 없음 |
| 기후 | 습윤 대륙성 기후(Dfb) |
| 위치 정보 | |
2. 역사
알룩스네는 오랜 역사를 지닌 도시로,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얽혀있다.
초기에는 핀란드어족과 라트갈족이 정착했던 곳으로, 13세기부터 리보니아 기사단의 지배를 받았다. 이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스웨덴 제국, 러시아 제국의 지배를 차례로 겪었다. 18세기 초 북방 전쟁으로 큰 피해를 입었으나, 19세기부터 무역 중심지로 발전했다.
20세기 초 라트비아 독립 전쟁을 거쳐 라트비아의 도시가 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나치 독일의 점령 하에 있기도 했다.
2. 1. 초기 정착
알룩스네 호수 주변 지역은 원래 핀란드어족 부족이 정착했고, 8~12세기에는 라트갈족이 정착했다. 프스코프 연대기에는 1284년에 "올리스타", "알리스트", "볼리스트"라는 이름으로 처음 등장한다. "알룩스네"라는 이름은 숲 속의 샘을 의미하는 라트갈어 단어 "olūksna"에서 유래했다.2. 2. 중세 시대
알룩스네 호수 주변 지역은 원래 핀어를 사용하는 부족들이 정착했고, 8~12세기에는 라트갈족이 정착했다. 프스코프 연대기에는 1284년에 "올리스타", "알리스트", "볼리스트"로 알려졌던 현재의 도시 위치에 정착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알룩스네"라는 이름은 숲 속의 샘을 의미하는 라트갈어 단어 "olūksna"에서 유래되었다.1224년 리보니아 기사단의 독일 십자군이 이 지역을 정복했다.[3] 1284년, 기사단은 리가에서 프스코프까지의 무역로를 보호하기 위해 근처 섬에 마리아의 이름을 딴 마리엔부르크라는 나무 성을 지었다. 성 근처에 발달한 도시 역시 마리엔부르크로 알려지게 되었다. 1342년, 새로운 성이 알룩스네 호수의 가장 큰 섬에 석조로 건설되었다.[4]
2. 3. 근세 시대

리보니아 전쟁 중 1560년 러시아 차르 이반 4세의 군대에 의해 마리엔부르크(알룩스네)가 점령되었다.[3] 1582년에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 편입되었다. 이 도시는 1629년 스웨덴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에른스트 글뤼크는 루터교 성직자이자 라트비아어로 성경을 처음 번역한 사람으로, 1683년 비제메에 최초의 라트비아어 학교를 설립했다. 이 학교는 현재 에른스트 글뤼크 성경 박물관으로 알려져 있다. 북방 전쟁 중 1702년 표트르 대제 휘하의 보리스 셰레메테프가 이끄는 러시아 군대가 이 도시를 점령하여 지역에 큰 피해를 입히고 글뤼크와 그의 양녀이자 훗날 러시아 황후가 된 마르타 스카브론스카를 포함한 모든 주민을 추방했다.[4]
2. 4. 근대
1721년 이후, 알룩스네는 러시아 제국 리보니아 현의 일부가 되었지만, 수십 년 동안 황폐하고 작은 정착지였다. 19세기에 들어서 주요 무역 중심지가 되면서 발전하기 시작했다. 1903년 협궤 철도 노선 스투크마니-굴베네-알룩스네-발카가 개통되면서 더 많은 개발이 이루어졌다.[5]2. 5. 현대
라트비아 독립 전쟁 중 알룩스네는 1919년 5월 라트비아군에 의해 해방된 비제메의 첫 번째 주요 정착지 중 하나였다.[5] 1920년, 도시 권한을 부여받았으며,[5] 2009년부터 알룩스네 자치시의 행정 중심지이다.[5] 제2차 세계 대전 동안인 1941년 7월 5일부터 1944년 8월 19일까지 나치 독일의 점령 하에 있었다.[5]3. 지리
알룩스네는 라트비아에서 11번째로 큰 알룩스네 호수 기슭에 위치해 있다.
3. 1. 알룩스네 호수
알룩스네 호수에는 체푸리테스 섬(Cepurītes), 사랑의 섬(Love Island), 롱 아일랜드(Long Island), 티클루 섬(Tīklu Island), 성 섬(Castle Island) 등 4개의 섬이 있다. 호수의 평균 수심은 7m이며, 가장 깊은 곳은 최대 20m이다.3. 2. 기후
알룩스네는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 ''Dfb'')를 보인다.[12][13][14]|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 평균 최고 기온 (℃) | -2.8 | -2.4 | 2.5 | 10.2 | 16.4 | 19.9 | 22.4 | 20.9 | 15.3 | 8.2 | 2.3 | -1.1 |
| 평균 기온 (℃) | -4.9 | -5.1 | -1.0 | 5.6 | 11.3 | 15.0 | 17.4 | 16.1 | 11.1 | 5.3 | -0.4 | -3.0 |
| 평균 최저 기온 (℃) | -7.5 | -8.1 | -4.6 | 0.8 | 5.7 | 9.9 | 12.6 | 11.6 | 7.4 | 2.6 | -1.6 | -5.1 |
| 역대 최고 기온 (℃) | 8.8 | 10.9 | 18.2 | 26.5 | 30.2 | 32.0 | 33.3 | 32.9 | 29.4 | 21.1 | 13.1 | 10.8 |
| 역대 최저 기온 (℃) | -37.4 | -36.8 | -28.8 | -15.9 | -5.8 | -0.3 | 2.9 | 0.7 | -5.1 | -10.6 | -20.6 | -36.8 |
| 강수량 (mm) | 55.4mm | 43.9mm | 40.8mm | 40.5mm | 63.1mm | 90.3mm | 82.9mm | 82.9mm | 63.7mm | 73.8mm | 61mm | 52mm |
| 강수 일수 (≥ 1 mm) | 14 | 11 | 11 | 8 | 10 | 13 | 11 | 12 | 12 | 13 | 14 | 14 |
| 일조 시간 | 30.9 | 60.2 | 133.3 | 199.0 | 278.4 | 273.1 | 284.2 | 243.1 | 151.7 | 73.5 | 28.3 | 20.5 |
| 일조율 (%) | 14 | 24 | 37 | 47 | 55 | 52 | 54 | 53 | 41 | 24 | 12 | 10 |
4. 인구
| 연도 | 인구 |
|---|---|
| 1920 | 2,029 |
| 1925 | 3,507 |
| 1935 | 4,385 |
| 1959 | 6,400 |
| 1970 | 7,655 |
| 1979 | 10,093 |
| 1989 | 10,913 |
| 2000 | 9,510 |
| 2011 | 8,057 |
| 2021 | 6,488 |
중앙통계국(CSB) 데이터에 따르면, 기존의 한계 내에 있었다.
5. 주요 인물
| 이름 | 설명 | 출생년도 |
|---|---|---|
| 로잘리아 푸르갈레 | 판사 | 1904년 |
| 다이니시 두쿠르스 | 스켈레톤 코치 | 1957년 |
| 크리스탑스 리비에티스 | 바이애슬론 선수 | 1982년 |
| 에드가르스 베르투크스 | 오리엔티어링 선수 | 1985년 |
| 일로나 마르헬레 | 장거리 육상 선수 | 1986년 |
| 안드레이스 라스토르구예브스 | 바이애슬론 선수 | 1988년 |
| 안드리스 보세칼른스 | 사이클 선수 | 1992년 |
6. 자매 도시
요니시키스는 리투아니아의 도시이다.[10]
7. 갤러리
참조
[1]
서적
The last motor race of the empire (ee: ''Impeeriumi viimane motovõistlus'', de: ''Das letzte Autorennen des Imperiums'')
https://tehnikamuuse[...]
Estonian Old Technics Museum Foundation
2014
[2]
웹사이트
Latvijas augstāko pilsētu TOP 20
http://neogeo.lv/?p=[...]
2010-05-24
[3]
웹사이트
Alūksnes vēsture
https://visitaluksne[...]
2022-01-02
[4]
웹사이트
Livonian Order Castle Ruins in Alūksne
https://www.latvia.t[...]
2022-07-14
[5]
웹사이트
Освобождение городов
https://www.soldat.r[...]
[6]
웹사이트
Klimatisko normu dati
https://data.gov.lv/[...]
Latvian Environment, Geology and Meteorology Centre
2023-01-12
[7]
웹사이트
Gaisa temperatūras rekordi
https://klimats.mete[...]
Latvian Environment, Geology and Meteorology Centre
2023-01-12
[8]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81-2010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01-12
[9]
웹사이트
CSD data
https://data.stat.go[...]
[10]
웹사이트
International Relations
http://www.joniskis.[...]
2014-04-29
[11]
웹사이트
CSD data
https://data.stat.go[...]
[12]
웹인용
Klimatisko normu dati
https://data.gov.lv/[...]
Latvian Environment, Geology and Meteorology Centre
2023-01-12
[13]
웹인용
Gaisa temperatūras rekordi
https://klimats.mete[...]
Latvian Environment, Geology and Meteorology Centre
2023-01-12
[14]
웹인용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81-2010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0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