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타의 암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타의 암각화는 노르웨이 알타 지역에서 발견된 기원전 4200년에서 기원전 500년 사이에 제작된 암면각화 및 암음조각군이다. 순록, 무스, 곰 등 북극권 동물과 사냥, 어로 장면, 일상생활과 의례 장면, 기하학적 상징 등 다양한 이미지들이 새겨져 있다. 1973년 발견 이후, 알타 박물관이 설립되어 유물을 전시하고 있으며, 198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핀마르크주 - 노르드킨반도
    노르드킨반도는 노르웨이 핀마르크에 위치하며, 킨나로덴 절벽이 노르웨이 본토와 유럽 최북단 지점이고, 타나피오르덴과 락세피오르덴 사이에 있으며 홉세이데트 지협으로 본토와 연결되어 있다.
  • 핀마르크주의 역사 - 핀마르크 해방
    핀마르크 해방은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소련군과 노르웨이군의 협력으로 핀마르크 지역을 독일로부터 해방시킨 작전으로, 독일군의 초토화 작전으로 큰 피해를 입고 언어 공동체 파괴라는 후유증을 남겼으나, 이후 재건되어 현재까지 해방 기념 행사가 열린다.
  • 핀마르크주의 역사 - 흐발디미르
    흐발디미르는 고프로 장착용 하네스를 착용한 채 노르웨이에서 발견된 흰돌고래로, 하네스에 새겨진 문구와 해양 포유류 첩보 활동 역사 등으로 인해 러시아 첩보 훈련을 받았다는 음모론이 제기되었으나 러시아는 부인했으며, 이름은 블라디미르 푸틴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 노르웨이의 세계유산 - 뢰로스
    뢰로스는 노르웨이의 구리 광산 도시이자 남부 사미족의 순록 방목지였으며, 보존된 목조 건축물과 전통 시장으로 인해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노르웨이의 세계유산 - 우르네스 통널 교회
    우르네스 통널 교회는 1130년경 노르웨이에 지어진 가장 오래된 목조 교회로, 기독교와 바이킹 건축 양식이 혼합된 독특한 우르네스 양식과 북쪽 출입구의 동물 조각으로 유명하며, 여러 차례 증축과 복원을 거쳐 현재는 주요 관광지이다.
알타의 암각화
개요
알타 암각화
알타 암각화
위치알타, 핀마르크주, 노르웨이 북부, 노르웨이
좌표69°56′49″N 23°11′16″E
면적53.59 헥타르
등재 기준(iii)
지정 연도1985년
명칭
노르웨이어Helleristningene i Alta
영어Rock Art of Alta
상세 정보
설명알타 시 주변에는 5km에 걸쳐 암각화 지역이 분포되어 있다.

2. 문화 및 역사적 배경

알타의 암각화는 북유럽러시아 북부에서 발견되는 극북 미술의 출토 예 중 하나이다. 등록 지역 중 가장 큰 혤멜프트/이프말록타 지역(50.09ha)에 있는 암각화는 알타 박물관에서 일반에 공개되고 있다. 겨울에는 눈이 내려 볼 수 없다.

2. 1. 제작 시기 및 기법

왼쪽 멀리 알타 박물관이 있다.]]

알타의 암각화는 기원전 4200년부터 기원전 500년경 사이에 사냥과 어로민에 의해 그려진 암면각화 및 암음조각군으로, 화강암 바위 위에 새겨졌다.[4] 지금까지 약 20~40cm 크기의 암각화가 5000점 이상 발견되었다.

해안선의 융기로 인해 제작 시대가 오래된 것일수록 높은 위치에, 새로운 것일수록 낮은 위치에 그려져 있다.[5] 주요 모티프는 순록을 비롯하여 무스, 등 북극권에 서식하는 동물들과 이를 사냥하는 사람들, 배를 타고 고기를 잡는 사람들 등이다.

2. 2. 빙하기 이후 융기와의 관계

빙하기 이후 융기로 인해 스칸디나비아는 마지막 빙하기가 끝난 후 상당한 속도로 바다에서 솟아오르기 시작했다. 이 효과는 오늘날에도 어느 정도 눈에 띄지만, 알타의 암각화가 만들어지는 동안에는 훨씬 더 빨랐고 아마도 사람의 일생 동안에도 눈에 띄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암각화는 원래 해안 바로 위에 있었고 점차 수십 미터 내륙으로 들어 올려진 것으로 강력하게 시사된다.[4]

해안선의 융기로 인해 제작 시대가 오래된 것일수록 높은 위치에, 새로운 것일수록 낮은 위치에 그려져 있다.[5]

암각화가 있는 해안선.
왼쪽 멀리 알타 박물관이 있다.

3. 발견 및 복원

1973년 가을, 알타 시내에서 약 4km 떨어진 예프말루옥타(Jiepmaluokta, 북사미어로 "바다표범의 만"이라는 뜻) 지역에서 최초의 암각화가 발견되었다. 1970년대 동안 알타 전역에서 더 많은 조각들이 발견되었는데, 특히 예프말루옥타 지역에 약 6,000점의 조각 중 3,000점 이상이 집중되어 있다. 1980년대 후반에는 이 지역에 약 3km 길이의 나무 산책로가 건설되었다.

알타 주변 바위는 대부분 두꺼운 이끼와 지의류로 덮여 있다. 조각이 발견되면 이 식물들을 조심스럽게 제거하고 바위를 청소하여 조각 전체를 드러낸다. 이후 석영 가루를 칠한 뒤 사진을 찍고 디지털 처리하는 등 여러 기술을 사용하여 조각을 기록한다.

1972년 가을 이후 알타 시내 5개 지역에서 암각화가 발견되었고, 1984년 12월 28일 이 5개 지역을 문화유산으로 등록 신청하여 이듬해인 1985년에 공식 등록되었다.[6]

3. 1. 알타 박물관

알타 세계유산 암각화 센터 박물관(World Heritage Rock Art Centre - Alta Museum)은 이 지역에서 발견된 유물(조각을 만든 문화와 관련된 것으로 여겨짐)을 전시하고 있으며, 암각화 사진 자료와 사미 문화, 오로라 현상, 그리고 이 지역의 슬레이트 광산 역사에 대한 전시도 하고 있다. 1991년에 설립된 알타 박물관은 암각화를 상설 전시하고 있으며, 1993년 유럽 올해의 박물관상(European Museum of the Year Award)을 수상했다.[2] 2004년에는 세계유산위원회가 암각화 손상 보고를 받고 노르웨이 당국에 피해 조사 및 보호 조치를 요구했으며,[6] 같은 해 박물관 입장객 수는 68,320명으로 완만하게 증가했다.[7]

4. 이미지와 해석

뛰는 사슴


알타 암각화는 샤머니즘 의식에 사용되거나, 부족의 단결 또는 영역을 나타내는 토템 상징, 중요한 사건의 역사 기록, 또는 단순한 예술적 즐거움 등 다양한 목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개별 조각들은 매우 다양한 이미지를 보여주고, 오랜 시간에 걸쳐 만들어졌기 때문에 여러 가지 목적을 가졌을 가능성이 있다.

4. 1. 동물

다양한 동물들이 조각된 장면에 묘사되어 있다. 그중에서 순록이 압도적으로 많이 나타나며, 종종 대규모 무리를 이루어 사육되거나 사냥되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울타리 뒤에 있는 순록의 묘사는 이 동물들의 대규모 협동 사냥을 나타낸다.[4] 자주 등장하는 다른 동물들로는 엘크, 다양한 조류 종류와 여러 종류의 물고기가 있다. 임신한 동물들은 종종 어미의 배 속에 새끼가 보이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순록 사냥 울타리 묘사. 이 그림은 약 7000년 전의 것이다.


울타리가 있는 알타 암각화


알타 암각화 3

4. 1. 1. 곰

은 알타 암각화를 새긴 조각가들의 문화에서 특별한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곰은 많은 조각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사냥 대상 동물로 묘사될 뿐만 아니라 어떤 형태의 숭배 의식에서 숭배되었음을 시사하는 자세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러시아 북서부의 많은 고대 문화와 사미 문화에서 곰 숭배가 널리 알려져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는 매우 그럴듯하다.[3]

특히 곰 굴에서 나오는 발자국이 흥미로운데, 종종 조각된 이미지를 수직으로 통과하여 다른 동물의 수평 발자국과 교차하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일부 연구자들은 곰이 사후세계(혹은 일반적인 죽음) 숭배와 관련이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하는데, 수직 발자국이 곰이 세계의 서로 다른 차원을 통과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곰의 묘사는 기원전 1700년경에 중단된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그 무렵 종교적 신앙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4. 2. 사냥과 어로 장면

사슴머리 지팡이를 든 무당이 사슴의 머리를 만지고 있다. 사슴이 덫에 걸린 것일 수도 있다.


많은 암각화에서 사냥꾼이 먹이를 추적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장면들은 전통적으로 사냥 의식과 관련된 것으로 설명되어 왔지만, 최근 연구자들은 서로 다른 사냥과 어업 행위의 묘사를 개별 부족의 상징으로 보기도 한다. 또한 서로 다른 사냥과 어업 조각의 상호 관계를 기존 또는 바라는 부족 간 관계의 상징적 표현으로 보는 더 복잡한 설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과 활과 화살의 사용은 초기부터 나타나며, 이러한 도구의 사용이 조각가들의 문화에서 매우 초기부터 알려졌음을 나타낸다. 어부들은 거의 전적으로 낚싯줄을 사용하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으며, 이는 미끼를 사용하고 낚시 바늘을 만드는 방법이 조각가들에게 알려져 있었음을 시사한다.

특히 배의 묘사가 주목할 만하다. 초기 그림부터 작은 어선이 등장하는 반면, 후기 그림에는 점점 더 큰 배가 나타난다. 어떤 배는 최대 30명을 태우고 있으며, 선수와 선미에 정교한 동물 모양의 장식이 달려 있는데, 때로는 바이킹 긴 배에서 발견되는 장식과 유사하다. 이러한 사실과 노르웨이 남부 해안 지역에서 발견된 유사한 대형 선박 조각품은 양쪽 방향으로 해안을 따라 장거리 항해를 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4. 3. 일상생활과 의식 장면

왼쪽 멀리 알타 박물관이 있다.]]

알타의 암각화는 기원전 4200년부터 기원전 500년경 사이에 사냥과 어로 생활을 하던 사람들이 화강암 바위 위에 새긴 암면각화 및 암음조각군이다.[4] 지금까지 약 20~40cm 크기의 암각화가 5000점 이상 발견되었다. 북유럽러시아 북부에서 발견되는 극북 미술의 대표적인 예시 중 하나이다.

해안선의 융기로 인해 제작 시기가 오래된 것일수록 높은 위치에, 새로운 것일수록 낮은 위치에 그려져 있다.[5] 주요 모티브는 순록, 무스, 등 북극권에 서식하는 동물들과 이를 사냥하는 사람들, 배를 타고 고기를 잡는 사람들 등이다.

4. 4. 기하학적 상징

알타 암각화 중 가장 신비로운 것들로는 기하학적 기호 이미지가 있는데, 주로 이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암각화들 사이에서 발견된다. 그중 일부는 원형 물체이며, 테두리가 있는 것도 있고, 수평선과 수직선의 복잡한 패턴을 보여주는 것도 있다. 이러한 물체 중 일부는 도구나 유사한 물체로 설명되어 왔지만(예를 들어, 선 패턴은 때때로 그물로 설명됨), 대부분의 기호는 여전히 설명되지 않고 있다.

5. 등록 과정

1972년 가을 이후 알타(Alta) 시내 5개 지역에서 암각화가 발견되었고, 1984년 12월 28일 이 5개 지역을 문화유산으로 등록 신청했다. 공식 등록은 그 이듬해인 1985년에 이루어졌다.[6]

5. 1. 세계유산 등재

1972년 가을 이후 알타 시내 5개 지역에서 암각화가 발견되었고, 1984년 12월 28일 이 5개 지역을 문화유산으로 등록 신청했다. 공식 등록은 그 이듬해인 1985년에 이루어졌다.[6]

1991년, 알타 박물관이 설립되어 알타의 암각화를 상설 전시하고 있다. 2004년, 암각화 손상 보고를 받은 세계유산위원회는 노르웨이 당국에 피해 조사 및 보호 조치를 요구했다. 같은 해 보고에 따르면, 입장객 수는 68,320명으로 완만하게 증가하고 있다.[7]

5. 2. 명칭 변경

2006년 7월에 영어 등록명이 기존의 "Rock Drawings of Alta"에서 "Rock Art of Alta"로 변경되었다.[8] 프랑스어 등록명도 "les Sites d'art rupestre d'Alta"에서 "Art rupestre d'Alta"로 약간 수정되었다.[9]

참조

[1] 웹사이트 Rock Art of Alta https://whc.unesco.o[...]
[2] 웹사이트 The Rock Art of Alta http://www.alta.muse[...]
[3] 웹사이트 The Significance of the Bear Ritual Among the Sami and Other Northern Cultures http://www.utexas.ed[...] 2013-09-15
[4] 웹사이트 The Rock Art of Alta http://www.riksantik[...] 2007-06-16
[5] 서적 アルタの岩絵 小学館 2003
[6] 웹사이트 Decisions Adopted at the 28th Session of the World Heritage Committee (SUZHOU, 2004) http://whc.unesco.or[...] 2007-06-16
[7] 웹사이트 Periodic Reporting: (Cycle 1) Section II: Rock Art of Alta http://whc.unesco.or[...] 2007-06-16
[8] 웹사이트 Changes to Names of Properties (Rock Art of Alta) http://whc.unesco.or[...] 2007-06-16
[9] 웹사이트 Changement de nom du bien (Art rupestre d'Alta ) http://whc.unesco.or[...] 2008-11-10
[10] 웹인용 알타의 암각화 [Rock Art of Alta] https://web.archive.[...]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8-04-18
[11] 웹사이트 Rock Art of Alta http://whc.unesco.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