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앤 모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앤 모건은 1873년 뉴욕에서 태어나 1952년 사망한 미국의 자선가이자 사회 운동가이다. 그녀는 프랑스 베르사유에서 살롱을 운영하며 '베르사유의 3거두'로 불렸으며, 미국 최초의 여성 사교 클럽인 콜로니 클럽 설립에 참여했다. 1910년대에는 노동 운동가로 활동하며 여성 노동자 파업을 지원했고,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에서 인도주의 단체를 운영하며 민간인 지원 활동을 펼쳤다. 1921년에는 미국 여성 협회를 설립하여 여성의 사회 참여를 장려했으며, 1932년에는 미국 여성 최초로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 그녀의 업적은 현재까지 이어져, 앤 모건 의료 사회 협회가 인도주의 사업을 지속하고 있으며, 그녀의 뉴욕 타운하우스는 유엔 사무총장의 공식 관저로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지옹 도뇌르 코망되르 훈장 수훈자 - 교황 베네딕토 16세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2005년부터 2013년까지 제265대 교황으로 재임하며, 가톨릭 교리를 수호하고 교회 일치와 종교 간 대화를 위해 노력했으나, 보수적인 신념과 스캔들 대처 등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 레지옹 도뇌르 코망되르 훈장 수훈자 - 앤드루 커닝엄
    앤드루 브라운 커닝엄은 영국의 해군 제독으로,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활약하며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중 지중해 함대 사령관으로서 혁혁한 공을 세웠고, 해군 원수로 진급 후 제1해군경 겸 해군참모총장으로서 영국 해군을 이끌었다.
  • 1873년 출생 - 윤덕영
    윤덕영은 조선 말기 문신이자 대한제국 관료, 일제 강점기 조선귀족으로, 한일 병합 조약에 적극 가담하고 순종의 일본 천황 알현을 강요했으며 고종 독살 의혹을 받았고, 친일파 명단에 포함되었다.
  • 1873년 출생 - 엔리코 카루소
    이탈리아 출신 테너 가수 엔리코 카루소는 1895년 오페라 가수로 데뷔하여 유럽과 미국에서 명성을 얻었고,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주역 테너와 음반 녹음으로 축음기 음반 시대를 연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 1952년 사망 - 지그메 왕축
    부탄의 제2대 국왕인 지그메 왕축은 교육 및 인프라 개선, 사법 제도 개혁 등 국내 문제 해결에 힘썼으며 영국령 인도 및 인도와 우호 관계를 맺으며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 1952년 사망 - 허영호 (정치인)
    허영호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에 참여하고 신간회 활동을 했으나, 중일전쟁 이후 친일로 전향하여 해방 후 혜화전문학교 교장과 동국대학교 학장을 역임했으며, 제헌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에서 당선되었지만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사후 친일 행적이 드러나 건국훈장이 취소되고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되었다.
앤 모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앤 트레이시 모건
앤 트레이시 모건
출생 이름앤 트레이시 모건
출생1873년 7월 25일
출생지뉴욕주 하이랜드 폴스
사망1952년 1월 29일
사망지뉴욕주 마운트 키스코
부모존 피어폰트 모건
친척모건 가문
직업박애주의자
서명
인물 정보
영어 이름Anne Tracy Morgan

2. 생애

앤 트레이시 모건은 1873년 7월 25일,[1] 금융가 존 피어폰트 모건과 프랜시스 루이자 트레이시 모건 사이의 네 자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2] 젊은 시절에는 사교계 명사 엘시 드 울프, 엘리자베스 마버리와 함께 프랑스 베르사유 인근의 빌라 트리아농을 공동 소유하며 교류했고,[3] 1903년 플로렌스 저프레이 해리먼과 함께 뉴욕 최초의 여성 사교 클럽인 콜로니 클럽 설립에 참여했다.[3]

1910년경부터는 사회 활동 범위를 넓혀 노동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5] 특히 파업 중이던 의류업계 여성 노동자들을 지원했다.[6] 1912년에는 엘리너 롭슨 벨몬트와 함께 불필요한 선물을 근절하기 위한 협회를 공동 설립하기도 했다.[9] 1915년에는 국립 사회 과학원으로부터 메달을 수여받았고, 소설 《미국인 소녀》(American Girl)를 출판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1917년부터 1921년까지 프랑스에서 인도주의 단체인 '프랑스의 미국인 친구들'을 이끌며 전쟁 피해를 입은 민간인 구호 활동에 헌신했다.[11] 전쟁 이후에는 여성의 사회적 역할과 권익 향상에 주목하여 1921년 미국 여성 협회(American Woman's Association)를 설립하고 직업 여성들의 연대와 성장을 지원했다.[7]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32년 미국 여성 최초로 프랑스 최고 훈장인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도 프랑스에서 피난민을 돕는 인도주의 활동을 이어갔으며,[11] 1940년에는 구호 기금 마련을 위해 콜 포터, 펄 벅, 살바도르 달리, 캐서린 헵번 등 유명 인사들의 레시피를 모은 요리책 《Spécialités de la Maison프랑스어》을 출간했다.[14] 1952년 1월 29일 뉴욕주 마운트 키스코에서 향년 78세로 사망했다.[15]

2. 1. 초기 생애

앤 트레이시 모건은 1873년 7월 25일,[1] 하일랜드폴스에 있는 가족 소유의 별장 "크랙스턴"(Cragston)에서 태어났다.[2] 그녀는 유명한 금융가인 존 피어폰트 모건과 그의 아내 프랜시스 루이자 (트레이시) 모건 사이에서 태어난 네 자녀 중 막내였다.

엘시 드 울프의 음악 파빌리온 내부, 수영장을 바라보는 모습. 윌리엄 브루스 엘리스 랭켄 작


1903년, 모건은 장식가이자 사교계 명사인 엘시 드 울프와 극작가이자 문학 에이전트인 엘리자베스 마버리와 함께 프랑스 베르사유 근처의 빌라 트리아농(Villa Trianon)을 공동으로 소유하게 되었다.[3] 모건은 절친한 친구였던 드 울프가 실내 장식 분야에서 경력을 쌓는 데 도움을 주었다고 알려져 있다. 이 세 여성은 "The Versailles Triumvirate|베르사유 삼두정치eng"[4]로 불리며 프랑스에서 살롱을 열었다. 같은 해, 플로렌스 재프레이 해리먼과 함께 뉴욕 최초의 여성 전용 사교 클럽인 콜로니 클럽(Colony Club) 설립을 주도했으며, 나중에는 맨해튼 이스트 리버를 따라 고급 주거 지역인 서튼 플레이스를 조성하는 데에도 기여했다.

앤 모건, 모피 스톨 착용, 약 1915년


1910년경부터는 노동 운동가로서 활동하기 시작했다.[5] 특히 뉴욕 의류 산업에서 파업 중이던 여성 노동자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부유한 상류층 출신이었음에도 모건을 비롯한 여성들은 파업 노동자들과 함께 피켓 라인에 서고 재정적인 지원을 제공하며 연대하는 모습을 보였다.[6] 이 시기의 파업은 이후 트라이앵글 셔츠웨이스트 공장 화재라는 비극적인 사건으로 이어지게 된다.

1912년에는 엘리너 롭슨 벨몬트와 함께 불필요한 선물 문화를 없애기 위한 쓸데없는 기부 방지 협회(Society for the Prevention of Useless Giving, SPUG)를 설립했다.[9] 1915년에는 국립 사회 과학원으로부터 메달을 받았고, 같은 해 소설 《미국인 소녀》(American Girl)를 출판했다. 1916년에는 콜 포터의 첫 브로드웨이 뮤지컬인 ''See America First'' 제작에 주요 자금을 지원했으며, 이 뮤지컬은 친구인 마버리가 제작을 맡았다.[10]

2. 2. 노동 운동 및 사회 활동



앤 모건은 1903년에 플로렌스 재프레이 해리먼과 함께 뉴욕 최초의 여성 사교 클럽인 콜로니 클럽 설립에 참여하며 사회 활동을 시작했다.[3]

1910년경부터는 노동 운동가로 활동하며[5] 뉴욕의 의류 산업 여성 노동자들의 파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모건을 비롯한 상류층 여성들은 파업 노동자들과 함께 피켓 라인에 서고 재정적 지원을 제공하며 연대했다.[6] 이러한 활동은 트라이앵글 셔츠웨이스트 공장 화재 발생 직전에 이루어졌다.

1912년에는 엘리너 롭슨 벨몬트와 함께 불필요한 선물을 주고받는 관행을 없애기 위한 쓸데없는 기부 방지 협회(Society for the Prevention of Useless Giving, SPUG)를 공동 설립했다.[9] 1915년에는 국립 사회 과학원으로부터 메달을 받았고, 같은 해 소설 《American Girl영어》을 출판했다. 1916년에는 엘시 드 울프와 함께 콜 포터의 첫 브로드웨이 뮤지컬인 ''See America First'' 제작에 자금을 지원하기도 했다.[10]

앤 모건, 1921년


제1차 세계 대전 기간인 1917년부터 1921년까지는 프랑스에서 인도주의 단체인 '프랑스의 미국인 친구들'(The American Friends of France, AFF)을 운영했다.[11] 이 단체는 프랑스 전선 근처인 블레랑쿠르(Blérancourt)에 기반을 두고 전쟁 피해를 입은 민간인을 지원했다. 주요 활동으로는 비전투원 지원, 보건 서비스 조직(현재도 수아송에 존재), 파괴된 가옥 복구를 위한 가구 제공 작업장 운영, 어린이를 위한 휴가 캠프 운영, 이동 도서관 운영 등이 있었다.[11] 이러한 활동 자금은 모건 자신의 재산과 미국 내 네트워크를 통해 조달되었다.[11]

콜로니 클럽 설립 경험과 여성 고용 문제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1921년에는 미국 여성 협회(American Woman's Association)를 설립했다.[7] 이 협회는 야망과 능력을 갖춘 직업 여성들이 서로 교류하고 리더십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당시 여성이 대기업의 수장이 되기 어려운 사회적 한계 속에서 모건은 "시간이 지나면 그런 여성들이 많아질 것이며, 단지 진화가 필요할 뿐"이라고 말하며 여성의 잠재력에 대한 믿음을 보였다.[7] 1930년까지 협회는 뉴욕에 자체 건물을 건립했는데, 이 건물에는 옥상 정원, 회의실, 주거 공간 외에도 체육관과 수영장 등 최고 수준의 시설을 갖추었다.[8]

모건의 공로는 국제적으로도 인정받아, 1932년에는 미국 여성 최초로 프랑스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에는 다시 프랑스로 건너가 피난민을 돕는 인도주의 활동을 재개했다. 또한, 프랑스의 미국인 친구들을 지원하기 위해 1940년에는 펄 S. 벅, 살바도르 달리, 캐서린 헵번 등 유명 인사들의 레시피를 모아 요리책 《Spécialités de la Maison프랑스어》을 출간하기도 했다.[14]

2. 3. 여성 권익 향상



1903년 플로렌스 저프레이 해리먼과 함께 뉴욕 최초의 여성 사교 클럽인 콜로니 클럽 설립에 참여했다.[3] 이는 이후 여성들의 교류와 활동을 위한 공간 마련의 초석이 되었다.

1910년경부터는 노동조합 운동가로 활동하며[5] 뉴욕 의류 산업 파업에 참여한 여성 노동자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앤 모건을 비롯한 상류층 여성들은 파업 노동자들과 함께 피켓 시위에 동참하고 재정적 지원을 제공했다.[6] 이러한 활동은 이후 발생한 트라이앵글 셔츠웨이스트 공장 화재 사건 이전에 이루어졌다.

여성의 사회 진출과 권익 향상에 관심을 가졌던 앤 모건은 1921년 미국 여성 협회(American Women's Association)를 설립했다. 이 협회는 일하는 여성들이 서로 교류하며 인맥을 쌓고 리더십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했다. 모건은 여성들에게 "직업에서 야망, 용기, 역량을 가질 것"을 강조하며[7], 당시에는 여성이 대기업 사장이 되기 어려운 환경이었지만 "시간이 지나면 그런 여성들이 많아질 것이며, 단지 진화가 필요할 뿐"이라고 말하며 여성의 잠재력과 가능성을 역설했다.[7]

1930년에는 뉴욕에 미국 여성 협회를 위한 대규모 건물을 건립하는 사업을 주도했다. 이 건물은 옥상 정원, 여러 회의실 및 사교 공간, 주거 공간뿐만 아니라 "신체 단련을 위한 모든 시설을 갖춘 햇볕이 잘 드는 체육관"과 "미국에서 가장 훌륭한 수영장 중 하나"를 갖추고 있었다.[8] 이 건물은 후에 허드슨 호텔이 되었다.[8]

2. 4. 제1차 세계 대전 구호 활동

앤 모건(왼쪽)과 앤 머레이 다이크, 약 1915년


1917년부터 1921년까지 앤 모건은 프랑스 블레랑쿠르에 머물며 인도주의 단체인 '프랑스의 미국인 친구들'(The American Friends of Franceeng, AFF)을 운영했다. 이 단체는 '프랑스 황폐화 위원회'(Committee for Devastated Franceeng)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제1차 세계 대전으로 피해를 본 프랑스 민간인을 돕는 것을 목표로 했다.[11] 모건은 자신의 재산과 미국 내 기부자 네트워크를 통해 활동 자금을 마련했으며, 해외 자원봉사자와 현지 직원을 고용하여 구호 활동을 펼쳤다.[11]

'프랑스의 미국인 친구들'은 다양한 구호 활동을 전개했다. 쑤아송 지역을 중심으로 비전투 민간인을 지원하고, 의료 서비스를 조직했으며, 폭격으로 집을 잃은 가족들에게 기본적인 가구를 제공하기 위한 작업장을 운영했다. 또한 어린이를 위한 휴가 캠프를 열고, 쑤아송 도서관에서 인수한 자료를 바탕으로 이동 도서관을 운영하는 등 교육 및 문화 지원 활동에도 힘썼다.[11]

이 시기 모건은 의사인 앤 머레이 다이크와 함께 활동했다. 두 사람은 블레랑쿠르에 있는 영지를 박물관으로 개조하여 1930년에 개관했는데, 이는 다이크가 사망한 지 1년 후였다. 모건과 다이크는 프랑스에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훈장을 받았으며, 깊은 동료애를 나누었다.[12] 다이크는 블레랑쿠르 마을 묘지에 안장되었다.[13]

2. 5. 제2차 세계 대전 및 이후 활동

1932년, 앤 모건은 미국 여성 최초로 프랑스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그녀는 다시 프랑스로 돌아가 쑤아송 등지에서 피난민을 지원하기 위한 인도주의 활동을 재개했다.[11] 이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운영했던 구호 단체인 '프랑스의 미국인 친구들'(en, AFF) 활동의 연장선상에 있었다.

1940년에는 '프랑스의 미국인 친구들'을 재정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유명 인사들의 요리법을 모은 요리책 Spécialités de la Maison|스페시알리테 드 라 메종프랑스어(전문 요리의 집)을 출간했다. 이 책에는 콜 포터, 펄 벅, 살바도르 달리, 캐서린 헵번 등 당대의 문화계 인사들이 제공한 레시피가 실렸다.[14]

앤 모건은 1952년 1월 29일, 뉴욕주 마운트 키스코에서 향년 78세로 사망했다.[15]

2. 6. 사망

1952년 1월 29일 뉴욕주 마운트키스코에서 향년 78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3. 유산

앤 모건의 주요 유산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 아인 지역의 재건을 위해 시작된 활동과 뉴욕의 자택 기증으로 요약될 수 있다. 그녀가 참여하여 설립된 보건 및 사회 복지 조직은 현재까지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16][17][18] 그녀의 맨해튼 자택은 유엔에 기증되어 국제 협력의 상징적인 장소로 사용되고 있다.[19]

3. 1. 아인 사회 위생 협회 (AHSA)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앤 모건과 다른 미국 자원봉사자들이 프랑스 아인 지역에서 창설한 보건 서비스 네트워크를 유지하기 위해, 미국 위원회는 앤 머레이 다이크의 지휘 아래 미국 황폐한 프랑스 위원회의 자산, 인력 및 노하우를 물려받을 조직인 «아인 사회 위생 협회» (A.H.S.A)를 설립했다.[16] 이 협회는 앤 모건의 사망 후 1953년에 «앤 모건 의료 사회 협회»로 이름을 변경했으며,[17][18] 오늘날까지 지속되어 100년 이상 전에 앤 모건이 시작한 사업을 이어가고 있다.

3. 2. 서튼 플레이스 타운하우스

1921년 모건을 위해 뉴욕시 어퍼 이스트 사이드의 서튼 플레이스, 맨해튼 지역에 4층짜리 타운하우스가 지어졌다. 이 타운하우스는 1972년 유엔에 기증되었으며, 현재 유엔 사무총장의 공식 관저로 사용되고 있다.[19]

3. 3.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

앤 모건이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 아인 지역에서 시작한 보건 및 사회 복지 활동은 100년 이상 지속되며 국제적인 연대와 지원의 중요성을 보여준다.[16][17][18] 그녀가 설립한 «아인 사회 위생 협회»(A.H.S.A)는 이후 «앤 모건 의료 사회 협회»로 이름을 바꾸어 현재까지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이는 전쟁으로 황폐해진 지역 사회를 돕기 위한 노력이 장기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사례이다.

또한, 앤 모건이 뉴욕의 자택을 유엔(United Nations)에 기증하여 현재 유엔 사무총장(United Nations Secretary-General)의 공식 관저로 사용되고 있는 사실은[19] 국제 협력과 평화를 위한 개인의 기여가 상징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활동들은 국경을 넘어선 인도주의적 실천과 국제기구와의 협력이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중요한 가치임을 생각하게 한다.

참조

[1] 서적 The Morgans: Private International Bankers, 1854-1913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 서적 Ladies and Not So Gentle Women: Elisabeth Marbury, Anne Morgan, Elsie de Wolfe, Anne Vanderbilt, and Their Times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3] 서적 Condé Nast: The Man and His Empire -- A Biography https://books.google[...] St. Martin's Publishing Group 2019-09-03
[4] 서적 Who's Who in Lesbian and Gay Writing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3-09-02
[5] 웹사이트 WGBH American Experience . Triangle Fire . Anne Morgan {{!}} PBS https://www.pbs.org/[...]
[6] 웹사이트 WGBH American Experience . Triangle Fire {{!}} PBS https://www.pbs.org/[...]
[7] 뉴스 Streetscapes/The Henry Hudson Hotel, 353 West 57th Street; From Women's Clubhouse to WNET to $75 a Night https://www.nytimes.[...] 2019-12-21
[8] 뉴스 As One Woman to Another: Anne Morgan https://www.newspape[...] 2019-12-21
[9] 뉴스 Society for the Prevention of Useless Giving Issues Its Second Call to Arms. Mrs. Belmont and Miss Anne Morgan Plan a Big Rally in Metropolitan Life Building https://www.nytimes.[...] 2012-12-16
[10] 뉴스 Cole Porter: A Biography Da Capo Press 1979
[11] 뉴스 Anne Morgan Feature https://books.google[...] 2010-03-01
[12] 웹사이트 Anne Morgan and the Shirtwaist Strike of 1909-1910 http://www.nyu.edu/p[...] 2017-10-27
[13] 문서 The Anne Morgan Story, American Friends of Blérancourt
[14] 서적 Spécialités de la Maison American Friends of France
[15] 뉴스 Anne Morgan Dies In Mt. Kisko. Daughter of Late J. P. Morgan Was Known for Her Work in Reform and Philanthropy https://www.nytimes.[...] 2011-05-30
[16] 웹사이트 amsam.net – Association Médico Sociale Anne Morgan records – C.A.R.D's history https://www.amsam.ne[...] 2023-03-29
[17] 웹사이트 amsam.net – Association Médico Sociale Anne Morgan records – A.M.S.A.M statutes 1953 https://www.amsam.ne[...] 2023-03-29
[18] 웹사이트 amsam.net – Association Médico Sociale Anne Morgan records – Decree published in the Journal Officiel in regard to the renaming of the association https://www.amsam.ne[...] 2023-03-29
[19] 뉴스 Town House Offered to U. N. https://www.nytimes.[...] 2012-1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