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앨런 굿리치 커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앨런 굿리치 커크는 미국 해군 장교이자 외교관이었다. 그는 1909년 미국 해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지중해 상륙 작전 사령관, 프랑스 주둔 미국 해군 사령관 등을 역임했다. 1946년 해군 대장으로 퇴역 후에는 벨기에 및 룩셈부르크, 소련, 중화민국 주재 미국 대사를 지냈다. 6.25 전쟁 초기에는 소련 주재 대사로서 전쟁의 확대를 우려했으며, 러시아 인민 해방 미국 위원회 회장과 심리 전략 위원회 이사로 활동하며 반공 활동을 펼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기에 주재 미국 대사 - 존 아이젠하워
    존 아이젠하워는 미국의 군인이자 작가이며,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아들로,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했고, 아이젠하워, 닉슨 행정부에서 백악관 보좌관과 주 벨기에 미국 대사를 역임했으며, 군사 역사가로서 여러 저서를 남겼다.
  • 소련 주재 미국 대사 - 조지 케넌
    조지 케넌은 냉전 시대 미국의 대소련 봉쇄 정책 입안에 기여한 외교관이자 정치학자, 역사가로, 국무부 정책 기획 본부장, 유고슬라비아 주재 미국 대사 등을 역임했으며, 퓰리처상을 수상한 학자이기도 하다.
  • 소련 주재 미국 대사 - 토머스 J. 왓슨 주니어
    토머스 J. 왓슨 주니어는 IBM의 사장과 CEO를 역임하며 회사를 컴퓨터 시장의 선두 주자로 이끌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주소련 미국 대사와 미국 보이스카우트 연맹의 전국 회장을 지냈다.
  • 미국 해군 대장 - 조지 듀이
    조지 듀이는 미국 해군 장교로 남북 전쟁과 마닐라 만 해전에 참전하여 혁혁한 공을 세우고 해군력 강화에 기여했으며, 1917년 사망했다.
  • 미국 해군 대장 - 제임스 G. 스타브리디스
    제임스 G. 스타브리디스는 미국의 해군 제독으로 구축함 지휘, 유럽 연합군 최고 사령관 등을 역임하고, 터프츠 대학교 원장을 지냈으며, 작가, CNN 논평가로 활동했다.
앨런 굿리치 커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앨런 굿리치 커크
원어명Alan Goodrich Kirk
앨런 굿리치 커크의 사진
앨런 굿리치 커크의 사진
출생일1888년 10월 30일
출생지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사망일1963년 10월 15일
사망지미국 워싱턴 D.C
매장지알링턴 국립묘지
학력
학력미국 해군사관학교
군 복무
국가미국
복무 기간1909~1945년
소속 군대미국 해군
계급제독
지휘프랑스 주둔 미국 해군
참전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
연합군의 이탈리아 침공
오버로드 작전
서훈훈공장
레지옹 도뇌르
바스 훈장
공직 경력
직책대만 주재 미국 대사
대수7대
취임일1962년 7월 5일
퇴임일1963년 1월 18일
대통령존 F. 케네디
부통령린든 B. 존슨
전임에버렛 F. 드럼라이트
후임제럴드 라이트
직책소련 주재 미국 대사
대수7대
취임일1949년 7월 4일
퇴임일1951년 10월 6일
전임월터 베델 스미스
후임조지 F. 케넌
직책벨기에 주재 미국 대사
대수11대
취임일1946년 4월 1일
퇴임일1949년 5월 6일
전임찰스 소이어
후임로버트 다니엘 머피

2. 군 경력

커크는 평생을 군인으로 헌신했다. 그는 미국 해군사관학교를 1909년에 졸업하고 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1]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지중해에서 상륙 작전 사령관으로 복무했으며, 시칠리아이탈리아 침공에 참여했다. 1944년 6월 6일 오버로드 작전 당시에는 중순양함 USS 오거스타에 승선해 최고위급 미국 해군 지휘관으로서 임무를 수행했으며, 1944년과 1945년에는 프랑스 주둔 미국 해군 사령관을 역임했다.[3] 1946년 해군 대장으로 퇴역했다.[3]

2. 1. 제1차 세계 대전 및 전간기

미국 해군사관학교를 1909년에 졸업하고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그의 동기로는 제시 B. 올덴도르프, 올라프 M. 허스트벨트, 시어도어 S. 윌킨슨이 있었다.[1] 전간기에는 1939년부터 1941년까지 런던 주재 미국 해군 무관으로 근무했다. 1941년 3월, 해군 정보국장으로 임명되었으나, 리치먼드 터너 소장의 방해와 반대로 인해 영국 해군 작전정보센터와 같은 효과적인 기관으로 발전시키지 못하고, 대서양 구축함 함대로 전출을 요청했다.[2]

2. 2. 제2차 세계 대전

커크는 1941년 3월부터 해군 정보국장으로 임명되었으나, 리치먼드 터너 소장의 방해와 반대로 인해 런던에서 본 영국 해군 작전정보센터와 같은 효과적인 기관으로 발전시키지 못했다. 결국 그는 대서양 구축함 함대로 전출을 요청했다.[2]

1942년과 1943년에는 지중해에서 상륙 작전 사령관으로 복무했으며, 시칠리아이탈리아 침공에 참여했다. 1944년 6월 6일 오버로드 작전 당시에는 중순양함 USS 오거스타에 승선해 최고위급 미국 해군 지휘관으로서 임무를 수행했으며, 1944년과 1945년에는 프랑스 주둔 미국 해군 사령관을 역임했다. 그는 1946년 해군 대장으로 퇴역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의 공로로 프랑스 임시정부로부터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수여받았다.[3]

2. 3. 퇴역

커크는 1946년 해군 대장으로 퇴역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의 공로로 프랑스 임시정부로부터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수여받았다.[3]

3. 외교 경력

커크는 미국 해군에서 퇴역한 후 외교관으로 변신했다. 벨기에 주재 미국 대사 겸 룩셈부르크 공사, 소련 주재 미국 대사, 중화민국 주재 미국 대사를 역임했다.[4] 또한 러시아 인민 해방 미국 위원회 회장 및 심리 전략 위원회 이사로도 활동했다.[5]

3. 1. 벨기에 및 소련 주재 대사

미국 해군에서 퇴역한 후, 커크는 외교관 경력을 시작했다. 1946년부터 1949년까지 벨기에 주재 미국 대사 겸 룩셈부르크 공사(브뤼셀 거주)로 근무했다.[4] 1949년 7월 4일부터 1951년 10월 6일까지 소련 주재 미국 대사로 근무했다.[4]

6.25 전쟁 초기 소련 주재 미국 대사였던 커크는 이 갈등이 제3차 세계 대전으로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으며, 이를 스페인 내전제2차 세계 대전을 촉발했다고 믿는 소련-일본 국경 분쟁과 같은 1930년대의 대리 전쟁에 비유했다.[4]

3. 2. 대만 주재 대사

커크는 1962년 6월 7일부터 1963년 1월 16일까지 중화민국 주재 미국 대사로 근무했다.[4] 당시 중화민국중국과의 군사적 대치 상황에 놓여 있었고, 커크 대사는 미국의 대(對)중화민국 정책을 현장에서 수행하며 양국 관계를 조율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3. 3. 기타 활동

1952년 2월, 커크는 러시아 인민 해방 미국 위원회[5] 회장으로 취임했다. 전 소련 주재 미국 대사로서 뉴욕시와 뮌헨에서 이주민을 모집했으며, 이들은 나중에 자유 라디오의 핵심 직원이 되었다. 취임 후 1년이 채 되지 않아 건강 악화로 사임했다. 같은 해, 정부 심리 작전을 계획하고 조정하는 심리 전략 위원회[5] 이사로 잠시 근무했다.

참조

[1] 서적 Lucky Bag http://archive.org/d[...] First Class, United States Naval Academy 1909
[2] 서적 Operation Drumbeat Harper Collins
[3] 웹인용 All Hands - The Bureau of Naval Personnel Information Bulletin; June 1945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Navy Websites 2017-02-11
[4] 인용 5. The Korean War (1950– 1953) https://www.degruyt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8-12-31
[5] 웹인용 Staff Member and Office Files: Psychological Strategy Board Files http://www.trumanlib[...] Harry S. Truman Presidential Libra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