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앨런 프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앨런 프린스는 미국의 언어학자이다. 맥길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브랜다이스 대학교와 매사추세츠 대학교 애머스트에서 교수를 역임했다. 1970~80년대 운율 음운론 및 자율 분절 음운론 분야에서, 1993년에는 폴 스몰렌스키와 함께 최적성 이론을 제창하며 언어학 발전에 기여했다. 또한, 최적성 이론 관련 논문 교환을 위한 Rutgers Optimality Archive (ROA)를 설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랜다이스 대학교 - 에이브러햄 매슬로
    에이브러햄 매슬로는 인간의 잠재력과 자기 실현을 연구하고 욕구 단계설을 제시하여 인본주의 심리학 발전에 기여한 20세기 심리학자이다.
  • 브랜다이스 대학교 - 실라르드 레오
    실라르드 레오는 헝가리 태생의 미국 물리학자이자 생물학자로서 핵 연쇄 반응을 구상하고 아인슈타인과 함께 핵무기 개발 필요성을 알리는 편지를 작성하여 맨해튼 계획에 기여했으며, 이후 핵무기 사용 반대 및 핵 확산 방지, 분자생물학 연구에 헌신했다.
  • 매사추세츠 대학교 - 매사추세츠 대학교 애머스트
    매사추세츠 대학교 애머스트는 1863년 설립되어 매사추세츠주 애머스트에 위치한 연구 중심 주립 대학으로, 매사추세츠 대학교 시스템의 주력 캠퍼스이며 다양한 학위 과정을 제공하고 2003년 주 의회에서 연구중심대학이자 주력 캠퍼스로 지정되었다.
  • 매사추세츠 대학교 - 매사추세츠 대학교 의과대학
  • 럿거스 대학교 - 뉴브런즈윅 신학교
    뉴브런즈윅 신학교는 미국 개혁교단과 관련된 신학교로, 1784년 설립되어 뉴욕에서 뉴브런즈윅으로 이전했으며, 선교사 양성으로 명성을 얻었고, 러트거스 대학교와의 협력으로 캠퍼스를 재개발했다.
  • 럿거스 대학교 - 셀먼 에이브러햄 왁스먼
    러시아 제국 출신 미국 생화학자이자 미생물학자인 셀먼 에이브러햄 왁스먼은 럿거스 대학교 교수로서 스트렙토마이신을 발견하여 결핵 치료에 기여하고 '항생 물질'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으며, 해양 세균학 연구에도 공헌하여 1952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앨런 프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알란 프린스
알란 프린스
이름알란 산포드 프린스
원어명Alan Sanford Prince
국적미국
직업언어학자, 교수
학력
학위맥길 대학교 석사, MIT 박사
경력
교수브랜다이스 대학교, 매사추세츠 대학교
소속
현재 소속러트거스 대학교

2. 생애

앨런 프린스는 버지니아주 페어팩스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맥길 대학교에서 "최우등"으로 학사 학위를 받았으며, 1975년 MIT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1] 브랜다이스 대학교매사추세츠 대학교 애머스트에서 언어학 교수를 역임했다. 1998년 존 사이먼 구겐하임 기념 재단의 펠로우로 선정되었고,[5] 2010년 럿거스 이사회 언어학 교수로 임명되었으며,[1] 2015년 은퇴 후 럿거스 명예 교수가 되었다. 럿거스 대학교의 저명한 언어학 교수인 제인 그림쇼와 결혼했다.[3][4]

2. 1. 학력 및 경력

버지니아주 페어팩스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맥길 대학교에서 "최우등"으로 학사 학위를 받았으며, 1975년 MIT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1] 브랜다이스 대학교매사추세츠 대학교 애머스트에서 언어학 교수를 역임했다. 1998년 존 사이먼 구겐하임 기념 재단의 펠로우로 선정되었다.[5] 2010년 럿거스 이사회 언어학 교수로 임명되었고,[1] 2015년 은퇴 후 럿거스 명예 교수가 되었다. 이를 기념하여 "앨런 프린스를 위한 단편집"이 편집되어 2015년 럿거스 유형학 워크숍에서 증정되었다.[2]

럿거스 대학교의 저명한 언어학 교수인 제인 그림쇼와 결혼했다.[3][4]

3. 연구 업적

앨런 프린스는 1970년대와 80년대에 운율 음운론 및 Autosegmental phonology|자율 분절 음운론영어 분야에서 영향력 있는 연구를 수행했다. 영어, 리투아니아어, 라틴어, 라딜어 등 다양한 언어를 연구했으며, 1986년 존 매카시와 함께 운율 형태론 이론을 제창하고 스티븐 핑커와 커넥셔니즘을 비판하는 등 주목할 만한 업적을 남겼다.

1993년에는 폴 스몰렌스키와 함께 최적성 이론을 제창하여 음운론 분야의 주류 이론으로 자리 잡게 했다. 최적성 이론은 통사론, 의미론 등 언어학의 다른 분야로도 확장되었으며, 그 자체로 수학적 특징을 탐구하는 연구 대상이 되기도 했다.

또한 앨런 프린스는 Rutgers Optimality Archive (ROA)를 설립하여 최적성 이론 관련 논문 교환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다.

3. 1. 운율 음운론 및 자율 분절 음운론 연구 (1970-1980년대)

1970년대와 80년대에는 운율 음운론이나 Autosegmental phonology|자율 분절 음운론영어 등의 분야에서 매우 영향력 있는 연구를 남겼다. 영어, 리투아니아어, 라틴어, 라딜어 등 다양한 언어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1986년 존 매카시와 함께 운율 형태론 이론을 제창하였고, 스티븐 핑커와 함께 커넥셔니즘(connectionism, 연결주의)에 대한 비판 논문을 발표하여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3. 2. 최적성 이론 (1993년~)

1993년 폴 스몰렌스키와 함께 최적성 이론을 제창하였는데, 이는 특히 음운론 분야에서 주류 이론으로 자리 잡았다. 최적성 이론은 제약 기반의 생성 문법 이론으로, 처음에는 음운론에 주로 적용되었으나 이후 통사론이나 의미론 등 언어학의 다른 분야로 적용 범위가 확장되었다. 또한 단순히 데이터를 설명하는 도구를 넘어, 그 자체로 연구 대상이 되어 수학적 특징을 탐구하는 연구도 많이 이루어졌다.

앨런 프린스는 최적성 이론을 제창한 후, 웹상에서 이 이론에 관한 논문 교환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Rutgers Optimality Archive (ROA)를 설립했다.

3. 3. Rutgers Optimality Archive (ROA) 설립

폴 스몰렌스키와 함께 최적성 이론을 제창한 앨런 프린스는 최적성 이론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웹 기반 논문 아카이브인 Rutgers Optimality Archive (ROA)를 설립했다. ROA는 연구자들이 자유롭게 논문을 공유하고 교환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여 최적성 이론 연구 발전에 기여했다.

4. 주요 저서

} (마크 리버만과 공저)

|-

| 1983 || Relating to the grid|영어

|-

| 1988 || On language and connectionism: Analysis of a parallel distributed processing model of language acquisition|영어 (스티븐 핑커와 공저)

|-

| 1993 || Generalized alignment|영어 (존 J. 매카시와 공저)

|-

| 1995 || Faithfulness and reduplicative identity|영어 (존 J. 매카시와 공저)

|-

| 2008 || Optimality Theory: Constraint interaction in generative grammar|영어 (폴 스몰렌스키와 공저)

|}

참조

[1] 뉴스 Alan Prince Named Rutgers Board of Governors Professor http://news.rutgers.[...] Rutgers University 2010-12-14
[2] 웹사이트 Past Conferences and Workshops http://ling.rutgers.[...]
[3] 웹사이트 Retirement = time https://princeshorts[...] 2015-05-28
[4] 웹사이트 Faculty http://ling.rutgers.[...]
[5] 웹사이트 John Simon Guggenheim Foundation http://www.gf.org/f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출판 연도저서
1977{{lang|en|On stress and linguistic rhyth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