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말반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말반도는 러시아 북극권에 위치한 반도로, 대부분 영구 동토 지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규모 가스전을 포함한 탄화수소 매장지가 발견되었다. 이 지역은 전통적인 순록 유목이 잘 보존된 곳으로, 네네츠족과 한티족이 약 50만 마리의 순록을 사육하고 있다. 야말에는 러시아 최대 규모의 천연 가스 매장량이 있으며, 야말 프로젝트를 통해 가스 개발이 진행 중이다. 2017년부터 야말 LNG 프로젝트를 통해 액화 천연 가스 생산이 시작되었고, 쇄빙 유조선을 통해 아시아로 수출된다. 또한, 2014년에는 싱크홀이 발견되어 메탄 방출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말로네네츠 자치구의 지형 - 카라해
카라해는 러시아 시베리아 북쪽 해안과 노바야 제믈랴 제도 사이에 있는 북극해의 일부로, 1년 중 대부분 해빙으로 덮여 있고, 오비 강, 예니세이 강 등에서 유입되는 담수의 영향을 받으며, 해빙 감소는 기후 변화와 관련 있고, 과거 핵 폐기물 투기로 인한 방사능 오염 우려가 있다. - 야말로네네츠 자치구의 지형 - 기단반도
기단반도는 러시아 야말로-네네츠 자치구에 위치하고 카라해와 접하며, 평탄한 지형에 호수와 강이 많고 영구 동토와 툰드라로 덮여 있는, 풍부한 천연 가스 매장지이자 환경 문제에 직면한 지역이다. - 야말로네네츠 자치구 - 셀쿠프인
셀쿠프인은 러시아 시베리아 지역에 거주하며 셀쿠프어를 사용하는 민족으로, 예니세이어족과 사모예드족의 상호작용으로 기원했으며, 전통적으로 사냥, 낚시, 순록 방목을 생계 수단으로 삼았다. - 야말로네네츠 자치구 - 시베리아 타타르인
시베리아 타타르인은 남부 시베리아에 거주하며 과거 시비르 칸국을 세웠던 튀르크계 민족 집단으로, 수니파 무슬림이고 시베리아 타타르어를 사용하며, 토볼-이르티쉬, 바라바, 톰 타타르족의 세 주요 집단으로 나뉜다. - 러시아의 반도 - 크림반도
크림 반도는 흑해와 아조프해 사이에 위치한 반도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지배를 받았으며 현재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영토 분쟁 지역으로, 농업, 광업, 관광업이 발달했고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는 복합적인 문화 지역이다. - 러시아의 반도 - 콜라반도
콜라 반도는 러시아 북서쪽에 위치한 유럽 최대의 반도로, 북극권에 속하며 다양한 광물 자원이 풍부하고, 12세기부터 러시아인들이 진출하여 현재 무르만스크 주에 속하며 광업, 수산업 등이 주요 경제 활동이다.
야말반도 | |
---|---|
지도 | |
일반 정보 | |
위치 | 러시아 시베리아, 야말로네네츠 자치구 |
면적 | 약 121,000 평방킬로미터 |
지리 | |
특징 | 반도는 카라해로 뻗어 있다. |
북쪽 경계 | 말리긴 해협 |
서쪽 경계 | 바이다라츠카야 만 |
동쪽 경계 | 오비 만 |
지질 및 자원 | |
주요 자원 | 천연가스 (러시아 최대의 천연가스 매장지) |
인구 | |
주요 거주민 | 네네츠인 (유목 생활) |
기타 정보 | |
명칭 유래 | "땅의 끝" (네네츠어) |
2. 지리
이 반도는 대부분 영구 동토 지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앙부에는 네이토와 얌부토를 비롯한 열카르스트 기원의 수많은 호수가 있다.[3][4] 북극권에 위치한 야말 반도는 대부분 영구 동토로 덮여 있으며, 지질학적으로는 1만 년 미만의 매우 젊은 지역이다.
인류학자 스벤 하칸슨에 따르면, 야말반도는 러시아 연방 내에서 전통적인 대규모 유목 순록 사육이 가장 잘 보존된 곳이다.[6][7] 네네츠족과 한티족 순록 사육자들은 약 50만 마리의 가축 순록을 소유하고 있다.
야말반도의 천연가스 매장량은 러시아 최대 규모로 추정된다.[22] 1970년대에 가스전 개발을 위한 철도 부설이 시작되었으나, 소련 붕괴로 인해 개발이 정체되었다. 2000년대 들어 철도가 복구되었고, 2012년 10월부터 보바넨코보 가스전에서 생산이 시작되었다.[23]
3. 순록 유목
4. 천연가스 개발
2017년, 노바텍, 프랑스 토탈, 중국석유천연가스(페트로차이나), 실크로드 기금이 출자한 야말 LNG에 의해 본격적인 천연가스 채굴이 시작되었다. 2017년 12월 8일, 첫 액화 천연 가스(LNG)가 유조선에 적재되었으며, 기념식에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연방 대통령이 참석했다. LNG는 쇄빙 유조선 등을 통해 주로 아시아로 수출될 예정이다.[25] 2017년 3월, 사베타 항에 신조 쇄빙 유조선 "크리스토프 드 마르제리 호"가 처음 입항했다.[26]
4. 1. 개발 역사
야말반도는 개발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가스관과 여러 교량을 포함한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10] 야말에는 러시아 최대의 천연 가스 매장량이 있으며,[8] 러시아 최대 규모로 추정된다.[22] 1970년대에 가스전 개발을 위해 철도가 부설되었지만, 소련 붕괴로 인해 정체되었다. 2000년대에 철도가 복구되었고, 2012년 10월부터 보바넨코보 가스전의 생산이 시작되었다.[23] 2011년에 완공된 572km 길이의 옵스카야-보바넨코보 철도는 세계 최북단의 철도이다.[9]
러시아의 가스 독점 기업 가스프롬은 2011~2012년까지 유르카롭스코예 가스전을 개발할 계획이었다. 이 반도의 가스 매장량은 55조 입방 미터(tcm)로 추정된다.[10] 야말 프로젝트로 알려진 러시아 역사상 최대 규모의 에너지 프로젝트는 유목 순록 사육의 미래를 상당히 위협하고 있다.
러시아의 거대 가스 기업 가스프롬에 의해 Бованенковское нефтегазоконденсатное месторождение|보바넨코프스코에 석유 가스 콘덴세이트 광상영어 (보바넨코보 가스전) 개발이 계획되었지만, 전통적인 순록 유목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이 우려되고 있다.
실제 천연 가스 채굴은 2017년에 노바텍, 프랑스 토탈, 중국석유천연가스(페트로차이나)와 실크로드 기금이 출자한 야말 LNG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12월 8일에 첫 번째 액화 천연 가스(LNG)가 유조선에 적재되었다. 기념식에는 러시아 연방 대통령블라디미르 푸틴도 참석했다. 당초 연산 550만 톤으로, 2019년까지 1650만 톤으로 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24] LNG는 쇄빙 유조선 등을 통해 주로 아시아로 수출될 예정이다.[25]
2017년 3월에는 반도 동부에 건설된 사베타 항에 신조 쇄빙 유조선 "크리스토프 드 마르제리 호"가 처음 입항했다.[26] 야말에서 LNG를 적재하는 선박으로는 이 외에 미쓰이 등이 발주한 "블라디미르 루사노프 호"가 투입될 예정이다.[27]
4. 2. 야말 프로젝트
야말반도는 개발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가스관과 여러 교량을 포함한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10] 러시아 최대의 천연 가스 매장량을 가진 곳으로,[8] 2011년에 완공된 572km 길이의 옵스카야-보바넨코보 철도는 세계 최북단의 철도이다.[9] 가스프롬은 2011~2012년까지 유르카롭스코예 가스전을 개발할 계획이었으며, 이 반도의 가스 매장량은 55조 입방 미터 (tcm)로 추정된다.[10] 야말 프로젝트는 러시아 역사상 최대 규모의 에너지 프로젝트이나, 유목 순록 사육의 미래를 위협하고 있다.
1970년대에 철도가 부설되어 가스전 개발이 시작되었지만, 소련 붕괴로 인해 정체되었다. 2000년대에 철도가 복구되었고, 2012년 10월부터 보바넨코프 가스전의 생산이 시작되었다.[23] 러시아의 거대 가스 기업 가스프롬에 의해 Bovanenkovskoe oil and gas field|보바넨코프스코에 석유 가스 콘덴세이트 광상영어 개발하는 "야말 프로젝트"가 계획되었지만, 전통적인 순록 유목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
2017년 노바텍, 프랑스 토탈, 중국석유천연가스(페트로차이나), 실크로드 기금이 출자한 야말 LNG에 의해 천연 가스 채굴이 시작되었으며, 12월 8일에 첫 번째 액화 천연 가스(LNG)가 유조선에 적재되었다. 기념식에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연방 대통령이 참석했다. 초기 생산량은 연간 5500000ton이었고, 2019년까지 16500000ton으로 증산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24] LNG는 쇄빙 유조선 등을 통해 주로 아시아로 수출될 예정이다.[25] 2017년 3월, 반도 동부에 건설된 사베타 항에 신조 쇄빙 유조선 "크리스토프 드 마르제리 호"가 처음 입항했다.[26] 미쓰이 등이 발주한 "블라디미르 루사노프 호"도 야말에서 LNG를 적재하는 선박으로 투입될 예정이다.[27]
4. 2. 1. 한국과의 관계
2017년 12월 8일, 야말 LNG는 노바텍, 프랑스 토탈, 중국석유천연가스(페트로차이나), 실크로드 기금의 출자로 액화 천연 가스(LNG)를 유조선에 처음 적재하면서 천연 가스 채굴을 시작했다. 기념식에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연방 대통령이 참석했다.[24] LNG는 쇄빙 유조선 등을 통해 주로 아시아로 수출될 예정이며,[25] 초기 연간 생산량은 550만 톤이었고, 2019년까지 1650만 톤으로 증산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24]
2017년 3월, 반도 동부에 건설된 사베타 항에 신조 쇄빙 유조선 "크리스토프 드 마르제리 호"가 처음 입항했다.[26] 미쓰이 등이 발주한 "블라디미르 루사노프 호"도 야말에서 LNG를 적재하는 선박으로 투입될 예정이다.[27]
4. 2. 2. 환경 및 사회 문제
인류학자 스벤 하칸슨에 따르면, 야말반도는 러시아 연방 내에서 전통적인 대규모 유목 순록 사육이 가장 잘 보존된 곳이다.[6][7] 네네츠족과 한티족 순록 사육자들은 약 50만 마리의 가축 순록을 소유하고 있다.
이 지역은 개발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가스관과 여러 교량을 포함한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10] 야말에는 러시아 최대의 천연 가스 매장량이 있다.[8] 2011년에 완공된 572km 길이의 옵스카야-보바넨코보 철도는 세계 최북단의 철도이다.[9] 러시아의 가스 독점 기업 가스프롬은 2011~2012년까지 유르카롭스코예 가스전을 개발할 계획이었다. 이 반도의 가스 매장량은 55조 입방 미터 (tcm)로 추정된다.[10] 야말 프로젝트로 알려진 러시아 역사상 최대 규모의 에너지 프로젝트는 유목 순록 사육의 미래를 상당히 위협하고 있다.
북극권에 위치한 야말 반도의 대부분은 영구 동토로 덮여 있으며, 지질학적으로는 1만 년 미만의 매우 젊은 지역이다. 전통적이고 대규모의 순록 유목이 러시아 연방 내에서 가장 잘 유지되고 있는 지역으로, 수천 명의 네네츠인과 한티인이 약 50만 마리의 순록을 사육하고 있다. 또한, 수많은 종류의 철새가 서식하는 지역이기도 하다. 야말반도 천연 가스 매장량은 러시아 최대 규모로 추정된다.[22]
1970년대에 먼저 철도가 부설되어 가스전 개발이 시작되었지만, 소련 붕괴로 인해 정체되었다. 2000년대에는 철도가 복구되었고, 2012년 10월부터 보바넨코프 가스전의 생산이 시작되었다.[23]
러시아의 거대 가스 기업 가스프롬에 의해 Bovanenkovskoe oil and gas field|보바넨코프스코에 석유 가스 콘덴세이트 광상영어 개발하는 "야말 프로젝트"가 계획되었지만, 전통적인 순록 유목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이 우려되고 있다.
실제 천연 가스 채굴은 2017년에 노바텍, 프랑스 토탈, 중국석유천연가스(페트로차이나)와 실크로드 기금이 출자한 야말 LNG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12월 8일에 첫 번째 액화 천연 가스(LNG)가 유조선에 적재되었다. 기념식에는 러시아 연방 대통령블라디미르 푸틴도 참석했다. 당초 연산 550만 톤으로, 2019년까지 1650만 톤으로 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24] LNG는 쇄빙 유조선 등을 통해 주로 아시아로 수출될 예정이다.[25]
2017년 3월에는 반도 동부에 건설된 사베타 항에 신조 쇄빙 유조선 "크리스토프 드 마르제리 호"가 처음 입항했다.[26] 야말에서 LNG를 적재하는 선박으로는 이 외에 미쓰이 등이 발주한 "블라디미르 루사노프 호"가 투입될 예정이다.[27]
5. 가스 분출 크레이터 (싱크홀)
2014년 야말반도에서 뚜렷한 싱크홀이 발견되어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이 싱크홀은 거대한 폭발의 결과로 보였으며, 여러 가설이 제시되었으나 운석 충돌은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11][12][13] 최근 연구에서는 극저온 화산 현상이 가장 유력한 원인으로 지목되었다.[14]
5. 1. 메탄 방출 문제
2014년, 야말반도는 뚜렷한 싱크홀 또는 핑고가 발견되면서 세계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11] 이 싱크홀은 거대한 폭발로 인해 생긴 것으로 보이며, 운석이나 UFO 충돌, 지하 가스 시설 붕괴 등 다양한 가설이 제기되었다.[12] 야말 지부 비상사태부 대변인은 "운석이 아니라는 것은 확실하다"고 말했다.[13] 최근 연구에서는 극저온 화산 현상이 가장 유력한 원인으로 제시되었다.[14]Associated Press와의 인터뷰에서 북극 과학 연구 센터의 선임 연구원 안드레이 플레하노프는 이 60m 크레이터가 시베리아 지역의 기온 상승으로 인한 지하 "과도한 압력 축적"의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15] 그의 팀이 실시한 테스트 결과 싱크홀 바닥 근처에서 유난히 높은 농도의 메탄이 검출되었다.[16][17]
막대한 양의 메탄 가스를 포함하는 가스 수화물의 불안정화가 야말 반도의 크레이터를 유발한 것으로 추정된다.[20] 2015년에는 야말 반도에 최소 다섯 개의 유사한 크레이터가 존재했다.[18] 2020년 8월에는 또 다른 크레이터가 나타났다.[19]
노르웨이 Senter for arktisk gasshydrat, miljø og klima|북극 가스 하이드레이트, 환경 및 기후 센터no(CAGE) 연구자들에 따르면, 지열 경사라는 과정을 통해 야말반도와 노바야제믈랴 사이의 북극해 구역인 카라해 해저까지 뻗어 있는 시베리아 영구 동토층이 녹고 있다. CAGE 연구원 알렉세이 포르트노프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20]
- "영구 동토층은 두 측면에서 녹고 있다... [지구] 내부가 따뜻하고 영구 동토층을 아래에서 위로 데우고 있다. 이것은 지열 흐름이라고 불리며, 인간의 영향에 관계없이 항상 일어나고 있다."
- "해저 영구 동토층의 해빙은 진행 중인 과정이며, 전 세계 바다의 지구 온난화로 인해 과장될 가능성이 높다."
메탄은 최소 7500 m2 면적에서 누출되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가스 불꽃이 최대 25m까지 뻗어 있다. 이들의 연구 전에는 메탄이 최대 100m 수심의 물에 의해 영구 동토층에 단단히 밀봉되어 있다고 제안되었다. 그러나 해안 가까이, 영구 동토층 봉인이 20m 정도로 얇아지는 곳에서는 상당량의 가스 누출이 발생하고 있다.[20]
참조
[1]
간행물
Ice Baby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Magazine
2009-05
[2]
웹사이트
Russia: Mammoth's Corpse Found
https://www.nytimes.[...]
2007-07-11
[3]
웹사이트
R-41_42 Topographic Chart (in Russian)
https://maps.vlasenk[...]
[4]
문서
Google Earth
[5]
학술지
Regional model of the geological structure of the Yamal and Gydan oil-and-gas areas
2018-10-30
[6]
간행물
Reindeer herders
http://www.mnh.si.ed[...]
Smithsonian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7]
PhD
Ethnoarchaeology of the Yamal Nenets: Utilizing Emic and Etic Evidence in the Interpretation of Archaeological Residues
Harvard University
[8]
웹사이트
Yamal megaproject
http://www.gazprom.c[...]
[9]
웹사이트
Obskaya–Bovanenkovo Railroad
http://www.railway-t[...]
[10]
웹사이트
Yamal peninsula: The world's biggest gas reserves
https://www.theguard[...]
2009-10-20
[11]
웹사이트
Giant hole forms in Siberia, and nobody can explain why
http://www.huffingto[...]
2014-07-16
[12]
잡지
Gas Blowouts on the Yamal and Gydan Peninsulas
http://assets.geoexp[...]
GEO Publishing Ltd.
2015-10
[13]
웹사이트
Huge Crater Mysteriously Appears in Siberia
http://www.iflscienc[...]
IFL Science
2014-07-16
[14]
학술지
Cryovolcanism on the Earth: Origin of a Spectacular Crater in the Yamal Peninsula (Russia)
2018-09-10
[15]
웹사이트
News
https://web.archive.[...]
[16]
학술지
Mysterious Siberian crater attributed to methane
http://www.nature.co[...]
[17]
웹사이트
Scientists May Have Solved The Siberian Crater Mystery
http://www.businessi[...]
2014-08-02
[18]
웹사이트
There are more bizarre craters opening up in Siberia, and scientists still don't know what's causing them
http://www.businessi[...]
2015-02-26
[19]
웹사이트
Giant new 50-metre deep crater opens up in Arctic tundra
https://siberiantime[...]
2020-08-29
[20]
간행물
Methane is leaking from permafrost offshore Siberia
https://web.archive.[...]
Centre for Arctic Gas Hydrate (CAGE)
2014-12-18
[21]
뉴스
開く北極航路 変わる大動脈
日経産業新聞
[22]
웹사이트
Yamal megaproject
http://www.gazprom.c[...]
[23]
웹사이트
ヤマルLNGの始動と ロシア北極圏の石油・ガス開発
ヤマルLNGの始動とロシア北極圏の石油・[...]
JOGMEC
2018
[24]
뉴스
ロシア、北極圏でLNG生産開始 19年に生産量3倍に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7-12-11
[25]
뉴스
北極圏でLNG開発急ぐ/ロシア 年内開始、年産1650万トン
日経産業新聞
2017-05-18
[26]
뉴스
【新興国ABC】北極海航路に新型LNG船
日経産業新聞
2017-05-30
[27]
간행물
ヤマルLNGプロジェクト向け新造砕氷LNG船“VLADIMIR RUSANOV”と命名~世界初の砕氷LNG船プロジェクト 当社第一船 新たなマイルストーンに~
http://www.mol.co.jp[...]
商船三井
2017-1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