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셀쿠프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셀쿠프인은 우랄어족 사모예드어에 속하는 셀쿠프어를 사용하며, 러시아의 시베리아 지역에 거주하는 민족이다. 스스로를 오스탸크라고 부르기도 한다. 셀쿠프인의 기원은 예니세이어족과 사모예드족의 상호작용에서 비롯되었으며, 13세기 몽골의 지배를 받았고, 17세기 러시아에 복속되었다. 러시아 지배에 저항했으나 실패하였으며, 이후 러시아화와 기독교화 정책으로 전통 문화가 쇠퇴하고, 소련 시대에는 정착 생활을 강요받았다. 유전적으로는 예니세이어족과 유연성이 있으며, Y염색체 Q-M242가 높게 나타난다. 현재는 남부와 북부로 나뉘며, 2002년 러시아에는 4,249명, 우크라이나에는 62명의 셀쿠프인이 거주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통적으로 사냥, 낚시, 순록 방목을 생계 수단으로 삼았으며, 카이 레인홀트 도너와 예브게니 헬림스키 등의 학자들이 연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셀쿠프인 - 셀쿠프어
    셀쿠프어는 시베리아 셀쿠프인들이 사용하는 사모예드어족 언어로, 나림, 스레드냐야 오브-케트, 타즈, 팀 방언으로 나뉘며, 특히 타즈 방언은 복잡한 음운 체계를, 남부 셀쿠프어는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가진다.
  • 사모예드족 - 에네츠인
    에네츠인은 유전학적으로 연구된 민족으로, 2002년 연구에서 대부분의 표본이 Y-DNA 하플로그룹 N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사모예드족 - 네네츠인
    네네츠인은 러시아 북부의 야말로-네네츠 자치구와 네네츠 자치구에 주로 거주하며 순록 유목을 중심으로 전통적인 생활 방식을 유지하는 우랄어족 사모예드어파에 속하는 민족으로, 소련 시대 집단 농장 정책과 현대 러시아의 석유 채굴 산업화로 삶의 터전이 위협받고 있어 문화와 환경 보호를 위한 활동을 하고 있다.
  • 톰스크주 - 출림인
    출림인은 시베리아 출림강 유역에 거주하며 튀르크족, 텔레우트족 등 여러 민족의 혼합으로 형성된 튀르크계 소수 민족으로, 출림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 러시아 정교, 샤머니즘이 혼합된 종교를 믿으며 전통적인 사냥과 덫 사냥으로 생계를 유지했으나 현대에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 종사한다.
  • 톰스크주 - 케티강
    죄송합니다. 주어진 정보만으로는 케티강에 대한 한 문장 요약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셀쿠프인
기본 정보
세리쿠프인 깃발
깃발
다른 이름셴쿠프인
자칭(추멜굴라)
(튀이쿨라)
(쑈쉬쿨라)
(쉬쉬굴라)
(쑈이쿠미트)
인구
전체3,649명 (2010년 러시아 연방 인구 조사)
거주 지역러시아
톰스크주
야말로네네츠 자치구
언어
공용어세리쿠프어
종교
주요 종교샤머니즘
러시아 정교회
민족 관계
관련 민족응가나산인
네네츠인
에네츠인

2. 명칭 (Ethnonyms)

러시아에서 셀쿠프인은 스스로를 오스탸크라고 부른다. 이 명칭은 원래 17세기부터 유래된 이칭으로, 오비우그리아족과 중부 오비강 지역의 사모예드족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20세기 말까지 이 명칭은 셀쿠프인에 의해 자칭으로 채택되었다.[1] 185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의 과학 문헌에서 셀쿠프인은 오직 오스탸크-사모예드(остяко-самоеды, ostyako-samoyedy)라고 불렸다.

셀쿠프(Selkup)라는 명칭은 원래 타즈강 유역에 살던 북부 셀쿠프인 한 집단의 자칭이었으나, 1930년대에서 1980년대 사이에 다른 모든 지역 집단에게 적용되었다.[2] 과거 명칭은 '''오스차크 사모예드'''(Ostyako‐samoed)이다.

과거에는 더 남쪽의 오비강 중류 유역에 거주지를 두었으나, 일부가 17세기에 현재 거주지로 이동한 후, 거주지였던 셀쿠프인들은 현저하게 러시아화되었다. 셀쿠프어우랄어족 사모예드어파 남부군을 대표하는 유일한 현존 언어이다. 문화적으로 셀쿠프인은 북방군의 사모예드 제족보다는 오히려, 같은 내륙 하천 유역에 사는 한티인, 케트인과 더 가까우며, 이 때문에 이 세 집단은 과거 '''오스차크'''로 통칭되었다.

3. 역사

셀쿠프인은 오비강 중류 유역에서 기원했으며, 13세기에는 몽골의 지배를 받았다. 1628년러시아 제국이 이 지역을 정복하면서 셀쿠프인은 복속되었고, 이에 저항하여 봉기했지만 진압당했다.[5]

17세기에 일부 셀쿠프인은 북쪽으로 이동하여 타즈강과 투루한강 유역에 정착했고, 수렵, 어업, 순록 사육을 하며 생활했다. 그러나 18세기에 러시아인들이 이주해 오면서 순록 사육에 어려움을 겪었고, 러시아화 및 정교회 강요를 받았지만, 고유의 종교와 관습을 지켜나갔다.[5]

소련 시대에는 강제 정착 정책으로 전통문화가 쇠퇴하고 러시아 문화에 동화될 위기에 처했으며, 인종 차별, 실업, 알코올 중독 등의 문제에 직면했다.[5]

3. 1. 기원

셀쿠프인은 셀쿠프어를 사용하며, 이는 우랄어족의 사모예드어에 속한다.

셀쿠프인의 기원은 오비강 중류 유역에서, 초기 서기 1천년기에 사얀산맥에서 이 지역으로 온 원주민인 예니세이어족사모예드족의 상호작용에서 비롯되었다.[4] 셀쿠프인은 우랄어족계 민족이지만, Y염색체 하플로그룹 N은 6.9% 밖에 나타나지 않고, 아메리카 원주민이나 인접한 케트인에게 많은 Y염색체 하플로그룹 Q가 66.4%나 나타난다.[7] 이는 본래 케트인과 마찬가지로 예니세이어족 언어를 사용했지만, 과거 어느 시점에서 우랄어족과의 언어 교체가 일어났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최근의 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하위 분류 Q1a2a1-L54는 주로 예니세이어족(케트족)과 사모예드어족(에네츠족과 셀쿠프족) 화자에게서 발견되었다. 유전적 증거는 예니세이어족과 사모예드어족 화자가 하플로그룹 Q-M242(xL54)의 높은 빈도를 보이는 북부 알타이인과 유전적 친연성이 있는 반면, 남부 알타이인은 많은 L54 샘플을 가지고 있으며 튀르크어를 사용하는 집단과 유사성을 보였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최신 연구의 예니세이어족과 사모예드어족 샘플은 이전 연구 결과(xL54)와 다른 L54에 속했다. 연구자들은 시간 추정치를 고려하여 Q1a2a1-L54가 남부 알타이 지역에서 이주하여 최근 역사적 기간 동안 예니세이어족과 사모예드어족 화자 집단에 동화되었다고 추정했다.[2]

3. 2. 몽골 및 러시아 지배

13세기에 셀쿠프인은 몽골의 지배를 받았다. 1628년러시아 제국이 이 지역을 정복하면서 셀쿠프인은 복속되었다. 셀쿠프인은 러시아 지배에 대항하여 봉기했지만 진압당하고 패배했다.[5]

3. 3. 북부 이동과 러시아화

17세기에 일부 셀쿠프인은 북쪽으로 이동하여 타즈강과 투루한강을 따라 살았다. 그들은 주로 수렵, 어업, 순록 사육에 종사했다. 18세기에 러시아 정착민들이 이 지역에 도착하면서 러시아인들이 셀쿠프인의 순록을 사냥하여 순록 사육이 훨씬 어려워졌다.[5] 같은 기간 동안 러시아인들은 셀쿠프인을 러시아화하고 정교회로 개종시키려고 시도했다.[5] 그러나 많은 셀쿠프인은 고대 종교적 신념과 관습을 유지했다.

3. 4. 소련 시대

소련 시대에 셀쿠프인은 정착 생활 방식을 강요받았고 그들의 전통 문화는 심각한 쇠퇴를 겪었다.[5] 이들은 문화적 멸종과 러시아 문화로의 동화에 직면했으며,[5] 인종 차별, 실업, 알코올 중독으로 고통받고 있다.[5]

3. 5. 현대

17세기에 일부 셀쿠프인은 북쪽으로 이동하여 타즈강과 투루한강을 따라 살았다. 그들은 주로 수렵, 어업, 그리고 순록 사육에 종사했다. 18세기에 러시아 정착민들이 이 지역에 도착하면서 러시아인들이 셀쿠프인의 순록을 사냥하여 순록 사육이 훨씬 어려워졌다.[5] 같은 기간 동안 러시아인들은 셀쿠프인을 러시아화하고 기독교화하려고 시도했다.[5] 그러나 많은 셀쿠프인은 고대 종교적 신념과 관습을 유지했다.

소련 시대에 셀쿠프인은 정착 생활 방식을 강요받았고 그들의 전통 문화는 심각한 쇠퇴를 겪었다. 셀쿠프인은 문화적 멸종과 러시아 문화로의 동화에 직면해 있다. 그들은 또한 인종 차별, 실업, 알코올 중독으로 고통받고 있다.[5]

최근의 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하위 분류 Q1a2a1-L54는 주로 예니세이어족(케트족)과 사모예드어족(에네츠족과 셀쿠프족) 화자에게서 발견되었다. 유전적 증거는 예니세이어족과 사모예드어족 화자가 하플로그룹 Q-M242(xL54)의 높은 빈도를 보이는 북부 알타이인과 유전적 친연성이 있는 반면, 남부 알타이인은 많은 L54 샘플을 가지고 있으며 튀르크어족을 사용하는 집단과 유사성을 보였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최신 연구의 예니세이어족과 사모예드어족 샘플은 이전 연구 결과(xL54)와 다른 L54에 속했다. 연구자들은 시간 추정치를 고려하여 Q1a2a1-L54가 남부 알타이 지역에서 이주하여 최근 역사적 기간 동안 예니세이어족과 사모예드어족 화자 집단에 동화되었다고 추정했다.[2]

4. 인구 및 분포

톰스크주 출신의 남부 셀쿠프 여성


타이가 숲의 셀쿠프인


200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러시아에는 4,249명의 셀쿠프인이 있었다(1970년에는 4,300명). 우크라이나에는 62명의 셀쿠프인이 있으며, 이 중 셀쿠프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은 단 한 명뿐이었다(2001년 우크라이나 인구 조사).

현대 셀쿠프인은 지리적으로 고립된 두 그룹, 남부 셀쿠프인과 북부 셀쿠프인으로 나뉜다.

과거에는 '''오스차크 사모예드'''(Ostyako‐samoed)라고 불렸으며, 1989년 기준 인구는 약 3,600명이다. 셀쿠프어를 사용하며, 인종적으로는 몽골로이드를 기본으로 약간의 코카소이드가 혼합되어 있다.

문화적으로 셀쿠프인은 북방군의 사모예드 제족보다는 오히려 같은 내륙 하천 유역에 사는 한티인, 케트인과 더 가까우며, 이 때문에 이 세 집단은 과거 '''오스차크'''로 통칭되었다.

4. 1. 남부 셀쿠프인



남부 셀쿠프인은 '나름 셀쿠프인'이라고도 불리며, 주로 톰스크주에 거주한다.[1] 과거에는 오비강 중류 유역에 거주했으나, 17세기에 현재 거주지로 이동한 후, 그곳에 남은 셀쿠프인들은 러시아화되었다.

시베리아의 주요 셀쿠프인 정착지는 크라스노셀쿠프와 카르가소크이다.

4. 2. 북부 셀쿠프인



러시아인들이 시베리아를 식민지화하기 시작하면서 북쪽으로 이동한 셀쿠프인들을 말한다. 북쪽으로의 이동은 여러 차례에 걸쳐 일어났다.[1]

시베리아의 주요 셀쿠프인 정착지는 크라스노셀쿠프와 카르가소크이다.

5. 문화

셀쿠프인은 전통적으로 사냥, 낚시, 순록 방목을 생계 수단으로 삼았고, 강에서 항해하기 위해 통나무 카누를 사용했다.[6] 과거에는 '''오스차크 사모예드'''(Ostyako‐samoed)라고 불렸으며, 1989년 기준 인구는 약 3,600명이다. 셀쿠프어를 사용하며, 인종적으로는 몽골로이드를 기본으로 약간의 코카소이드가 혼합되어 있다.

과거 오비강 중류 유역에 거주했으나, 17세기에 일부가 현재 거주지로 이동한 후, 기존 거주지의 셀쿠프인들은 러시아화되었다. 셀쿠프어는 우랄어족 사모예드어파 남부군의 유일한 현존 언어이다. 문화적으로 셀쿠프인은 북방군의 사모예드 제족보다는 한티인, 케트인과 더 가깝고, 이 세 집단은 과거 '''오스차크'''로 통칭되었다.

5. 1. 주요 연구

셀쿠프인은 전통적으로 사냥, 낚시, 순록 방목을 생계 수단으로 삼았다. 강에서 항해하기 위해 통나무 카누를 사용하기도 했다.[6]

1911~1912년, 1914년에 핀란드 언어학자이자 민족학자인 카이 도너는 셀쿠프인의 언어, 민속, 일상 문화 및 전통적인 생활 방식을 연구했다.

셀쿠프학을 연구한 또 다른 유명한 학자로는 예브게니 헬림스키가 있었다.

6. 유전적 특징

셀쿠프인은 우랄어족계 민족이지만, 우랄어족과 관련된 Y염색체 N-M231은 6.9% 밖에 나타나지 않고, 아메리카 원주민이나 인접한 케트인에게 많은 Y염색체 Q-M242는 66.4%나 나타난다.[7] 이는 본래 케트인과 마찬가지로 예니세이어족 언어를 사용했지만, 과거 어느 시점에서 우랄어족과의 언어 교체가 일어났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참조

[1] 간행물 Russian Census 2010: Population by ethnicity http://www.perepis-2[...]
[2] 논문 Dispersals of the Siberian Y-chromosome haplogroup Q in Eurasia
[3] 웹사이트 ВПН-2010 https://www.gks.ru/f[...] 2021-10-09
[4] 논문 Genomic study of the Ket: a Paleo-Eskimo-related ethnic group with significant ancient North Eurasian ancestry 2016-02-11
[5] 웹사이트 The Selkups https://www.eki.ee/b[...] Red Book of the Peoples of the Russian Empire 2020-09-05
[6] 서적 A History of the Peoples of Siberia: Russia's North Asian Colony 1581-199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문서 Tambets, Kristiina et al. 2004, The Western and Eastern Roots of the Saami—the Story of Genetic “Outliers” Told by Mitochondrial DNA and Y Chromosom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